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19:35:11

동남권 광역전철/열차번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남권 광역전철
<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일반열차 화물열차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그 외 수도권 전철
비수도권 광역전철 동남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동남권 전철 전동차
(열차번호코레일 제외 노선 · 열차번호코레일 · 코레일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부산교통공사 심볼.svg 파일: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 로고.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동해선)
}}}}}}}}}
파일:Busan1.svg 파일:Busan2.svg
1000호대
1세대(상세 · 현황)
2세대 이후(현황)
2000호대
(현황)
파일:Busan3.svg 파일:Busan4.svg 파일:BGL_logo.svg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3000호대
(현황)
4000호대
(현황)
1000호대
(현황)
381000호대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san5.svg파일:Yangsan_Line_Logo.svg
5000호대1000호대
(현황)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1. 개요

동남권 광역전철의 열차번호 체계를 정리한 문서이다.

2. 열차번호 체계

  • 굵은 글씨의 운행구간은 실제로 영업을 하는 열차이다.

2.1. 부산교통공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부산교통공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지역의 철도 운영 기관과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서 BTC를 열차번호 앞에 붙인다.
주중
1001~1351
토요일
1001~1331
일요일 및 공휴일
1001~1318
파일:Busan1.svg 모든 구간 운행 노포 ↔ 다대포해수욕장 [중간x]
7901~7931 신평 착발 운행 노포 ↔ 신평
신평 ↔ 다대포해수욕장
F1### 회송 노포기지 출고 노포기지 ↔ 노포
G1### 노포기지 입고
(짝수)
G40##
G48##
신평기지 입고 다대포해수욕장 → 신평기지
G7931 신평 → 신평기지
F79## 신평기지 출고 신평기지 → 신평
주중
2001~2336
2451~2452
2454
토요일
2001~2318
2451~2452
2454
일요일 및 공휴일
2001~2292
2451~2452
2454
파일:Busan2.svg 모든 구간 운행 양산·호포↔ 장산 [2]
2453 막차시간대 양산 → 전포
2456 장산 → 광안
(짝수)
주중
2602~2630
주말 및 공휴일
2602~2622
호포기지 출고차량 양산 회차 호포 → 양산 [3][4]
2701 회송 첫차 출발지 출고 호포기지 → 구명 [5]
2702
2704
막차 종착후 주박선 입고
(야간 주박)
장산 → 동백 → 장산
2703
2705
주박후 첫차 출발지 출고
2707
2709
2711
2713
양산 종착 호포기지 입고 양산 → 호포기지
F2024
F2028
F2034
F2044
장산주박기지 출고
(주중)
장산주박기지 → 장산
F2024
F2030
F2034
F2040
장산주박기지 출고
(토요일)
F2024
F2030
F2036
F2042
장산주박기지 출고
(일요일 및 공휴일)
(홀수)
F2027~F2255
호포기지 하행열차 출고 호포기지 → 호포
(짝수)
F26##
호포기지 상행열차 출고
G2257
G2299
G2315
G2323
장산주박기지 입고
(주중)
장산 → 장산주박기지
G2249
G2281
G2291
G2297
장산주박기지 입고
(토요일)
G2227
G2257
G2271
G2279
장산주박기지 입고
(일요일 및 공휴일)
(짝수)
G2038~G2454
호포기지 입고 호포 → 호포기지
주중
3001~3320
토요일
3001~3300
일요일 및 공휴일
3001~3284
파일:Busan3.svg 대저 ↔ 수영 [중간x]
주중
4001~4310
토요일
4001~4296
일요일 및 공휴일
4001~4278
파일:Busan4.svg 안평기지간이역 ↔ 미남

2.2. 부산김해경전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부산-김해경전철(기업)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지역의 철도 운영 기관과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서 열차번호 앞에 BGL을 붙인다.
DXX## 부산김해경전철 하행 사상 → 가야대 [7][중간x]
UXX## 상행 가야대 → 사상

2.3. 한국철도공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s-2.2|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간x] 노선의 첫차 및 막차 시간대에 중간 착발을 담당하는 역이 한 곳도 없다.[2] 기종점 제외 첫차 출발지: 전포역, 광안역, 구명역[3] 하루 평균 10~15회 가량 운행한다.[4] 호포 출발 장산행 열차는 전 구간을 운행하는 운행계통으로 취급된다.[5] 회송전용 알파벳을 따로 붙이지 않지만, 엄밀히 회송열차이다.[중간x] [7] 부산김해경전철은 따로 열차번호를 설명하는 홈페이지가 없다. 철도 및 열차번호 조회가 가능한 레일.블루에서는 이 노선의 열차번호를 아래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XX##의 형식에서 XX는 차량편성의 운용 순서를 뜻하고, ##는 몇 번째 바퀴를 운행했는지 뜻한다. D는 영단어 down 즉 하행을 뜻한다. U는 영단어 up 즉 상행을 뜻한다.

다만 차량 또는 노선에 문제가 생겨 지연이 발생된 경우에는, 편성 다이아가 바뀔 수 있다. 이는 레일.블루의 책임이 절대 아니기 때문에 관련 민원을 넣어서는 안된다.
[중간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