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c479c> 매각, 그룹 해체 이전 계열사 | |
종합상사 | (주)대우 (상사부문, 건설부문*, 섬유사업부문, 극장사업부문, 물류사업부문*) | |
전자·정보통신 | 대우전자 (모니터사업부문*) | 대우전자부품* | 대우통신 (통신사업부문) | 대우캐리어 | 대우정보시스템 | 오리온전기 (오리온디스플레이) | 한국전기초자 | 한국산업전자 | 대우반도체 | 대우ST반도체설계 | 동흥전기 | 한국신용유통 | DCN | |
금융 | 대우증권 | 삼보증권 | 다이너스 클럽 코리아 | 대우투자금융 | 대우캐피탈 | 대우창업투자 | |
자동차 | 대우자동차 (승용차부문, 트럭부문*, 버스부문) | 대우자동차판매 (건설부문*) | 대우정밀공업 | 쌍용자동차 | |
중공업 | 대우중공업 (기계부문, 조선해양부문, 항공사업부문, 경형자동차사업부문) | 동명중공업 | 한국철도차량 | 대우전장* | 대우파츠닉* | |
건설 | 대우엔지니어링 | 경남기업 | 경남시니어타운 | 광주제2순환도로 | 한일대우시멘트 | 경우정화기술 | |
유통·호텔·서비스 | 대우백화점 | 대우개발 | 설악개발 | 아도니스 | 동우공영 | 유화개발 | 일산역사 | |
섬유·화학 | 대우어패럴 | 신성통상 | (주)고려 | 이수화학 | 일광화학공업 | 대우실업 | |
스포츠 | 부산 대우 로얄즈 | 레기아 대우 바르샤바 | 인천 대우 제우스 | 대우증권 남자 탁구단 | 대우중공업 여자 테니스단 | |
싱크탱크 | 대우경제연구소 | |
매각, 그룹 해체 이전 CSR | ||
교육·문화·보건·복지 | 대우재단* | |
학교 | 대우학원* (아주대학교, 거제대학교, 아주자동차대학교) | 지성학원 (거제고등학교, 거제중학교, 대우초등학교) | |
의료 | 아주대학교의료원 | 대우조선 의료재단 | |
기타 | ||
관련 단체·건물 | 대우세계경영연구회* | 대우인회* | 대우센터빌딩 | 대우빌딩 | 고등기술연구원 | |
주요 경영진 | 김우중 | 장병주 | 김덕중 | 이재명 | 추호석 | |
* 현재 대우 상표 유지중 |
<colbgcolor=#0c479c><colcolor=#fff> 대우중공업주식회사 大宇重工業株式會社 Daewoo Heavy Industries Co., Ltd.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37년옛 조선기계제작소 설립 1963년 5월 21일법인 전환 |
해체일(폐국) | 2013년 11월 30일 |
업종명 | 선박 제조 및 공업용 엔진 제조업 |
기업 분류 | 대기업 |
상장 여부 | 상장폐지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1966년 ~ 2001년) |
종목 코드 | 000200 |
법인 형태 | 폐업법인 |
주소 |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6 |
링크 | [1] |
[clearfix]
1. 개요
옛 대우그룹의 중공업 부문 계열사로, HD현대인프라코어와 한화오션의 뿌리이며 현대로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의 공동전신이기도 하다.2. 역사
1937년 일본 요코야마공업소[2], 모리콘체른 등의 주도로 경기도 인천부에서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가 시초이다. 설립 이래 디젤 차량 및 엔진을 위주로 제작했으나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인천육군조병창 관리 하에 잠수함을 건조했고, 특히 말기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의뢰로 삼식잠항수송정을 발주받은 적이 있다. 일제하 조선기계제작소에 관한 이야기는 배석만 인천대학교 교수의 2009년 논문과 이성진 교사의 인천뉴스 연재물에서도 확인 가능하다.1945년 8.15 광복 후 귀속 재산으로 분류되어 상공부 관할이 되었다. 이후 관리권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상공부를 오가다가 1963년,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제정에 따라 한국기계공업으로 재창립한 뒤 196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1968년에 신진자동차가 경영에 참여해 민영화되었다. 1973년 부곡차량 인수합병 후 1975년 신진그룹에서 분리되어 은행관리로 넘어갔다.
1976년 대우실업에 인수된 후 대우중공업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77년 공작기계공장, 1978년 기술연구소를 각각 세웠다. 1984년 항공사업부문 신설 후 1988년 자회사 한국산업전자를 세웠고, 1989년 유럽현지법인을 세우고 1994년 대우조선공업을 합병하여 조직을 기계-조선-자동차[3] 3개 부문으로 재편하여 독립채산제도 도입했다. 1999년도에 자동차 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이관하고 같은 해 빅딜을 통해 현대, 삼성, 대우, 한진 4사의 항공사업부문을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 현대, 대우, 한진 3사의 철도사업부문은 한국철도차량으로 합쳤다. 대우그룹 해체 후 채권단 관리를 받다가 2000년 10월 23일에는 종합기계부문이 '대우종합기계', 해양사업부문이 '대우조선공업'으로 각각 쪼개졌다. 나머지 (구)대우중공업 법인은 청산법인이 되어 정리절차를 거쳤고, 2001년 5월 23일 상장폐지를 맞고[4] 2005년 4월 1일 파산선고를 받아 2013년 법인이 완전 해체됐다.
대우중공업의 두 축이였던 종합기계와 조선해양은 20년 가까이 나뉘어 살다가 여러 사정 끝에 모두 현대중공업그룹에 인수되어 만나게 될 뻔 했던 적이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와 대우조선해양을 동시 인수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무리없이 인수되어 HD현대인프라코어가 되었으나, 대우조선해양의 인수는 유럽연합 (EU)의 반대로 무산되어[5] 전체 시장점유율로 보면 대우중공업이 현대중공업의 이름으로 다시 만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설령 대우조선해양이 인수되었다하더라도 온존한 형태의 재결합은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미 외환위기 때 항공부문과 철도부문이 떨어져나갔고, 그나마 남은 대우종합기계도 대우종합기계의 후신인 두산인프라코어가 두산의 경영난으로 여기저기로 분할 매각되었기 때문이다. 대우종합기계가 두산그룹에 인수되어 두산인프라코어가 된 뒤 분할매각된 굵직한 사업부만 해도 지게차사업부[6], 공작기계사업부[7], 방산사업부[8], 엔진사업부[9]가 있다.
3. 역대 총괄임원
- 회장
- 김제원 (1969~1971)
- 대표이사 회장
- 김우중 (1977~1995/1998~1999)
- 윤영석 (1995)
- 윤원석 (1995~1997)
- 대표이사 부회장
- 윤영석 (1993~1995)
- 대표이사 사장
- 최창현 (2000~2005)
4. 제품 목록
4.1. 철도
4.1.1. 철도 차량
4.1.1.1.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3차분)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1~2차분)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1~2차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2~3차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1차분)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GEC 초퍼제어 전동차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2차분)
-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1차분)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1차분)
5. 둘러보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구 신진자동차계 | |||||||||||||
국제차량제작 | 조선국산자동차 (구 조선자동차공업) | 새나라자동차 | ||||||||||||
[[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 ]] (구 신진공업) | 새한자동차 (구 지엠코리아) | [[거화| 거화 ]] (구 신진지프자동차) | ||||||||||||
구 대우자동차계 | 구 쌍용자동차계 | |||||||||||||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 ]] | 대우국민차 (생산: 대우중공업) | 동아자동차 (구 하동환자동차) | ||||||||||||
GM대우 (현 GM 한국사업장) | [[알페온| 알페온 ]] (한국GM 제조 / 독자 브랜드) | 쌍용자동차 (현 KG모빌리티) | ||||||||||||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버스 ]] (구 자일대우상용차) | ||||||||||||||
구 삼성자동차계 | ||||||||||||||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 (현 르노코리아) | 삼성상용차 | 삼성자동차 | ||||||||||||
현대자동차계 | 기아계 | 기타 | ||||||||||||
[[현대모비스 #s-5| 현대정공 ]] (자동차 사업부문) | 아시아자동차 (기아자동차 CI 혼용) | 프로토모터스 (현 어울림모터스) | 에디슨모터스 (현 KGM커머셜)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관련 틀] 주요 브랜드 | 소규모 브랜드 | 없어진 브랜드 | }}} | }}}}}} |
[1] 현재는 대우자동차보존연구소라는 비영리단체가 운영하는 대우테크니컬아카이브의 도메인으로 사용되고 있다.[2] 당시 네즈재벌 계열사.[3] 국민차, 트럭, 버스[4] 원래는 같은 해 10월 26일 상장폐지 예정이였으나 영업에 필요한 자산이 전혀 없는 사실상 페이퍼 컴퍼니라는 이유로 증권거래소에서 빠른 상장폐지 결정을 내렸다. 당시 상장되어 있던 주식수는 보통주 2억 6,938만 6,352주, 우선주 639만 8,126주였다.[5] 대우조선해양이 현대중공업그룹에 인수합병될 경우 LNG선 등 고부가선종에서 시장 점유율 약 70%를 차지하는 초거대 괴물 조선회사가 탄생하게 될 것을 우려한 EU가 기업승인 불승인을 내렸다.[6] 매각된 후 (주)두산이 다시 사들였다가 두산밥캣의 자회사로 재매각.[7] 사모펀드로 매각되었다가 DTR오토모티브(현.DN오토모티브)로 재매각. 사모펀드가 들고 있었을때는 그나마 '두산공작기계'라는 사명으로 두산의 흔적을 남겨놨었지만, DTR오토모티브로 매각된 이후로는 아예 'DN솔루션즈'로 회사 이름을 바꿔서 두산의 흔적을 지워버렸다.[8] 한화디펜스로 매각[9] HSD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