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4:32:10

증권거래소


1. 개요2. 각 증권거래소 모습3. 목록
3.1. 북아메리카3.2. 아시아3.3. 유럽3.4. 기타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333> 한국어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영어 Stock Exchange
중국어 證券交易所
证券交易所
일본어 証券取引所[1]
프랑스어 Bourse des valeurs
네덜란드어 Effectenbeurs

1. 개요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 / Stock Exchange[2])는 한 국가에서 유통되는 모든 유가증권을 유통하는 장소이다. 웬만큼 경제규모가 되는 자본주의 국가 및 자본주의 요소를 받아들인 사회주의 국가(중국, 베트남 등)에 존재하며[3], 대한민국에는 한국거래소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거래소에서 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주체는 한국은행 등의 국가은행과 같이 한정되어 있다. 보통은 증권사같은 브로커리지의 중개를 통해 매매가 가능하며, 증권사는 예탁결제원과의 청산 절차를 거치며 장부를 맞추고 자산을 배분한다. 대표적인 유통시장으로, 각 기업이나 정부 등이 발행한 유가증권(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명단에 올려(이를 상장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래할 수 있게끔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각국의 거래소는 금융당국의 감시와 감독 하에 증권을 유통한다.[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돈 아이콘.svg증권거래소
시가총액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rowcolor=white> 순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USD)
1 파일:미국 국기.svg 나스닥 31.41조
2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증권거래소 29.56조
3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넥스트 25.89조
4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증권거래소 6.52조
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거래소 6.15조
6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증권거래소 5.56조
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국립증권거래소 4.34조
8 파일:중국 국기.svg 선전증권거래소 4.29조
9 파일:인도 국기.svg 봄베이증권거래소 4.15조
1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증권거래소 3.97조
11 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체 뵈르제 3.77조
12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나스닥 노르딕 3.53조
13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증권거래소 3.09조
1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증권거래소 2.84조
1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거래소 2.32조
16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증권거래소 2.15조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거래소 1.97조
18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증권거래소 1.79조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드리드증권거래소 1.71조
20 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증권거래소 1.02조
2025년 4월 기준#
}}}}}} ||

2. 각 증권거래소 모습

파일:FdDHug6.jpg

런던증권거래소

파일:xNz3ERS.jpg

뉴욕증권거래소

파일:Nasdaq-Cloud-Amazon-Web-Services-AWS-Equinix-696x522.jpg

나스닥

파일:도쿄증권거래소 내부.jpg

도쿄증권거래소

파일:8SzgxKy.jpg

한국거래소

파일:mxlGHPf.jpg

홍콩증권거래소

3. 목록

3.1. 북아메리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A86FF> 파일:증권거래소 아이콘 화이트.svg북아메리카의
증권거래소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212529"dark-style="color: #E0E0E0"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나스닥 로고.svg파일:나스닥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륙간거래소 로고.svg파일:대륙간거래소 로고 다크.svg 파일:CME 그룹 로고.svg 파일:Cboe 글로벌 마켓 로고.svg파일:Cboe 글로벌 마켓 로고 화이트.svg
파일:뉴욕증권거래소 로고.svg파일:뉴욕증권거래소 로고 화이트.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멕시코증권거래소 로고.svg파일:멕시코증권거래소 로고 화이트.svg 파일:토론토증권거래소 로고.svg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기타 }}}}}}}}}

3.2. 아시아

{{{#!wiki style="margin: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18701> 파일:증권거래소 아이콘 화이트.svg아시아의
증권거래소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212529"dark-style="color: #E0E0E0"
대만 대한민국
대만증권거래소
(TWSE)

파일:대만증권거래소 로고.svg
타이베이거래소
(TPEX)

파일:타이베이거래소 로고.svg
한국거래소
(KRX)

파일:한국거래소 로고.svg
말레이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BM)

파일: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로고.svg
하노이증권거래소
(HNX)

파일:Hanoi-Stock-Exchange-logo.png
호찌민증권거래소
(HOSE)

파일:Hochiminh-Stock-Exchange-logo.jpg
사우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우디거래소
(TADAWUL)

파일:사우디거래소 로고.svg
싱가포르거래소
(SGX)

파일:싱가포르 거래소 로고.svg
인도네시아증권거래소
(IDX)

파일:Indonesia_Stock_Exchange_(logo).svg.png
인도
봄베이증권거래소
(BSE)

파일:봄베이증권거래소 로고.svg파일:봄베이증권거래소 로고 화이트.svg
인도국립증권거래소
(NSE)

파일:인도국립증권거래소 로고.svg
캘커타증권거래소
(CSE)

파일:cse-logo.png
중국 본토
상하이증권거래소
(SSE)

파일:상하이증권거래소 로고.svg
선전증권거래소
(SZSE)

파일:선전증권거래소 로고.svg
베이징증권거래소
(BSE)

파일:BEIJINGSTOCKEXCHANGE.png
홍콩 일본 필리핀
홍콩증권거래소
(HKEX)

파일:홍콩증권거래소 로고.svg
일본거래소
(JPX)

파일:일본거래소그룹 로고.svg
필리핀증권거래소
(PSE)

파일:Philippine_Stock_Exchange_logo.png
태국
태국증권거래소
(SET)

파일:Stock_Exchange_of_Thailand_logo.png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기타 }}}}}}}}}

3.3. 유럽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8A3A5> 파일:증권거래소 아이콘 화이트.svg유럽의
증권거래소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212529"dark-style="color: #E0E0E0"
[[유럽연합|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파일:유로넥스트 로고.svg 파일:도이체 뵈르제 로고.svg파일:도이체 뵈르제 로고 화이트.svg 파일:런던증권거래소 로고.svg 파일:스페인거래소그룹 로고.svg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북유럽|
파일:북유럽 협의회 깃발.svg
]]
파일:모스크바증권거래소 영문 로고.svg 파일:스위스증권거래소 로고.svg 파일:이스탄불증권거래소 로고.svg 파일:나스닥 로고.svg파일:나스닥 로고 화이트.svg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기타 }}}}}}}}}

3.4. 기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5c677d> 파일:증권거래소 아이콘 화이트.svg기타 지역의
증권거래소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212529"dark-style="color: #E0E0E0"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B3_logo.png 파일:요하네스버그증권거래소 로고.svg파일:요하네스버그증권거래소 로고 화이트.svg 파일:호주증권거래소 로고.svg파일:호주증권거래소 로고 화이트.svg
북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기타
}}}}}}}}} ||

[1] しょうけんとりひきじょ[2] 유럽 대륙 대부분 지역에선 bourse 계열 이름으로 부른다.[3] 북한, 쿠바처럼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아니거나, 너무 경제규모가 작거나 빈국이라 없는 곳(바티칸, 리히텐슈타인이나 예멘, 콩고민주공화국 등) 등 증권거래소가 없는 국가도 존재한다. 에티오피아는 둘 다 아닌데도 2025년에야 증권거래소가 생겼다. 증권거래소 없는 나라 일람[4] 미국의 경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한국은 금융감독원.[5] 전산화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증권거래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