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은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199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 이광은 MBC 청룡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송구홍 LG 트윈스 | 한대화 LG 트윈스 | 한대화 LG 트윈스 |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김동주 두산 베어스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이범호 한화 이글스 | 이범호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김동주 두산 베어스 | 김동주 두산 베어스 | 김상현 KIA 타이거즈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최정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최정 SK 와이번스 | 최정 SK 와이번스 |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 박석민 NC 다이노스 | 최정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최정 SK 와이번스 | 허경민 두산 베어스 | 최정 SK 와이번스 | 황재균 kt wiz | 최정 SSG 랜더스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2024 | |||
최정 SSG 랜더스 | 노시환 한화 이글스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82~1999)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
김성관 롯데 자이언츠 |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 양승관 삼미 슈퍼스타즈 | 김종모 해태 타이거즈 | 박종훈 OB 베어스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84 | 1985 | |||||
김종모 해태 타이거즈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 박종훈 OB 베어스 | 이광은 MBC 청룡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86 | 1987 | |||||
김종모 해태 타이거즈 | 이광은 MBC 청룡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김종모 해태 타이거즈 | 이광은 MBC 청룡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88 | 1989 |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 김일권 태평양 돌핀스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
<rowcolor=#d0ad67> 1990 | 1991 |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해태 타이거즈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
김응국 롯데 자이언츠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4 | 1995 | |||||
김재현 LG 트윈스 | 박노준 쌍방울 레이더스 | 윤덕규 태평양 돌핀스 |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김상호 OB 베어스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6 | 1997 | |||||
김응국 롯데 자이언츠 |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이병규 LG 트윈스 | |
<rowcolor=#d0ad67> 1998 | 1999 | |||||
김재현 LG 트윈스 |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이병규 LG 트윈스 | 정수근 두산 베어스 | 호세 롯데 자이언츠 | |
1982 KBO 리그 베스트 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승리타점 1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양세종 OB 베어스 / 9점 |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13점 |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 11점 이광은 MBC 청룡 / 11점 |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13점 |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15점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
김형석 OB 베어스 / 11점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7점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5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0> 1982~1983 | 1984 | 1985~1986 | 1987 | 1988 |
이종도 ☆ | 이해창 | 김재박 | 이광은 | 신언호 | |
1989 | <rowcolor=#fff> 1990~1991 | 1992~1993 | 1994~1995 | 1996 | |
이광은 | 김상훈 ★ | 김동재 | 노찬엽 ★ | 최훈재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노찬엽 ☆ | 김동수 ☆ | 송유석 | 김선진 | 김정민 양준혁 (오프시즌 기간 주장)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서용빈 → 유지현 ☆ | 이상훈 | 이병규 | 조인성 | 서용빈 | |
<rowcolor=#fff> 2007~2008 | 2009 | 2010~2011 | 2012~2013 | 2014~2015 | |
이종열 | 조인성 | 박용택 | 이병규 | 이진영 | |
<rowcolor=#fff> 2016~2017 | 2018 | 2019~2021 | 2022~2023 | 2024 | |
류제국 | 박용택 | 김현수 | 오지환 김민성 (임시 주장) ★ | 오지환 → 김현수 | |
<rowcolor=#fff> 2025~ | |||||
박해민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 LG 트윈스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
최정상 (1983~1984) | 류영수 (1988) | 감독 대행 김충 (1988) | 류영수 (1989) | 박현식 (1990~1991)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
박용진 (1994~1996) | 김영덕 (1997~1998) | 이광은 (1999) | 김인식 (2000) | 김성근 (2001) | |
<rowcolor=#fff>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
감독 대행 김대진 (2001) | 권두조 (2002) | 김용수 (2003) | 이광환 (2004~2005) | 김인식 (2006) | |
<rowcolor=#fff>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
김영직 (2007~2009) | 김기태 (2010~2011) | 김영직 (2011) | 노찬엽 (2012~2013) | 김무관 (2014) | |
<rowcolor=#fff> 19대 | 20대 | 21대 | 22대 | 23대 | |
조계현 (2014) | 김동수 (2015~2017) | 송구홍 (2018) | 황병일 (2019~2021) | 김동수 (2021) | |
<rowcolor=#fff> 24대 | 25대 | 26대 | 27대 | 28대 | |
이종범 (2022) | 황병일 (2023) | 서용빈 (2024) | 김정준 (2024) | 이병규 (202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0> 초대 | 2대 | 3대 | ||
백인천 (1982~1983) | 감독 대행 유백만 (1983) | 감독 대행 한동화 (1983) | 김동엽 (1983) ☆ | 어우홍 (1984~1985) | |
<rowcolor=#ff0> 4대 | 5대 | 6대 | 7대 | ||
김동엽 (1985~1987) | 감독 대행 유백만 (1987) | 유백만 (1988) | 배성서 (1989) | 백인천 (1990~1991) ★ | |
<rowcolor=#fff> 8대 | 9대 | 10대 | |||
이광환 (1992~1996) ★ | 감독 대행 천보성 (1996) | 천보성 (1997~1999) ☆ ☆ | 이광은 (2000~2001) | 감독 대행 김성근 (2001) | |
<rowcolor=#fff> 11대 | 12대 | 13대 | 14대 | ||
김성근 (2002) ☆ | 이광환 (2003) | 이순철 (2004~2006) | 감독 대행 양승호 (2006) | 김재박 (2007~2009) | |
<rowcolor=#fff>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
박종훈 (2010~2011) | 김기태 (2012~2014) | 양상문 (2014~2017) | 류중일 (2018~2020) | 류지현 (2021~2022) | |
<rowcolor=#fff> 20대 | |||||
염경엽 (2023~ ) ★ |
MBC 청룡 / LG 트윈스 등번호 33번 | ||||
팀 창단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광은 (1982~1996) | → | 임선동 (1997~1998) |
LG 트윈스 등번호 90번 | ||||
김인식 (1990~1996) | → | 이광은 (1997~2001) | → | 김용수 (2002) |
이광은 李光殷 | Kwang-eun Lee | |
출생 | 1955년 6월 28일 ([age(1955-06-28)]세)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배명중 - 배재고 - 연세대 |
포지션 | 3루수,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소속팀 | 포항제철 야구단 (1978~1979) MBC 청룡-LG 트윈스 (1982~1991) |
지도자 | LG 트윈스 1군 타격코치 (1992~1993) LG 트윈스 2군 타격코치 (1994) LG 트윈스 루키군 책임코치 (1995~1996) LG 트윈스 2군 수석·타격코치(1997) LG 트윈스 루키군 책임코치 (1998) LG 트윈스 2군 감독 (1999) LG 트윈스 감독 (2000~2001)[1] 연세대학교 야구부 타격 인스트럭터 (2004~2005) 연세대학교 야구부 감독 (2006~2010) 배재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0~2012) |
병역 | 성무 야구단 (1979~1982) |
가족 | 누나 이옥자[2]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인.현역 시절 MBC 청룡의 간판 스타이자 원조 5툴 플레이어로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지도자로써는 LG 트윈스 암흑기의 원인을 제공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혹평받는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중학교까지는 무명에 가까웠다. 배명중학교를 졸업했지만 배명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 하고 재창단한 배재고에 입학했는데, 그나마도 농구 국대였던 누나 이옥자의 명성 덕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을 정도.1973년 청룡기에서 처음 야구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그 방법은 혹사였다.
그 해 청룡기 대회에서 팀 동료였던 하기룡이 부정선수 판정을 받자[3] 투수가 없어진 배재고가 3루수였던 그를 투수로 급히 출전시켰던 것이다.[4] 비록 팀은 중도 탈락하지만, 5일 동안 매일 나와서 혼자 59이닝을 던졌다. 그간 던진 투구가 223명의 타자를 상대로 총 697개. 그럼에도 32안타를 맞고 단 7점을 내주는 호투를 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회 감투상을 차지했다. 이때 얻은 별명이 '온달'. 순한 외모인데도 독한 구석이 있다고 붙여졌다고. 이러한 혹사 레이스는 하기룡의 출장정지가 끝나게 된 봉황기 4강까지 계속되었으나, 결승전에서 대구상고에게 패하면서 무관으로 남게 되었다.
연세대학교에서는 주전 3루수로 활동했고, 졸업 무렵에는 후배인 양세종에게 3루수를 물려주고 외야수로 출전했다. 졸업 후인 1978년에 포항제철 야구단이 창단하자 실업 무대에 데뷔, 2년간 뛰었다. 1979년에 공군 야구부(성무)에 입대하여 뛰었다.
2.2. 프로 경력
KBO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수상자 (1984) |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85 ~ 1987) |
선수 시절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프로야구가 출범한 1982년 MBC 청룡의 창단 멤버로 지명받아 합류한다. 하지만 개막전 당시에는 군 복무를 위해 성무(공군) 소속으로 활동 중이었고, 제대한 시즌 중반부터 비로소 합류할 수 있었다.
MBC 청룡의 프랜차이즈 스타로써 10년간 한 팀에서 맹활약한 선수였고, 3할의 타율과 잠실에서는 수준급이던 장타력[5], 나쁘지 않았던 베이스 러닝을 바탕으로 한 도루 능력과 내야수 출신으로 좋은 어깨를 바탕으로 준수한 수비까지 보여주면서 구단을 대표하는 호타준족으로 자리매김했었으며 3루수로 한 번, 외야수로 세 번의 KBO 골든글러브[6]를 차지했다. 무엇보다도 MBC-LG 구단 역사상 몇 안되는 우타자 성공사례이기도 하다.[7] 1990년 LG의 첫번째이자 본인의 선수시절 유일한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에도 주전 3루수로 출장하여 활약했다.
김일권이 훗날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해 밝히길 김일권-이광은 트레이드가 성사될 뻔하다가 해태에서 틀었다고 한다. 김일권은 김응룡 당시 해태 감독, 이광은은 김동엽 당시 MBC 감독 눈 밖에 나서 서로 윈윈하는 트레이드를 계획했으나 김일권은 결국 태평양 돌핀스로 현금 트레이드됐다가 선수 말년에 LG 유니폼을 입었다.
2.3.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2 | MBC | 64 | 243 | .313 | 76 | 16 | 3 | 5 | 36 | 46 | 17 | 19 | .465 | .363 |
1983 | 93 | 329 | .271 | 89 | 12 | 4 (4위) | 8 | 36 | 45 | 17 (5위) | 32 | .404 | .335 | |
1984 | 99 | 378 | .288 | 109 (3위) | 19 (4위) | 3 | 18 (3위) | 68 (2위) | 53 | 7 | 31 | .497 | .342 | |
1985 | 87 | 326 | .279 | 91 | 11 | 3 | 6 | 39 | 38 | 20 | 28 | .387 | .336 | |
1986 | 107 | 408 | .304 (3위) | 124 (1위) | 21 (4위) | 3 | 15 (4위) | 60 (4위) | 59 (5위) | 20 | 53 | .480 (3위) | .379 (3위) | |
1987 | 108 | 410 | .298 | 122 (3위) | 21 (4위) | 2 | 14 (4위) | 74 (2위) | 66 (1위) | 8 | 45 | .461 | .362 | |
1988 | 67 | 247 | .279 | 69 | 9 | 1 | 7 | 28 | 35 | 1 | 26 | .409 | .348 | |
1989 | 87 | 273 | .234 | 64 | 11 | 5 (4위) | 4 | 47 | 40 | 12 | 38 | .355 | .325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1990 | LG | 102 | 336 | .286 | 96 | 13 | 2 | 8 | 44 | 55 | 11 | 51 | .408 | .375 |
1991 | 109 | 329 | .271 | 89 | 16 | 0 | 5 | 41 | 38 | 6 | 43 | .365 | .354 | |
KBO 통산 (10시즌) | 923 | 3279 | .283 | 929 | 149 | 26 | 90 | 473 | 475 | 119 | 366 | .427 | .352 |
3. 지도자 경력
자세한 내용은 이광은/지도자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4. 근황
2014년 4월 4일 부친상을 당했다. 부친상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6년 7월 14일 장기기증 홍보단체인 생명나눔실천본부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사회인야구 팀들을 방문하여 야구지도를 종종 해주고 있다.5. 관련 문서
[1] ~5월 15일[2] 농구선수 출신으로 2012-13 시즌에 구리 KDB생명 위너스 감독을 역임한 바 있다.[3] 부산고에서 전학 온 그는 당시 선수 등록이 늦어지면서 부정선수 판정을 받았다.[4] 원래 투수도 했었으나 부산고에서 전학 온 하기룡에 밀려서 투수를 포기하게 된 것이었다.[5] 3번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6] 1985년부터 3년 연속 수상[7] LG 트윈스는 전신이던 MBC 청룡 시절부터 좌타자가 많았던 것에 비해 우타자가 많이 없기로 유명했던 팀이었다. 그나마 성공했던 우타자 사례가 이광은을 비롯해 노찬엽, 조인성, 채은성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