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2:09:53

철도 관련 정보


1. 개요2. 철도 노선 정보3. 철도차량 관련 정보4. 역 관련 정보5. 지역별 철도 현황
5.1. 아시아5.2. 유럽5.3. 아메리카
5.3.1. 북미5.3.2. 남미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6. 안내방송/멜로디7. 용어
7.1. 종류7.2. 철도 회사/운영 주체7.3. 시설7.4. 기술/규격/건설7.5. 운영7.6. 동호활동/속어7.7. 관계 법령7.8. 학문7.9. 직종
8. 관련 문서

1. 개요

철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

2. 철도 노선 정보

2.1. 종류별 목록

2.1.1. 고속철도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파일:세계 지도 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파일:CRH 로고.svg
파일:CRH(푸싱호 계열) 로고.sv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홍콩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파일:NHSRCL 로고.svg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afrosiyob.jp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하라마인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Whoosh.jpg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Renfe_AVE.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LeFrecce.jpg
파일:italo.png
파일:Avanti West Coast.png 파일:LNER Logo.png
파일:GWR 로고.svg 파일:East_Midlands_Railway.png
파일:YHT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ICE 로고.svg 파일:sj2000.png 파일:삽산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체코국철.pn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allegrotrain.png
(영업중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Intercity Direct 파일:aplogo1.pn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발트3국(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
EIP 파일:RBLOGO.png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acela.png 파일:브라이트라인 로고.svg 파일:tavbrasil.webp 파일:알 보라크 로고.svg
파일:Texas_Central_logo.png* 파일:CAHSRA.png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2.1.2. 일반철도

2.1.3. 광역철도/도시철도/노면전차

2.2. 국가별 목록

2.2.1. 대한민국/북한

2.2.2. 해외

3. 철도차량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차량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차량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차량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철도역 구조 유형
지상역 선상역 반지하역
선하역 고가역 지하역

||<:><-5><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2d2f34> 🚉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
승강장의 높이에 따른 구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저상홈 중상홈 고상홈 }}}
승강장의 형태에 따른 구분
파일:삼태극.svg 철도 환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환승역
개념환승 막장환승
간접환승
대한민국 지하철 환승 정보
수도권 전철 기타 지역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급행 미정차 환승역
관련 문서
환승 게이트, 환승띠, 환승저항, 환승음악, 이명환승역 }}}}}}}}}

4.1. 국가별 목록

4.1.1. 대한민국

4.1.2. 일본

4.1.3. 기타

5. 지역별 철도 현황[1]

세계의 철도 환경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ASEAN 깃발.svg
동남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중앙아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유럽
서유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북유럽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중·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아프리카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
<bgcolor=navy> 가나다순 정렬(대한민국 예외)

5.1. 아시아

5.1.1. 대한민국/북한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KTX, KTX-산천, KTX-청룡, SRT(SR 운영)
준고속 KTX-이음
특급 ITX-청춘
급행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특급/급행 광역전철
보통 일반 광역전철
관광 틀 참고
폐지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tcm.png
<colcolor=white>
통일호(前 특급열차) 1955. 8. 15.~2004. 4. 1.
KTX 2004. 4. 1.~
통근열차 2004. 4. 1.~2023. 12. 18.
누리로 2009. 6. 1.~
KTX-산천 2010. 3. 2.~
ITX-청춘 2012. 2. 28.~
ITX-새마을 2014. 5. 12.~
KTX-이음 2021. 1. 5.~
ITX-마음 2023. 9. 1.~
KTX-청룡 2024. 5. 1.~
회색 바탕
: 미운행 기간
이 표에는 1969년 1월 1일부터 2025년 1월 1일까지의 목록을 작성함
}}}}}}}}}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한국철도공사관광열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새마을호 등급
레일크루즈 해랑 정선아리랑열차(A)
교육열차(E) 서해금빛열차(G)
남도해양열차(S) 백두대간협곡열차(V)
동해산타열차 에코레일관광열차
무궁화호 등급
전통시장관광열차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폐지
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 부울경테마관광열차
환상선눈꽃순환열차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중부내륙순환열차(O) 경북나드리열차
평화생명관광열차(DMZ) 바다열차 }}}}}}}}}
<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일반열차 화물열차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그 외 수도권 전철
비수도권 광역전철 동남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티머니 티머니(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이즐H(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한국철도공사 레일플러스H
iM유페이 원패스 · 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기타 payOn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R · 센스패스(탑캐시) · A-Cash · K-Cash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국토교통부_국문_흰색글자.svg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1차
(2006~2015)
2차
(2011~2020)
3차
(2016~2025)
4차
(2021~2030)
5차
(2026~2035)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_하양.svg 북한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C60C30><colcolor=#fff> 태양호
국제 평양 ~ 단둥 / 평양 ~ 베이징 / 평양 ~ 모스크바
급행 급행
준급행 준급행
일반 완행
보통 통근 }}}}}}}}}

5.1.2. 일본

JR패스[전국구]
홋카이도권 동일본권 도카이권 서일본권
시코쿠권 큐슈권 도서 지역 복수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패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JR 그룹 공통
JR패스[전국구] · 청춘 18 티켓[전국구] · 가을 무제한 패스[전국구]
홋카이도 레일 패스 · 삿포로-노보리베츠 에리어 · 삿포로-후라노 에리어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JR 동일본 JR 도쿄 와이드 패스 · JR 동일본 패스(도호쿠) · JR 동일본 패스(신에츠) · 도쿄 1일 승차권 · 도쿄 시내 패스 · N'EX 도쿄 왕복 티켓 · 에치고 원데이 패스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 큥♥패스
JR 서일본 JR서일본 전지역 패스 · 간사이 패스 · 간사이 와이드 패스 · 산요 산인 패스 · 돗토리 마쓰에 패스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 세토우치 패스[복수]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JR 시코쿠 올 시코쿠 레일 패스 · 세토우치 패스[복수]
JR 큐슈 JR큐슈 레일패스 (남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북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전큐슈)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colbgcolor=#f5f5f5,#2d2f34> 간사이 레일웨이 패스 · 오사카 주유패스 · SUNQ 패스 · 그레이터 도쿄 패스 · 도쿄 서브웨이 티켓
판매 중지 패스
한일공동승차권 . 요카요카킷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JR 계열
사철·​버스·​지자체
IruCa
코토덴
KD
AYUCA
기후 승합자동차
GB
MOBIRY DAYS
히로덴 그룹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
MD
OKICA
오키나와
OK
kinoca[P]
와카야마버스
WK
이와사키 IC카드
가고시마
IW
RYUTO
니가타교통
NB
RapiCa
가고시마 시 교통국
ASACA
아사히카와 전기궤도
쿠마몬의 IC카드
구마모토현
KM
버스카드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
이밧피
이바라키 교통
IB
Do카드
도호쿠 버스
EMICA[P]
미에교통
MT
나이스 패스
엔슈 철도
ET
에누타스 T카드
나가사키 자동차
KA
itappy[P]
이타미시 교통국
IT
CI-CA[P]
나라교통
NK
NicoPa[P]
신키버스
SH
hanica[P]
한큐버스
HH
Tsukica[P]
타카츠키시 교통국
TK
오픈 루프
[OL]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파일:JCB 로고.svg
파일: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심볼.svg
파일:디스커버 로고.svg파일:디스커버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니온 페이 로고 (2022).svg
[ 설명 펼치기 · 접기 ]

[색상]
상호호환 대상 카드 (정기권 이용 및 자동 충전 등 제외)
상호호환 카드 일방 수용
비표준 규격 등의 문제로 상호호환 카드 이용 불가 (OKICA, NORUCA, MOBIRY DAYS 등 상호호환 카드를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경우 포함)
[알파벳] 사업자 명칭 하단의 알파벳은 카드번호 앞 2자리(사업자 코드)임.[*] ICOCA, PiTaPa는 JR 계열, 사철·버스·지자체 모두로 분류됨[*] [P] PiTaPa 연동형 자체 카드[P] [P] [P] [P] [P] [P] [P] [P] [P] [OL] 현재 일본의 EMV Contactless 결제 기반 오픈 루프 도입은 상기 5개 글로벌 카드 브랜드들과 미쓰이스미토모은행, 일본신호, QUADRAC이 연합한 기업 연합체인 Stera Transit에서 진행 중이며, 일본 내 오픈 루프 서비스에 활용되는 클라우드 시스템 플랫폼의 이름을 따 Q-move라고도 일컬어짐[기타] 일부 사업자는 라쿠텐 Edy, 이온그룹 WAON, 세븐&아이 홀딩스 nanaco, NTT 도코모 iD, JCB QUICPay 등의 유통계 전자 화폐 또는 Felica 기반 신용 결제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
}}}}}}}}} ||

5.1.3. 중화권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화권의 교통카드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중국 국기.svg중국교통카드/중국
옥토퍼스 카드 (홍콩) / 마카오 패스 (마카오)
파일:대만 국기.svg대만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대만 전 지역)
}}}}}}}}} ||

5.1.3.1. 중국
CRH(고속) 일반
G D C Z T K(N) -
5.1.3.2.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완의 열차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운영기관 등급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타이완 고속철도
台灣高速鐵路
고속열차
高鐵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타이완철로유한회사
臺灣鐵路股份有限公司
<colbgcolor=#ffa500> 쯔창하오
自强號
타이루거하오1
太魯閣號
푸유마하오2
普悠瑪號
쥐광하오
莒光號
구간쾌차
區間快車
구간차
區間車
파일:800px-ROC_Forestry_Bureau_Seal.svg.png
농업위원회 임무국
農業委員會林務局
아리산삼림열차3
阿里山林業鐵路
1.정식명칭은 타이루거쯔창하오(太魯閣自强號)
2.정식명칭은 푸유마쯔창하오(普悠瑪自强號)
3.자이까지 운행하는 아리산호(阿里山號)와
아리산 내에서만 운행하는 주산선형객차(祝山線型客車)로 나뉨
}}}}}}}}} ||

5.1.4. 기타

5.2. 유럽

철도 회사/유럽 참조.
파일:레일팀 로고.svg
레일팀 회원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파일:SNCF 로고.svg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 파일:스위스 연방철도 로고.svg
}}}}}}}}} ||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고속열차 🚅 특급열차(D-zug)
파일:ICE 로고.sv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인터시티(유럽) 로고.svg EN 파일:ÖBB_Nightjet_logo.svg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급행열차 🚃 보통열차 🚃 광역철도
<colbgcolor=#fff,#191919> RE RB&RZ S-bahn
}}}}}}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의 철도 회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영국국유철도(1948~1997)
그레이터 런던 Arriva Rail London · Govia Thameslink Railway · GTS Rail Operations Limited · Transport for London
사우스 잉글랜드 c2c · Chiltern Railways · Great Western Railway · Greater Anglia · South Western Railway · Southeastern
미들랜즈 East Midlands Railway · West Midland Trains
노스 잉글랜드 Nexus · Northern · TransPennine Express
웨일스 Merseytravel · Transport for Wales Rail
스코틀랜드 ScotRail · Strathclyde Partnership for Transport
전역 Avanti West Coast · Caledonian Sleeper · CrossCountry · Grand Central · Hull Trains · London North Eastern Railway · Lumo
기타 Eurostar · National Rail · NI Railways · Network Rail
대영철도(예정)
}}}}}}}}} ||
파일:SNCF 로고.svg 프랑스 열차 등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
Train Grande Vitesse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 특급열차
파일:앵테르시테 로고.svg
🚈 급행열차
파일:TER 로고.svg
🚃 광역철도
파일:Paris_transit_icons_-_RER.svg.png 파일:트랑지리엥 로고.svg
}}} ||
파일:Renfe 로고.svg 스페인 열차 등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
Alta Velocidad Española
파일:Renfe_AVE.svg 파일:Avant.svg 파일:Renfe_Alvia.svg Euromed
🚅 특급열차
InterCity
🚈 급행열차
Media Distancia Regional Exprés Regional
🚃 광역철도
Cercanías
}}} ||

5.2.1. 러시아

5.3. 아메리카

5.3.1. 북미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아메리카 Class I 철도 회사 파일:멕시코 국기.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암트랙 로고.svg 파일:BNSF 로고.svg 파일:CSX 로고.svg 파일:노퍽 서던 로고.svg
파일:유니온 퍼시픽 로고.svg 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로고.svg 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멕시코 로고.svg 파일:페로멕스 로고.svg
파일:비아 레일 로고.svg 파일:캐네디언 퍼시픽 로고.svg 파일:캐네디언 내셔널 로고.svg 파일:그랜드 트렁크 로고.svg
파란색은 미국 회사, 빨간색은 캐나다 회사, 초록색은 멕시코 회사이다.
GT는 CN의 미국 내 운영 자회사이므로 CN 옆에 두었다.
}}} ||

5.3.2. 남미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6. 안내방송/멜로디

7. 용어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7.1. 종류

7.2. 철도 회사/운영 주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회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회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회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시설

역과 관련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참조.
🛤️ 철도의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레일 레일
침목
도상(철길 지지 구조)
노반
기타 분기기 | 폐색 | 전차선 (가공전차선 | 제3궤조 집전식 | 전자기유도집전)
}}}}}}}}}}}} ||
<rowcolor=#ffffff> 🛤️🚦 철도 보안장비
통표폐색 - 타자식 ATS - AWS - ATS - ATP - ATC/TVM/LZB - CBTC/ATACS
번외: ATO[주의], TASC
[주의] ATO는 '신호보안장비'가 아님.
위 장비들은 개발시기 순이 아닌, 도입시기 순으로 정렬됨.

7.4. 기술/규격/건설

🛤️ 궤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궤간의 넓이
좁음 ← 1435mm → 넓음
협궤 표준궤 광궤
이외
듀얼게이지 궤간가변 개궤 }}}}}}}}}

7.5. 운영

💺 대중교통의 좌석 등급
일등석
(프리미엄 버스, 특실)
우등석
(항공, 우등실)
일반석
(프리미엄/베이직)
교통약자석: 휠체어석, 임산부 배려석
기타 좌석 분류: 철도/이용 방식, 자유석, 입석, 비상구 좌석, 벌크석

7.6. 동호활동/속어

7.7. 관계 법령

7.8. 학문

7.9. 직종

7.9.1. 철도 관련 자격증

철도 분야 자격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09. 운전/운송>>091.운전/운송 - 철도운송산업기사 - -
14. 건설>>142.토목 철도토목기능사 철도토목산업기사
(2022년 폐지)
철도토목기사 철도기술사
16. 기계>>163. 철도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 철도차량기술사
철도차량정비기능장
20. 전기전자>>201. 전기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국가전문자격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 관제자격증명 / 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
}}}}}}}}} ||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골라먹는 재미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1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기능사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철도토목기능사[23]
산업기사철도운송산업기사[24]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토목산업기사[25]
기사철도차량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토목기사
기능장철도차량정비기능장
기술사철도차량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기술사[26]
기타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디젤차량운전면허
철도장비운전면허
노면전차운전면허

7.9.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대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8.1. 철도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기록

8.2.1. 한반도

  • 극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강진역
최동단 기성역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3]
김포공항역(서해선)[4]
영광역[5]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개설되어 있어 현재 열차가 운행하지 않으나 2028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개통될 예정이다.[2] 다만 현재 열차가 운행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백마고지역에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6년 7월부터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할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3]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4] 지표면 기준이다.[5] 다만 북한 당국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 세부사항 펼치기 · 접기 ]
||<-3><table align=center><#0000ff> 도시철도/광역철도 한정 ||
남한만 북한 포함
최동단 동해선 태화강역
최서단 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평양 혁신선 광복역
최남단 부산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최북단 수도권 1호선 연천역 평양 혁신선 락원역
최고/최저점[27]
최고남한만 태백선 추전역 +855m
북한 포함 백무선 북계수역 +1,750m
최저남한만 서해선 김포공항역[※] -83m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27.5m
북한 포함 평양 지하철도 ???역 최소 -100m 이상[29]
  • 가장 깊은 신호장
대관령신호장 약 -350m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철도 전체 서울역 294,098명[30]
도시철도 강남역 202,174명[31]
  • 가장 긴 노선
평라선 801.9km
  • 가장 긴 터널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 50.3km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5.8km

8.2.2. 세계

  • 가장 긴 편성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북한 평양역 10,214 km[32]
  • 가장 긴 노선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9,334 km
  • 최북단 역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북위 68도 58분
  • 가장 높은 역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해발 5,072m
  • 이용객수 최다
일본 신주쿠역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세계 최초 노선
정규노선[33]스톡턴-달링턴 철도1825년
지하철런던 지하철1863년

8.3.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2]KR패스[3]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4]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 2017년 폐지.[5]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6] 대만에서 도시철도를 가리키는 말. 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의 내용을 한정으로 하는 단어로 보면 된다.[7] 타이완 철도관리국[패스] [9] 싱가포르우드랜즈 역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열차등급] [운임] [패스] [승차권] [열차등급] [패스] [패스] [17] 철도 연계 페리[18]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하고 있다.[19] 얼씨구야가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이었고 2016년부터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서교공이 풍년(음악)으로 갈아치워 대표 이미지가 퇴색됐다.[20]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21]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22] 철도 노선 현황을 다루는 '고시'이므로 넓게 보면 합당함.[23]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드디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24]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25] 2022년 폐지[26]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27] 특별한 표시가 없을 시 해발고도를 의미함.[※] 지표면 기준[29] 영광역 깊이가 150m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30] 광역/도시철도(192,179명)+고속/일반철도(101,919명), 2019년 기준[31] 2호선만 집계. 2019년 기준[32] 기네스북 기록[33] 시범용은 전에도 있었으나 정식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