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2025 시즌 내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 박찬호 · 2 박민 · 3 김선빈 · 5 김도영 6 홍종표 · 9 윤도현 · 12 김두현 · 14 김규성 23 최정용 · 29 변우혁 · 45 위즈덤 · 52 황대인 56 오선우 · 58 서건창 · 01 장시현 · 03 엄준현 05 박상준 · 010 김재현 · 011 이준범 · 013 강민제 016 정해원 · # 오정환 | ||
최종 편집: 2025년 1월 18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서건창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LG 트윈스 등번호 68번 | ||||
송승민 (2007)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서건창 (2008~2009) | → | 원종현 (2010) | |
{{{#fff [[넥센 히어로즈|넥센]] / [[키움 히어로즈|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14번}}} | |||||
최현종 (2009~2011) | → | 서건창 (2012~2021. 7. 26.) | → | 김준완 (2022~2022.6.30.) | |
LG 트윈스 등번호 14번 | |||||
신민재 (2021~2021. 7. 26.) | → | 서건창 (2021.7.27.~2023) | → | 송찬의 (2024~)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58번 | |||||
차명진 (2019. 5. 16.~2021) | → | 서건창 (2024~) | → | 현역 |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58 | |||
서건창 徐建昌 | Seo Geon-chang | |||
출생 | 1989년 8월 22일 ([age(1989-08-22)]세) |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1]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송정동초 - 광주충장중 - 광주제일고 | ||
신체 | 176cm[2] | 84kg | O형 | ||
포지션 | 2루수[3], 지명타자, 1루수[4] | ||
투타 | 우투좌타 | ||
프로 입단 | 2008년 신고선수 (LG) | ||
소속팀 | LG 트윈스 (2008~2009) 넥센-키움 히어로즈 (2012~2021) LG 트윈스 (2021~2023) KIA 타이거즈 (2024~) | ||
병역 | 제31보병사단 (2009~2011) | ||
계약 | 2025 / 3억 원[5] | ||
연봉 | 2025 / 1억 2,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Jean Roch - 〈Can You Feel It〉[6] | ||
응원가 | 노브레인 - 〈승리를 향해〉 (2012~2021, 2024~) [KIA][히어로즈][율동] | ||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 |||
기록 | KBO 최초 단일시즌 200안타[10] 히어로즈 사상 최초 200안타[11] 국내선수 단일 시즌 최다안타 KBO 단일시즌 최다 3루타(17개, 2014 시즌) 사이클링 히트(2017. 4. 7.)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a0029><colcolor=#fff> 가족 | 어머니[12], 여동생[13],외사촌 정현승 | |
배우자 | 박종미(1991년생, 2024년 12월 14일 결혼~현재) | ||
본관 | 이천 서씨 | ||
소속사 | 리코스포츠에이전시 | ||
MBTI | ISFP[14][15] | }}}}}}}}} | |
| |
[clearfix]
1. 개요
손석희: 그러면 지금 질문으로 다른 한 선수를 분발시켜보겠습니다. 제일 쉬웠던 투수는 누구입니까?
서건창: 글쎄요, 그런 솔직히 말하면 정말로 제가 그런 생각을 가지는 순간에.
손석희: 대답 안 하실 거죠?
서건창: 그런 생각을 가지는 순간에, 이미 투수를 낮게 보면 거기서 끝난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요.
2014년 12월 9일, JTBC 뉴스룸 인터뷰 中
KIA 타이거즈 소속 우투좌타 내야수.서건창: 글쎄요, 그런 솔직히 말하면 정말로 제가 그런 생각을 가지는 순간에.
손석희: 대답 안 하실 거죠?
서건창: 그런 생각을 가지는 순간에, 이미 투수를 낮게 보면 거기서 끝난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요.
2014년 12월 9일, JTBC 뉴스룸 인터뷰 中
2008년 LG 트윈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여 같은 해 6월 정식등록 선수로 전환됐지만 1경기 1타석 1삼진만 기록하고 방출되었다. 이후 육군 31사단 일반병(예비군부대 소총수)으로 군복무를 마치고 넥센 히어로즈의 입단 테스트를 거쳐 신고선수로 재입단하게 되었고 2012년 또 하나의 신고선수 성공 사례를 쓰며 신인왕과[16] KBO 골든글러브를 동시에 수상했다.
2014년에는 KBO 역대 최초 단일 시즌 200안타(201안타) 기록 및 단일 시즌 최다 득점(135득점) 기록을 세우며 MVP까지 차지했다.[17] 이듬해 십자인대 부상을 당하며 수비력이 감소하고 타격 능력에도 영향을 주는 불운을 겪었다가 다시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기량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이후 LG 트윈스로 트레이드 이적해 좋지 않은 성적을 보이다가 23시즌 후 구단에 방출을 요청했고, 고향 팀인 KIA 타이거즈와 계약하여 부활에 성공하고 첫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얻었다.
2. 선수 경력
서건창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서건창/선수 경력 | |||||
2008년 | 2009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020년 | 21 키움 | 21 LG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17년 |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서건창/플레이 스타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여담
- 4~5살쯤에 제주도에 살았었다고 한다. 그 이후 정확한 시기는 불명이나 초등학교때부터 광주로 돌아와 야구를 시작한 듯하다.
- 초등학교 6학년[18] 때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고 한다. 그래서 집안 형편 때문에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신고선수 입단을 선택했던 것. 아래로 여동생이 있다. 서건창의 뒷바라지를 위해 홀어머니가 파트타이머로 닥치는 대로 일했다고 하며, LG 트윈스에서 방출당한 순간에도 어머니가 서건창에게 힘이 되어주었다. 서건창이 2014년 만개한 이후, 어머니는 서건창이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너무 철이 일찍 들었다며 2014 프로야구 MVP 시상식장에서 눈물을 터뜨리기도 했다.
- 박병호와 비슷하게 2020년까지는 히어로즈의 프랜차이즈 스타 이미지가 강했으나 트레이드와 FA를 거치게 되며 현재는 저니맨의 이미지가 강해졌다.
- 정찬헌과는 초-중-고등학교 동기로, 서건창이 처음에 LG 트윈스로 간 것도 절친 정찬헌의 영향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2021년 7월 27일에 절친 정찬헌과 맞트레이드되었다.
- 원래 별명은 '석연찮'[19], '시궁창' 등이었으나 2014년 팀이 부진한 시기에도 활약하면서 '서 선생님', '서센세'라는 별명을 얻었고, 여기서 파생되어 '서 교수님', '프로페 서', '서 총장님', '스페이 서'[20] 등이 있다. LG 이적 이후 한정으로 기대 이하의 활약만을 보여주자 무려 '썩은창'이라는 별명이 생겨났다.
- 2014년 MVP 수상 소감 이후에는 백진(百進)이라는 호도 붙었다. 한편 인터뷰에서 항상 모범적인 답변만 계속 반복해 큠무새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2014년 포스트시즌 부진 때는 '서 시간강사', '서 조교' 라고도 불렸다. 교타자이기 때문에 홈런포를 뽑아내는 유형의 타자는 아니다 보니 홈런을 보기 거의 힘든데, 이대형이 홈런 치면 탕수육 쿠폰처럼 서건창도 홈런 치면 쿠폰적립이라는 드립으로 표현되었다. 그런데 꾸준한 벌크업 시도로 이미 홈런 개수가 10개를 넘었다.[21]
- 2014 시즌 두산 베어스와 경기 때 홍성흔의 잘 맞춘 타구를 호수비로 잡아 냈다. 그 장면을 생중계로 보고 있던 홍성흔의 딸 홍화리는 원망을 담아 서건창의 이름을 적는 데스노트 명단자가 됐다.[22]
- 최근 넥센 히어로즈 담당기자와 나눈 이야기가 잔잔한 화제가 되고 있다.교수님의 나라 걱정.twt
- 2021 시즌 중 LG로 트레이드되자마자 홍원기 감독을 찾아가서 한참을 울었다고 한다.
- 2루수, 타격툴과 주루툴, 한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다는 점, 무엇보다도 결정적인 부상으로 인해 기량이 크게 쇠퇴했다는 점에서 더스틴 페드로이아와 매우 유사하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서건창, 김지수, 임병욱 |
- 꽤 잘생긴 얼굴이지만 한 가지 흠이라면 머리 크기. 크보 대두로 유명한 양준혁, 강민호까지는 아니더라도 다른 선수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차이가 있는 편이다. 사실 입단 때만 해도 말라서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그렇게까지 크진 않았다. 또 얼굴은 큰데 키는 좀 작고, 벌크업해서 몸집은 의외로 있기에 유니폼말고 다른 옷을 입으면 비율은 그저 그렇다. 일례로 어느 기자가 컨셉사진으로 서건창을 눕혀놓고 야구공으로 몸을 둘렀는데, (작아서)금세 다 둘렀고 상자에 여전히 공은 수북히 남았다는 얘기가 있다. 링크
-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 광주제일고등학교편에서 영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 2021 시즌 시작 전 연봉 계약 당시, 자진해서 연봉을 낮추어 B등급이 되어[23] FA 이적에 조금 더 자유를 얻을 수 있었지만, 7월 27일 LG로 트레이드되는 바람에 이 계획이 무산될 확률이 생겼다. 키움 히어로즈에서는 연봉 순위가 팀 내 7위여서 B등급이었지만, LG 트윈스에서는 팀 내 3위가 되어서 A등급을 적용 받는다. FA를 앞두고 트레이드됨에 따라 계획이 꼬인 케이스. 정확한 등급 적용 시점은 시즌 최종 종료 후 인센티브를 포함한 실 수령금액이 기준이 되니, 결과는 아직 모른다.
- 사촌 동생인 정건석, 정현승도 모두 야구선수다.[24] 정건석의 경우 포지션은 외야수이며, 사촌형인 서건창을 따라 광주일고에 진학했으나 고등학교 졸업 시점에서는 지명을 받지 못했고 이후 경성대학교로 진학했다. # 정현승은 좌투좌타 외야수이며, 덕수고와 인하대를 졸업하고 2024년 신인 지명 6라운드에서 SSG 랜더스의 지명을 받았다.
- 스스로의 신체 부위 중 가장 자신있는 부위로 손을 꼽았다.
- 2023 시즌 초반 타율이 저조함에도 귀신같이 타점 스탯을 쌓자 '영양창'이라는 별명이 나왔다.
- 스포츠는 달라도 한때는 엄청난 임팩트를 보여주던 선수였지만 이적 후에는 역대급 부진을 겪은 것이 축구선수 에덴 아자르, 알렉시스 산체스와 살짝 공통점이 있다. 다만 아자르와 비교하기엔 자기관리 실패로 몰락한 아자르와 달리 서건창은 성실함에도 부상 여파로 기량이 급전직하했고, 비싼 이적료가 든 아자르와 달리 서건창은 정찬헌을 잃긴 했어도 FA 이후에 먹튀 짓을 하거나 그런 건 아니라서 아자르와 비교하기엔 미안하긴 하다. 기량 저하 이후 경기 감각이 떨어지며 걷잡을 수 없이 몰락한 점에서 산체스와는 비슷한 점이 좀 더 눈에 띈다.[25]
- NBA에선 데릭 로즈와 유사한데, 둘 다 어린 나이에 리그 MVP를 수상해[26] 선수 생활이 창창할 줄 알았지만, 십자인대 부상 때문에 전성기가 오래가지 못했고 결국 소속팀에서 트레이드를 당하며 고향 팀으로 돌아가 재기를 준비하고 있다.[27]
-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0대 중반을 넘긴 시점에서도 결혼을 못 한 노총각이었다. 2024년 말에 결혼 예정이라는 사실이 알려졌을 때도 서건창이 아직까지 미혼이었냐며 놀라는 반응이 꽤 많았다.
4.1. '서교수님'의 유래
때마침 비 더 레전드가 흥하면서 매 경기 안타를 치는 서건창이 비더레 유저들로부터 믿을맨 타자로 회자되게 되어 호칭은 점점 진화해가고 엠팍 등 타 커뮤니티로도 퍼져나갔다. 서건창 선생님 갤러리 공지글이라든가, '프로페 서'의 등장, 급기야는 허구연의 "서건창은 스타 선수가 아니다"라는 발언에 반박하며 '스페이 서'로까지 진화했다. 2014년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초 200안타 등 각종 역사에 남을 대기록들을 달성하면서 '서선생님' 열풍은 쉬이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2014 프로야구 MVP를 수상하면서 남긴 소감으로 인하여, 팬들로부터, 고사성어 백척간두진일보의 줄임말이기도 한, '백진'이라는 호가 생겼다. 이른바 백진(百進) 서건창 선생.
이 때의 성적[30]과 수상 경력[31] 등이 흑백차별을 끝내는데 큰 역할을 하여 메이저리그 전 구단 영구결번이 된 레전드인 재키 로빈슨의 그것과 매우 흡사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서건창의 팬들은 그의 MVP 득표수(99표중 77표)과 재키 로빈슨의 명예의 전당 득표율(77.5%)이 거의 같은 것도 엮어서 화제로 삼고 있다. 이창섭 기자의 칼럼에서도 두 선수에 대한 비교가 언급되었다. 모바일캡처링크
5. 응원가
▲ 넥센-키움 시절 서건창 응원가 |
▲ LG 시절 서건창 응원가 |
▲ KIA 시절 서건창 응원가[32]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서건창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20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차영화 해태 타이거즈 |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 정구선 청보 핀토스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박종호 LG 트윈스 | 이명수 OB 베어스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김종국 KIA 타이거즈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박종호 삼성 라이온즈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정근우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고영민 두산 베어스 |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 정근우 SK 와이번스 |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정근우 한화 이글스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박민우 NC 다이노스 | 박민우 NC 다이노스 | 정은원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2024 |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포토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김경기 태평양 돌핀스 | 이상훈 LG 트윈스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서용빈 LG 트윈스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
<rowcolor=#d0ad67>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정수근 두산 베어스 | 홍성흔 두산 베어스 |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이진영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진갑용 삼성 라이온즈 | 이범호 한화 이글스 | 이종욱 두산 베어스 | 강민호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나지완 KIA 타이거즈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김광현 SK 와이번스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
<rowcolor=#d0ad67>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유희관 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선수단 두산 베어스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한동민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배영수 두산 베어스 | 양의지 NC 다이노스 | 박경수·유한준 kt wiz | 김강민 SSG 랜더스 | 오지환 LG 트윈스 | |
<rowcolor=#d0ad67>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
김태군 KIA 타이거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ba628>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박철순 OB 베어스 / 투수 |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포수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투수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투수·내야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
<rowcolor=#dba628>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 |
<rowcolor=#dba628>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 김상호 OB 베어스 / 외야수 | 구대성 빙그레 이글스 / 투수 | |
<rowcolor=#dba628>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우즈 OB 베어스 / 내야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포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
<rowcolor=#dba628>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투수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투수 | 김광현 SK 와이번스 / 투수 |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 |
<rowcolor=#dba628>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테임즈 NC 다이노스 / 내야수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투수 | 로하스 kt wiz / 외야수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22 | 2023 | 2024 |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페디 NC 다이노스 / 투수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신인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ba628>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박종훈 OB 베어스 / 외야수 | 윤석환 OB 베어스 / 투수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 김건우 MBC 청룡 / 투수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외야수 | |
<rowcolor=#dba628>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
이용철 MBC 청룡 / 투수 | 박정현 태평양 돌핀스 / 투수 | 김동수 LG 트윈스 / 포수 | 조규제 쌍방울 레이더스 / 투수 |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투수 | |
<rowcolor=#dba628>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류지현 LG 트윈스 / 내야수 | 이동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외야수 | 이병규 LG 트윈스 / 외야수 | |
<rowcolor=#dba628>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투수 | 홍성흔 두산 베어스 / 포수 | 이승호 SK 와이번스 / 투수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내야수 |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
이동학 현대 유니콘스 / 투수 | 오재영 현대 유니콘스 / 투수 |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 임태훈 두산 베어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이용찬 두산 베어스 / 투수 |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 배영섭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
<rowcolor=#dba628>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이재학 NC 다이노스 / 투수 | 박민우 NC 다이노스 / 내야수 |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 신재영 넥센 히어로즈 / 투수 | 이정후 넥센 히어로즈 / 외야수 | |
<rowcolor=#dba628>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강백호 kt wiz / 외야수 | 정우영 LG 트윈스 / 투수 | 소형준 kt wiz / 투수 | 이의리 KIA 타이거즈 / 투수 | 정철원 두산 베어스 / 투수 | |
<rowcolor=#dba628> 2023 | 2024 | ||||
문동주 한화 이글스 / 투수 | 김택연 두산 베어스 / 투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타율 1위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백인천 MBC 청룡 / 0.412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69 |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340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73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29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87 | 김상훈 MBC 청룡 / 0.354 |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 0.327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334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48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60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1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393 |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6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2 | 마해영 롯데 자이언츠 / 0.372 |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0.340 | 양준혁 LG 트윈스 / 0.355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343 |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342 |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343 | 이병규 LG 트윈스 / 0.337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36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이현곤 KIA 타이거즈 / 0.337 |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357 | 박용택 LG 트윈스 / 0.372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64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57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363 | 이병규 LG 트윈스 / 0.348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0.370 | 테임즈 NC 다이노스 / 0.381 |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376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김선빈 KIA 타이거즈 / 0.370 | 김현수 LG 트윈스 / 0.362 | 양의지 NC 다이노스 / 0.354 |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354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60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49 | 손아섭 NC 다이노스 / 0.339 | 에레디아 SSG 랜더스 / 0.36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최다안타 1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백인천 MBC 청룡 / 103개 | 박종훈 OB 베어스 / 117개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117개 |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 112개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3개 | 이광은 MBC 청룡 / 124개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124개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1개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37개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46개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60개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152개 | 김형석 OB 베어스 / 147개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96개 |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147개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1개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70개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6개 | 이병규 LG 트윈스 / 192개 | 이병규 LG 트윈스 / 170개 장원진 두산 베어스 / 170개 | 이병규 LG 트윈스 / 167개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172개 |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151개 | 홍성흔 두산 베어스 / 165개 | 이병규 LG 트윈스 / 157개 | 이용규 KIA 타이거즈 / 154개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이현곤 KIA 타이거즈 / 154개 |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68개 |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72개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58개 |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72개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201개 | 유한준 넥센 히어로즈 / 188개 |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95개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93개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0개 |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7개 |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9개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2개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93개 | 손아섭 NC 다이노스 / 187개 | 레이예스 롯데 자이언츠 / 202개 | |||
* 최다안타왕은 199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득점 1위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55득점 백인천 MBC 청룡 / 55득점 | 이해창 MBC 청룡 / 65득점 | 이해창 MBC 청룡 / 62득점 홍문종 해태 타이거즈 / 62득점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67득점 | 김재박 MBC 청룡 / 67득점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광은 MBC 청룡 / 67득점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81득점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93득점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06득점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85개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3득점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93득점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94득점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2득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0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8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9타점 | 이병규 LG 트윈스 / 107타점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5타점 | 이종범 KIA 타이거즈 / 100득점 | 박용택 LG 트윈스 / 90득점 데이비스 한화 이글스 / 90득점 |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89득점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고영민 두산 베어스 / 89득점 | 이종욱 두산 베어스 / 89득점 | 정근우 SK 와이번스 / 98득점 최희섭 KIA 타이거즈 / 98득점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99득점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97득점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이용규 KIA 타이거즈 / 86득점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91득점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135득점 | 테임즈 NC 다이노스 / 130득점 | 정근우 한화 이글스 / 121득점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버나디나 KIA 타이거즈 / 118득점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18득점 |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112득점 | 로하스 kt wiz / 116득점 |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107득점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피렐라 삼성 라이온즈 / 102득점 | 홍창기 LG 트윈스 / 109득점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143득점 | |||
* 득점왕은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KBO 리그 시즌 200안타 클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rowcolor=#fff> 2014 | 2024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201안타 | 빅터 레이예스 롯데 자이언츠 / 202안타 |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5abb 0%, #ffffff 20%, #ffffff 80%, #2c5abb); margin: 0 -11px -5px; padding: 0px 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최형우 ,KIA 타이거즈 / 지명타자,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노시환 ,한화 이글스 / 내야수, |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2014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 |
2014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스타플레이어상 |
2019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재기선수상 |
2012 일구상 신인상 |
2014 일구상 최고 타자상 |
2012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 |
2014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대상 |
2012 프로야구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신인상 |
2014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기록상 |
2014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선수상 |
2012 카스포인트 어워즈 최우수 신인상 |
2014 카스포인트 어워즈 카스모멘트 Best |
2014 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협회 최고의 선수상 |
보유 기록 | |
국내 선수 단일 시즌 최다 안타 | 201개[33] |
단일 시즌 최다 3루타 | 17개[3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2008~2009 | 2010 | 2011 | 2012 | 2013~2015 |
송지만 | 이숭용 | 강병식 | 강병식 → 이택근 | 이택근 ☆ | |
<rowcolor=#fff> 2016~2017 | 2018 | 2019~2020 | 2021 | 2022 | |
서건창 | 서건창 → 김민성 | 김상수 ☆ | 박병호 → 김혜성 | 이용규 ☆ | |
<rowcolor=#fff> 2023 | 2024 | ||||
이정후 → 이용규 | 김혜성 → 송성문 | }}}}}}}}}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1] 학교는 광주광역시에서 나왔다. 그래서 그런지 실질적 고향은 광주광역시로 생각한다고 한다.[2] KBO 공식 신장이다. 류지현 감독과 함께 서있는 사진. 류지현 감독은 프로필 176cm인데 착화신장인 반면 서건창은 맨발신장이 176cm이므로 조금 더 작다. 그래서 한때 172cm로 보인다는 여론을 잠재우는 사진이 되었다. 고등시절 프로필 상 착화신장은 180cm이나, 실제로는 아니다.[3] 주 포지션은 2루수지만 잦은 부상으로 인한 수비력 감소와 김혜성의 등장으로 넥센-키움 시절 지명타자로 활약한 경우가 많아졌다. 사실 부상이 없었더라도 수비력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후배 내야수가 등장함과 동시에 2루 자리에서 밀렸을 것이다. LG 트윈스로 온 이후에는 정주현보다 우선으로 2루 수비를 맡게 되었다.[4] 기아 이적 후, 1루수 미트를 가져오면서 시범경기부터 백업 1루수로 출전 중이다.[5] 계약금 1억 원 / 연봉 총액 1억 2천만 원 / 옵션 8,000만 원. 옵션 충족 시 1년 연장 후 최대 2년 5억 원 수령 가능.[6] LG 시절과 히어로즈·KIA 시절의 음원이 미묘하게 다르다. LG 시절은 원곡 그대로, 히어로즈·KIA 시절은 Big Ali Edit Version이다. 히어로즈 시절부터 사용하던 등장곡이다. LG 이적 이후에는 한동안 사용하지 않았다가 2023 시즌부터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KIA] KIA의~ 서건창 안타! 서건창 안타! 오오오오오~ KIA의~ 서건창 안타! 서건창 안타! 오오오오~ ×2[히어로즈] 히어로~ 서건창 안타 서건창 안타 오오오오오 히어로~ 서건창 안타 서건창 안타 오오오오 ×2[율동] 박수를 치고 오른팔로 내야 쪽을 가리킨 다음 다시 외야 쪽을 가리키는 걸 두 번 반복하고 오른팔을 돌린다. KIA로 오면서 다시 쓰게 된 응원가인데 이 응원가가 서한국 응원단장이 히어로즈 시절에 만들었던 응원가였기 때문에 다시 쓸 수 있게 되었다.[10] 2014년, 128경기 체제[11] 당시는 넥센 히어로즈였다.[12] 아버지는 서건창이 초등학교 6학년이던 2001년에 작고했다.[13] #[14] #[15] 갸티비 영상 질문에서 ISFP라고 대답했다. 여러 번 시도해봤는데 ISFP가 나왔다고 한다.[16] 넥센 히어로즈 구단 최초의 신인왕이다.[17] 시즌 128경기제에서 나온 기록이다. 이를 현 144경기 체제로 환산하면 무려 시즌 226안타를 친 것이며, 이를 메이저리그의 162경기 체제로 환산하면 무려 254안타를 기록한 것으로 나온다. 이는 1930년 빌 테리가 4할 타율을 기록했을때 안타 개수와 같다. 무엇보다 2015년 이후 144경기 체제에서도 단일 시즌 200안타는 10년간 단 한 번도 나오지 않다가 2024년 9월 28일 롯데의 빅터 레이예스가 200안타를 치면서 그제서야 유이한 기록이 되었고 최다 안타 기록 역시 레이예스가 202안타로 2024시즌을 마감하며 경신되었다. 단일 시즌 최다득점 기록 역시 10년간 깨지지 않다가 2024년 김도영에 의해 경신되었다.[18] 2001년[19] 2012 시즌 보여준 것도 없던 선수가 느닷없이 중용되는 것에 석연찮아하던 네티즌들이 붙인 별명[20] '서건창은 스타 선수가 아니다'라는 허구연 위원의 말에 '그 분은 별이 아니라 우주 그 자체다'라며 넥센 팬들이 붙인 별명까지 승격되었다.[21] 부상으로 온전히 시즌을 치르지 못했던 2015년에도 3홈런을 기록했으며 풀타임으로 출장한 2014, 2016시즌에는 각각 7홈런을 기록했다.[22] 참고로 서건창은 두산 베어스을 상대로 강한 선수 중 한 명이다.[23] B등급의 경우 해당 선수가 타 구단과 FA 계약 시, 원 구단은 A등급의 20인 외 보상선수 지명과 연봉 200% 보상이 아닌, 25인 외 보상선수 지명과 연봉 100% 보상을 받게 된다.[24] 서건창의 어머니가 정씨임을 생각하면 둘 다 외사촌인 걸로 보인다. 즉, 서건창의 어머니는 정건석과 정현승의 고모.[25] 산체스는 여기에 아르센 벵거 감독과의 불화도 겹쳤다.[26] 서건창 2014년 25세에 MVP 수상, 데릭 로즈 2011년 22세에 MVP 수상.[27] 로즈의 고향은 시카고이자만 대학 시절을 멤피스에서 보냈으므로 어떻게 보면 멤피스 그리즐리스 역시 친정팀이다.[28] 2014년 KBO MVP 수상 확정으로 생긴 별명[29] 서 교육부 장관[30] 높은 타율, 200안타 이상[31] 신인왕 수상 2년 후 MVP수상[32] 히어로즈 시절과 동일.[33] 2014년 128경기 체제에서 기록, 2024년 빅터 레이예스에 의해 갱신되기 전까지 단일 시즌 최다 안타 기록.[34] 2014년 기록. 단일시즌 최다 3루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