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1:47:15

철도 관련 정보

1. 개요2. 철도 노선 정보3. 철도차량 관련 정보4. 역 관련 정보5. 지역별 철도 현황
5.1. 아시아5.2. 유럽5.3. 아메리카
5.3.1. 북미5.3.2. 남미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6. 안내방송/멜로디7. 용어
7.1. 종류7.2. 철도 회사/운영 주체7.3. 시설7.4. 기술/규격/건설7.5. 운영7.6. 동호활동/속어7.7. 관계 법령7.8. 학문7.9. 직종
8. 관련 문서

1. 개요

철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

2. 철도 노선 정보

2.1. 종류별 목록

2.1.1. 고속철도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파일:CRH 로고.svg
파일:CRH(푸싱호 계열) 로고.sv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홍콩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파일:NHSRCL 로고.svg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afrosiyob.jp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하라마인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알 보라크 로고.svg 파일:Whoosh.jpg
유럽 · 북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프랑스·스위스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Renfe_AVE.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LeFrecce.jpg
파일:italo.png
파일:Avanti West Coast.png 파일:LNER Logo.png
파일:GWR 로고.svg 파일:East_Midlands_Railway.png
파일:YHT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네덜란드·벨기에·오스트리아·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노르웨이·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ICE 로고.svg 파일:sj2000.png 파일:삽산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오스트리아·체코 러시아·핀란드
파일:체코국철.pn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allegrotrain.png
(영업중단)
프랑스·영국·벨기에·독일·네덜란드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fyra-logootje.png
(폐지)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Intercity Direct
파일:aplogo1.pn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발트3국(폴란드)
파일:acela.png 파일:브라이트라인 로고.svg EIP 파일:RBLOGO.png
파일:Texas_Central_logo.png* 파일:CAHSRA.png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tavbrasil.webp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2.1.2. 일반철도

2.1.3. 광역철도/도시철도/노면전차

2.2. 국가별 목록

2.2.1. 대한민국/북한

2.2.2. 해외

3. 철도차량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차량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철도역 구조 유형
지상역 선상역 반지하역
선하역 고가역 지하역

||<:><-4><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2d2f34>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
승강장의 높이에 따른 구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저상홈 중상홈 고상홈 }}}
승강장의 형태에 따른 구분
그 외
기타
파일:삼태극.svg 철도 환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환승역
개념환승 막장환승
간접환승
대한민국 지하철 환승 정보
수도권 전철 기타 지역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급행 미정차 환승역
관련 문서
환승 게이트, 환승띠, 환승저항, 환승음악, 이명환승역 }}}}}}}}}

4.1. 국가별 목록

4.1.1. 대한민국

4.1.2. 일본

4.1.3. 기타

5. 지역별 철도 현황[1]

세계의 철도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ASEAN 깃발.svg
동남아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베트남 · 태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중앙아시아
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

5.1. 아시아

5.1.1. 대한민국/북한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KTX, KTX-산천, KTX-청룡, SRT(SR 운영)
준고속 KTX-이음
특급 ITX-청춘
급행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특급/급행 광역전철
보통 일반 광역전철
관광 틀 참고
폐지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1969
특급열차 보급열차 준급열차 보통열차
1969-1974 관광호 특급열차 보급열차
1974-1977 새마을호
1977-1982 우등열차 특급열차 보급열차
보통열차
1982-1984
1984-2000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2000-2004 -
2004-2009 파일:KTX BI.svg -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2009-2010
파일:누리로 BI.svg
2010-2012 파일:KTX-산천 BI.svg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2012-2014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파일:누리로 BI.svg
2014-2021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2021-2023 파일:KTX-이음.png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2023-2024 새마을호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파일:ITX-마음 BI.svg
2024-현재 파일:KTX-청룡 bi.svg 파일:KTX-이음.png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파일:ITX-마음 BI.svg }}}}}}}}}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한국철도공사관광열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새마을호 등급
레일크루즈 해랑 정선아리랑열차(A)
교육열차(E) 서해금빛열차(G)
남도해양열차(S) 백두대간협곡열차(V)
동해산타열차 에코레일관광열차
무궁화호 등급
전통시장관광열차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폐지
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 부울경테마관광열차
환상선눈꽃순환열차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중부내륙순환열차(O) 경북나드리열차
평화생명관광열차(DMZ) 바다열차 }}}}}}}}}
<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일반열차 화물열차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그 외 수도권 전철
비수도권 광역전철 동남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티머니 티머니(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이즐H(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한국철도공사 레일플러스H
iM유페이 원패스(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기타 payOn · R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탑캐시) · A-Cash · K-Cash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국토교통부_국문_흰색글자.svg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1차
(2006~2015)
2차
(2011~2020)
3차
(2016~2025)
4차
(2021~2030)
5차
(2026~2035)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_하양.svg 북한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C60C30><colcolor=#fff> 태양호
국제 평양 ~ 단둥 / 평양 ~ 베이징 / 평양 ~ 모스크바
급행 급행
준급행 준급행
일반 완행
보통 통근 }}}}}}}}}

5.1.2. 일본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의 교통 패스
JR패스[전국구] 홋카이도권 동일본권 도카이권 서일본권
시코쿠권 큐슈권 도서 지역 복수 지역
{{{#!folding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패스 - 펼치기 · 접기 ] JR패스[전국구] 청춘 18 티켓[전국구] 가을 무제한 패스[전국구]
JR 그룹 공통
홋카이도 레일 패스 삿포로-노보리베츠 에리어 삿포로-후라노 에리어
JR 홋카이도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JR 도쿄 와이드 패스 JR 동일본 패스(도호쿠) JR 동일본 패스(나가노)
JR 동일본
도쿄 1일 승차권 도쿄 시내 패스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큥♥패스
JR 도카이
JR서일본 전지역 패스 간사이 패스 간사이 와이드 패스
JR 서일본
산요 산인 패스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세토우치 패스[복수]
올 시코쿠 레일 패스 세토우치 패스[복수]
JR 시코쿠
JR큐슈 레일패스 (남큐슈) JR큐슈 레일패스 (북큐슈) JR큐슈 레일패스 (전큐슈)
JR 큐슈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민간 사철 패스 간사이 레일웨이 패스 오사카 주유패스 SUNQ 패스
그레이터 도쿄 패스 도쿄 서브웨이 티켓
판매 중지 패스 한일공동승차권 요카요카킷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JR 계열 Suica
JR 동일본
JE
Kitaca
JR 홋카이도
JH
TOICA
JR 도카이
JC
ICOCA*
JR 서일본
JW
SUGOCA
JR 큐슈
JK
사철·버스·지자체 PASMO
간토권
PB
SAPICA
삿포로시
SP
manaca
나고야권
TP
PiTaPa*
케이한신권
SU
icsca
센다이시
SK
하야카켄
후쿠오카시
FC
nimoca
규슈하코다테시
시모노세키시
NR
DESUCA
토사덴 교통
DE
IruCa
코토덴
KD
AYUCA
기후
승합자동차
GB
PASPY
히로시마권
HI
OKICA
오키나와
OK
LuLuCaP
시즈오카 철도
ST
HarecaP
오카야마현
RB
kinocaP
와카야마버스
WK
KURURU
나가노현
NA
RYUTO
니가타교통
NB
RapiCa
가고시마 시 교통국
NORUCA
후쿠시마 교통
FK
ASACA
아사히카와 전기궤도
IC이~카드
이요 철도
IY
버스카드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
이밧피
이바라키 교통
IB
Do카드
도호쿠 버스
EMICAP
미에교통
MT
나이스 패스
엔슈 철도
ET
ICa
호쿠리쿠 철도
HT
에누타스 T카드
나가사키 자동차
KA
ECOMYCA
도야마 지방철도
TC
itappyP
이타미시 교통국
IT
CI-CAP
나라교통
NK
NicoPaP
신키버스
SH
란덴카드P
케이후쿠 전기철도
KF
hanicaP
한큐버스
HH
낫치P
난카이버스
BN
TsukicaP
타카츠키시 교통국
TK
쿠마몬의 IC카드
구마모토현
KM
이와사키 IC카드
가고시마
IW
색 항목은 상호호환 대상 카드 (정기권 이용 및 자동 충전 등 제외)
색 항목은 상호호환 카드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경우
색 항목은 비표준 규격 등의 문제로 상호호환 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P 항목은 PiTaPa와 관련된 자체 카드
사업자 명칭 하단의 알파벳은 카드번호 앞 2자리(사업자 코드)임.
* ICOCA, PiTaPa는 JR 계열, 사철·시 교통국·버스계 모두로 분류됨
오픈 루프
OL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파일:JCB 로고.svg 파일: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심볼.svg 파일:디스커버 로고.svg파일:디스커버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니온 페이 로고 (2022).svg
OL 현재 일본의 EMV Contactless 결제 기반 오픈 루프 도입은 상기 5개 글로벌 카드 브랜드들과 미쓰이스미토모은행, 일본신호, QUADRAC이 연합한 기업 연합체인 Stera Transit에서 진행 중이며, 일본 내 오픈 루프 서비스에 활용되는 클라우드 시스템 플랫폼의 이름을 따 Q-move라고도 일컬어짐
그 외 일부 사업자는 라쿠텐 Edy, 이온그룹 WAON, 세븐&아이 홀딩스 nanaco, NTT 도코모 iD, JCB QUICPay 등의 유통계 전자 화폐 또는 Felica 기반 신용 결제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
}}}}}}}}} ||


5.1.3. 중화권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화권의 교통카드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중국이카퉁* (여러 지역) / 상하이공공교통카드 (상하이시)
옥토퍼스 카드 (홍콩) / 마카오 패스 (마카오)
대만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대만 전 지역)
}}}}}}}}} ||

5.1.3.1. 중국
CRH(고속) 일반
G D C Z T K(N) -
5.1.3.2.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완의 열차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운영기관 등급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타이완 고속철도
台灣高速鐵路
고속열차
高鐵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타이완철로유한회사
臺灣鐵路股份有限公司
<colbgcolor=#ffa500> 쯔창하오
自强號
타이루거하오1
太魯閣號
푸유마하오2
普悠瑪號
쥐광하오
莒光號
구간쾌차
區間快車
구간차
區間車
파일:800px-ROC_Forestry_Bureau_Seal.svg.png
농업위원회 임무국
農業委員會林務局
아리산삼림열차3
阿里山林業鐵路
1.정식명칭은 타이루거쯔창하오(太魯閣自强號)
2.정식명칭은 푸유마쯔창하오(普悠瑪自强號)
3.자이까지 운행하는 아리산호(阿里山號)와
아리산 내에서만 운행하는 주산선형객차(祝山線型客車)로 나뉨
}}}}}}}}} ||

5.1.4. 기타

5.2. 유럽

철도 회사/유럽 참조.
파일:레일팀 로고.svg
레일팀 회원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파일:SNCF 로고.svg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 파일:스위스 연방철도 로고.svg
}}}}}}}}} ||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고속열차 🚅 특급열차(D-zug)
파일:ICE 로고.sv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인터시티(유럽) 로고.svg EN 파일:ÖBB_Nightjet_logo.svg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급행열차 🚃 보통열차 🚃 광역철도
<colbgcolor=#fff,#191919> RE RB&RZ S-bahn
}}}}}}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의 철도 회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그레이터 런던 Arriva Rail London · Govia Thameslink Railway · Heathrow Express · Elizabeth line MTR · Transport for London
사우스 잉글랜드 c2c · Chiltern Railways · Great Western Railway · Greater Anglia · South Western Railway · Southeastern · West Midland Trains
미들랜즈 East Midlands Railway
노스 잉글랜드 Nexus · Northern · TransPennine Express
웨일스 Merseytravel · Transport for Wales Rail
스코틀랜드 ScotRail · Strathclyde Partnership for Transport
전역 Avanti West Coast · Caledonian Sleeper · CrossCountry · Grand Central · Hull Trains · London North Eastern Railway · Lumo
기타 Eurostar · National Rail · NI Railways · Network Rail
}}}}}}}}} ||
파일:SNCF 로고.svg 프랑스 열차 등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
Train Grande Vitesse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 특급열차
파일:앵테르시테 로고.svg
🚈 급행열차
파일:TER 로고.svg
🚃 광역철도
파일:Paris_transit_icons_-_RER.svg.png 파일:트랑지리엥 로고.svg
}}} ||
파일:Renfe 로고.svg 스페인 열차 등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
Alta Velocidad Española
파일:Renfe_AVE.svg 파일:Avant.svg 파일:Renfe_Alvia.svg Euromed
🚅 특급열차
InterCity
🚈 급행열차
Media Distancia Regional Exprés Regional
🚃 광역철도
Cercanías
}}} ||

5.2.1. 러시아

5.3. 아메리카

5.3.1. 북미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아메리카 Class I 철도 회사 파일:멕시코 국기.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암트랙 로고.svg 파일:BNSF 로고.svg 파일:CSX 로고.svg 파일:노퍽 서던 로고.svg
파일:유니온 퍼시픽 로고.svg 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로고.svg 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멕시코 로고.svg 파일:페로멕스 로고.svg
파일:비아 레일 로고.svg 파일:캐네디언 퍼시픽 로고.svg 파일:캐네디언 내셔널 로고.svg 파일:그랜드 트렁크 로고.svg
파란색은 미국 회사, 빨간색은 캐나다 회사, 초록색은 멕시코 회사이다.
GT는 CN의 미국 내 운영 자회사이므로 CN 옆에 두었다.
}}} ||

5.3.2. 남미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6. 안내방송/멜로디

7. 용어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7.1. 종류

7.2. 철도 회사/운영 주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회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시설

역과 관련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참조.

||<table align=center><table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5>철도의 구조||
레일 레일
침목
도상(철길 지지 구조)
노반
기타 분기기 | 전차선 (가공전차선 | 제3궤조집전식 | 전자기유도집전)
<rowcolor=#ffffff> 철도 보안장비
통표폐색 - 타자식 ATS - AWS - ATS - ATP - ATC/TVM/LZB - CBTC/ATACS
번외: ATO[주의], TASC
[주의] ATO는 '신호보안장비'가 아님.
위 장비들은 개발시기 순이 아닌, 도입시기 순으로 정렬됨.

7.4. 기술/규격/건설

궤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궤간의 넓이
좁음 ← 1435mm → 넓음
협궤 표준궤 광궤
이외
듀얼게이지 궤간가변 개궤 }}}}}}}}}

7.5. 운영

대중교통의 좌석 등급
일등석
(프리미엄 버스)
우등석
(항공)
일반석
(프리미엄/베이직)
교통약자석: 휠체어석, 임산부 배려석
기타 좌석 분류: 철도/이용 방식, 자유석, 입석, 비상구 좌석, 벌크석

7.6. 동호활동/속어

7.7. 관계 법령

7.8. 학문

7.9. 직종

7.9.1. 철도 관련 자격증

철도 분야 자격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09. 운전/운송>>091.운전/운송 - 철도운송산업기사 - -
14. 건설>>142.토목 철도토목기능사 철도토목산업기사
(2022년 폐지)
철도토목기사 철도기술사
16. 기계>>163. 철도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 철도차량기술사
철도차량정비기능장
20. 전기전자>>201. 전기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국가전문자격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
}}}}}}}}} ||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골라먹는 재미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1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기능사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철도토목기능사[23]
산업기사철도운송산업기사[24]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토목산업기사[25]
기사철도차량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토목기사
기능장철도차량정비기능장
기술사철도차량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기술사[26]
기타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디젤차량운전면허
철도장비운전면허
노면전차운전면허

7.9.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8.1. 철도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기록

8.2.1. 한반도

  • 극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평해역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4]
김포공항역(서해선)[5]
영광역[6]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2] DMZ-train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2025년 8월까지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5년 8월 무궁화호 투입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3] 2025년 6월 남해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4]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5] 지표면 기준이다.[6]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 세부사항 펼치기 · 접기 ]
||<-3><table align=center><#0000ff> 도시철도/광역철도 한정 ||
남한만 북한 포함
최동단 동해선 태화강역
최서단 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평양 혁신선 광복역
최남단 부산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최북단 수도권 1호선 연천역 평양 혁신선 락원역
최고/최저점[27]
최고남한만 태백선 추전역 +855m
북한 포함 백무선 북계수역 +1,750m
최저남한만 서해선 김포공항역[※] -83m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27.5m
북한 포함 평양 지하철도 ???역 최소 -100m 이상[29]
  • 가장 깊은 신호장
대관령신호장 약 -350m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철도 전체 서울역 294,098명[30]
도시철도 강남역 202,174명[31]
  • 가장 긴 노선
평라선 801.9km
  • 가장 긴 터널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 50.3km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5.8km

8.2.2. 세계

  • 가장 긴 편성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북한 평양역 10,214 km[32]
  • 가장 긴 노선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9,334 km
  • 최북단 역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북위 68도 58분
  • 가장 높은 역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해발 5,072m
  • 이용객수 최다
일본 신주쿠역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세계 최초 노선
정규노선[33]스톡턴-달링턴 철도1825년
지하철런던 지하철1863년

8.3.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2]KR패스[3]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4]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 2017년 폐지.[5]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6] 대만에서 도시철도를 가리키는 말. 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의 내용을 한정으로 하는 단어로 보면 된다.[7] 타이완 철도관리국[패스] [9] 싱가포르우드랜즈 역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열차등급] [운임] [패스] [승차권] [열차등급] [패스] [패스] [17] 철도 연계 페리[18]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하고 있다.[19] 얼씨구야가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이었고 2016년부터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서교공이 풍년(음악)으로 갈아치워 대표 이미지가 퇴색됐다.[20]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21]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22] 철도 노선 현황을 다루는 '고시'이므로 넓게 보면 합당함.[23]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드디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24]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25] 2022년 폐지[26]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27] 특별한 표시가 없을 시 해발고도를 의미함.[※] 지표면 기준[29] 영광역 깊이가 150m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30] 광역/도시철도(192,179명)+고속/일반철도(101,919명), 2019년 기준[31] 2호선만 집계. 2019년 기준[32] 기네스북 기록[33] 시범용은 전에도 있었으나 정식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