| |
FC 바르셀로나 | |
FC Barcelona | |
<colbgcolor=#a2224c> 정식 명칭 | FC Barcelona Bàsquet |
창단 | 1926년 8월 24일 |
소속 리그 | 리가 엔데사 (Liga Endesa) 유로리그 (EuroLeague) |
연고지 | 바르셀로나 (Barcelona) |
구단명 변천 | FC 바르셀로나 (1926~1989) FC 바르셀로나 방카 카탈라나 (1989~1998) FC 바르셀로나 (1998~2004) 빈터투어 FC 바르셀로나 (2004~2007) AXA FC 바르셀로나 (2007~2008) 레갈 FC 바르셀로나 (2008~2011) FC 바르셀로나 레갈(2011~2013) FC 바르셀로나 (2013~2015) FC 바르셀로나 라사 (2015~2019) FC 바르셀로나 (2019~ ) |
홈구장 | 팔라우 블라우그라나 (Palau Blaugrana, 7,585명 수용 가능) |
리저브 팀 | FC 바르셀로나 B (FC Barcelona Bàsquet B) |
회장 | |
단장 | |
영구 결번 | 4, 7, 11, 12, 15 |
링크 | |
우승 기록 | |
유로리그 (2회) | 2002-03, 2009-10 |
리가 엔데사 (1부) (19회) | 1958-59, 1980-81, 1982-83,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4-95, 1995-96, 1996-97, 1998-99, 2000-01, 2002-03, 2003-04, 2008-09, 2010-11, 2011-12, 2013-14, 2020-21 |
코파 델 레이 데 발론세스토 (27회) | 1942-43, 1944-45, 1945-46, 1946-47, 1948-49, 1949-50, 1958-59,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6-87, 1987-88, 1990-91, 1993-94, 2000-01, 2002-03, 2006-07, 2009-10, 2010-11, 2012-13, 2017-18, 2018-19, 2020-21, 2021-22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데 발론세스토 (6회) | 1987, 2004, 2009, 2010, 2011, 2015 |
코파 프린세사 데 아스투리아스 (1회) | 1988 |
FIBA 사포르타컵 (2회) | 1984-85, 1985-86 |
FIBA 코라치컵 (2회) | 1986-87, 1998-99 |
유로피언 바스켓볼 클럽 슈퍼컵 (3회 / 최다 우승) | 1983, 1986, 1986 |
FIBA 인터콘티넨털컵 (1회) | 1985 |
리가 카탈라나 데 바스케트 (22회 / 최다 우승) |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9, 1993, 1995, 2000, 2001, 2004,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9 |
1. 개요
FC 바르셀로나에서 운영하는 남자 농구단.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해당 더비는 농구판 엘 클라시코로 부른다. 스페인 농구 1부 리그인 리가 ACB에서 18회(통산 2위), 농구 챔피언스 리그인 유로리그에서 2회 우승했다. 유로리그 소속이다.이 팀은 1926년 8월 24일 창단되었으며 리가 ACB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이다. 유로리그와 리가 ACB를 모두 포함해도 유럽에서 매우 성공적인 농구단 중 하나다. 두 차례 유럽 챔피언에 오른 바르사는 2003년에 리그, 컵, 유로리그를 모두 석권하며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2. 라이벌리
2.1. 엘 클라시코
| |
레알 마드리드 CF Real Madrid C.F. | FC 바르셀로나 F.C. Barcelona |
엘 클라시코 (El Clásico)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클라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클라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엘 클라시코의 뿌리는 주안 감페르와 스페인을 쿠데타로 장악한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다만 리베라가 특별히 레알 마드리드를 지원한 것은 아니었고, 정권도 곧 무너져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않았다. 감페르의 자살 역시 세계 대공황 여파 때문으로 리베라와는 무관하다.
결정적인 전환점은 스페인 내전 시기였다. 바르셀로나 회장이자 카탈루냐 좌파 인사였던 주젭 수뇰은 내전 발발 직후 프란시스코 프랑코 추종 세력으로 추정되는 집단에 의해 총살당하고 암매장되었다. 이 사건으로 FC 바르셀로나는 카탈루냐 독립운동과 반프랑코 투쟁의 상징이 되었다.
프랑코가 승리한 후 스페인 국가주의 정책이 시행되면서 바르셀로나는 스페인어 명칭인 'CF 바르셀로나'를 사용해야 했고, 카탈루냐 상징 사용도 금지되었다. 1943년, 경기 전 바르셀로나 선수들이 협박을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커졌다. 이 사건은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 간 대립을 상징적으로 남겼지만, 프랑코가 레알을 체계적으로 지원했다는 증거는 부족하다.
3. 역사
1926년 8월 24일 창단된 FC 바르셀로나 농구팀은 이듬해인 1927년에 처음으로 공식 대회인 카탈루냐 농구 선수권 대회(Campionat de Catalunya de Basquetbol)에 참가하며 역사의 첫 장을 열었다. 창단 초기에는 CE Europa, Laietà BC, Société Patrie(후에 CB Atlètic Gràcia로 개칭)와 같은 다른 클럽들이 지역 농구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고, 바르셀로나는 한동안 이들에 비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으나, 1940년대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농구팀을 조직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FC 바르셀로나는 Copas del Generalísimo de Baloncesto에서 무려 6차례 우승과 1차례 준우승을 기록하며 국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956년에는 Liga Española de Baloncesto의 창립 멤버가 되어 첫 시즌부터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강력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어 1959년에는 스페인 농구 역사상 최초로 리그와 컵을 동시에 제패하며 ‘더블’을 달성, 구단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그러나 1960년대와 1970년대는 팀이 침체기를 겪은 시기였다. 1961년에는 구단주 엔릭 로데가 팀의 인기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이유로 농구팀을 해산하는 결정을 내렸고, 팬들의 끊임없는 요청에 힘입어 1962년 다시 재창단했지만, 1964년 리그가 14개 팀에서 8개 팀으로 축소되면서 강등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 세군다 디비시온(2부 리그)으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 다만 1965년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을 통해 빠르게 1부 리그로 복귀하는 저력을 보여주었으나, 1970년대 전반에 걸쳐 라이벌 레알 마드리드와 요벤투트의 독주에 밀려 존재감을 크게 드러내지 못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클럽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당시 회장 호셉 루이스 누녜스(Josep Lluís Núñez)는 FC 바르셀로나 농구팀을 스페인과 유럽 최고의 클럽으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했고, 그 결과 감독 아이토 가르시아 레네세스와 후안 안토니오 산 에피파니오(Epi), 안드레스 히메네스, 치비리오, 오디 노리스, 소로사발 등 걸출한 선수들이 활약하며 클럽은 부흥기를 맞았다. 이 시기에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리그 6회, 스페인 컵 5회,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2회, 코라치 컵 1회, 클럽 월드컵 1회 등 굵직한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1984년 유러피언 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정상에 근접했다. 특히 1987-88 시즌에는 코파 프린시페, 리가 ACB, 코파 델 레이, 수페르코파를 모두 석권하며 4관왕이라는 대업을 달성, 명실상부한 최전성기를 구가했다.
이러한 성공을 토대로 1990년대에도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리그 4회, 컵 2회의 국내 타이틀을 추가하며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했고, 유럽 무대에서는 1990, 1991, 1996, 1997년에 유러피언 컵 결승에 올랐으나 네 차례 모두 준우승에 머물러 아쉬움을 남겼다.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도 6차례 진출하며 유럽 정상권 팀으로 자리 잡았지만, 숙원이었던 유로리그 우승은 쉽지 않았다. 그러나 끈질긴 도전은 결국 결실을 맺었고, 2003년 데얀 보디로가, 그레고르 푸츠카, 샤루나스 야시케비치우스,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등이 맹활약하며 홈구장 Palau Sant Jordi에서 베네통 트레비소를 76-65로 꺾고 마침내 클럽 역사상 첫 유로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2010년에는 파리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올림피아코스를 86-68로 완파하며 두 번째 유로리그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같은 해 10월 NBA 유럽 라이브 투어에서 LA 레이커스를 Palau Sant Jordi에서 92-88로 꺾으며 유럽 팀이 NBA 디펜딩 챔피언을 상대로 기록한 첫 승리라는 역사적인 업적을 남겼다. 이 경기에는 주장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와 포인트가드 리키 루비오가 출전했으며, 두 선수는 이후 NBA 무대에서도 활약했다.
이후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농구 정상권을 꾸준히 유지하며 레알 마드리드와 수차례 결승에서 맞붙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연속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올랐지만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4년에는 스페인 리그 챔피언에 등극했으나 이후 몇 시즌은 유로리그와 리가 ACB 모두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며 부진한 시기를 보냈다. 그러나 2018년, 2019년, 2021년 코파 델 레이 결승에서 라이벌 레알 마드리드를 연달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2021년에는 7년 만에 스페인 리그 통산 19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명성을 되찾았다. 같은 해 유로리그 결승에서는 아나돌루 에페스에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으나, 2023년 6월 21일 레알 마드리드를 93-82로 물리치고 통산 20번째 스페인 리그 타이틀을 추가하며 구단 역사에 또 하나의 금자탑을 세웠다.
4. 주요 선수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했던 스타 선수로는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파우 가솔, 리키 루비오, 데얀 보디로가, 마크 가솔, 니콜라 미로티치, 사루나스 야시케비셔스, 윌리 에르난고메즈 등이 있다.5. 경기장 - 팔라우 블라우그라나
팔라우 블라우그라나 (Palau Blagrana) | |
FC Barcelona | |
| |
개장 | 1971년 10월 23일 |
소재지 |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 바르셀로나 산 주안 데스피 |
수용 인원 | 7,585명 |
운영 | FC 바르셀로나 |
용도 | 농구, 핸드볼, 하키, 풋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