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EA0029> | 선동열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A0029><colcolor=#002955,#fff> 선수 경력 | 아마추어 시절 ㆍ해태 타이거즈 시절(1985년ㆍ1986년ㆍ1987년ㆍ1988년 1989년ㆍ1990년ㆍ1991년ㆍ1992년 1993년ㆍ1994년ㆍ1995년) 주니치 드래곤즈 시절(1995년ㆍ1996년ㆍ1997년ㆍ1998년) 은퇴 | |
| 은퇴 후 | 지도자 경력 (삼성 감독 시절ㆍ기아 감독 시절ㆍ선동열호) | ||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평가 (선수로서ㆍ지도자로서) | ||
| 기타 | 여담 · vs 최동원ㆍTwo&Oneㆍ패동렬 각도드립ㆍ이승엽 와도 자리 없다ㆍ사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영구 결번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rowcolor=#ffffff> 선동열 (1996. 1. 16.) | 이종범 (2012. 5. 26.) | ||
| ※ 선수명 하단 일자: 영구 결번 지정일 | |||
| | |||
|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18 | |||
| 선동열 宣銅烈 | Sun Dong-yol[1] | |||
| 출생 | 1963년 1월 10일[2] ([age(1963-01-10)]세) | ||
|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읍 도산리 (現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3] | |||
| 국적 | | ||
| 학력 | 송정동초등학교 (졸업) 무등중학교 (졸업)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81[4] / 학사) | ||
| 신체 | 184cm, 97kg, O형[5] | ||
| 포지션 | 선발 투수[6] → 마무리 투수[7] | ||
| 투타 | 우투우타 | ||
| 프로 입단 | 1985년 1차 지명 (해태) | ||
| 소속팀 | 해태 타이거즈 (1985~1995) 주니치 드래곤즈 (1996~1999) | ||
| 지도자 | 주니치 드래곤즈 2군 연수코치 (2003) 삼성 라이온즈 1군 수석·투수코치 (2004) 삼성 라이온즈 감독 (2005~2010) KIA 타이거즈 감독 (2012~2014)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코치 (2006 / 2015 / 2017)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석·투수코치 (2007)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7~2018) 구단 스프링캠프 순회 인스트럭터 (2001~2002) LG 트윈스 스프링캠프 인스트럭터 (2021) kt wiz 스프링캠프 인스트럭터 (2021~2022) 두산 베어스 스프링캠프 인스트럭터 (2022) | ||
| 경력[8] | KBO 홍보위원 (2000~2003)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기술위원 (2015~2017) | ||
| 병역 | 예술체육요원[9] |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a0029><colcolor=#fff> 가족 | ||
| <colbgcolor=#ea0029><colcolor=#fff> 배우자 | 김현미(1965년생) | ||
| 자녀 | 아들 선민우(1990년생) 딸 선민정(1992년생) | ||
| 부모 | 아버지 선판규(1921~2006)[10] 어머니 김금덕(1931~1996)[11] | ||
| 형제자매 | 큰누나 선숙자, 작은누나 선선자, 형 선형주(1957~1974)[12] | ||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타대오)[13] | ||
| 본관 | 보성 선씨 (寶城 宣氏)[14] | ||
| 응원가 | Jimmy Davis & Charles Mitchell - You are my sunshine[15][16] | }}}}}}}}} |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선수 시절 1980~90년대 해태 타이거즈의 6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일본프로야구 주니치 드래곤스로 이적하면서 KBO 출신으로 해외 진출 1호 기록을 갖고 있다.
2. 선수 경력
| 선동열의 선수 경력 | |||
| 통합 선수 경력: 선동열/선수 경력 | |||
| | |||
| 아마추어 시절 | 1985년 | 1986년 | 1987년 |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 |||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3. 주요 기록
| | ||
| <rowcolor=#FFFFFF> 연도 | 기록 | 비고 |
| 1986, 1991년 | 더블 200 달성 | [17][18] |
4. 플레이 스타일
최고 구속 154km/h의 패스트볼과 130km/h대의 슬라이더를 던진 파워 피처였다. 일본 진출 후에는 싱커 또한 던졌다.
튼튼한 하체를 이용해 릴리즈 포인트를 앞으로 끌고 나와 공을 끌어올려 던지기까지의 과정에서 강한 허리 힘을 이용해 공에 체중을 싣는 형태다.[19] 릴리즈 포인트가 다른 투수들보다 앞에 있었던 덕분에 공의 위력이 좋았고 통통한 이미지와 달리 유연성이 매우 좋은데다 허리를 이용해 던졌다.
하지만 일본 진출 첫 해, 이렇게 과하게 하체를 이동을 해서 던지는 투구폼 때문에 주자 견제에 어려움을 겪었고, 상체가 빨리 나가거나 늦게 나가거나 하는 등 밸런스를 찾지 못해 제구 불안을 겪고 그 뒤 투구폼을 수정해 과한 하체 이동을 줄였다.
구종 면에 있어서는 포심이 주에 슬라이더를 가미하는 전형적인 투 피치이다. 특히 그의 슬라이더는 KBO 역대 최고의 변화구로 꼽힌다. 방수원에게 배웠다고 알려진 이 슬라이더는 그립이 특이하고 던지는 법도 이 시대의 기본 상식과는 전혀 달랐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잘 통했다. 선동열의 슬라이더는 기본적으로는 종 슬라이더였으나, 종종 횡으로 휘는 슬라이더를 던지거나 하는 등 다양한 슬라이더를 구사했으며, 구사하는 슬라이더에 따라 구속이 20km 가까이 차이가 났다. 혹자는 스위퍼를 던졌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또 슬러터를 던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즉, 투피치라고 불리지만 사실 하나의 슬라이더가 아닌 수많은 슬라이더들을 던진 셈이다. 그래서 카운트를 잡기 위해서도 헛스윙을 유도하기 위해서도 슬라이더를 사용했다.
선동열의 슬라이더는 3가지였다. 속도는 조금 느리지만 밖으로 많이 휘어지며 멀어지는 슬라이더, 각도는 다소 예리하지 않지만 타자 앞에서 횡으로 빠르게 변하는 슬라이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듯이 낙차가 큰 슬라이더 이 세 가지를 섞어던졌다.무브먼트 설명만 보면 스위퍼,커터,데스볼 스타일의 종 슬라이더를 던진거같은데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구종 분속은 요원하다.
하지만 선동열은 슬라이더 외에 다른 변화구를 잘 던지지는 못했는데, 릴리즈 포인트를 워낙 앞으로 끌어 쓰다 보니 손목을 쓰기가 어려웠고[20] 손가락이 짧았기 때문이었다. 이는 선동열의 컴플렉스기도 했다. 선동열은 손가락이 길었던 이강철이나 정민철을 부러워했으며, 이광우가 했던 것처럼 손가락 사이를 찢는 수술 또한 고려했을 정도였다. 체인지업과 포크를 구사한 적이 있었으나 리그 전체로 봐도 평균 이하였다. 때문에 이런 구종은 다른 구종도 구사할 수 있는 선동열의 천재성을 설명하는 내용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NPB 말년에는 성적 하락에 대비하고자 싱커를 연마했으나 별로 재미를 보진 못하기도 했다.
최고 구속은 NPB 시절, 1997년 7월 6일 진구구장에서 기록한 154km/h이 최고 구속이다.[21][22] 최고구속에 대해 논란이 있긴 하나 1990년대 들어서야 스피드건이 보편화된 고로 이전의 구속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23] 이런 선동열에게도 유독 강한 선수들이 있었으니 유승안, 김동기, 이병훈(야구)이 대표적이다.
4.1. 선동열 효과
독보적 리그 최고의 투수로 군림했던 만큼, 선동열은 존재 하나만으로 타자들에게 엄청난 위압감을 주는 존재였다. 선동열이 나오는 경기는 대체로 그날 경기는 포기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해태 김응용 감독은 이를 잘 이용하곤 했으며, 그게 큰 효과를 보인 것이 1988년 한국시리즈 6차전이다. 5회초 해태가 간신히 점수를 내자 김응용 감독은 손가락 부상으로 나갈 수 없던 선동열을 불펜에서 몸을 풀게 했다. 결국 상대팀이었던 빙그레는 1점밖에 못 내고 패배를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선동열 효과'는 일본 진출 첫해 선동열의 엄청난 부진에 일정 정도 영향을 주었다. 선동열이 누군지 모르는데 국내에서처럼 심리적으로 억눌릴 리가 있나. 이를 두고 당시 하일성 KBS 해설은 선동열이 안일해졌다고 지적한 바 있다. 선동열 효과 때문에 타자들이 알아서 아웃카운트를 적립하고 선동열을 분석할 엄두조차 못 내는 이런 환경 속에서 KBO 최고일 수밖에 없는 선동열은 자연스레 나태해졌고, 이 때문에 일본에 진출해서 첫해에 그렇게 털렸다는 것이다. 선동열은 1996시즌이 끝나고 3천 구 투구와 폼 수정 등의 강훈련을 통해 리그에서 탑급 마무리로 도약하는 데 성공한다.
5. 지도자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동열/지도자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동열/지도자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평가
6.1. 선수로서
선동열은 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에서 1위로 선정됐다. KBO 리그 통산 sWAR은 3위(78.84)[24]투수로는 1위이다.주요 개인 기록은 통산 평균자책점 1.20으로 규정 이닝 0점대 평균자책점만 3차례 기록하였다. 타이틀로는 리그 MVP 3회, 골든글러브 6회, 트리플 크라운 4회, 평균자책점왕 8회, 다승왕 4회 등의 역대급 기록과 타이틀들을 보유하였고 당연히 모두 역대 최고기록이다. 1980~1990년대 최강팀 해태 타이거즈에서 에이스로서 6차례 우승(통합 우승은 3번)에 기여하였다. 주요 개인 기록도 무시무시한 수준이지만 선동열만이 갖고 있는 자잘한 기록들 역시 무시무시한 수준인데 한 경기 최다 탈삼진 (18개)[25], 한 시즌 최다 완봉승 (8회), 최다 투구 이닝 무피홈런 (319이닝)등 현역 시절 그의 커리어에는 이런 무시무시한 기록들을 세웠다.
6.2. 감독으로서
영광의 선수 시절과 달리 지도자로서는 평가가 갈린다. 한국시리즈 2회 우승에 아시안 게임 금메달 등 감독으로서 최상급의 커리어를 자랑하나, 그것과는 별개로 개인의 역량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남아있으며 그가 거쳐간 삼성, KIA 팬덤은 감독으로서의 선동열을 좋아하지 않는다.감독 첫 해에 강력한 투수진을 만들어 내며 곧바로 우승을 이뤄내고 이듬해까지 우승하며 삼성 라이온즈의 중흥기를 이끌었으나 본래 타격의 팀이라는 별명에서 비추어 보듯 기존 삼성팬들이 익숙한 야구와 스타일이 달라서 시간이 흐를 수록 서서히 지지를 잃어갔다. 결정적으로 2010년 말년의 양준혁을 홀대하며 삼성팬들의 여론이 악화되었고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하여
긍정적인 면을 꼽자면, 오승환, 최형우, 박석민 등 삼성의 올타임 레전드들을 발굴하여 1군 주전으로 기용하며 세대 교체를 훌륭하게 해나갔다는 점이다. 이들은 팀의 최전성기를 이뤄내는 주축이 되었기에 그저 저평가 당하기엔 아쉬운 느낌이 많다.
반면 KIA 타이거즈 감독 시절은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팬들의 절대적인 환영을 받으며 감독직을 맡았음에도 포스트 시즌에 단 한번도 진출하지 못했을 정도로 성적을 내지 못했고 임기 후엔 오히려 팬들의 반대로 재임에 실패한다.
혹자는 서정환보다 조금 더 나은 감독 정도로 평가하기도 한다.[26] 물론 커리어는 한국시리즈 2회 우승, 1회 준우승으로 준수하고 리빌딩이라는 성과를 내기도 하였으나 커리어가 삼성에 있었기에 나온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고[27] 결정적으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여전히 삼성, KIA 팬들에게는 이미지가 나쁘다. 2004년 삼성의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로[28] 취임하며 김응용 삼성 감독 아래서 감독 수업을 받았고, 이듬해 2005년 삼성 라이온즈 감독에 취임하여 우승 2회,[29] 준우승 1회, 4위 2회, 5위 1회를 기록했다. 일반적인 팀이라면 좋은 성적이지만 감독으로 부임하는 동안 계속되는 성적 하락, 주축 선수들에 대한 혹사 논란,[30] 레전드 홀대[31] 등으로 재임 기간 동안 많은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후 선수시절 친정팀인 KIA 타이거즈의 감독으로 영입되었으나 5위 1회, 8위 2회를 기록하며 좋지 못한 성적으로 팀을 암흑기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고 레전드(이종범) 은퇴 종용, 최희섭 홀대, 주축 선수들에 대한 혹사 논란 등은 다시 반복되었으며 삼성에서 받던 비판이 다시 KIA에서도 이어지며 결국 불명예스럽게 감독직에서 퇴장하였다.
7. 수상
- 선수
- 한국시리즈 우승 6회 (1986~1989, 1991, 1993)
- MVP 3회 (1986, 1989, 1990)
-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6회 (1986, 1988~1991, 1993)
- 승리 1위 4회 (1986, 1989~1991)
- 평균자책점 1위 8회 (1985~1991, 1993)
- 승률 1위 4회 (1987, 1989~1991)
- 구원 1위 2회 (1993, 1995)
- 감독
- 한국시리즈 우승 2회 (2005, 2006)
- 아시안 게임 금메달 1회 (2018)
- 우수 감독상 2회 (2005, 2006)
8. 기록
2012년 7월 20일 한-일 프로야구 레전드매치에서 선발투수로 등판했다. 이 때 TV에 소개된 투수 선동열의 통산 기록이 화제가 되었다. 승리와 세이브 비율이 1:1에 가까운데다, 통산 평균자책점 1점대 초반, 거기에 이닝보다 탈삼진 갯수가 많은데다 피홈런이 30개도 넘지 않는, 게임에서도 구현되기 어려운 비상식적인 성적으로 수많은 팬들을 놀라게 했다.
- 해태 타이거즈 시절
367경기 146승 40패 132세이브 평균자책점 1.20
- 주니치 드래곤즈 시절
162경기 10승 4패 98세이브 평균자책점 2.70
- 한국프로야구 입상 내역
- 평균자책점 1위 8번 85~91년 7년 연속 포함
- 다승 1위 4번 89~91 3년 연속 포함
- 승률 1위 4번 89~91 3년 연속 포함
- 삼진 1위 5번 88~91 4년 연속 포함
- 구원 1위 2회 (93, 95)
- 골든글러브 6회 수상 (86, 88~91, 93 투수부분 최다 수상자)
- MVP 3회 수상 (86, 89~90)
- 투수 트리플 크라운 3회 달성(89~91 방어율, 다승, 삼진, 승률 모두 1위, 86년의 경우 다승, 방어율, 삼진은 1위였으나 승률이 2위였고 당시의 트리플 크라운은 삼진이 아닌 승률이 포함된 의미였다. 오늘날의 의미로 보자면 트리플 크라운을 4회 달성하였다. 참고로 투수 트리플 크라운은 선동열을 제외하면 류현진과 윤석민이 단 1회 달성했을 뿐이다.) 승률 2위가 된 이유는 이 시즌 승률 1위는 최일언이다. 김형석이 최동원을 상대로 마지막 경기에서 3루타를 쳐내며 최일언이 패전을 면했고, 승률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다만 이때는 탈삼진 부문이 없었다.
- 노히트 노런 1989년 7월 6일 대 삼성전에 달성
- 2005, 2006 삼성 라이온즈 감독으로 한국시리즈 우승 2회 달성.
- 보유 기록(역대 10위 내 기록만 기록)
- 역대 단일 시즌 평균 자책점 1, 2, 3, 5, 6, 7, 9위
- 역대 단일 시즌 R/9(9이닝당 실점) 1, 2, 4, 5, 6, 7, 8위
- 역대 단일 시즌 WHIP(이닝당 출루 허용) 1, 3, 4, 5, 6, 7, 8위
- 역대 단일 시즌 K/9(9이닝당 탈삼진) 2, 3, 4, 9위
- 역대 단일 시즌 K/BB(볼넷 대 삼진 비율) 1, 2, 5, 6위
- 역대 단일 시즌 OAVG(피안타율) 1, 2, 5, 6, 9위
- 역대 단일 시즌 이닝 5위
- 역대 단일 시즌 탈삼진 5, 6위
- 역대 단일 시즌 다승 6, 9, 10위
10위권 내의 기록이다. 50위 권으로 확대되면 더 많은 선동열의 이름을 볼 수 있다.
9.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동열/여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동열/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 장진범 조종규 | 백인호 박철우 김만후 | ||||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
| 송영복(1) 조계현 한경수(1) | 이광우 이강철 장호익 | 정회열 이호성 | 오희주 | 박재홍(1) | |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
| 이종범 | 최재영 | 김동호 | 김종국 | 오철민 | |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 최희섭(1) | 정성훈
| 김성호 | 정원 | 김진우 |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 고우석 | 김주형 | 곽정철 | 한기주 | 정영일(1) 오준형 | |
| 2008년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 전태현 | 정성철 | 차명진 | 이민우 | 김현준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 유승철 | 한준수 | 김기훈 | 정해영 | 이의리 | |
| 2022년 | 1차 지명 폐지 | ||||
| 김도영 | |||||
|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방수원 | 주동식 | 이상윤 | 김용남 | 강만식 | |
| <rowcolor=#000> 1987 | 1988~1992 | 1993 | 1994 | 1995 | |
| 김정수 | 선동열 | 김정수 | 이강철 | 조계현 | |
| <rowcolor=#000> 1996 | 1997 | 1998 | 1999 | 2000~2002 | |
| 김정수 | 이강철 | 이대진 | 곽채진 | 최상덕 | |
| <rowcolor=#fff> 2003~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리오스 | 김진우 | 윤석민 | 리마 | 윤석민 |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로페즈 | 윤석민 | 서재응 | 소사 | 홀튼 | |
| <rowcolor=#fff> 2015~2016 | 2017~2018 | 2019~2020 | 2021 | 2022 | |
| 양현종 | 헥터 | 양현종 | 브룩스 | 양현종 | |
| <rowcolor=#fff> 2023 | 2024 | 2025 | |||
| 앤더슨 | 크로우 | 네일 |
| <colbgcolor=#002561>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출신 직행 일본프로야구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1996 | 1998 | 1998 | 2000 | 2001 | ||
| 선동열 | 이종범 | 이상훈 | 정민철 | 구대성 | |||
| 주니치 | 주니치 | 주니치 | 요미우리 | 오릭스 | |||
| <rowcolor=#fff> 2001 | 2004 | 2007 | 2008 | 2009 | |||
| 정민태 | 이승엽 | 이병규 | 임창용 | 이혜천 | |||
| 요미우리 | 롯데 | 주니치 | 야쿠르트 | 야쿠르트 | |||
| <rowcolor=#fff> 2010 | 2010 | 2012 | 2014 | ||||
| 김태균 | 이범호 | 이대호 | 오승환 | ||||
| 롯데 | 소프트뱅크 | 오릭스 | 한신 | ||||
| 메이저 리그나 아마추어 리그를 거쳐서 입단한 선수는 제외. | |||||||
| 대한민국 체육훈장 수훈자 | |
| | |
| <colbgcolor=#EF8B01><colcolor=#F8D1A6> 연도 | <colbgcolor=#F8D1A6><colcolor=#EF8B01> 2000년 |
| 이름 | 선동열 |
| 분야 | 스포츠 |
| 사유 | 국위선양 |
| 체육훈장맹호장(2등급) | |
| | |
| 연도 | 1982년 |
| 이름 | 선동열 |
| 분야 | 스포츠 |
| 사유 | 제27회세계야구선수권대회 한국선수단 |
| 체육훈장거상장(3등급) | |
| 선동열의 수상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80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s-2|{{{#a7832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 ||||
| 박노준 (선린상업고등학교) | → | 선동열 (광주제일고등학교) | → | 임동구 (군산상업고등학교) |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 1986 | 1987 | 1988 |
| 1989 | 1991 | 1993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감독 | |
| 2005 | 2006 |
| 2015 프리미어 12 우승코치 |
| 2015 |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감독) |
| 2018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황태환 OB 베어스 |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이상훈 LG 트윈스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신윤호 LG 트윈스 |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송진우 한화 이글스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김광현 SK 와이번스 | 로페즈 KIA 타이거즈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 해커 NC 다이노스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2024 | |||
|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페디 NC 다이노스 | 하트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dba628>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박철순 OB 베어스 / 투수 |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포수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투수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투수·내야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
| <rowcolor=#dba628>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 |
| <rowcolor=#dba628>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 김상호 OB 베어스 / 외야수 | 구대성 빙그레 이글스 / 투수 | |
| <rowcolor=#dba628>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우즈 OB 베어스 / 내야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포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
| <rowcolor=#dba628>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투수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 |
| <rowcolor=#dba628>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투수 | 김광현 SK 와이번스 / 투수 |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 |
| <rowcolor=#dba628>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테임즈 NC 다이노스 / 내야수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 |
| <rowcolor=#dba628>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투수 | 로하스 kt wiz / 외야수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투수 | |
| <rowcolor=#dba628> 2022 | 2023 | 2024 | |||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페디 NC 다이노스 / 투수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다승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박철순 OB 베어스 / 24승 |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30승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7승 | 김시진·김일융 삼성 라이온즈 / 25승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4승 |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3승 | 윤학길 롯데 자이언츠 / 18승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승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승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승 |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송진우 빙그레 / 19승 |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7승 | 이상훈 LG 트윈스 / 18승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8승 | 이상훈 LG 트윈스 / 20승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18승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18승 |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20승 | 김용수 LG 트윈스 / 18승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20승 | 김수경·임선동·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8승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5승 신윤호 LG 트윈스 / 15승 |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키퍼 KIA 타이거즈 / 18승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7승 | 레스 두산 베어스 / 17승 리오스 KIA 타이거즈 / 17승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7승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8승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승 |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22승 | 김광현 SK 와이번스 / 16승 | 로페즈 KIA 타이거즈 / 14승 윤성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조정훈 롯데 자이언츠 / 14승 | 김광현 SK 와이번스 / 17승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승 |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 17승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세든 SK 와이번스 / 14승 |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 20승 | 해커 NC 다이노스 / 19승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22승 |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양현종·헥터 KIA 타이거즈 / 20승 |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18승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20승 |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20승 | 뷰캐넌 삼성 라이온즈 / 16승 요키시 키움 히어로즈 / 16승 |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2025 | ||
| 켈리 LG 트윈스 / 16승 | 페디 NC 다이노스 / 20승 | 곽빈 두산 베어스 / 15승 원태인 삼성 라이온즈 / 15승 | 폰세 한화 이글스 / 17승 라일리 NC 다이노스 / 17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박철순 OB 베어스 / 1.82 | 하기룡 MBC 청룡 / 2.33 | 장호연 OB 베어스 / 1.58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70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99 |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9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21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17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13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55 |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2.33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 | 정민철 한화 이글스 / 2.15 |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71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1.88 |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1.88 | 정명원 현대 유니콘스 / 1.86 |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 2.14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2.77 | 박석진 롯데 자이언츠 / 2.98 |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엘비라 삼성 라이온즈 / 2.50 | 바워스 현대 유니콘스 / 3.01 | 박명환 두산 베어스 / 2.50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2.46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23 |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2.07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2.33 | 김광현 SK 와이번스 / 2.80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2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2.45 |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나이트 넥센 히어로즈 / 2.20 | 찰리 NC 다이노스 / 2.48 |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3.18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2.44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2.95 |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피어밴드 kt wiz / 3.04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2.88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2.29 | 요키시 키움 히어로즈 / 2.14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33 |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2025 | ||
|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11 | 페디 NC 다이노스 / 2.00 | 네일 KIA 타이거즈 / 2.53 | 폰세 한화 이글스 / 1.89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승률 1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박철순 OB 베어스 / 0.857 | 이길환 MBC 청룡 / 0.682 |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0.833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환 OB 베어스 / 0.833 | 최일언 OB 베어스 / 0.826 |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 윤석환 OB 베어스 / 0.813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6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26 |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 1.000 |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0.813 |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 0.800 | 이상훈 LG 트윈스 / 0.800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0.857 |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0.909 |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0.750 김용수 LG 트윈스 / 0.750 |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 0.810 | 송진우 한화 이글스 / 0.867 |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 0.714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0.714 신윤호 LG 트윈스 / 0.714 |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 1.000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0.895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0.895 |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0.909 |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0.778 |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0.815 | 채병용 SK 와이번스 / 0.815 | 김광현 SK 와이번스 / 0.857 |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0.833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0.773 |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 0.824 | 류제국 LG 트윈스 / 0.857 | 소사 넥센 히어로즈 / 0.833 | 해커 NC 다이노스 / 0.792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0.880 |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헥터 KIA 타이거즈 / 0.800 |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0.857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0.870 |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0.909 | 수아레즈 LG 트윈스 / 0.833 |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2025 | ||
| 엄상백 kt wiz / 0.846 | 쿠에바스 kt wiz / 1.000 | 박영현 kt wiz / 0.833 | 폰세 한화 이글스 / 0.94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19SP | 황태환 OB 베어스 / 20SP | 윤석환 OB 베어스 / 35SP | 권영호 삼성 라이온즈 / 28SP | 김용수 MBC 청룡 / 35SP |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김용수 MBC 청룡 / 33SP | 윤석환 OB 베어스 / 27SP | 김용수 MBC 청룡 / 27SP | 송진우 빙그레 이글스 / 38SP | 조규제 쌍방울 레이더스 / 34SP |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송진우 빙그레 이글스 / 25SP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41SP |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44SP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38SP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40SP |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이상훈 LG 트윈스 / 47SP | 임창용 해태 타이거즈 / 42SP | 진필중 두산 베어스 / 52SP | 진필중 두산 베어스 / 47SP | 신윤호 LG 트윈스 / 32SP | |
| <rowcolor=#fff> 2002 | 2003 | 구원왕 폐지 및 세이브왕 신설 ▶ | |||
|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37SP | 조웅천 SK 와이번스 / 36SP | ||||
| 타이거즈 레전드 올스타 2009.07.25. 한국야구위원회 선정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LF | CF | RF | |||||||
| SS | 2B | ||||||||
| 3B | P | '''''' 1B | |||||||
| '''''' DH | '''''' C | ||||||||
| 타이거즈 레전드 올스타 2020.08.26. KIA 타이거즈 공식 어플리케이션 팬 투표 선정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LF | CF | RF | |||||||
| SS | 2B | ||||||||
| 3B | P | '''''' 1B | |||||||
| '''''' DH | '''''' C | ||||||||
| OF / 삼성 | OF / 해태 | OF / 삼성 | ||
| SS / MBC | 2B / 롯데 | |||
| 3B / 해태 | P / 해태 | '''''' 1B / 빙그레 | ||
| '''''' DH / 쌍방울 | '''''' C / 삼성 | |||
| 일간스포츠 선정 프로야구 40주년 기념 포지션별 올스타 2022년 1월 3일 일간스포츠 발표 | ||||
| OF | OF | OF | ||
| SS | 2B | |||
| 3B | 1B | |||
| C | ||||
| SP | SP | SP | SP | SP |
| CP | CP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61731> | KBO 40주년 레전드 TOP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color: #181818" |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 롯데 자이언츠 최동원 | KIA 타이거즈 이종범 |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 |
| ▶︎ 이미지로 보기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1731> |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다 득표자 TOP 4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tablebgcolor=#061731><tablewidth=100%> | | | |
| 1위 | 2위 | 3위 | 4위 | ||
| 선동열 | 최동원 | 이종범 | 이승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원년의 스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11위 | 12위 | 24위 | 25위 | |
| 박철순 | 이만수 | 백인천 | 김성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불굴의 의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27위 | 32위 | 33위 | 35위 | |
| 이상훈 | 박정태 | 니퍼트 | 배영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82 세계선수권 주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6위 | 20위 | 28위 | 31위 | |
| 장효조 | 김시진 | 한대화 | 김재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선발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9위 | 13위 | 18위 | 26위 | |
| 이강철 | 정민철 | 정민태 | 조계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성실함의 대명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14위 | 17위 | 23위 | 36위 | |
| 김태균 | 박재홍 | 박경완 | 홍성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근성의 야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34위 | 37위 | 38위 | 39위 | |
| 전준호 | 이순철 | 정근우 | 박진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좌타자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7위 | 15위 | 19위 | 22위 | |
| 양준혁 | 박용택 | 이병규 | 김기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우타 거포 계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10위 | 29위 | 30위 | 40위 | |
| 장종훈 | 김동주 | 심정수 | 우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전천후 투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 5위 | 8위 | 16위 | 21위 | |
| 송진우 | 구대성 | 김용수 | 임창용 |
| 득표 순위 |
| |
| 선동열의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보유 기록 | |||||||||||||||||||||||||||||||||||||||||||||||||||||||||||||||||||||||||||||||||||||||||||||||||||||||||||||||||||||||||||||||||||||||||||||||||||||||||||||||||||||||||||||||||||||||||||||||||||||
| 통산 최저 평균자책점 | 1.20 | |||||||||||||||||||||||||||||||||||||||||||||||||||||||||||||||||||||||||||||||||||||||||||||||||||||||||||||||||||||||||||||||||||||||||||||||||||||||||||||||||||||||||||||||||||||||||||||||||||||
| 시즌 최저 평균자책점 | 0.78 | |||||||||||||||||||||||||||||||||||||||||||||||||||||||||||||||||||||||||||||||||||||||||||||||||||||||||||||||||||||||||||||||||||||||||||||||||||||||||||||||||||||||||||||||||||||||||||||||||||||
| 0점대 평균자책점 | 3회[32] | |||||||||||||||||||||||||||||||||||||||||||||||||||||||||||||||||||||||||||||||||||||||||||||||||||||||||||||||||||||||||||||||||||||||||||||||||||||||||||||||||||||||||||||||||||||||||||||||||||||
| 통산 최다 평균자책점 1위 | 8회 | |||||||||||||||||||||||||||||||||||||||||||||||||||||||||||||||||||||||||||||||||||||||||||||||||||||||||||||||||||||||||||||||||||||||||||||||||||||||||||||||||||||||||||||||||||||||||||||||||||||
| 최다 연속 평균자책점 1위 | 7연속[33] | |||||||||||||||||||||||||||||||||||||||||||||||||||||||||||||||||||||||||||||||||||||||||||||||||||||||||||||||||||||||||||||||||||||||||||||||||||||||||||||||||||||||||||||||||||||||||||||||||||||
| 한 경기 최다 탈삼진 | 18K[34] | |||||||||||||||||||||||||||||||||||||||||||||||||||||||||||||||||||||||||||||||||||||||||||||||||||||||||||||||||||||||||||||||||||||||||||||||||||||||||||||||||||||||||||||||||||||||||||||||||||||
| 한 경기 최다 투구 | 232구 | |||||||||||||||||||||||||||||||||||||||||||||||||||||||||||||||||||||||||||||||||||||||||||||||||||||||||||||||||||||||||||||||||||||||||||||||||||||||||||||||||||||||||||||||||||||||||||||||||||||
| 통산 최저 WHIP | 0.80 | |||||||||||||||||||||||||||||||||||||||||||||||||||||||||||||||||||||||||||||||||||||||||||||||||||||||||||||||||||||||||||||||||||||||||||||||||||||||||||||||||||||||||||||||||||||||||||||||||||||
| 시즌 최저 WHIP | 0.54 | |||||||||||||||||||||||||||||||||||||||||||||||||||||||||||||||||||||||||||||||||||||||||||||||||||||||||||||||||||||||||||||||||||||||||||||||||||||||||||||||||||||||||||||||||||||||||||||||||||||
| 통산 최다 완봉 | 29회 | |||||||||||||||||||||||||||||||||||||||||||||||||||||||||||||||||||||||||||||||||||||||||||||||||||||||||||||||||||||||||||||||||||||||||||||||||||||||||||||||||||||||||||||||||||||||||||||||||||||
| 시즌 최다 완봉 | 8회 | |||||||||||||||||||||||||||||||||||||||||||||||||||||||||||||||||||||||||||||||||||||||||||||||||||||||||||||||||||||||||||||||||||||||||||||||||||||||||||||||||||||||||||||||||||||||||||||||||||||
| 연속경기 완봉승 | 3경기 연속 | |||||||||||||||||||||||||||||||||||||||||||||||||||||||||||||||||||||||||||||||||||||||||||||||||||||||||||||||||||||||||||||||||||||||||||||||||||||||||||||||||||||||||||||||||||||||||||||||||||||
| 통산 최고 승률 | 0.785 | |||||||||||||||||||||||||||||||||||||||||||||||||||||||||||||||||||||||||||||||||||||||||||||||||||||||||||||||||||||||||||||||||||||||||||||||||||||||||||||||||||||||||||||||||||||||||||||||||||||
| 통산 최저 HR/9[35] | 0.15 | |||||||||||||||||||||||||||||||||||||||||||||||||||||||||||||||||||||||||||||||||||||||||||||||||||||||||||||||||||||||||||||||||||||||||||||||||||||||||||||||||||||||||||||||||||||||||||||||||||||
| 통산 최저 자책점 | 8회 | |||||||||||||||||||||||||||||||||||||||||||||||||||||||||||||||||||||||||||||||||||||||||||||||||||||||||||||||||||||||||||||||||||||||||||||||||||||||||||||||||||||||||||||||||||||||||||||||||||||
| 통산 최저 피볼넷 | 8회 | |||||||||||||||||||||||||||||||||||||||||||||||||||||||||||||||||||||||||||||||||||||||||||||||||||||||||||||||||||||||||||||||||||||||||||||||||||||||||||||||||||||||||||||||||||||||||||||||||||||
| 최다 연속 이닝 무피홈런 | 319이닝 | |||||||||||||||||||||||||||||||||||||||||||||||||||||||||||||||||||||||||||||||||||||||||||||||||||||||||||||||||||||||||||||||||||||||||||||||||||||||||||||||||||||||||||||||||||||||||||||||||||||
| 최다 연속 이닝 무실점 | 49⅓이닝[36] | |||||||||||||||||||||||||||||||||||||||||||||||||||||||||||||||||||||||||||||||||||||||||||||||||||||||||||||||||||||||||||||||||||||||||||||||||||||||||||||||||||||||||||||||||||||||||||||||||||||
| 포스트시즌 통산 최다 탈삼진 | 103K[37] | |||||||||||||||||||||||||||||||||||||||||||||||||||||||||||||||||||||||||||||||||||||||||||||||||||||||||||||||||||||||||||||||||||||||||||||||||||||||||||||||||||||||||||||||||||||||||||||||||||||
| 한국시리즈 통산 최다 탈삼진 | 79K | |||||||||||||||||||||||||||||||||||||||||||||||||||||||||||||||||||||||||||||||||||||||||||||||||||||||||||||||||||||||||||||||||||||||||||||||||||||||||||||||||||||||||||||||||||||||||||||||||||||
|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탈삼진 | 8K[38] | |||||||||||||||||||||||||||||||||||||||||||||||||||||||||||||||||||||||||||||||||||||||||||||||||||||||||||||||||||||||||||||||||||||||||||||||||||||||||||||||||||||||||||||||||||||||||||||||||||||
| 특정 팀 상대 최다 연승 | 20연승(롯데 자이언츠)[39] | |||||||||||||||||||||||||||||||||||||||||||||||||||||||||||||||||||||||||||||||||||||||||||||||||||||||||||||||||||||||||||||||||||||||||||||||||||||||||||||||||||||||||||||||||||||||||||||||||||||
| 선동열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해태 타이거즈|해태]] / [[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등번호 18번}}} | ||||||||||||||||||||||||||||||||||||||||||||||||||||||||||||||||||||||||||||||||||||||||||||||||||||||||||||||||||||||||||||||||||||||||||||||||||||||||||||||||||||||||||||||||||||||||||||
| 장진범 (1983~1984) | → | 선동열 (1985~1995) | → | 영구 결번 | |||||||||||||||||||||||||||||||||||||||||||||||||||||||||||||||||||||||||||||||||||||||||||||||||||||||||||||||||||||||||||||||||||||||||||||||||||||||||||||||||||||||||||||||||||||||||
|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20번}}} | |||||||||||||||||||||||||||||||||||||||||||||||||||||||||||||||||||||||||||||||||||||||||||||||||||||||||||||||||||||||||||||||||||||||||||||||||||||||||||||||||||||||||||||||||||||||||||||
| 고마쓰 다쓰오 (1984~1994) | → | 선동열 (1996~1999) | → | 카와사키 켄지로 (2001~2004)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2번 | |||||||||||||||||||||||||||||||||||||||||||||||||||||||||||||||||||||||||||||||||||||||||||||||||||||||||||||||||||||||||||||||||||||||||||||||||||||||||||||||||||||||||||||||||||||||||||||
| 전종화 (2002) | → | <colbgcolor=#228b22> 선동열 (2004) | → | 조경현 (2007)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0번 | |||||||||||||||||||||||||||||||||||||||||||||||||||||||||||||||||||||||||||||||||||||||||||||||||||||||||||||||||||||||||||||||||||||||||||||||||||||||||||||||||||||||||||||||||||||||||||||
| 권영호 (1996~1997) | → | 선동열 (2005~2010) | → | 신희섭 (2011) |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90번 | |||||||||||||||||||||||||||||||||||||||||||||||||||||||||||||||||||||||||||||||||||||||||||||||||||||||||||||||||||||||||||||||||||||||||||||||||||||||||||||||||||||||||||||||||||||||||||||
| 변강득 (2011) | → | 선동열 (2012~2014) | → | 김선진 (2015~2021) | |||||||||||||||||||||||||||||||||||||||||||||||||||||||||||||||||||||||||||||||||||||||||||||||||||||||||||||||||||||||||||||||||||||||||||||||||||||||||||||||||||||||||||||||||||||||||
[1] 마지막 글자 烈의 본 발음이 '렬'이므로 '선동렬'이라고 아는 사람이 적지 않은데 본 문서가 가리키는 야구인의 이름은 '선동열'로 적는 것이 맞다. 자세한건 여담 문서의 2번 문단에 서술.[2] 음력 1962년 12월 15일.[3] 보성 선씨 참판공파 집성촌으로 선거이 장군의 정려도 이 마을에 있다. 선거이 지려[4] #[5] #[6] 1985년부터 1991년까지의 보직[7] 1992년부터 은퇴 시즌까지의 보직[8] 당대 최고의 스타답게 지역 홍보 대사부터 공공 기관 홍보 대사까지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9] 1981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우승#[10] 2006년 2월 10일 간암으로 사망. 생전 지금의 광산구청 근처에서 여관을 운영해서 당시로서는 제법 부유한 편이었다고 한다. 인터넷에서는 경상북도 영천시 출신이라는 말이 떠돌기도 하나, 인터뷰 영상에서 영남 방언의 억양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진한 호남 방언을 쓰는 걸 보면 근거 없는 루머일 가능성이 높다. 선동열이 태어난 곳부터가 보성 선씨 참판공파가 대대로 살아온 집성촌이다.[11] 1996년 2월 24일 자궁경부암으로 사망.[12] 선동열이 야구를 시작한 계기가 초등 야구부에서 뛰었던 형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야구를 그만두었고, 선동열이 초등학교 6학년이던 1974년 여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13] 모태신앙으로 어머니(마틸다)가 매우 독실한 신자였다. 아내(헬레나), 아들(안드레아), 딸(크리스티나) 모두 천주교 신자이다. 대구대교구 100주년 기념 성당의 건립에 1억 원을 기부한 바 있다. 이 성당은 범어 대성당으로 불리며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공동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 우연히도 당시 천주교 대구대교구 교구장인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와 세례명이 같다.[14] 참판공파 22세손 동(銅)자 항렬[15] You are my sunshine! 광주의 태양! KIA의 선동열! 워어어어~ You are my sunshine! 광주의 태양! KIA의 선동열 감독님~[16] 승장 감독 인터뷰 시에 관중석에서 응원가를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곡은 오정복이 삼성 라이온즈 시절에, 두산 베어스의 옛 외인 타자 잭 루츠가 쓴 적이 있으며 안양 KGC인삼공사 농구단도 공격 시 응원가로도 썼다.[17] 262⅔이닝-214탈삼진[18] 203이닝-210탈삼진[19] 선동열이 감독 시절 오승환이 자기보다 멀었다고 말한 것이나, 박찬호에게 팔각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의 행동은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서 기인한 게 크다.[20] 때문에 선동열은 슬라이더를 손목을 비틀지 않고 던졌다. 반대로 이것이 최근 트렌드와 맞는 빠른 슬라이더 즉, 슬러터를 던질 수 있었던 비결이기도 했다.[21] 본인 말에 따르면 진구구장이 (구속이) 좀 높게 찍혀라고 말했다.진구구장이 좀 높게 찍혀[22] 선동열은 일본에서 162경기중 33경기에서 150km 이상을 던졌는데 그 중 17번이 진구구장에서 기록했다.[23] 비공식적으로 1995년 LG전에서 LG 측 스피드건으로 155km/h가 관측된 적도 있으나 해태 스피드건에는 151km/h가 찍혀 신뢰하기가 힘들다. 선동열 '다시 돌아왔다'[24] 기존에는 101.29, RA9-WAR 기준 102.19로 투타 모두 1위였으나 지금은 많이 깎여나간 상태다.[25] 연장 기록까지 포함이며 한 경기 정규 이닝 최다 탈삼진 기록은 한화의 코디 폰세가 2025시즌에 18개의 삼진을 잡으면서 경신하였다.[26] 서정환의 경우 선동열처럼 해태 선수 출신에 삼성과 KIA의 감독을 맡았고 삼성 시절에 더 잘했다. 물론 서정환은 투수 혹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성적도 선동열보다 더 못 냈기에 삼성 감독 워스트는 몰러도 역대 감독 워스트에 선동열은 절대로 들어가지 않지만 서정환은 역대 감독 워스트에 언급된다. 애초에 KIA 서정환은 07 KIA의 원흉인 2000년대 리그 최악의 감독 중 하나이며 현재까지도 정재공, 장정석, 김종국과 함께 팀 금지어 순위로도 톱에 꼽힌다.[27] 게다가 선동열이 우승하던 그 시기 삼성은 비싼 돈을 들여서 박종호(2루수), 박진만(유격수), 심정수(외야수 겸 지명타자)를 사서 모으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28] 사실상 투수진 운영 전권은 선동열이 하게 되었다.[29] 선동열의 감독 실적을 저평가하는 사람들은 이 때 우승은 삼성이라 가능했다고 한다.[30] 대표적으로 이 시기 삼성의 주축 투수진이었던 배영수, 권오준, 권혁 등은 선동열 감독 시절 한 번씩 수술대에 올랐다.[31] 양준혁, 김한수의 은퇴 종용과 이승엽 복귀 거부 등. 이외에도 박한이, 임창용을 대놓고 홀대하는 등의 행동을 저질렀다.[32] 1986년, 1987년, 1993년. 규정이닝 기준 0점대 평균자책점을 달성한 선수는 아직까지도 선동열이 유일한데, 이걸 세 번이나 했다.[33] 1985년~1991년.[34] 13이닝 기록. 정규이닝 기준 최다 탈삼진 기록은 폰세(18K).[35] 9이닝당 피홈런 개수[36] 1986년 8월~1987년 4월. 2위 기록도 1995년 46⅓이닝으로 선동열이 보유. 선발 등판 기록만 합산하면 37이닝으로, 이는 2012년 서재응이 44이닝으로 경신했다.[37] 김광현과 타이 기록[38] 1989 플레이오프 3차전 태평양전[39] 1988년 8월 11일 ~ 1995년 9월 26일. 이후 이 기록이 깨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했고, 거기서 은퇴하면서 기록이 마감되었다. 즉, 롯데는 1988년 이후 선동열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적이 없는 것이다.
분류
- 선동열
- 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
- 병역특례자/야구
- 1985년 데뷔
- 1963년 출생
- 광산구 출신 인물
- 보성 선씨
- 송정동초등학교 출신
- 무등중학교 출신
- 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
- 고려대학교 출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우완 투수
- 우투우타
- 1999년 은퇴
- 한국화장품 야구단/은퇴, 이적
- 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
- 해태-KIA 타이거즈/역대 주장
- 무등산
- KBO 리그 영구 결번 선수
- 주니치 드래곤즈/은퇴, 이적
- KBO MVP
- KBO 다승왕
- KBO 평균자책점왕
- KBO 승률왕
- KBO 구원왕
- KBO 리그의 노히트 노런 달성자
- 프로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베스트 10
- 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1984 LA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체육훈장 맹호장
- 인터넷 밈/야구 선수/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 대한민국의 남자 야구 감독
- 해태-KIA 타이거즈/역대 감독
- 삼성 라이온즈/역대 감독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 대한민국 U-24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 인터넷 밈/야구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