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待避線 / Overtaking Siding열차를 대피시키기 위한 선로로 주로 일반열차나 하위열차가 급행열차나 KTX 등의 상위 등급 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쓰인다. 이는 열차 추돌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런 구조를 취하고 있는 역들은 대부분 쌍섬식 승강장, 쌍상대식 승강장, 섬식 승강장[1], 상대식 승강장[2], 2면 3선식 승강장이 있다. 단선으로 운행하는 철도도 철도역이나 신호장에 이 시설을 교행 목적으로 두지만, 일반적으로 대피는 동일 방향으로 상위 등급 열차를 먼저 보내는 경우에 주로 쓰인다.
당역종착 열차를 차량기지로 보내거나 회차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쓰이는데 예를 들어 1·2번 레인이 상행선, 3·4번 레인이 하행선인데 일부 상행선(또는 하행선)이 그 역에서 종착하면 1번(하행선은 4번) 레인에 정차 후 반대쪽 대피선으로 이동한다.
2. 대피선이 있는 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두천역, 동두천중앙역, 지행역, 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소요산], 도봉산역, 창동역[공사] , 광운대역[인천], 노량진역[인천], 금천구청역, 구일역, 군포역, 수원역, 평택역 외 경부선 수원 이남 모든 쌍섬식 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모든 쌍섬식 승강장 역[7]
- 서울 지하철 9호선 - 김포공항역[중보병][미사용], 마곡나루역, 가양역, 선유도역, 샛강역, 사평역, 신논현역[개화], 삼성중앙역, 삼전역, 송파나루역, 중앙보훈병원역[개화]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구리역, 양정역(중앙선), 중랑역, 모든 쌍섬식 승강장 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오리역[미사용], 죽전역, 기흥역, 망포역, 고색역, 야목역[미사용]
- 인천국제공항철도 - 영종역, 검암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공덕역[미사용][15]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전포역[미사용]
- 동해선 광역전철 - 거제해맞이역, 동래역(동해선), 송정역, 일광역, 월내역, 망양역, 덕하역
- 교외선 - 원릉역, 벽제역[17], 일영역, 송추역
[1] 이 경우는 외선이 통과선이다.[2] 이 경우에는 양 끝에 승강장이 있고 중앙에 3개 이상의 선로가 있는 경우다.[소요산] 소요산 방면만 해당[공사] 현재는 승강장 공사로 인하여 운용하지 않는다.[인천] 인천 방면만 해당[인천] [7] 예외로 중앙역은 외측 선로가 없다.[중보병] 중앙보훈병원 방면만 해당[미사용] 현재 미사용[개화] 개화 또는 김포공항 방면만 해당[개화] [미사용] [미사용] [미사용] [15] 겉보기에는 상대식이지만 용산역 분기를 대비해 인천공항행 승강장이 1면 더 있다. 주행영상을 확인해 보면 역 전후로 건넘선을 위치할 공간이 있는 것으로 보아 대피선으로의 역할도 수행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미사용] [17] 승강장을 지나쳐 대곡역 방면으로 본선이 좀 더 진행한 후에 짧은 대피선이 분기했다가 합류하는 특이한 구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