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28:05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편성번호 · 열차번호고속 ·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광역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8호기 한정)
광역전철
도입 예정
[[KTX(차량) #s-5|{{{#ffffff EMU-370}}}]]
 연구중
개번 전 차량번호  2030호대(1993~2011)
 5000호대(1996~2011) · 6000호대(2006~2008)
전량 퇴역
 1000호대(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개번 전 차량번호  2030호대/현황
전량 퇴역  10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한국철도공사 열차번호 · 기타 수도권 광역전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여섯 자릿수)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GreatTraineXpress.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 로고.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1000호대
(상세)
초저항
3000호대 341000호대
(상세)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21000호대 33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371000호대 391000호대 1000호대 2000호대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D000호대 U100호대 Y100호대 1000호대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A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상세 · 현황)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상세 · 현황)
초퍼 (광폭형 · 현황)

1. 개요2. 상세
2.1. 1차분 (1993~1995)2.2. 2차분 (1996)2.3. 3차분 (1999)2.4. 4차분 (2019~2020)2.5. 5차분 (2021~2022)2.6. 6차분 (2024)

[clearfix]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의 차호별 상세설명에 대한 문서이다.

2. 상세

2.1. 1차분 (1993~1995)

파일:2B32.jpg 파일:1648369365741.jpg
341B03편성
(당시 2X32편성, 2024년 8월 9일 폐차)
341B01편성
(구 2X30편성, 2023년 10월 27일 운행 중단)
파일:4호선실내1차.jpg
내부 모습
(1차 로윈)
파일:4호선차내2차.jpg
내부 모습
(2차 로윈)
  • 시흥차량사업소 소속
    • 4호선(10량): 341B01~341B22편성(도입 당시 2X30~2X46, 2X49, 2X51~2X54편성) (총 10량 22편성, 현재 운행중단 또는 폐차)
      • 341B01~341B22편성 (총 6량 22편성) - 1993~1994년 도입
      • 341B01~341B22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22편성) - 1995년 도입
  • 제작사(1993~1994년산 기준)
    • 한진중공업(341B01~341B04편성의 모든 칸)
    • 대우중공업(341B05~341B17편성의 모든 칸과 341B18편성의 1, 3번째 칸)(DEC-11) + (341B01~341B22편성의 10량 증결분)
    • 현대정공(341B18편성의 2, 4~5번째 칸과 마지막 칸과 341B19~341B22편성의 모든 칸)
  • 제어방식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들여온 VVVF 전동차이다. 과천선안산선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통 운행을 개시하면서 도입된 전동차이다. 1993년 7월부터 1994년 2월까지[1] 6량 편성으로 초기 22개 편성, 341B01~341B22편성이 도입되었고, 1995년 안산선, 과천선을 포함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전 차량에 대한 1편성 10량화가 결정되면서, 도입 당시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던 1993년산 1차분 341B01~341B22편성(당시 2X30~2X46, 2X49, 2X51~2X54편성)에 대해 중간차 4량이 증결되었다. 증결분은 모두 1995년에 제작된 대우중공업산이며, 이 때문에 일부 편성은 한진산 차량이나 현대산 차량에 대우산 증결분이 끼어있기도 한 짬뽕편성이다. 341500~341800이 1995년 증결분이다.
파일:20230619_172458.jpg 파일:20231130_065741.jpg 파일:20230628_195723.jpg
한진중공업, 대우중공업 차량 방열구 현대정공 차량 방열구 1995년 10량 증결분 및 2~3차분 차량 방열구
동력객차의 경우 방열구가 상대적으로 크고 상단에 달려있는 것이 1993년산, 방열구가 상대적으로 작고 하단에 달려있는 것이 1995년산이다. 하지만 무동력 객차는 패찰을 보기 전까지는 거의 구별이 불가능하지만, 1993년에 제작된 한진중공업, 대우중공업 차량은 방열구가 납작한데 1993년에 제작된 현대정공 차량은 방열구가 튀어나와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입 이래 2000년까지 안산역 근처의 안산전동차사무소에 소속되어 있다가 오이도역 연장과 함께 완공된 시흥차량사업소로 소속이 이관되었다. 개통 초기 안산전동차사무소 역시 중정비 시설의 부재로 인해 안산역충무로역(3/4호선 루프 연결선) ↔ 수서차량사업소(분당선 연결선) ↔ 분당차량사업소로 가야 했지만, 시흥차량사업소 완공 이후 분당 원정길을 거칠 필요성이 없어졌다. 특히 시흥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전에는 수서차량사업소와 분당선 연결선의 경우 전차선이 설치된 구간이 아니었기에 반드시 입환 기관차를 연결해야 했고, 스위치백처럼 반대로 오가는 방식을 수서차량사업소 구내/분당선 진입 후 등 총 2회 거쳐야 해서 소요 시간도 상당히 길었다.

같은 2030호대였던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1차분(351F01~351F16편성)과 같이 주황색 도색, 6량, 교류/직류겸용에 ATC/ATS겸용 전동차로 도입되어 완전히 같은 차량이었다.

초창기 현대정공 측에서는 출입문, 통로문 창틀 또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401~409, 451~463편성)과 동일하게 얇은 문틀로 제작될 예정이었으나 철도청 측 형평성의 반발로 인해 두꺼운 문틀로 제작되어 반입되었다.

초기에는 출입문 공기소리가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다.[2] 노후화로 인해 소리가 시끄러워졌거나 모종의 결함으로 인해 도어 엔진을 교체해서 시끄러워 졌을수도 있다.

차임벨(뮤직혼 또는 음악경적)이 최초로 탑재된 차량이다. 초기에는 차임벨 멜로디가 동요 구슬비였으나 운행 투입전에 동요 자전거로 바뀌었다.변경 전 이후 자전거 차임벨은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에 탑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1993년에 도입된 차량과 1995년에 도입된 증량분 차량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차량 외부에 달려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방열구의 위치가 차이가 있다. 또한 출입문 옆에 달린 스테인리스 철봉의 색도 1993년 도입분은 황금빛을 띠지만 1995년 도입분은 은빛이다.

그리고 방열구 밑에 KORAIL 문구가 작게 나왔다.

2017년 8월 341B07, 341B12~341B13편성의 9호차에 311B02편성의 각각 311802, 311402, 311202호가 편입된 것을 시작으로 일부 편성에서 조성 변경이 있었다.

현재 운행이 중지된 동력차 9량(341202, 341402, 341804, 341807, 341708, 341810, 341812, 341813, 341819)은 2020년 8월에 매각되었다. 이 폐차는 사고로 인한 폐차를 제외하면 한국 최초의 인버터 전동차의 폐차이다.

2021년에는 341002, 341102, 341302, 341502, 341902, 341504, 341714, 341814, 341719호가 폐차매각되었으며, 이번 폐차로 341B02편성은 완전히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이로써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최초로 IGBT 개조차가 퇴역했다.

현재 341B02편성은 다른 편성의 일부 객차가 정밀안전진단 과정에서 불합격되면서 차량사용연한 연장 대상에서 제외된 채 조성 변경으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 휴차되었으며, 2021년까지 341002~341502, 341902호가 폐차되고 341B35편성으로 임시 대차되었다.

2022년 2월 341B04, 341B13편성은 다른 편성 재조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2023년 2월 341B19편성이 사용연한 만료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동년 3월에 매각 공고가 올라왔다. 이어서 341B07편성도 동년 5월에 매각 공고가 올라왔다. 이후 2023년 4월 21일에는 341B19편성이 폐차매각되어 차적이 삭제되었으며, 동년 7월 3일에는 341B07편성이 폐차매각되어 차적이 삭제되었다.

341B03편성은 2023년 8월 30일에 K4313번 안산행으로 운행한 후 운행이 중단되어 안산전동차사무소로 회송되어 보관하다가 2024년 5월 15일에 다시 시흥기지로 회송되었다. 해당 차량은 중검수 시기가 도래했는데, 중검수가 완료될 시점에 머지않아 사용연한이 만료되어 중검수 없이 영업운행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311B16, 311B18, 311B22, 311B26편성도 이와 같은 사례로 인해 휴차 처분되었다.

341B01, 341B06편성은 각각 2023년 10월 27일, 10월 31일에 사용연한 만료로 인해 휴차 처리되어 광명주박기지로 회송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VVVF 열차가 퇴역하며, 차적 편입일 기준으로 30년을 채우고 휴차되었다. 이어서 341B10, 341B09, 341B11, 341B08, 341B14, 341B18, 341B22, 341B12, 341B20편성도 사용연한에 따라 각각 2023년 11월 7일부터 12월 10일까지 회송되었다.

2023년 12월 12일부로 전 편성이 퇴역했으며, 이로써 4호선에서 1세대 차량을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마지막 운행은 1호선 311B41편성(341304, 341604호 부수차)이 2023년 12월 17일에 K1403번 용산발 구로행 열차로 운행한 열차였다. 총 25~30년을 채우고 퇴역한 것이다.

예외로 341B21(당시 2X53)편성이 3호선에 다닌 적이 있었는데, 당시 374, 377편성이 삼송역에서 추돌사고가 일어나 수리로 인해 투입될 차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24년 4월부터 시흥차량사업소 구내에 341B05(구 2X34)편성을 개조하여 신입사원 교육을 위해 종합훈련장으로 활용한다. 차량조성은 341905호(구 2134호, 복구훈련공간차) - 341205호(구 2334호, 부품전시실) - 341105호(구 2234호, 공구실습실) - 341005호(구 2034호, 토론교육실) 4량이다. 보도자료 사진

시흥차량사업소에 방치 중이었던 341B03, 341B15~341B17, 341B21편성과 341B04편성의 341004, 341904호, 341B05편성의 341305~341805호, 341B13편성의 341013, 341513, 341713, 341913호는 2024년 6월 13일에 매각공고가 올라왔고, 동년 동월 21일에 낙찰됐으며, 7월 3일에 계약이 성사되었다. 자료 2024년 8월 7일 341B15편성, 9일 341B03편성, 12일 341B16편성, 14일 341B17편성, 16일 341B05편성[3], 17일 341B21편성, 20일 341B04, 341B13편성이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또한 2024년 6월 이후로 기존 1호선 1세대형 불용 전동차들이 매각되어 반출 작업이 가능한 차량기지에 여유가 생기면서 광명주박기지에 방치 중인 차량들도 폐차 매각을 위해 폐차 작업이 가능한 차량기지로 회송을 시작했는데, 341B06, 341B14, 341B18, 341B20편성은 2024년 6월 21일부터 6월 28일까지 병점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고, 동년 8월 12일에 매각 공고가 올라왔으며,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모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2024년 9월 9일~10일에 341B11, 341B22편성은 시흥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341B01편성은 2024년 7월 1일에 안산검수고로 회송되었고, 341B08편성은 동년 10월 9일에 병점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동년 동월 18일에 341B11, 341B22편성의 매각 공고가 올라왔고, 341B12편성은 동년 11월 4일에 병점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이후 341B11, 341B22편성은 2024년 12월에 완전히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이 1차분 열차들의 도입은 대한민국 VVVF 열차의 기술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주황색 안산행 열차로 유명했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10량화 시기 퇴역일
<colbgcolor=#888><colcolor=#fff> 341B01 1993년 7월 24일 1994년 4월 1일 1995년 5월 30일 2023년 10월 27일
341B02 1993년 11월 26일 1995년 5월 28일 2018년 12월 17일
341B03 1993년 12월 7일 1995년 6월 3일 2023년 8월 30일
341B04 1995년 5월 31일 2022년 2월 11일
341B05 1993년 12월 18일 1995년 3월 31일 2023년 12월 11일
341B06 1993년 11월 26일 1995년 4월 7일 2023년 10월 31일
341B07 1995년 3월 26일 2023년 4월 6일
341B08 1993년 12월 3일 1995년 4월 30일 2023년 11월 16일
341B09 1995년 3월 24일 2023년 11월 10일
341B10 1993년 12월 8일 1995년 3월 28일 2023년 11월 7일
341B11 1995년 4월 10일 2023년 11월 11일
341B12 1993년 12월 18일 1995년 4월 13일 2023년 12월 6일
341B13 1995년 4월 15일 2022년 2월 9일
341B14 1993년 12월 24일 1995년 4월 20일 2023년 11월 17일
341B15 1995년 4월 21일 2023년 12월 11일
341B16 1993년 12월 27일 1995년 4월 24일
341B17 1995년 5월 2일 2023년 12월 12일
341B18 1993년 12월 30일(1, 3호칸)
1994년 2월 8일(2, 4~5, 10호칸)
1995년 5월 26일 2023년 11월 18일
341B19 1993년 12월 31일 1995년 5월 12일 2023년 2월 17일
341B20 1994년 1월 21일 1995년 5월 22일 2023년 12월 10일
341B21 1994년 1월 24일 1995년 5월 24일
341B22 1994년 1월 29일 1995년 5월 25일 2023년 11월 16일

2.2. 2차분 (1996)

파일:다운로드-31.jpg 파일:341924.jpg
341B24편성
(당시 2X71편성, 2022년 8월 24일 폐차)
341B24편성
(구 2X71편성, 2022년 8월 24일 폐차)
파일:korail 34125.jpg
내부 모습
(SLS 중공업)

1996년 배차 간격 단축 목적 증차분으로 추가 도입된 10량 전동차 3개 편성이다. 1차분과의 외부 모습은 다를 바 없으며 대체적인 특성은 동일하나 세세한 차이점이 있다. 객실바닥은 회색이었고 출입문과 창문의 창틀이 1차분의 경우 약간 노르스름한 금빛을 띠었으나 이 차량들은 은빛이다.[4] 객실 내 전광판 안내표시가 지금과 같이 바뀐 것도 이 차량들이 도입되고 나서였다. 1차분의 경우 해당 정차역 내릴 문의 위치를 단순히 큼지막한 글로 표기했으나[5] 2차분부터 화살표로 안내 및 영문표기가 추가되었고 후에 1차분 차량의 전광판도 똑같이 개조했다. 또한 의자 끝부분의 형태가 살짝 동글했고 천장도 평평하며 전체적으로 3차분과 비슷했다.

같은 2030호대였던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2차분(351F17~351F18편성)과 비슷한 시기에 도입되었으나 351000호대 2차분 전동차와 달리 교직겸용, ATS/ATC겸용, 10량으로 도입되었다.

1차분에서 이 차량까지는 신도색으로 변경하면서 차량의 양끝 전두부에 KORAIL 로고와 편성 번호가 거꾸로 부착되어 있고 이외 3차분부터나 1호선 등 다른 노선의 차량들은 KORAIL 로고를 위에 붙이고 편성 번호를 아래에 부착하고 있다. 이 차량들의 교체분인 341B53~341B55편성도 로고 위/편성 번호 아래 순서로 각인되어 반입됐다.

1차분과 마찬가지로 방열구 밑에 KORAIL 문구가 작게 나왔었다.

341B23편성(당시 2X70편성)은 한때 과학열차라는 테마열차로 운행했던 적이 있었다.

341B23, 341B25편성은 추진제어장치(C/I)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2015년 8월에 교체되었다.

2020년 6월 11일에 발생한 상계역 전동열차 추돌사고로 341B23편성이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341723, 341823, 341923호가 파손 상태가 심각하여 2021년에 폐차되었다.

2021년 10월 28일에는 341B24편성이, 2021년 12월 3일에 341B25편성이 기본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면서 전 편성이 퇴역했다. 해당 차량들은 1차분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없이 25년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341B23편성의 남은 7량(341023~341623)과 341B24편성 10량, 341B25편성 10량 전체는 2022년 6월 기준 모두 매각공고가 올라왔고 8월에 모두 폐차 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퇴역일
<colbgcolor=#888><colcolor=#fff> 341B23 1996년 12월 2일 1997년 2월 11일 2020년 6월 11일
341B24 2021년 10월 28일
341B25 2021년 12월 3일

2.3. 3차분 (1999)

파일:attachment/341000_2nd.png 파일:20240518_140016.jpg
341B29편성
(당시 2X80편성, 2024년 12월 19일 운행중단)
341B26편성
(구 2X77편성, 2024년 11월 8일 운행중단)
파일:20241102_141643.jpg
내부 모습
(SLS 중공업)

안산역 ~ 오이도역 연장에 따라 추가로 반입되었다. 제작사는 대우중공업이었지만 대한민국 철도차량 제작사 통합에 의해서 한국철도차량(KOROS, 現 현대로템)으로 바뀌었다. 유선형 전두부가 적용되었으며, C/I(Converter/Inverter)의 경우도 도시바 오리지널 버전에서 우진산전이 면허생산한 제품으로 교체되었다. 그 외에도 1~2차분에서 1개밖에 없었던 차량 내부 안내전광판이 2개로 늘어나는 등 내부적인 개선도 있었다.

311000호대 4~6차분(311B42~311B65편성) (총 24편성)/351000호대 4차분(351F23~351F28편성) (총 6편성)과 다르게 측면 일체형 통유리가 채택되지 않았고, 출입문의 문양이 철도청 시절의 역삼각형 문양 바탕에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표식이 되어있다. 제작 시기가 한국철도 100주년이 되는 해에, 9월 18일 '철도의 날'과 가까워서 이 열차에 한해서 적용된 것이다. 제작년월이 대략 1999년 9월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차분과 달리 도입 당시부터 이미 10량으로 도입되었다는 차이점도 있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100% 가연재로 도입된 마지막 차량이자 마지막으로 도입된 정사각형 출입문 차량이다.

구동음은 1차분과 거의 같지만 고속 부분이 약간 다르다. 고속 부분은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4차분 이후 차량(311B42~311B82편성)과 비슷하다.

비슷한 시기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3차분(351F19~351F22편성)과 달리 2022년 말에 차내에 CCTV가 설치됐다. 1~2차분 차량은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면서 CCTV 설치 대상에서 제외됐다.

또한 해당 차량에는 방열구 밑에 KORAIL 문구가 크게 붙은 채로 도입되었다.

341B26편성은 추진제어장치(C/I)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2013년 9월에 교체됐다.

341B27, 341B28편성의 경우, 일부 출입문이 부식무늬 출입문으로 교체되어 있다.

341B30편성의 경우, 341930호의 내부 LED 행선안내기 2개가 노후화로 인해 2021년에 풀컬러 LED로 교체되었다가 2022년 12월 구형 행선 안내기로 다시 교체됐다.

341B28편성의 경우, 2022년 8월 10일 3호선 전동차 1997년 도입분 차량(384~386편성)의 운용이탈로 인해 지축차량사업소로 임시 차출되었다. 실제로 384편성이 2022년 9월 10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이 중지됐으며 2022년 11월 8일자로 385~386편성과 함께 매각 공고가 올라왔고[6] 동년 12월 2일에 완전히 폐차 매각되어 지축기지에서 반출됨으로써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2022년 9월 15일에 3호선에서 운행을 개시했으며 128편성(341B28편성)으로 운행했다.[7] 동년 10월 10일에 127편성(341B27편성)이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129편성(341B29편성)도 3호선에 임시로 차출됐다. 3호선의 한국철도공사 2차분 전동차 389~394편성 6개 편성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341B28편성이 2023년 8월 31일에 4호선으로 환원됐었고, 그 다음으로 341B27편성이 동년 9월 1일에 환원됐다. 마지막으로 341B29편성도 동년 10월 3일에 환원됐다. 참고로 3호선에서의 마지막 운행은 2023년 8월 12일에 K3360번 오금발 구파발행 341B28편성이었다.

차량 발주 계획에 따르면 내구연한 25년을 채우고 2024년 11월 8일 341B26편성을 시작으로 2024년 12월 24일까지 전 차량이 전량 퇴역 및 신형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었다.[8] 그리고 2024년 12월 24일에 341B30편성의 퇴역을 마지막으로 모든 편성이 퇴역했다.

이로써 3차분 동작이 차량들까지 최종적으로 퇴역하게 되면서 4호선에서도 정사각형 출입문 및 일반석 상부개폐식이 달린 차량을 볼 수 없게 되었고 코레일 차량 중 LED 차내전광판으로 운행하는 차량 겸 공기식 출입문, 철도청 시절의 전동차 및 투핸들로 운행하는 차량은 3호선에 이어 두번째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철도청 시절 2030호대로 도입한 2세대 전동차의 첫 퇴역이다. 그리고 4호선도 2023년 1월 당시 3호선 전동차 1차분을 제외하고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새차가 운행하는 것처럼 4호선도 서울교통공사 차량만 거른다면 한국철도공사는 전부 원핸들로만 운행하게 되었다.

341B26편성은 2024년 11월 8일 K4531 열번을 마지막으로 영업운행이 종료됐으며 이제 선바위 ↔ 상록수 구간에서 더 이상 도시바 IGBT 구동음을 들을 수 없게 됐다.[9] 대신 한대앞 ↔ 오이도 구간에선 도시바 IGBT 구동음이 적용된 수인·분당선 전동차 4~8차분이 운행중이다.

341B29편성이 12월 18일 K4707(불암산발 오이도행) 열번을 마지막으로 G4707 열번으로 시흥차량사업소에 입고하여 운행을 종료하면서 341000호대 할로겐 전조등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선바위↔상록수 구간에서 더 이상 할로겐 전조등을 볼 수 없게 됐다.

341B30편성이 2024년 12월 23일 K4717(불암산발 오이도행)열번을 마지막으로 G4717 열번으로 시흥차량사업소에 입고하여 운행을 종료하면서 341000호대 투핸들 전동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써 4호선 불암산 ↔ 상록수 구간에서 도시바 GTO 구동음도 들을 수 없게 됐으며 정사각형 형태의 출입문 창문도 더 이상 볼 수가 없게 되었다.[10]

341B26편성은 2024년 11월 8일 K4531, 341B27편성은 11월 27일 K4645(이후 341B52편성으로 기교체됨), 341B28편성은 12월 12일 K4707, 341B29편성은 12월 18일 K4707, 341B30편성은 12월 23일(24일 넘어가는 00시 31분) K4717 열번으로 마지막 운행을 했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파일:Seoulmetro3_icon.svg
운행개시일
파일:Seoulmetro4_icon.svg
운행개시일
퇴역일
<colbgcolor=#00a4e3><colcolor=#fff> 341B26 1999년 11월 10일 - 2000년 7월 28일 2024년 11월 8일
341B27 1999년 12월 9일 2022년 10월 10일 2024년 11월 28일
341B28 1999년 12월 13일 2022년 9월 15일 2024년 12월 13일
341B29 1999년 12월 20일 2022년 9월 20일 2024년 12월 19일
341B30 1999년 12월 24일 - 2024년 12월 24일

2.4. 4차분 (2019~2020)

파일:코레일 341X34편성.jpg 파일:341B36.jpg
341B34편성
(집전장치 교체 및 재도색 전)
341B36편성
(집전장치 교체 전, 1호선 운행 당시)
파일:341x32.jpg
내부 모습

노후된 1차분 341B01~341B07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대한민국 최초의 VVVF 차량 대차분이다.

1999년 3차분 도입 후 20년 만에 도입한 신차로 외형은 태화강 연장 증차분으로 도입된 381000호대 2차분(381G11~381G17편성)을 기초로 하는 10량 편성이다. 해당 차량부터는 기존에 쓰던 도시바 IGBT가 PMSM만 남기고 단종되어 미쓰비시 IGBT 기반의 현대로템 IGBT-IPM 모듈이 탑재된다.[12] 그리고 출입문 무늬는 1세대 차량에 사용되었던 부식 무늬가 적용됐다.

4차분부터는 절연구간에 진입해도 객실 전등이 소등되지 않는다.
파일:20240630_183219.jpg 파일:4차분 격벽.jpg
4차분 비상사다리 4차분 격벽

기존 차량에 비해 차량 간 통로의 폭이 넓어지면서 스크린도어 연동 오류가 발생하여 모든 역의 스크린도어 센서값 변경 작업이 진행됐다. 전두부 길이 문제가 아니고 통로문이 넓어져서 센서 범위값을 수정해야 했다. 열차의 정위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가 1~2호차 사이의 통로문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도입 당시에는 기존 312000호대 12차분(312B04~312B07편성)처럼 차체에 싱글암 집전장치가 M'칸 1량당 1개, 총 3개가 붙어 있었다. 그러나 열차에 장착된 싱글암 집전장치가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강체가선에서 아크현상[13]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M'칸에 한 개씩 더 추가로 장착하여 총 6개의 집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반면 같은 종류의 1호선 312000호대 전동차는 별다른 문제점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장착되지 않았다. 싱글암 집전장치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게 시설 노후화 문제도 있지만 무엇보다 지하구간에 대부분 가설되는 강체 가공전차선[14] 때문인데 1호선은 지하구간이 10km가 되지 않을 정도로 짧은 노선인데다 문제도 없는데 돈을 투자하면서 집전장치를 하나씩 더 올릴 필요도 없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결국 같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관계로 기존의 싱글암 집전장치를 더블암 집전장치로 교체했다.

341B31, 341B33~341B36편성은 병점차량사업소에서 집전장치를 더블암으로 교체했고 341B32, 341B37편성은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집전장치를 더블암으로 교체했다.

4호차와 5호차 사이, 7호차와 8호차 사이에 통로문이 있지만 평소에는 작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두고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341B31~341B34편성은 1호선 도색으로 도입했다가 4호선 도색으로 재도색되었고 341B35~341B37편성은 처음부터 4호선 도색으로 도입되었다.[15][도색]

341B34편성은 도입 초기에 341834호에 회색 손잡이가 섞여 있었다. 노약자석 쪽 손잡이 16개만 회색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2021년 초에 전부 탈거하고 남색 손잡이로 교체했다.

1호선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기존 전동차들과 제동감이 이질적인 관계로 관계자들의 차량 숙련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1호선에서 운행 중인 차량들은 물론, 4호선에 투입된 편성들도 역시 급정차와 급제동, 기어가기 정차 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차량들은 초기에 잔고장 문제가 심각해서 다른 차량으로 기교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341B31편성은 경춘선에서 시운전을 진행했고 해당 차량의 경우 서울 지하철 4호선 시운전 중 직류구간에서 집전장치 아크 현상이 발생하여 임시로 M'칸(341231, 341431, 341831호)에 집전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2019년 10월 29일 일산선에서도 시운전을 진행했다. 원래는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시운전을 하려 했으나 앞서 있었던 해당 차량의 잔고장 문제로 인해 서울교통공사가 자사 구간 시운전 협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시운전을 진행하면서 결함이 많이 발견되어 개조 후 341B31편성이 2020년 2월 13일에 시운전을 재개했고, 이후 341B32, 341B34, 341B36편성도 시운전을 재개했다. 341B33, 341B35, 341B37편성은 집전장치가 추가 장착된 상태로 반입되었고, 2020년 4월 8일에 341B33편성이, 2020년 5월 25일에 341B37편성이, 2020년 7월 10일에 341B35편성이 시운전을 시작했다.
  • 2020년 8월 26일, 4호선에서 운행을 처음 시작한 341B37편성이 운행 도중 고장이 발생하여 341B17편성으로 기교체되었다.
  • 2021년 9월 25일, 4호선에서 운행 중인 341B37편성이 과천역에서 다시 고장을 일으켰다.
  • 2021년 12월 8일, 4호선에서 운행 중인 341B35편성이 미아사거리역에서 고장났다.[17]
  • 2022년 1월 17일, 4호선에서 운행 중인 341B35편성이 수리한 지 한 달도 안 돼서 다시 고장이 났다. 단, 안내방송 기기의 고장이라 운행에는 지장이 없었다.
  • 2022년 1월 19일, 1호선에서 임시 운행 중인 341B32편성이 동묘앞역에서 고장났다.[18]

7개 편성 모두 2019년에 제작되었으나, 집전장치 추가 문제로 인해 일부 편성의 반입이 지연되어 2020년에 반입되었다. 또한 341B01~341B07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제작된 차량이지만 원래 목적대로 대체가 완료된 차량은 2018년에 퇴역한 341B02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4호선에 바로 투입된 341B35편성 뿐이다. 1X83편성의 탈선 사고로 인해 내구연한을 1~2년 남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조기 전량 휴차와 311B01~311B02편성의 운행 중지로 인해 1호선에서 운행할 차량이 부족해져서 341B31~341B34편성은 도입 당시만 해도 1호선에서 임시 운행할 계획이라 1호선 도색으로 도장하여 반입, 341B35~341B37편성은 바로 4호선에서 운행할 계획이었기에 처음부터 4호선 도색으로 반입되었다.

도입 당시 상황과는 달리 1호선 차량부족이 심해지다 보니 341B35편성만 바로 4호선에 투입하고 341B36~341B37편성은 1호선에서 먼저 임시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이미 341B02편성이 2018년 말에 휴차되어 운행차량 자리가 한 자리 빈 것을 시작으로 2020년 6월 11일에 발생한 상계역 전동열차 추돌사고로 인해 341B23편성이 사고에 휘말려 4호선 운행 차량이 부족해지자 계획이 급변경되어 341B36편성만 1호선으로 차출했고 대체 운행분으로 341B37편성의 4호선 정규 운행을 개시했다. 4호선 VVVF 초기 도입분 차량(1993~1994년산) 대체 투입분 중에서는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모두 통틀어 가장 먼저 4호선의 정규 운행에 투입되었으며 21년 만의 정규운행 신차투입이다. 2020년 9월 28일에 뒤따라 영업 투입된 341B35편성 역시 휴차된 341B02편성 대체를 위해 4호선에서 바로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4호선에서 운행중인 341000호대 4차분 차량 341B35, 341B37편성 모두 잔고장 문제 밎 지하구간 주행 시 전두부 긁힘, 집전장치 압상력 문제로 인해 341B35편성은 2021년 5월 중순부터 동년 9월 17일까지 시흥기지에 운행중지 상태로 대기, 341B37편성도 2021년 5월 중순부터 4호선에서 운행을 중단, 이후 1호선으로 차출되어 2021년 6월 23일부터 2021년 9월 15일까지 1호선에서 임시 운행후 2021년 9월 16일자에 구로차량사업소에서 시흥차량사업소로 다시 회송되어 동년 9월 18일자로 4호선 본선 운행을 재개했고 2021년 5월부터 시흥기지에서 운행중지 상태로 계속 대기했던 341B35편성도 동일자로 4호선 본선 운행을 재개했다.

2021년 12월 2차분 차량인 341B24~341B25편성의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12월 11일 4호선 도색인 341B36편성이 먼저 본래 소속인 시흥차량기지로 복귀했으며, 동년 12월 20일자로 4호선 영업운전에 들어갔다.
이후 2022년 2월 1호선 1차분 전동차에서 차출한 부수차들의 기본 내구연한 만료에 따라 341B04, 341B13편성이 휴차에 들어가자 2월 7일과 20일에 각각 341B33, 341B34편성이 4호선으로 복귀해 임시 대체했다.
이들 편성은 1호선 도색이어서 노선도와 도색을 교체하고 4호선에서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노선도만 교체하고 1호선 도색 그대로 4호선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2022년 8월에 두 편성 모두 4호선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19]

그러나 2022년 말~2023년 초에 들어 311000호대 1~3차분의 퇴역속도가 14~15차분의 투입속도보다 빨라져 1호선 차량부족이 다시 심해지자 4호선에서 운행 중이던 341B33, 341B34, 341B36편성을 도로 1호선으로 차출했다.

2023년 11월 2일과 3일, 4일, 8일, 9일에 각각 341B36, 341B31, 341B32, 341B33, 341B34편성이 시흥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 이후 2023년 11월 9일 341B31~341B32편성이 1호선 도색 그대로 4호선 운행을 시작했다.[20] 2023년 11월 10일에 341B36편성이, 15일에 341B33편성이, 16일에 341B34편성이 4호선에서 운행을 재시작하면서 모든 4차분 차량이 4호선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2024년 7월 22일에 341B32편성이[21],동년 8월 4일에는 341B31편성의 도색이 4호선 도색으로 재도색된 것이 확인되었다.[22]

2024년 3월 27일에 341B31편성이 검측 장비 설치를 위해 이문차량사업소로 회송했다. 2024년 5월 기준 341B31편성은 검측장비 설치를 위해 객차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였다. 검측장비 설치 완료 후 누수시험을 받으러 341B31편성은 2024년 8월 4일이문차량사업소에서 의왕역으로 자력회송한 다음 이틀간 그곳에서 대기했다가 2024년 8월 6일에 의왕역을 출발하여 현대로템 창원공장으로 갑종회송되어 그곳에서 누수시험을 받았다.[23] 누수시험을 마친 341B31편성은 9월 3일자로 수도권 복귀를 위해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되었고[24] 9월 7일시흥차량사업소로 자력회송했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파일:Seoulmetro1_icon.svg
운행개시일
파일:Seoulmetro4_icon.svg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bgcolor=#00a4e3><colcolor=#fff> 341B31 2019년 5월 29일 2020년 5월 15일 2023년 11월 9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원선 광운대역 이문차량사업소
341B32 2019년 7월 8일 2020년 5월 18일 안산선 안산역 시흥차량사업소
341B33 2020년 4월 6일 2020년 6월 1일 2022년 2월 22일 경부선 의왕역
341B34 2019년 7월 26일 2020년 5월 21일 2022년 2월 14일
341B35 2020년 7월 9일 - 2020년 9월 28일
341B36 2019년 8월 30일 2020년 5월 25일 2021년 12월 20일
341B37 2020년 5월 12일 2021년 6월 23일 2020년 8월 26일

2.5. 5차분 (2021~2022)

파일:4호선_341038(22.03).png 파일:341B55.jpg
341B38편성
(집전장치 교체 전)
[25]
341B55편성
(집전장치 교체 후, 1호선 운행 당시)
[26]
파일:341150내부.jpg
내부 모습

노후된 1~2차분 341B08~341B25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며 4차분과 마찬가지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었다. 4차분과 동일하게 미쓰비시 소자 기반의 현대로템 제작 VVVF-IGBT에 IPM이 적용된다. 좌석은 7인석에서 6인석 플라스틱석으로 변경되며, 4차분 열차의 전두부 긁힘 문제로 인해 배장기의 형태가 달라졌다. 그리고 이 차량들부터는 신도색이 적용되며 도어의 내부문양도 변경되었다. 또 교직절연구간 진입 시 교직절환기(ADS)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장치가 도입되었다. 차량이 교직절연구간을 지날 때 선로 변에 설치된 지상장치를 읽어 ADS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해당 장치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에도 이미 적용된 장치이다.

최초 도입 당시에는 싱글암 집전장치를 달고 들어왔지만, 전 차량이 이문차량사업소, 병점차량사업소, 분당차량사업소에서 더블암 집전장치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는 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에서 발생하는 강체가선 아크현상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 영업운행에 투입된 편성들을 보면 더블암 집전장치로 교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20240623_183159.jpg 파일:5차분 격벽.jpg
5차분 비상사다리 5차분 격벽

4호차와 5호차 사이, 7호차와 8호차 사이에 통로문이 있지만 평소에는 작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두고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341B08~341B25편성 대체분이지만 1호선 1~3차분신형 전동차로 대체되지 않음에도 무더기로 퇴역수순을 밟아 1호선의 차량부족 문제 때문에 341B41, 341B44~341B45, 341B48~341B55편성은 영업 운행 투입시기부터 2024년 6월 5일까지 1호선에서 임시 운행한 이력이 있다. 이들 중 341B53~341B55편성은 1호선 연천 연장 개통 이후로 연천역까지 운행한 이력이 있다. 또한 341B53편성은 2023년 10월 17일[28]12월 7일에 서울역발 천안급행으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2023년 1월 341B44편성의 LCD 모니터 화면이 환원됐다.

2023년 3월 341B45, 341B48~341B49편성의 LCD 모니터 프로그램이 환원됐다. 그러나 341B49편성은 얼마되지 않아 다시 최신 LCD 모니터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되었고, 341B41편성은 LCD 모니터 화면이 환원됐다.

2023년 5월 341B51~341B52편성의 LCD 모니터가 화면이 환원됐다.

2023년 6월 341B45편성의 LCD 모니터 화면이 개정됐다.

날짜 미상 341B51편성의 LCD 모니터 화면이 개정됐다.

2023년 12월 341B41편성과 341B44, 341B48, 341B52편성의 LCD 모니터 화면이 4호선 운행과 동시에 최신버전으로 개정됐다.

1호선 14~15차분의 생산속도와 투입속도가 빨라지고 1호선 일부 구형 열차들의 내구연한이 연장되면서 2023년 11월부터는 4호선 4차분부터 1호선에서 운행했던 차량들이 4호선으로 환원됐으며 5차분의 경우 2024년 6월 6일까지 무작위 순서로 환원됐다.

2023년 11월 14일에 341B45편성이, 11월 29일에 341B41편성이, 12월 1일에 341B44편성[29]과 341B48편성이, 12월 3일에 341B52편성이, 12월 5일에 341B49편성이, 12월 6일에 341B50편성이, 12월 8일에 341B51편성이, 2024년 3월 28일에는 341B53편성이, 4월 20일에는 341B54편성이, 6월 6일에는 341B55편성이 시흥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30]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파일:Seoulmetro1_icon.svg
운행개시일
파일:Seoulmetro4_icon.svg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bgcolor=#00a4e3><colcolor=#fff> 341B38 2021년 11월 29일 - 2022년 9월 5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이문차량사업소
341B39 2022년 1월 25일 2022년 9월 7일 시흥차량사업소
341B40 2021년 12월 30일 2022년 9월 18일
341B41 2022년 3월 14일 2022년 10월 28일 2023년 12월 4일
341B42 2022년 2월 18일 - 2022년 10월 14일
341B43 2022년 5월 29일 2022년 12월 23일 경부선 천안역 병점차량사업소
341B44 2022년 3월 31일 2022년 11월 17일 2023년 12월 5일 경부선 의왕역 시흥차량사업소
341B45 2022년 7월 21일 2023년 3월 22일 2023년 11월 17일 경부선 천안역 병점차량사업소
341B46 2022년 4월 14일 - 2022년 11월 16일 경부선 의왕역 시흥차량사업소
341B47 2022년 6월 8일 2023년 3월 8일 경부선 천안역 병점차량사업소
341B48 2022년 5월 7일 2023년 3월 7일 2023년 12월 5일
341B49 2022년 7월 7일 2023년 12월 11일
341B50 2022년 8월 11일 2023년 5월 5일 2023년 12월 9일
341B51 2022년 9월 9일 2023년 5월 6일 2023년 12월 13일
341B52 2022년 10월 20일 2023년 5월 8일 2023년 12월 6일
341B53 2022년 11월 17일 2023년 7월 1일 2024년 3월 29일
341B54 2022년 12월 15일 2023년 7월 4일 2024년 4월 24일
341B55 2022년 12월 29일 2023년 8월 11일 2024년 6월 13일

2.6. 6차분 (2024)

파일:341B56.jpg
341B56편성
파일:341B59.jpg
내부 모습

노후된 3차분 341B26~341B30편성 교체용으로 발주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유선형 전동차 대차분이다.[32] 기술형 입찰제로 진행됐으며, 351000호대 10차분(351F80~351F83편성)과 함께 입찰이 이뤄져 6차분도 역시 최종적으로 현대로템이 수주했다.

도색 및 세부 디자인은 기존 5차분 열차와 동일하며, 집전장치는 하부교차형 더블암 집전장치로 적용됐고, 객실 환기용 팬 추가와 1, 10호차 측면에 한국철도공사 문구가 지워졌다. 또한 공기청정기 디자인이 392000호대 1차분과 같아지고, 영상정보장치 모니터 화면이 기존보다 커지고, 출입문 고립스위치 위치 변경[33], 스테인리스봉 형태 변경, 좌석분리대 코레일 CI 무색 음각 처리되고 출입문 무늬가 약간 변경됐으며 의자는 유광에서 무광으로 변경됐다.

5차분과는 다르게 출입문 테두리 도금 재질이 4차분에서 쓰던 디자인으로 환원되었고, 공기압축기 가동 종료 시 공기빠지는 소리가 살짝 덜 시끄러워졌다.

4, 5차분과 달리 1호선에서 임시 운행한 적은 없다. 3차분의 사용기한이 연장되지 않은데다가 현재 1호선에 신형 차량이 전부 투입된 것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또한 1호선의 경우 2~3차분 중 6개 편성이 2028년까지 운용할 예정이라서 굳이 1호선으로 차출할 필요가 없다. 이 차량까지 도입되면서 코레일 4호선 차량은 전 차량이 원핸들로 운행하게 되었다.

4, 5차분과 마찬가지로 4호차와 5호차 사이, 7호차와 8호차 사이에 통로문이 있지만 평소에는 작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두고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2024년 10월 2일에 341B57편성이 운행을 시작했으나 차량 내 무전기 문제로 인해 영업 투입이 보류되었다가 10월 25일부터 다시 운행을 재개했다.# 이후 다른 편성들도 순차적으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4년 12월 26일 부로 마지막 편성인 341B60편성도 운행에 들어가면서 전 차량이 모두 운행을 개시하였다.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bgcolor=#00a4e3><colcolor=#fff> 341B56 2024년 2월 3일 2024년 12월 13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시흥차량사업소
341B57 2024년 3월 21일 2024년 10월 2일 병점차량사업소
341B58 2024년 4월 30일 2024년 11월 12일
341B59 2024년 5월 30일 2024년 12월 6일
341B60 2024년 6월 27일 2024년 12월 26일


[1] 341B01: 1993년 7월
341B02, 06~07: 1993년 11월
341B03~05, 08~17, 19: 1993년 12월
341B18: 341018, 341218, 341318호 1993년 12월, 341118, 341418, 341918호 1994년 2월
341B20~22: 1994년 1월
[2] 이 영상의 6분 29초를 보면 알 수 있다.[3] 일부 중간 객차인 341305~341805호만 매각됐으며, 341005-341105-341205-341905호는 실습용 차량으로 사용 중이라 편성 자체는 아직 차적에서 삭제되지 않았다.[4] 파일:4호선 K차 출입문 창틀 비교.jpg[5] 이 영상 6분 35초부터 볼 수 있다.[6] 온비드 > 동산/기타자산 > 물건 > 물건검색[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8]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9] 현재로서는 선바위가 아닌 진접부터 볼 수 없지만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5차분이 이미 시운전 중이고 곧 정식 운행 예정이기 때문이다.[10] 다만 코레일 차량 중 정사각형 출입문은 1호선 중에서 6개 편성이 남아있는 상태라 완전히 없어진건 아니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12]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13] 집전장치가 전차선을 벗어나며 스파크가 생기는 현상을 말함.[14] 정확히는 T-bar 방식의 강체가선에 해당하는 문제를 말함.[15] 1호선 도색, 4호선 도색, 출처: 네이버 블로그[도색] 341B35~341B37편성은 기존 4호선 도색으로 반입되었고 341B31~341B34편성은 1호선 도색으로 반입되었다가 4호선 복귀 후 재도색되었다.[1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8]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9] 관련 게시글 1, 관련 게시글 2,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0] 현재는 모두 4호선 도색이다.[21] 관련 게시글 1, 관련 게시글 2, 출처: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2] 관련 게시글, 출처: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3] 관련 게시글, 출처: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4] 관련 게시글, 출처: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5] 도입 초창기에는 집전장치가 싱글암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후에 더블암으로 변경되었다.[26] 더블암 집전장치로 변경된 모습[M] [28] 관련 게시글, 출처 :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29] 원래 2023년 11월 27일에 시흥기지로 복귀할 예정이었으나 회송이 연기됐다.[30]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M] [32] 관련 공문,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33] 비상콕크가 한국형 도시철도 출입문과 같은 디자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