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23:03:23

1989년 한국시리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BO 한국시리즈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5px"
1982 OB
파일:OB 베어스 화이트 심볼.svg
1983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84 롯데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1975~1992).svg
1985 삼성[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1986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87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88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89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90 LG
파일:LG 트윈스 심볼(1990~2005).svg
1991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92 롯데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1975~1992).svg
1993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1994 LG
파일:LG 트윈스 심볼(1990~2005).svg
1995 OB
파일:OB 베어스 화이트 심볼.svg
1996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96~2001).svg
1997 해태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96~2001).svg
1998 현대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1999 한화
파일:한화 이글스 화이트 심볼(1994~2005).svg
2000 현대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2001 두산
파일:두산 베어스 심볼(1999~2009).svg
2002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95~2007/흰색).svg
2003 현대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2004 현대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2005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95~2007/흰색).svg
2006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95~2007/흰색).svg
2007 SK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6~2019).svg
2008 SK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6~2019).svg
2009 KIA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2007~2009).svg
2010 SK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6~2019).svg
2011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2012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2013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2014 삼성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2015 두산
파일:두산 베어스 심볼 화이트(2010~2024).svg
2016 두산
파일:두산 베어스 심볼 화이트(2010~2024).svg
2017 KIA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2017~2020/Navy).svg
2018 SK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6~2019).svg
2019 두산
파일:두산 베어스 심볼 화이트(2010~2024).svg
2020 NC[2]
파일:NC 다이노스 원정 심볼.svg
2021 KT[2]
파일:kt wiz 화이트 심볼.svg
2022 SSG
파일:SSG 랜더스 심볼(2021~2023).svg
2023 LG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2024 KIA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Black).svg
2025 LG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2026
파일:KBO 팀.svg
2027
파일:KBO 팀.svg
2028
파일:KBO 팀.svg
2029
파일:KBO 팀.svg
2030
파일:KBO 팀.svg
2031
파일:KBO 팀.svg
[1]: 삼성 라이온즈의 전기·후기 리그 통합 우승으로 한국시리즈가 개최되지 않았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개최일 연기, 고척 스카이돔 중립 경기 개최.
}}}}}}}}}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역대 KBO 한국시리즈
1988년
해태 타이거즈
1989년
해태 타이거즈
1990년
LG 트윈스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9.jp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5.svg
1989년 한국시리즈 우승팀
해태 타이거즈
MVP 박철우
네! 스트락아웃! 스트락아웃 당하는 황대연! 경기 끝났습니다. 89 프로야구, 대망의 패권. 해태 타이거즈가 차지하면서 4연패의 위업을 달성하는 해태 타이거즈!

KBS 이세진 캐스터[1]의 우승콜
1. 개요2. 일정3. 시리즈 전 상황4. 엔트리5. 결과
5.1. 1차전
5.1.1. 라인업5.1.2. 스코어보드5.1.3. 경기 내용
5.2. 2차전
5.2.1. 라인업5.2.2. 스코어보드5.2.3. 경기 내용
5.3. 3차전
5.3.1. 라인업5.3.2. 스코어보드5.3.3. 경기 내용
5.4. 4차전
5.4.1. 라인업5.4.2. 스코어보드5.4.3. 경기 내용
5.5. 5차전
5.5.1. 라인업5.5.2. 스코어보드5.5.3. 경기 내용
6. 총평7. 여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1989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
해태 타이거즈 빙그레 이글스
1989년 10월 26일에 시작하여 1989년 11월 1일에 종료된 한국시리즈로 해태 타이거즈가 1988년에 이어 또 다시 빙그레 이글스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한 시리즈다. 해태는 이 우승으로 통산 5번째 한국시리즈 우승 및 당시로서는 전무했던 한국시리즈 4연패의 위업을 달성했다. 반대로 빙그레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고도 우승을 놓치면서 2년 연속으로 우승 문턱에서 물러났다.

시리즈 MVP는 18타수 8안타를 치면서 활약한 박철우가 선정되었다.

2. 일정

1989 한국시리즈
해태 타이거즈 VS 빙그레 이글스 | 4선승제
<rowcolor=#FFFFFF> 경기 경기 시간 경기장 AWAY 결과 HOME 방송사
1차전 10월 26일 18:00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해태 0 4 빙그레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2차전 10월 27일 18:00 6 4 파일:MBC 로고(1986-2005).svg
3차전 10월 29일 14:00 무등 야구장 빙그레 0 2 해태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4차전 10월 30일 18:00 2 6 파일:MBC 로고(1986-2005).svg
5차전 11월 1일 18:0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해태 5 1 빙그레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3. 시리즈 전 상황

1989년은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단일시즌 체제가 도입된 시즌이었다. 빙그레는 작년 1988년에 이미 돌풍의 가능성을 확실히 보줬고 1989년에는 돌풍을 넘어 태풍을 일으켰다. 김영덕 감독은 정규시즌 운용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시즌 운용을 보여주었고 이에 더해 이정훈, 유승안, 고원부, 장종훈, 이강돈을 비롯한 막강한 타선이 시즌 내내 위력을 보이면서 타격왕과 타점왕 타이틀을 가져간 상황이었고, 마운드에서도 이상군한희민의 원투펀치가 여전히 건재한 상황이었다. 이 빙그레의 전력에 천하의 해태도 한 수 접고 들어가 2위로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이 해 포스트시즌 일정이 좀 묘했다.

KBO는 플레이오프 일정을 10월 14일부터 10월 20일까지로 짰고, 한국시리즈는 10월 26일에 시작해서 11월 3일에 끝나는 일정으로 구성했다. 즉, 플레이오프가 5차전까지 가도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5일이나 쉬기 때문에,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경기 감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충분히 팀을 재정비하고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일정이 되었다. 반대로 한국시리즈에 직행한 페넌트레이스 1위 팀은 경기 감각적인 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 사이의 휴식일이 길어야 4일밖에 안 되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이해가 안 되는 문제점) 이는 과거와 다른 단일시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인데, 이 때문에 해태는 2위로 올라가 경기 경험을 쌓고 한국시리즈에 임하면 불리하지 않다고 자신하고 있었다. 마침 PO 상대도 돌풍을 일으키며 올라온 태평양 돌핀스였고, 태평양은 이미 준PO에서 삼성과의 혈투 속에 그 해 19승을 거둔 박정현이 부상으로 이탈하는 등 투수진을 소모한 상황이었다. 해태는 가볍게 태평양을 3:0으로 스윕하며 올라갔지만, 그 속에서 타선이 생각보다 터지지 않는 것은 걱정거리였다.

반대로 빙그레는 껄끄러운 해태가 올라왔고, 경기 감각이 걱정되었지만 그래도 그 해 가장 강력했음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 우려했던 경기 감각이 시리즈 내내 빙그레의 발목을 잡고 말았다. 공교롭게도 2년 전 KS에 먼저 직행한 삼성 라이온즈도 똑같은 상황을 경험했다. 결국 삼성 역시 한국시리즈 최초의 스윕패와 유일한 전패준을 기록하고 만다.

4. 엔트리[2]

4.1. 빙그레 이글스

빙그레 이글스 198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
<colbgcolor=#000000> 감독 1명 김영덕
코치 4명 강병철, 이희수, 이선희, 김종수
투수 8명 한용덕, 한희민, 이상군, 송진우, 김대중, 김홍명, 장정순, 김락기
포수 2명 김상국, 유승안
내야수 9명 강정길, 전대영, 장종훈, 황병일, 조양근, 김성갑, 강석천, 황대연, 이종호
외야수 6명 이정훈, 이강돈, 이중화, 고원부, 송일섭, 조용호

4.2. 해태 타이거즈

해태 타이거즈 198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
<colbgcolor=#09081e> 감독 1명 김응용
코치 6명 김인식, 백기성, 정유복, 김봉연, 이상윤, 김준환
투수 8명 선동열, 김정수, 차동철, 신동수, 방수원, 문희수, 이강철, 조계현
포수 2명 장채근, 장호익
내야수 8명 김성한, 서정환, 한대화, 차영화, 조충열, 백인호, 박철우, 문승훈
외야수 7명 김종모, 이순철, 조재환, 김평호, 김성규, 이건열, 김태완

5. 결과

5.1. 1차전

5.1.1. 라인업

1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해태 타이거즈 타순 빙그레 이글스
<rowcolor=#ffffff>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중견수 이순철 1 이강돈 좌익수
유격수 백인호 2 이중화 중견수
1루수 김성한 3 고원부 우익수
3루수 한대화 4 유승안 포수
지명타자 박철우 5 강정길 1루수
좌익수 김종모 6 김상국 지명타자
우익수 김평호 7 김성갑 3루수
포수 장채근 8 장종훈 유격수
2루수 조충열 9 조양근 2루수
투수 선동열 SP 이상군 투수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1989 한국시리즈 1차전 / 해태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svg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화이트).svg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1989 한국시리즈 1차전 / 빙그레 이글스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

5.1.2. 스코어보드

한국시리즈 1차전, 10월 26일 목요일, 18:00 ~ 20:54 (2시간 54분),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해태 선동열 0 0 0 0 0 0 0 0 0 <colbgcolor=#dcdcdc,#222222> 0 6 - -
빙그레 이상군 1 0 0 0 0 0 0 3 - 4 5 - -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 캐스터: 이세진 | 해설: 하일성[타사중계1]
승리: 이상군, 패배: 선동열, 세이브: 한희민
홈런: 이강돈(1회, 빙그레)

5.1.3. 경기 내용

해태의 1차전 선발은 당연하지만 선동열이었고, 빙그레는 이에 맞서 팀의 에이스 이상군을 올렸다. 경기 시작과 함께 묘한 기운이 흘렀는데, 1회말 공격에서 이강돈이 선동열 상대로 백스크린을 넘기는 선두타자 홈런을 날린 것. 그 뒤로 빙그레는 선동열의 공을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면서 선동열 상대로 8개의 볼넷을 얻으면서 지독하게 괴롭혔다. 점수를 많이 뽑지 못하긴 했지만 자신들의 공격을 길게 가져가면서 이상군에게 여유를 준 것은 소득이었다. 이상군도 팀의 기대에 부응하며 해태 타선을 요리했다.

해태는 8회초 2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지만, 백인호의 플라이로 물러났고, 위기를 넘긴 빙그레는 곧바로 8회말 공격에서 선동열 상대로 2사 1루, 2루의 찬스를 잡은 후, 김상국의 2타점 2루타와 한대화의 실책을 묶어 3점을 뽑으면서 시리즈의 기선을 확실하게 제압했다. 시리즈 전 해태가 유리할 것이라던 전문가들의 예상 및 빙그레의 우려는 선동열을 눌러버림으로써 기우로써 종식시켰던 것.

참고로 이 경기는 해태 타이거즈가 최초로 1차전에서 패배를 당한 경기이다.[4]

5.2. 2차전

5.2.1. 라인업

2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해태 타이거즈 타순 빙그레 이글스
<rowcolor=#ffffff>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중견수 이순철 1 이강돈 좌익수
우익수 조재환 2 이정훈 지명타자
1루수 김성한 3 고원부 우익수
지명타자 박철우 4 유승안 포수
3루수 한대화 5 강정길 1루수
유격수 백인호 6 이중화 중견수
좌익수 김종모 7 강석천 3루수
포수 장채근 8 장종훈 유격수
2루수 조충열 9 조양근 2루수
투수 조계현 SP 한용덕 투수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1989 한국시리즈 2차전 / 해태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svg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화이트).svg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1989 한국시리즈 2차전 / 빙그레 이글스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

5.2.2. 스코어보드

한국시리즈 2차전, 10월 27일 금요일, 18:00,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해태 조계현 1 1 3 0 1 0 0 0 0 <colbgcolor=#dcdcdc,#222222> 6 10 - -
빙그레 한용덕 4 0 0 0 0 0 0 0 0 4 10 - -
중계방송사: 파일:MBC 로고(1986-2005).svg | 캐스터: 김용 | 해설: 박영길, 김소식[타사중계2]
승리: 신동수, 패배: 송진우, 세이브: 이강철

5.2.3. 경기 내용

해태의 선발은 조계현, 빙그레의 선발은 한용덕이었다. 해태가 1회초에 2사 2루에서 박철우의 내야 안타와 상대 송구 실수를 틈타 이순철이 홈을 파면서 먼저 선취점을 냈다. 그러나 빙그레는 조계현 상대로 1회말에 안타 4개와 볼넷 2개를 묶어 단숨에 4점을 내면서 승부를 뒤집었다. 해태도 정말 끈질겨서 2회 바뀐 투수 김대중 상대로 1점을 만회했고, 다시 3회초에는 빙그레의 3번째 투수 송진우 상대로 1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다. 그리고 타석에 들어선 백인호의 타구는 유격수 앞 땅볼이 되면서 찬스가 날라가는가 싶었다.

그런데...

유격수 장종훈이 그만 알을 까고 만다.[6]

이 통한의 알까기로 동점을 허용했고, 이어지는 찬스에서 희생플라이가 나오며 간단히 역전했다. 그리고 5회초에 다시 유격수 황대연이 병살 타구를 받아 1루로 송구한 것이 뒤로 빠지면서 또 실점했다. 반대로 해태는 신동수가 역전 직후인 5회 1아웃까지를 소화하고, 그 뒤에 나온 이강철이 8회말 1사 2루, 3루의 찬스를 내주기는 했지만 무실점으로 틀어 막으면서 결국 경기는 해태의 승리로 끝났다. 이 날 빙그레가 저지른 3개의 실책은 모두 득점과 연결되고 말았다.

이날 빙그레가 기록한 3실책의 후폭풍은 엄청났다. 단순히 이날 경기에서 패한 것 뿐만 아니라, 1차전을 선점해서 분위기를 탄 빙그레의 팀 분위기를 한순간에 흐트러뜨림은 물론 해태와 빙그레 양팀의 분위기까지 바꾸고 말았다. 결국 그것이 이후 빙그레의 4연패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이 2차전이 1989년 한국시리즈 전체를 결정한 경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28년 후에도 반복된다. 그리고 빙그레 입장에선 더 뼈아팠던게, 이 패배를 시작으로 1992년 KS 2차전까지 한국시리즈 10연패(敗)의 시발점이 된다.

5.3. 3차전

5.3.1. 라인업

3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빙그레 이글스 타순 해태 타이거즈
<rowcolor=#ffffff>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지명타자 이정훈 1 이순철 중견수
좌익수 이강돈 2 조재환 우익수
우익수 고원부 3 김성한 1루수
포수 유승안 4 박철우 지명타자
1루수 강정길 5 한대화 3루수
중견수 이중화 6 백인호 유격수
3루수 강석천 7 김종모 좌익수
유격수 장종훈 8 장채근 포수
2루수 조양근 9 조충열 2루수
투수 한희민 SP 문희수 투수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1989 한국시리즈 3차전 / 빙그레 이글스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1989 한국시리즈 3차전 / 해태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svg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화이트).svg

5.3.2. 스코어보드

한국시리즈 3차전, 10월 29일 일요일, 14:00 ~ 16:07 (2시간 7분), 무등 야구장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빙그레 한희민 0 0 0 0 0 0 0 0 0 <colbgcolor=#dcdcdc,#222222> 0 5 - -
해태 문희수 0 1 0 1 0 0 0 0 - 2 7 - -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 캐스터: 정도영 | 해설: 하일성[타사중계3]
승리: 문희수, 패배: 한희민, 세이브: 선동열

5.3.3. 경기 내용

빙그레는 선발로 한희민을, 해태는 1988년의 영웅 문희수를 선발로 내세웠다. 기선은 빙그레가 잡을 뻔 했다. 1사 3루에서 고원부의 플라이 때, 이정훈이 홈을 파고 들다가 그만 김종모의 송구에 아웃되면서 선제점을 뽑을 기회를 놓쳤다. 반대로 해태는 2회말에 한대화의 적시타로 박철우가 득점했고, 4회말에는 김종모의 적시타로 다시 박철우가 득점하면서 점수를 내 먼저 2:0으로 앞서 갔다.

문희수의 투구에 7이닝 무실점으로 철저하게 눌리던 빙그레는 8회 선두 타자가 나갔지만, 치고 달리기 때 허무하게 주루사를 당하면서 찬스를 날렸다.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빙그레는 9회초 선동열 상대로 무사 2루, 3루의 절호의 찬스를 잡았지만 여기서 고원부가 삼진, 유승안이 땅볼, 강정길이 플라이로 물러나면서 동점 찬스를 허무하게 날리며 경기를 패하고 말았다.

이 경기는 역대 포스트시즌 최단 경기 시간이다(2시간 7분).

5.4. 4차전

5.4.1. 라인업

4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빙그레 이글스 타순 해태 타이거즈
<rowcolor=#ffffff>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중견수 이중화 1 이순철 중견수
좌익수 이강돈 2 조재환 우익수
우익수 고원부 3 김성한 1루수
포수 유승안 4 박철우 지명타자
1루수 강정길 5 한대화 3루수
지명타자 김상국 6 백인호 유격수
3루수 강석천 7 김종모 좌익수
유격수 황대연 8 장채근 포수
2루수 조양근 9 조충열 2루수
투수 이상군 SP 김정수 투수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1989 한국시리즈 4차전 / 빙그레 이글스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1989 한국시리즈 4차전 / 해태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svg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화이트).svg

5.4.2. 스코어보드

한국시리즈 4차전, 10월 30일 월요일, 18:00, 무등 야구장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빙그레 이상군 0 0 0 0 0 1 0 0 1 <colbgcolor=#dcdcdc,#222222> 2 7 - -
해태 김정수 0 0 2 1 0 2 0 1 - 6 10 - -
중계방송사: 파일:MBC 로고(1986-2005).svg | 캐스터: 임주완 | 해설: 박영길, 김소식[타사중계4]
승리: 김정수, 패배: 이상군, 세이브: 이강철
홈런: 이순철 (3회 2점), 한대화 (4회 1점), 김성한 (6회 2점, 8회 1점) (이상 해태), 장종훈 (9회 1점) (빙그레)

5.4.3. 경기 내용

빙그레는 1차전의 영웅 이상군을 선발로 내세웠고, 해태는 가을의 남자 김정수를 선발로 내세웠다. 빙그레는 이상군을 믿었지만 불행히도 이상군은 사흘 휴식 후에 제 컨디션은 아닌 상황이었다. 그리고 김응용 해태 감독은 이상군의 변화구를 노리기 위해 타자들에게 타석 앞으로 좀 더 나갈 것은 지시한 상황이었다. 3회말 공격에서 해태는 이순철 선제 2점 홈런으로 먼저 기선을 잡았고, 4회말에는 한대화의 솔로 홈런으로 점수를 벌렸다. 빙그레 입장에서는 1회 1사 2루에서 이중화가 3루 도루를 시도하다가 잡힌 것과 2회 2사 1루, 2루에서 조양근의 타구를 잡아낸 해태 김종모의 호수비가 뼈아팠다.

6회초 빙그레는 유승안의 안타로 1점 추격했지만, 해태는 곧바로 6회말 공격에서 김성한의 2점 홈런으로 달아났고, 8회말에는 김성한의 연타석 홈런으로 승부를 완전히 굳혔다. 빙그레가 9회초 공격에서 장종훈의 솔로 홈런으로 1점 추격했지만 경기는 이미 뒤집을 수 없었다.

5.5. 5차전

5.5.1. 라인업

5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해태 타이거즈 타순 빙그레 이글스
<rowcolor=#ffffff>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중견수 이순철 1 김성갑 3루수
우익수 조재환 2 이강돈 중견수
1루수 김성한 3 고원부 우익수
지명타자 박철우 4 유승안 포수
3루수 한대화 5 전대영 1루수
유격수 백인호 6 장종훈 지명타자
좌익수 김종모 7 황병일 좌익수
포수 장채근 8 황대연 유격수
2루수 조충열 9 조양근 2루수
투수 신동수 SP 한희민 투수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1989 한국시리즈 5차전 / 해태 타이거즈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svg파일:해태 타이거즈 워드마크(1982~1995/화이트).svg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svg 1989 한국시리즈 5차전 / 빙그레 이글스 선발 라인업

LF

CF

RF

SS

2B

3B

SP

1B

DH

C
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파일:빙그레 이글스 심볼.svg

5.5.2. 스코어보드

한국시리즈 5차전, 11월 1일 수요일, 18:0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해태 신동수 2 0 2 1 0 0 0 0 0 <colbgcolor=#dcdcdc,#222222> 5 9 - -
빙그레 한희민 0 1 0 0 0 0 0 0 0 1 5 - -
중계방송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 캐스터: 이세진 | 해설: 하일성
5차전 영상 다시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유튜브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승리: 선동열, 패배: 한희민
홈런: 전대영 (2회 1점) (빙그레)

5.5.3. 경기 내용

해태는 선발로 신동수를, 빙그레는 선발로 한희민을 내세웠다. 그러나 시리즈 도중 부상을 입은 한희민은 정상 컨디션이 아니었고, 해태는 그런 한희민을 가볍게 두들겼다. 1회초 공격에서 1사 만루의 찬스를 잡아 한대화의 희생플라이와 백인호의 2루타로 가볍게 2점을 냈다. 2회말 공격에서 빙그레가 전대영의 홈런으로 추격하자, 곧바로 3회초 공격에서 박철우의 2루타와 백인호의 스퀴즈로 다시 2점을 더 냈다. 그리고 4회초에는 빙그레의 실책으로 다시 1점 추가했다.

4회말 빙그레는 신동수를 상대로 무사 1루, 2루의 찬스를 잡았다. 그러나 이 때 등장한 것은 해태의 절망의 벽 선동열. 이미 3차전에서 무사 2루, 3루의 위기도 넘긴 선동열에게 무사 1루, 2루는 위기도 아니었다. 선동열은 4회 무사 1루, 2루에 등장해 9회까지 던지면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빙그레 타선을 침묵시켰다. 빙그레가 7회 무사 1루, 2루와 9회 1사 1루, 2루의 최후의 찬스를 잡았지만 결국 무득점으로 경기가 끝났고, 해태는 사상 초유의 한국시리즈 4연패라는 대기록을 달성한다.

6. 총평

6.1. 우승: 해태 타이거즈

1차전을 졌으나 그이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을 내리 이기며 4승 1패로 4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6.2. 준우승: 빙그레 이글스

파일:/image/018/2015/12/21/PS15122100140g_99_20151221131603.jpg
1차전을 이겼으나 그 이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을 내리 지며 1승 4패로 한국시리즈에서 준우승을 했다. 2년 연속 해태에게 한국시리즈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7. 여담

  • 2017 타이어뱅크 KBO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패하기 전까지 타이거즈가 1차전에서 패한 유일한 시리즈였다.[9] 그리고 그 시리즈에서 1패 후 4연승을 그대로 재현해낸다.
  • 5차전 9회말 선동열에게 삼진을 당하며 시리즈의 마지막 타자가 된 황대연의 아들 황인준은 아이러니하게도 해태의 후신 KIA 타이거즈에 지명되었다.
  • 이 때 해태가 달성한 한국시리즈 4연패라는 기록은 유일무이한 기록으로 남아있다가 훗날 삼성이 2011년~2014년까지 연속 우승하면서 타이 기록을 세우게 된다.[11]
  • 5차전 문단에 포함된 영상은 전설의 타이거즈 채널에서 제작한 영상이다.
  • 해태는 빙그레와의 한국시리즈 3회 모두 검빨 유니폼을 입은 채로 삼진으로 우승을 확정지었다.
  • 1차전 패배팀이 최종적으로 시리즈를 우승한 최초의 한국시리즈이다.
  • 타이거즈가 우승한 날짜들 중에 유일하게 11월인 한국시리즈이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1989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89 KBO 준플레이오프 1989 KBO 플레이오프 1989 KBO 한국시리즈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포스트시즌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

{{{#!wiki style="margin: -5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0029> 기본 정보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파일:기아 로고.svg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2군해태 타이거즈
선수단 선수단 명단선수단 등번호
경기장 1군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무등 야구장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2군 기아 챌린저스 필드전남 야구장
역사 역대 시즌해태 타이거즈 역사KIA 타이거즈 역사해태 왕조역대 유니폼해태-KIA 타이거즈 기록 및 인물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1호 기록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공사 현장 변천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3(V1) | 1986(V2) | 1987(V3) | 1988(V4) | 1989(V5) | 1991(V6) | 1993(V7) | 1996(V8) | 1997(V9) | 2009(V10) | 2017(V11) | 2024(V12)
역대 한국시리즈 1983 | 1986 | 1987 | 1988 | 1989 | 1991 | 1993 | 1996 | 1997 | 2009 | 2017 | 2024
현재 시즌 2026 시즌
응원단 응원단장 서한국장내 아나운서 김영호치어리더치어리더 팀장 정가예호돌이호걸이호야
응원 구단 응원가선수 응원가응원도구남행열차목포의 눈물고래사냥무등골 타이거즈풀카운트송노란 응원 막대(단무지)무등아재아재콘삐끼삐끼 춤
팬덤 갸티비전설의 타이거즈호랑이 사랑방V13을 위하여 응원하는 타이거즈디시인사이드 KIA 타이거즈 갤러리호랑이 가족 한마당
라이벌전 달빛 시리즈 | 헤리티지 시리즈 | 단군 매치
기타 이야깃거리사건·사고동열이도 없고, 종범이도 없고빵 사건LCK포박전문JJJ 라인광주광역시 스포츠해태 타이거즈 특징타이거즈 러브투게더일레븐타어강엘롯기헬로키티한롯기기롯삼한기나쌩·기상바 클럽이의리 챌린지잔루 타이거즈상대 전적홈런존 저주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구단주역대 사장역대 감독2군 역대 감독역대 단장역대 주장역대 응원단장역대 장내 아나운서역대 1차 지명역대 지명역대 외국인 선수2009 레전드 올스타2020 레전드 올스타영구 결번프런트코칭 스태프응원단1군 엔트리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

{{{#!wiki style="margin: -5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fff> 2025 시즌 한화 이글스/2025년 |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 | 시범경기 |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2025 시즌 주요인물 김경문 감독 · 2025년 | 손혁 단장 · 2025년 | 채은성 주장 · 2025년
구단 정보 빙그레 이글스 | 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2군 | 한화그룹
구단 기본 정보 팀 컬러 | 선수단 | 스타 플레이어 | 등번호 | 유니폼
역사 <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fff>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99(V1)
역대 한국시리즈 1988 | 1989 | 1991 | 1992 | 1999 | 2006 | 2025
영구 결번 35 장종훈 | 21 송진우 | 23 정민철 | 52 김태균
일반 정보 구단 역사 | 암흑기(5886899678) | 역대 트레이드 | 사건 사고 | 상대 전적
경기장 1군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1호 기록 · 몬스터월 홈런) | 청주 야구장
2군 서산전용연습구장
이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기타 구단 마리한화 | 칰무원 | 엘넥한 | 엘롯한 | 한롯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수리 | 치고바꼬
선수 행복수비 | 한나쌩·한상바 클럽 | 프랜차이즈 스타 | 김고추정이 | 살려조 | 변노유 | 문문듀오 | 노채안 | 문노채
응원 응원단장 | 치어리더 | 팀 응원가 | 선수 응원가 | 육성응원 | 나는 행복합니다 | 한화의 김성근 감독님 사랑해
콘텐츠 구단 공식 SNS(Eagles TV) |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 | 찐팬구역
한화 이글스 갤러리 | Only One Hanwha | 작은 오류 | 고산병 }}}}}}}}}

[1] 1980년대 KBS 프로야구 중계의 1선발 격이었다. 1990년대 들어서는 경기장보다는 스튜디오에서 중계 프로를 진행하는 경우가 잦아졌고, 2000 시드니 올림픽까지 KBS 중계진에 합류했다.(단, 서울 올림픽에서는 야구, 육상, 기계체조, 근대5종 중계를 담당했고,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표영준 캐스터가 야구 중계를 담당했고, 이세진 캐스터는 유도, 육상, 근대5종 중계를 맡았다.)[2] 볼드체는 당시 주장이었던 선수.[타사중계1] MBC 라디오 캐스터 고창근 - 해설 이호헌.[4] 이후 해태-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1차전 패배는 2017 타이어뱅크 KBO 한국시리즈가 유일하다.[타사중계2] KBS 제2라디오 캐스터 유수호 - 해설 ○○○.[6] 이날 경기에서 장종훈의 실책을 보고 해설진이 한 말이 유격수 땅볼 병살 코스. 아, 놓쳤습니다! 알을 깠습니다. 3루 주자 홈인! 2루 주자 홈인! 4대4 동점! 그리고 주자 3루! 1루! 유격수의 더블 플레이 코스에서 결정격인 실책입니다. 참고로 대한민국 프로야구 레전드 10인 장종훈 편에 나와 있다.[타사중계3] MBC 라디오 캐스터 양진수 - 해설 박영길.[타사중계4] KBS 제2라디오 캐스터 유수호 - 해설 하일성.[9] 차이점이 있다면, 2017년 한국시리즈는 홈구장에서 1차전 첫 패배였고, 1989년 시리즈 1차전은 대전 원정이었다는 것이다.[10] 놀라운 것은, 이 해 한국시리즈가 단일시즌 체제에서 치러진 첫 한국시리즈였다는 것이다.[11] 해태와는 차이가 있는데 삼성은 정규시즌-한국시리즈 4연속 통합 우승 기록이다. 해태의 한국시리즈 4연패 기간 중 통합 우승의 기준에 부합하는 해는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를 모두 석권하고 시즌 통합 승률까지 1위를 차지한 1988년 뿐이다. 1986년, 1987년, 1989년의 해태는 모두 전체 시즌 통합 승률 기준 순위에서 2위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