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8 01:25:54

박용진(야구인)

박용진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74ca1,#5ea2f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72c,#d3dade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박창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9)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3)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5)
감독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정순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7)
이철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9)
장효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감독대행
양일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6)
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오치아이 파일:일본 국기.svg
(2020~2021)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감독대행
최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김재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정대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최정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대행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박현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이광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감독대행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김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송구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이종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3대 24대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서용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6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정연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백기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
감독대행
정구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김정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유승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3)
차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종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백기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최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우경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정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2)
<rowcolor=#fff> 15대 16대 17대 18대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5)
전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최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감독대행
전상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3)
김성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이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이름 박용진 (朴容震)
출생 1948년 2월 23일
학력 선린상고-중앙대
포지션 2루수, 3루수[1]
투타 우투우타
소속팀 기업은행(1967~1976)
육군 야구단(1970~1972)
지도자 선린상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1977~1979)
대광고등학교 야구부 감독(1980.6~1981)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1982~1983)
MBC 청룡 타격코치(1985~1986)
태평양 돌핀스 수비코치(1988)
태평양 돌핀스 2군 감독(1989~1990)
삼성 라이온즈 타격 인스트럭터(1991)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1992~1993)
LG 트윈스 2군 감독(1994~1996)
한화 이글스 2군 감독(2001~2003)
해설위원 MBC 야구 해설위원(1984~1985)
KNN 야구 해설위원(2004~2006)



1. 개요2. 생애3. 김성근과의 관계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인.

2. 생애

1948년 2월 23일 생으로 선린상업고등학교중앙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7년 선린상고 졸업 이후 실업야구 팀인 기업은행에 입단했다.# 참고로, 박용진이 입단한 1967년은 김성근이 기업은행에서 선수로써 보낸 마지막 시즌이며, 박용진이 활약하던 시기의 기업은행 감독도 바로 김성근이었다.

현역 시절 주 포지션은 2루수였으며, 1967년 실업야구 2차 베스트나인 2루수 부문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1976년 선수 은퇴 후 모교인 선린상고 야구부 감독을 역임하였다. 선린상고 야구부 감독 재임하면서 1979년 대통령배 우승을 이끌었으며, 대통령배 우승 외에도 청룡기 준우승 1회(1979), 봉황대기 준우승 1회(1978), 봉황대기 준우승 1회(1978) 등의 성적을 거두며 선린상고를 강호로 만들었다. 이후 1980년부터 대광고, 신일고 야구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1984년부터 1985년까지 MBC 야구 해설위원을 맡다가 1985년 6월 24일 MBC 청룡 타격코치로 선임되며 프로야구 코치 생활을 시작하였다.# 후술하겠지만, MBC 코치 이후 대부분의 코치 생활을 김성근 감독을 따라 팀을 옮기며 보냈다.

이 시기에 1997년 신설된 KBO 경기감독관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한화 이글스 2군 감독 생활 후 코치 생활을 접고, KNN 야구 해설위원 일을 하다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우리 히어로즈 기술고문을 하였다.

은퇴 후 타이가의 고문으로 활동 중.

3. 김성근과의 관계

김성근 사단으로 분류되는 인물로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경력으로 봐도 기업은행 현역 선수 시절에는 김성근의 휘하에 있었고,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은 김성근 감독의 후임으로 선임됐다. 이후 프로야구에서도 태평양 돌핀스삼성 라이온즈에서 2군 감독을 역임하던 시절 같은 팀의 1군 감독이 김성근이었을 정도로 김성근과 오랜 인연을 가진 인물이다. 특히 그가 태평양에서 삼성으로 옮긴 시기는 김성근의 삼성 감독 부임 직후인 1991년 초였고, 그 과정에서 양 구단 사이의 감정 싸움까지 벌어지기도 했다.[2]

2015년까지만 해도 김성근에 대해 호의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 3월 미디어데이 때 김성근이 선발투수를 공개하지 않은 점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페이스북에 찾아와 키배를 벌인 김성근 팬들에게 대놓고 노리타라고 말하는 등 대놓고 김성근을 조롱하는 모습으로 보아 모종의 이유로 둘 사이가 단단히 틀어진 듯 하다. 김성근 감독의 원칙없는 투수운용을 신랄하게 비판하여 허상을 파해쳤다. 선발없는 주먹구구식의 운용으로 줄부상으로 이어져 선수 생명을 단축시킨다고 우려를 한다. 또한 줄기차게 야신이란 없다고 주장한다.
4월 11일 '김성근 감독님 야구 똑바로 하시오'라는 칼럼을 썼는데, 이 칼럼을 계기로 언론 매체에서 우후죽순 처럼 김성근 야구의 운영에 대한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김성근 야구의 허구성이 하나씩 밝혀져 결국 이듬해 도중에 경질되었다. 정도를 이탈하면 대참사가 나는것 처럼 변칙에 변칙의 투수 운용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게 되었다. 인터넷 매체인 스포츠Q에서 3년 간 60여 편의 칼럼을 연재하여 야구계에서 보기드문 칼럼니스트라고 평을 받았다.

리틀야구에 조용히 소리소문 없이 재능기부를 8년 째 하고 있다.

2012년부터 페이스북 '야구사랑방'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야구 팬 커뮤니티가 아닌 야구 전반을 다루며, 잘못했다 싶은 건에 대해선 감독, 선수, 해설, 기자, 팬 등 가리지 않고 비판한다. 다만 이러한 모두까기 성향과 이를 오해한 팬들과의 키배도 종종 벌어진다.[3] 또한 메이저리그 해설을 담당하는 김형준 기자의 해설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야구 원로로서 야구에 대한 전체적인 비판을 한다.경기분석과 플레이 분석은 명쾌하게 정리를 잘해 마니아들이 난해한 문제를 알아듣게 쉽게 풀이를 하는 장점이 있다는 견해이다.

이후 노리타에 대해서는 많이 비판적이 되어, 10월 3일에는 '노리타들에게 휘둘려 망한 한화 이글스'라고 올리기도 하였다.

4. 여담

고교 감독과 해설, 2군 감독을 여러 팀에서 하면서 터득한 교육 문제에 상당한 조예가 깊다. 특히 심리적 부문에 대해 깊은 공부가 되어 선수들의 상담 문제 등 어려움에 처한 선수들 도움에 일가견이 있다고 야구계에서 소문이 나있다. 1997년 중앙대 산업경영대학원 상담사(카운셀러) 과정을 밟아 심리학의 기초 공부가 된 것이 현장에서 상당히 효과를 보고 있다고. 상담사 자격증을 가진 야구인은 처음이다.

대니얼 김김형준같은 비선출 야구 해설위원을 비판한 적이 있다. 야구선수 출신이 아닌 사람은 모른다며 자신이 선수 출신임을 강조했는데, 이 점에 대해 자부심이 강한 듯.

2018년 5월 15일에 부인상을 당했다.

NC 다이노스에 매우 비판적인데, 김경문 감독 경질과 유영준 단장의 감독대행을 비관적으로 바라본다.



[1] 1975년 5월 24일자 중앙일보 기사에서 육군 야구단과 기업은행의 경기에서 기업은행의 3루수로 출장해 에러를 범한 기사가 있다.[2] 1991년에는 인스트럭터로 계약했다가 1922년부터 2군 감독을 맡았다.[3] 특히 앞에서 서술한 김성근 감독 비판으로 인해 김성근 감독 개인팬들이 떼거지로 몰려와 키배가 벌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