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9:02:14

김인식(1953)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F3081><tablebgcolor=#2F3081>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연천 미라클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F3081,#2F3081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 1 심유호 · 13 최종완 · 20 선성권 · 30 안현석 · 33 안광준 · 46 최우혁 · M 손호진 · M 장희범
포수 5 신홍서 · 38 지시완
내야수 8 황상준 · 16 박찬형 · 25 윤찬 · 53 이현 · 55 박수현 · M 최지민
외야수 2 최수현 · 3 박상목 · 19 김차연 · 27 신우영 · 32 유상빈 · 47 위재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기''' }}}}}}}}}}}}}}}
김인식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90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83 KBO 베스트 1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최정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 대행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박현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이광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감독 대행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김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송구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rowcolor=#fff> 24대 25대 26대 27대 28대
이종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서용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김정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이병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F3081><tablebgcolor=#2F3081>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연천 미라클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초대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
}}}}}}}}}}}}}}} ||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1번}}}
팀 창단 김인식
(1982)
이해창
(1983~1984)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4번}}}
결번 김인식
(1983~1988)
나웅
(1989~1996)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8번}}}
송영운
(1982~1988)
김인식
(1989)
최훈재
(1990~1996)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70번}}}
결번 김인식
(1989)
고문철
(1992)
LG 트윈스 등번호 90번
결번 김인식
(1990~1996)
이광은
(1997~2001)
LG 트윈스 등번호 70번
윤승규
(1996)
김인식
(1997~2001)
송구홍
(2003)
김장준
(2005)
김인식
(2006)
김재박
(2007~2009)
}}} ||
파일:김인식_연천미라클감독.png
<colbgcolor=#2F3081><colcolor=#fff> 연천 미라클 No.70
김인식
金仁植 | Kim Insik
출생 1953년 11월 9일 ([age(1953-11-09)]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동대문상고 - 성균관대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소속팀 롯데 자이언트 (1976~1977, 1980~1981)
MBC 청룡 (1982~1988)
지도자 MBC 청룡-LG 트윈스 수비코치 (1989~1990)
LG 트윈스 2군 수석코치 (1991)[1]
LG 트윈스 1군 주루코치 (1993)[2]
LG 트윈스 2군 작전코치 (1994~1996)[3]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1996)[4]
LG 트윈스 1군 수석·수비코치 (1997~1998)
LG 트윈스 루키군 코치 (1999)
LG 트윈스 2군 감독 (2000)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2001)[5]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01)[6]
청원고등학교 감독 (2004~2005)
LG 트윈스 2군 감독 (2006)
충훈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7~2013)
연천 미라클 감독 (2015~)
병역 상무 야구단 (1978~1979)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주요 성적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MBC 청룡 시절의 김인식.png

한국 프로야구 원년 멤버이자 前 MBC 청룡의 야구 선수.

국민감독 김인식[7]과는 동명이인이다.

이 문서의 김인식은 내야수이며, 훨씬 후배다.

2. 선수 경력

파일:MBC 청룡 시절의 김인식.jpg

동대문상고성균관대를 졸업하고, 실업 팀 롯데 자이언트[8]와 공군(성무)을 거쳐 1982년 한국프로야구 원년에 MBC 청룡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빠른 발을 무기로 1982년부터 MBC 청룡의 1번타자 겸 리드 오프를 맡았고, 같은 해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참가로 프로 무대에서 뛸 수 없었던 김재박이 1983년에 MBC에 가세한 이후에는 작전에 능한 2번타자로 활약했다. 포지션은 주로 2루수를 봤지만 상황에 따라 3루수유격수를 겸한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였다. 원년에는 3루수를 맡았는데, 이광은이 원년 후기리그 때 MBC에 가세하자 자신의 원 포지션인 2루수로 돌아가게 된다.
파일:external/www.koreadaily.com/171317330.jpg
400경기 연속출장기록 달성 후

1982년 3월 27일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한국프로야구 개막전부터 6년 동안 606경기 연속출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6년 기준으로도 역대 5위(최태원-김형석-황재균-이범호)에 해당하는 기록. 훗날 술회하기를 몸도 컨디션도 좋지 않은데 기록 때문에 무리하게 출전한 적도 있었고 결국 팀과 본인 모두에게 손해였다고 한다.

현역 때는 안타를 못 치면 맞고라도 나가겠다고 노골적으로 홈 플레이트 쪽으로 바짝 붙는 투지 넘치는 자세, 공을 맞고 나면 '왜 나를 맞추느냐?'를 진심으로 표현하는 그 표정연기가 트레이드 마크였으며, 더불어 그렇게 온갖 엄살 속에 1루로 나가서는 번잡스레 도루를 할듯말듯 깔짝거리며 투수의 신경을 긁어대는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당시의 타 팀 팬들에겐 상당한 비호감 이미지였다. 하지만 위에 나와있듯 6년 동안 연속경기 출장과 당대 수비형 2루수로서는 OB김광수와 비교되기도 한다. 요즘 재평가하기로는 평범한 선수가 근성으로 부딪혀 어느 정도까지를 이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위대한 인간 승리자. 공필성 이전에 바로 김인식이 있었다.

히스토리 07 기묘한 이야기, 몰수게임 있었다?
168cm인 짧은 키를[9] 근성으로 커버하는 스타일의 선수로 몸에 맞는 공과 관련된 기록이 많다. 한국프로야구 1호 몸에 맞는 공 기록 보유자인데 이날 연장 10회 선두타자로 나와서 삼성 구원투수 이선희로부터 몸에 맞는 볼을 얻어냈다. 엉덩이에 맞는 공이었고 김인식은 "옳다구나!"하는 표정을 지으며 1루까지 뛰어서 나갔다.[10] 1984년에는 3타석 연속 몸에 맞는 공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11] 그 외에도 114타석 무삼진으로 연타석 무삼진 최다기록이고, 시즌 전경기 무병살타 기록 보유. 그리고 1982년 8월 26일 삼성­ 대 MBC의 대구 경기에서 프로야구 사상 첫 몰수게임을 만들어내기도.

1983년 장명부에게 3연속 몸에 맞는 공을 얻어 맞으며 벤치 클리어링을 이끌어내기도 할 정도로 악바리 근성도 두루 갖췄다. 김은식 작가의 표현을 빌자면, 그는 위대한 선수들의 시절, 단 한 번도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해도 꾸준함과 근성으로 한 시대를 살아간 선수였다. 현역 시절 별명은 작은 키와 거무잡잡한 피부 때문에 붙은 베트콩.

이때 장명부가 상습적으로 빈볼을 던진 걸로 악명이 높았는데 특히 김인식이 가장 많이 맞았다. 심판을 잡고 울면서 호소할 정도였다. 그러다가 한번 또 제대로 맞자 성질이 폭발해 헬멧을 던지고 달려들었다가...막상 맞닥뜨리자 신장이 자기보다 20cm는 더 커보이는 장명부의 덩치를 보고서는 그냥 1루로 가는 개그신을 연출하기도 했다. MBC에서 장명부 관련 다큐를 다뤘을 때 나온 장면이다.

3. 지도자 경력

1988년에 은퇴했으며, 은퇴 뒤에는 LG 2군 코치와 감독, 1군 수석코치 등을 거쳐 사실상의 모교인 서울 청원고[12]에서 감독 생활을 했고, 2006년에는 LG에 다시 복귀하여 2군 감독을 하였으나, LG가 2006년 시즌이 종료되고 2군 감독으로, 당시 1군 감독 대행이었던 감옥님을 내정하자[13] 한 시즌 만에 다시 팀을 나올 수 밖에 없었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46973969.8.jpg
충훈고등학교 감독 시절

이후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신생팀인 안양 충훈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으로 재직했다. 고교야구계에서는 청렴결백한 감독으로 알려졌으나 석연치 않게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파일:연천 미라클 김인식 감독.png
그리고 2015년 3월 20일에 창단 예정인 두번째 독립구단 ISG 미라클의 초대 감독으로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LG 코치 재임 시절에는 훈련장에 빨간색 외제 스포츠카를 몰고 온 심재학의 싸대기를 갈겼다는 루머가 있을 정도로 지도자로서 강성인 이미지였지만, 고교 감독, 그리고 ISG 미라클의 감독을 맡으면서 성격이 많이 유순해진 것으로 보였으나, 다큐멘터리 촬영 카메라가 돌아가는 와중에도 선수들에게 원산폭격 기합을 넣어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선수단의 버스를 직접 운전하기 위해 1종 대형 운전면허를 취득하였고, 또 실제로 직접 버스를 운전하고 있다고 한다. 기사 연천에서 서산까지 4시간, 왕복 8시간을 운전한 적도 있다고 한다.

현재는 팀에 관련된 외부 인사들이 전부 발을 빼면서 구단의 대표이사 직을 겸하고 있다.

jtbc 최강야구 시즌1 연천미라클전에 감독으로 등장하여 강렬한 눈빛과 거친 말투, 승부근성으로 예능 긴장감과 쎈 캐릭터 역할을 톡톡히 보여줬다.

최강야구 시즌2에서는 5번째 직관경기에서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올스타팀을 이끄는 감독으로 나왔다. 시즌1 때와 달리 몬스터즈 감독이 LG시절을 함께한 김성근 감독이라(10살차이) 상당히 공손하고 예의바른 모습을 보여 상당한 대조를 보였다. 그래도 같이 일한 덕분인지 다른 감독들은 상대적으로 깨갱거릴때 김인식 감독만은 나름 만담을 나누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시즌2 30번째 경기가 연천 미라클 전이라 다시 한 번 얼굴을 비추었는데 이때는 몬스터즈 소속으로 뛰던 최수현과 콩트를 찍기도 했으며, 시즌3 17번째 경기에서도 티격태격하기도.

4. 연도별 주요 성적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2 MBC 청룡 80 309
(2위)
.259 80 9 0 3 25 47 35
(3위)
35 .317 .334
1983 100 380 .263 100 16 2 1 30 48 14 24 .324 .307
1984 100 387 .258 100 13 8 3 28 44 8 31 .357 .311
1985 110 404 .275 111 14 0 2 16 48 17 38 .324 .336
1986 108 309 .282 87 13 1 2 29 36 12 23 .350 .329
1987 108 288 .215 62 1 0 0 19 24 7 10 .219 .241
1988 57 90 .144 13 1 0 0 6 13 6 6 .156 .198
KBO 통산
(7시즌)
663 2167 .255 553 67 11 11 153 260 99 167 .311 .308

5. 기타

김준SK 와이번스로부터 지명을 2번 받은 선수이기도 하다. 경기고등학교 시절에 SK의 지명을 받았을 때, 2004년 드래프트부터 지명 후 2년 간 입단하지 않으면 지명권이 소멸된다는 규정에 따라 아버지의 팀을 이어받은 LG 트윈스의 지명을 받고 싶어서 SK에 입단하지 않고 고려대에 입학했다고 한다. 하지만 또 다시 SK의 지명을 받았다.
아이러니한 게 김준은 아버지가 데드볼왕으로 유명한 선수인데도 자신의 첫 1군 등판경기의 첫 타자에게 사구를 날렸다는 거다. 그 뒤로 잊혀지더니 KIA로 이적했다가 결국 퇴단했다. 이후 아버지가 있는 연천 미라클에 소리소문없이 입단했다가 대치중학교에서 코치를 하고 있다고 한다.
  • 현역 시절, 원정경기 간 도시의 사람 없는 동전 야구연습장을 찾아가서 공을 치지 않고 맞는 모습이 종종 목격되었다고 한다. 위에 서술된 내용처럼 악착같이 공을 맞아서라도 출루를 하는 근성 플레이를 하던 선수라, 부상 없이 안전하게 공을 맞는 법을 연구하고 단련하기 위함이었던듯 하다.
  • 이 사람 역시 존경받는 야구인이지만, 김인식 옹이 더 유명한 것 때문에 부각이 안 된 측면이 많다. 어찌보면 묻어가기의 원조? 하지만 1980년대 프로야구를 기억하는 팬들이라면 한두번은 거론되는 추억 속의 선수임에는 분명하다.
  • 김은식 기자의 시리즈물인 '야구의 추억'에 맨 처음으로 연재된 선수였다. 본인 말로는 자신과 이름도 비슷하고 근성있는 모습에 좋아했었다고 회고했다. 다만 어린 시절에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김인식은 현역 시절에 출루를 위해선 데드볼도 마다치 않는 소위 구질구질한 야구를 한다고 당시 동네 꼬마들에게 인식됐었고 하필 김은식 본인이랑 이름이 비슷한 사유로 인하여 동네에서 야구 할때마다 같이 놀던 애들이 홈런이나 안타가 아닌 "맞아라맞아라" "데드볼 데드볼"이라 구호를 넣어서 쪽팔렸다고.
  • 야신과는 티격태격하는 사이라고 한다. LG 트윈스부터 시작해 최강야구에 이르기까지 두 사람의 케미가 잘 맞았다고.

6. 관련 문서


[1] ~8월 5일[2] 8월 6일~[3] ~7월 23일[4] 7월 24일~[5] ~4월 15일[6] 4월 16일~[7] 한일은행투수 출신, 쌍방울, 두산, 한화 감독을 역임.[8] 실업야구 롯데다. 현재 롯데 자이언츠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9] 본인은 작은 키가 콤플렉스인지 170cm이라고 우겼다고 한다.[10] 연장전 선두타자로 출루에 성공했기 때문에 공격이 그대로 풀리기만 한다면 끝내기 득점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후속타자로 나선 유승안이 개막전 MVP에게 주던 오토바이에 눈이 먼 나머지 이선희-이만수 배터리가 거르려고 던진 공을 냅다 쳐서 투수 앞 땅볼이 돼버리는 바람에(...) 김인식이 홈에서 횡사당하고 말았다.[11] 이 기록은 2017 시즌에 김태군에 의해 깨졌다.[12] 원래 청원정보산업고(동대문상고의 후신)에 있었던 야구부가 청원정보산업고의 폐교 후 청원여자고등학교를 신설하면서 2000년 12월 1일 같은 재단의 청원고등학교에 이관했다. 따라서 일부 웹상에서 청원정보산업고가 청원고로 바뀌었다는 말은 엄밀히 말해 틀린 것이다.[13] 그러나 감옥님은 통수를 치고 모교인 고려대 감독으로 부임하였고, 결국 LG의 2군 감독으로는 김영직 2군 타격코치가 선임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