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 문서는 역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 문서로서 역의 수와 정보량이 많아서 색인할 수 있게 작성했다. ● 표시는 관련 정보로 연결되며 ctrl+F로 색인 바람. 노선별 차량사업소는 철도 노선 정보 참조.2. 역 정보 일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환승역 | |
개념환승 | 막장환승 | |
간접환승 | ||
대한민국 지하철 환승 정보 | ||
수도권 전철 | 기타 지역 | |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 급행 미정차 환승역 | |
관련 문서 | ||
환승 게이트, 환승띠, 환승저항, 환승음악, 이명환승역 | }}}}}}}}} |
2.1. 역명 관련
'''[[대한민국| | |
병기역명 /목록 | 부역명 /목록 ·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 |
- 역 관련 정보/대학교 역명
- 역 관련 정보/지역 별 동명이역
- 역 관련 정보/동명이역을 피한 사례
- 역 관련 정보/두 지명이 들어간 역
- 역 관련 정보/종교·추도시설명이 들어간 역
- 역 관련 정보/고유어 역명
- 역 관련 정보/중간 미개통역
- 역 관련 정보/권내 역에 지자체명 없는 지역
2.2. 구조/시설
- 역사(驛舍)
- 표지판
- 대피선[2]
- 차막이
- 여객취급 시설
- 승강장
- 바로타
- 맞이방(=대합실)
- 개표구(=개찰구)
- 환승 게이트
- 매표소
- 화물취급 시설
- 부가/편의시설
- 대한민국
- 국제선 관련 시설
- 속어
철도역 구조 유형 | ||
지상역 | 선상역 | 반지하역 |
선하역 | 고가역 | 지하역 |
||<:><-4><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2d2f34>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
승강장의 높이에 따른 구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저상홈 | 중상홈 | 고상홈 | }}} | |||
승강장의 형태에 따른 구분 | |||||||
그 외 | |||||||
기타 |
2.3. 기타
- 역 정거장 등급 관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관리역1 | ||
보통역 | 운전간이역 | 배치간이역 | |
을종위탁발매소2 | 무배치간이역 (업무위탁역KN) | 임시승강장 | |
조차장 | 신호장 | 신호소 | |
1. 최고등급, 구 그룹대표역 |
3. 역 목록
3.1. 국내 철도역 목록
3.1.1. 대한민국 ●
3.1.2. 북한 ●
북한 지역은 헌법상 대한민국 영토이므로 해외 철도역 목록에 기재하지 않았다.
3.2. 해외 철도역 목록
아래는 나무위키에 항목이 개설된 해외 철도역의 일람이다.3.2.1. 네덜란드
3.2.2. 노르웨이
3.2.3. 뉴질랜드
3.2.4. 독일
3.2.5. 라오스
3.2.6. 러시아
3.2.6.1. 모스크바 지하철
- 루뱐카
- 리시스카야
- 마야콥스카야
- 베데엔하
- 파벨레츠카야 역
- 보로비요비 고리
- 비블리오테카 이메니 레니나
- 스포르티브나야
- 알렉세옙스카야
- 압토자보드스카야
- 오호트니 랴트
- 우니베르시테트
- 유고-자파드나야
- 콤소몰스카야 역
- 크로포트킨스카야
- 키옙스카야
- 키타이 고로드
- 테아트랄나야
- 투르게넵스카야
- 트베르스카야 역
- 파르크 쿨투리
- 파르크 포베디
- 파벨레츠카야
- 푸시킨스카야
- 프레오브라젠스카야 플로샤티
- 프로스펙트 미라
- 프로스펙트 베르나츠코보
- 프룬젠스카야
- 플로샤티 레볼류치
3.2.7. 룩셈부르크
3.2.8. 말레이시아
3.2.9. 미국
3.2.10. 베트남
3.2.11. 벨기에
3.2.12. 스웨덴
3.2.13. 스위스
3.2.14. 스페인
- 마드리드 아토차 역
3.2.15. 싱가포르
3.2.16. 영국 ●
3.2.17. 오스트리아
3.2.18. 일본 ●
3.2.19. 중국[5] ●
3.2.19.1. 대만
'한 중국' 원칙으로 중국 대륙에서 대만을 한 지방으로 여긴다.3.2.20. 프랑스
- 그르노블역
- 낭시 빌역
- 낭트역
- 니스 빌역
- 디종 빌역
- 렌역
- 르망역
- 리옹 파르디외역
- 릴 유럽역
- 릴 플랑드르역
- 마르세유 생 샤를역
- 메스 빌역
- 몽펠리에 생 로크역
- 뮐루즈 빌역
- 보르도 생 장역
- 샤를 드골 공항 제2터미널역
- 스트라스부르 빌역
- 아비뇽 TGV역
- 아미앵역
- 엑상프로방스 TGV역
- 툴루즈 마타비오역
- 파리 동역
- 파리 뤽상부르역
- 파리 리옹역
- 파리 몽파르나스역
- 파리 북역
- 파리 생 라자르역
- 파리 오스테를리츠역
3.2.21. 핀란드
3.2.22. 호주
[1] 엄밀히 말하면 건축 용어이지만 코레일의 유리궁전 남용을 까는 의미에서 철도용어에 포함.[2] 열차가 우선순위 열차를 보내기 위해 정차하는 구내 선로[3] 도라산역, 제진역에만 존재하는 시설이다.[4] 광역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환승역인 신도림역 때문에 철도 용어에 들어간다.[5] 홍콩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