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17:52:25

수도권 전철/열차번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일반열차 화물열차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그 외 수도권 전철
비수도권 광역전철 동남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수도권 전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기타 수도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여섯 자릿수)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GTX 로고.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 로고.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전동차(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1000호대
저항(현황)
-
VVVF(현황)
2000호대
저항(현황)
초퍼(상세 · 현황)
VVVF(현황)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000호대
-
초퍼(현황)
VVVF(현황)
4000호대
-
초퍼(현황)
VVVF(상세 · 현황)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현황)
6000호대
(현황)
7000호대
(상세 · 현황)
8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파일:Incheonmetro2_icon.svg
9000호대
(현황)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초저항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1세대
VVVF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REX_icon.svg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에코비 미쓰비시
우진산전
}}}}}}}}}
한국철도공사 · GTX · 그 외 수도권 전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1000호대
(상세 · 현황)
31x000호대
(상세 · 사고 · 현황)
321000호대
(현황)
331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000호대
(현황)
341000호대
(상세 · 현황)
351000호대
(상세 · 현황)
361000호대
(현황)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371000호대
(현황)
391000호대
(현황)
D000호대
(현황)
UL000호대
(현황)
파일:Sillim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SL000호대
(현황)
U100호대
(현황)
Y100호대
(현황)
1000호대
(현황)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초저항 3000호대
1차분
A000호대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현황)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파일:WRLine_icon.svg
DL000호대 WTL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번 전(철도청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2030호대
(현황)
5000호대· 6000호대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1. 개요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인천교통공사를 제외한 기업에서 운행하는 열차번호 체계를 정리한 문서이다.

2. 열차번호 체계

2.1. 공항철도주식회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공항철도(기업)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철도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A를 붙인다.
1001~1052 파일:AREX_icon.svg
직통열차
서울 ↔ 인천공항2터미널 [1][중간막차없음]
F1002
F1004
F1006
회송 용유기지 직통열차 출고 용유기지 → 인천공항2터미널
G1045
G1049
G1051
용유기지 직통열차 입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기지
2001~2202 파일:AREX_icon.svg
일반열차
[완통]
모든 구간 운행 서울 ↔ 인천공항2터미널
2352 인천공항발 상행 막차 인천공항2터미널 → 디지털미디어시티
2371, 2373 검암발 하행 첫차 검암 → 인천공항2터미널
3001~3104 검암 착발 서울 ↔ 검암
3291, 3293 서울발 하행 막차 서울 → 검암
3332, 3334 디지털미디어시티발 상행 첫차 디지털미디어시티 → 서울
(짝수)
F2002~F2150
회송 용유기지 일반열차 출고 용유기지 → 인천공항2터미널
(홀수)
G2031~G2199
용유기지 일반열차 입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기지
G2198 야간 주박지 입고 서울 → 디지털미디어시티

2.2. 서울시메트로9호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서울시메트로9호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코레일의 중련 여객열차와 구분하기 위해, 영업운전 열차 앞에 머릿글자로 C[완통]E[5]를, 회송 앞에는 SN을 붙인다.
주중
9001~9260
주말 및 공휴일
9001~9204
파일:Seoulmetro9_icon.svg 일반열차[완통] 운행 중앙보훈병원 ↔ 개화 [7]
주중
9501~9732
주말 및 공휴일
9501~9684
급행열차 운행 중앙보훈병원 ↔ 김포공항 [8][중간막차없음]
H9001~H9196 회송 김포기지 출고 김포기지 → 개화·동작 [9일][동작]
H9502~H96## 김포기지 → 김포공항·당산 [9급]
D95##~D97## 김포기지 입고 김포공항 → 김포기지
D90##~D92## 개화·동작 → 김포기지 [9일][동작]
H9002, H9009 첫차 출발역 출고 사평·신논현 → 삼전
H9013, H9503 동작·신논현 → 중앙보훈병원 [동작]
D9240, D9246, D9248 익일 첫차 출발지행 입·출고 중앙보훈병원 → 신논현·사평·동작
H9252, D9259 삼전 → 중앙보훈병원·신논현

2.3. 의정부경량전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의정부경량전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ULRT를 붙인다.
주중
101~539
주말 및 공휴일
101~454
파일:ULine_icon.svg 발곡 ↔ 탑석·차량기지임시승강장 [중간막차없음]

2.4. 용인경량전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용인경량전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EVER을 붙인다.
주중
101~512
주말 및 공휴일
101~434
파일:EverLine_icon.svg 기흥 ↔ 전대(에버랜드) [17][중간막차없음]

2.5. 우이신설경전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우이신설경전철(기업)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UI를 붙인다.
주중
1001~1516
주말 및 공휴일
1001~1424
파일:UiLine_icon.svg 신설동 ↔ 북한산우이 [중간막차없음]
1901~1938 회송 기지 입·출고 북한산우이 ↔ 우이기지 [회]
7001~7002 첫차시간 차량 및 선로점검 신설동 ↔ 북한산우이

2.6. 김포골드라인SRS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포골드라인SRS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GMP를 붙인다. 상행 착발지에 따라서 의 자리 수가 달라진다.
주중
1~518
주말 및 공휴일
1~348
파일:GoldLine_icon.svg 모든 구간 운행 양촌 ↔ 김포공항 [21][중간막차없음][공유]
구래 착발 구래 ↔ 김포공항 [중간막차없음][공유]
7001~7002 회송 첫차시간 차량 및 선로점검 양촌 ↔ 김포공항 [회]
8001 첫차 출고 양촌 → 장기

2.7. 남서울경전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남서울경전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SL을 붙인다.
주중
1001~1384
주말 및 공휴일
1001~1312
파일:SillimLine_icon.svg 샛강 ↔ 관악산 [중간막차없음]
1801
1804
회송 모든 구간 샛강 ↔ 관악산 [회]
1802~1803 한 정거장 서울대벤처타운 ↔ 관악산

2.8. GT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노선 계통 주요 운행구간 비고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X를 붙인다.
1~120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서평택고속선 수서 ↔ 동탄 [중간막차없음]
1001~1282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운정중앙 ↔ 서울
801~802 회송 첫차 출고 수서 ↔ 동탄 [회]
803 동탄정비시설행 입고 수서 → 동탄
804 남쪽 구간 오후 출고 동탄 → 수서
F811

811
첫차 출고 운정기지 → 운정중앙 → 서울
812

G812
전날 서울역 주박차량 입고 서울 → 운정중앙 → 운정기지
(홀수)
F1001~F1003
F1013
F1041
F1059
운정기지 출고 운정기지 → 운정중앙
(짝수)
G1032
G1150
G1212
G1120~G1124
운정기지 입고 운정중앙 → 운정기지
  • X104~X800, X805~X999 결번

[1] 도중 정차역은 인천공항1터미널역 밖에 없다.[중간막차없음] 중간역 막차 종착지가 따로 존재하지 않다.[완통] 각역정차, 즉 완행열차를 뜻한다.[완통] [5] 김포공항 착발 급행열차[완통] [7] 중간역 첫막차 착발지: 가양역, 당산역, 여의도역, 동작역, 신논현역, 삼전역[8] 개화역에는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김포공항역에서 환승해야 한다.[중간막차없음] [9일] 일반열차에 대한 회송이다.[동작] 동작역김포차량사업소중앙보훈병원역에서 입출고 하는 열차가 제일 멀리 회송으로 가는 정차역이다.[9급] 급행열차에 대한 회송이다.[9일] [동작] [동작] [중간막차없음] [17] 기종점 제외 첫차 출발지: 초당역, 용인중앙시장역[중간막차없음] [중간막차없음] [회] 회송전용 알파벳을 따로 붙이지 않지만, 엄밀히 회송열차이다.[21] 기종점 제외 첫차 출발지: 장기역[중간막차없음] [공유] 양촌 착발 열차는 2###번대를 사용하고 있고, 구래 착발 열차는 3###를 사용한다. 다만 ### 부분은 겹쳐서 사용하지 않는다.
비슷한 예시로 수도권 전철 1, 3, 4호선의 서울교통공사의 코레일 구간 직결운행 열차가 코레일의 열차와 열차번호를 함께 따로 사용하지 않고 순번대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면, 순번 499 김포공항행이 구래발 열차이면 열차번호는 2499열차이다. 다음에 들어오는 양촌발 열차는 순번 499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열차번호가 3501이 된다.
[중간막차없음] [공유] [회] [중간막차없음] [회] [중간막차없음]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