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수도권 전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한국철도공사 | 기타 수도권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
| (여섯 자릿수)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전동차(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1000호대 저항(현황) - VVVF(현황) | 2000호대 저항(현황) 초퍼(상세 · 현황) VVVF(현황) | ||||||||||
| | ||||||||||
3000호대 - 초퍼(현황) VVVF(현황) | 4000호대 - 초퍼(현황) VVVF(상세 · 현황) | ||||||||||
| | | | ||||||||
5000호대 (현황) | 6000호대 (현황) | 7000호대 (상세 · 현황) | 8000호대 (현황) | ||||||||
| | | |||||||||
90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
| | | | ||||||||
초저항 | 직각형 저항 · 초퍼 | 광폭형 GEC 초퍼 | 1세대 VVVF | }}}}}}}}} |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 미쓰비시 우진산전 | }}}}}}}}} | |||||||
한국철도공사 · GTX · 그 외 수도권 전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1000호대 (상세 · 현황) | 31x000호대 (상세 · 사고 · 현황) | 321000호대 (현황) | 331000호대 (현황) | ||||||||
| | | | ||||||||
3000호대 (현황) | 341000호대 (상세 · 현황) | 351000호대 (상세 · 현황) | 361000호대 (현황) | ||||||||
| | | | ||||||||
371000호대 (현황) | 391000호대 (현황) | D000호대 (현황) | UL000호대 (현황) | ||||||||
| | | | ||||||||
SL000호대 (현황) | U100호대 (현황) | Y1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
| | | |||||||||
초저항 | 3000호대 1차분 | A000호대 (현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000호대 (현황)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
DL000호대 | WTL000호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번 전(철도청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2030호대 (현황) | 5000호대· 6000호대 (현황) | }}}}}}}}}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1. 개요2. 도시철도
2.1. 저항제어초퍼제어
2.1.1. 초저항 (1974, 1977~1978, 1989)2.1.2. 신저항 (1999, 2004)2.1.3. 직각형 저항제어 (1980, 1982, 1986, 1990, 1993)
2.2. 2.2.1. 직각형 MELCO 초퍼 (1983, 1986, 1989~1993)2.2.2.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 1993~1994)2.2.3. 광폭형 GEC 초퍼 (1984~1985, 1989~1993)
2.3. 인버터제어2.3.1. 현대정공/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현대로템
2.3.1.1. 1세대 (1993~1996, 1998~1999, 2002)
2.3.2. 다원시스2.3.3. 우진산전2.3.4. 미정2.3.1.1.1. 구 서울지하철공사 관할 (1, 4호선) (1993~1994, 1995, 1998~1999, 2002)2.3.1.1.2.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5호선) (1994~1996)2.3.1.1.3.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7, 8호선) (1995~1996)
2.3.1.2. 2세대 (1999~2000, 2005, 2007~2010)2.3.1.2.1.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6호선) (1999~2000)2.3.1.2.2.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7, 8호선) (1999~2000)2.3.1.2.3. 구 서울메트로 관할 (2, 3호선) (2005, 2007~2010)
2.3.1.3. 3세대 (2016~2020, 2023)1. 개요
서울교통공사의 전동차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2. 도시철도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이 개통함에 따라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전동차도 운행을 시작하였는데, 차량번호는 노선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 방식이다. 차량이 폐차되면 새로 반입하는 차량에 폐차된 차량의 번호를 부여받는다.현재 서울교통공사에 소속된 도시철도 차량들의 차량번호 분류는 아래와 같다. 각 전동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 있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수도권 전철 1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수도권 전철 1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2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3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4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5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6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7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8호선용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9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9호선용 전동차
2.1. 저항제어
2.1.1. 초저항 (1974, 1977~1978, 1989)
| |
<rowcolor=white> 신정기지에 동태 보존중인 101편성(1002호) | 115편성 (개조저항) |
해당하는 차량은 舊101~116편성이다.
서울특별시 지하철본부에서 최초로 도입한 통근형 전동차이다. 당시 한국철도공사에서 도입한 전동차와 같은 기종이다.- 1차분(1974)
해당 차량: 舊101~110편성(6량)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
- 2차분(1977~1978)
해당 차량: 舊111~116편성(6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개조분(1999)
해당 차량: 111~114편성(10량)
1999년 초저항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103~110편성에서 차출했다.
- 개조분(2002)
해당 차량: 115~116편성(10량)
2002년 초저항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113~116편성에서 차출했다.
2.1.2. 신저항 (1999, 2004)
|
111편성(1911호) |
해당되는 차량은 111편성 중 1111(舊1113), 1211(舊1313), 1711, 1811, 1911호와 舊1114, 舊1314호다.
- 4차분(1999)
해당 차량: 111편성(4량 신규도입)
제작사: 현대정공
- 사고 복구분(2004)
해당 차량: 111편성(3량 신규도입)
제작사: 현대로템
2.1.3. 직각형 저항제어 (1980, 1982, 1986, 1990, 1993)
| |
<rowcolor=#fff> 201편성 (1차분) | 256편성 (개조저항) |
해당하는 차량은 舊201~214편성이다.
- 2차분(1982)
해당 차량: 舊212~214편성(4량)
제작사: 현대정공
- 4차분(1986)
해당 차량: 舊201~208편성(4량→6량 증결)
제작사: 현대정공
- 5차분(1990)
해당 차량: 舊209편성(4량→6량 증결)
제작사: 현대정공
- 7차분(1993)
해당 차량: 舊201~205편성(6량→10량 증결)
제작사: 한진중공업
- 개조분(2005)
해당 차량: 舊245~248(6량), 256편성(4량)
2005년 초저항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201~205, 209, 264~266편성에서 차출했다.
2.2. 초퍼제어
2.2.1. 직각형 MELCO 초퍼 (1983, 1986, 1989~1993)
|
<rowcolor=#fff> 214편성 (7차분) |
해당하는 차량은 舊215~253편성(변경 후 舊215~244, 206~214편성)이다.
- 3차분(1983)
해당 차량: 舊215~238(4량), 239편성(6량)
제작사: 현대정공
- 4차분(1986)
해당 차량: 舊215~238편성(4량→6량 증결)
제작사: 현대정공
- 5차분(1989~1990)
해당 차량: 舊240~245편성(6량), 舊246~252편성(변경 후 207~213편성)(4량→6량 증결)
제작사: 현대정공
- 6차분(1990~1991)
해당 차량: 舊246~252편성(변경 후 207~213편성)(4량), 舊228~238, 240~252편성(변경 후 228~238, 240~244, 206~213편성)(6량→10량 증결)
제작사: 현대정공
- 7차분(1992~1993)
해당 차량: 舊215~227, 239편성(6량→10량 증결), 舊253편성(변경 후 214편성)(10량)
제작사: 현대정공
- 개조분(2007~2008)
해당 차량: 舊232~239편성(10량)
2007~2008년 1983년식 MELCO 초퍼제어 차량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215~239편성에서 차출했다.
2.2.2.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 1993~1994)
|
<rowcolor=#fff> 295편성 (8차분) |
해당하는 차량은 舊261~275, 293~295편성이다.
- 3차분(1983~1984)
해당 차량: 舊261~275편성(당시 舊301~315편성)(6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6차분(1991)
해당 차량: 舊261~263, 270, 272, 275편성(당시 舊310~315편성)(6량→10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7차분(1993)
해당 차량: 舊264~269, 271, 273~274편성(6량→10량 증결 및 재조합)
제작사: 대우중공업
- 8차분(1994)
해당 차량: 舊293~295편성(10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개조분(2008~2009)
해당 차량: 舊273~277편성(10량)
2008~2009년 1983년식 GEC 초퍼제어 차량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261~263, 267~271, 273~274편성에서 차출했다.
2.2.3. 광폭형 GEC 초퍼 (1984~1985, 1989~1993)
| |
278편성 | 314편성 |
해당하는 차량은 舊276~292, 301~348편성(이적 전 316~347, 401~441)이다.
- 1차분(1984~1985)
해당 차량: 舊316~340, 401~427편성(이적 후 舊301~333, 336~344, 276~277편성)(6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2차분(1989)
해당 차량: 舊428~434편성(이적 후 舊285~291편성)(6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3차분(1990~1991)
해당 차량: 舊435편성(이적 후 舊292편성)(6량), 舊436~441편성(이적 후 舊334~335, 345~348편성)(10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4차분(1990~1992)
해당 차량: 舊341~347편성(이적 후 舊278~284편성)(6량), 舊401~435편성(이적 후 舊301~315, 319, 321, 324~326, 330~331, 337, 341~344편성)(6량→10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5차분(1993)
해당 차량: 舊276~278, 323, 328~329, 336, 338~340편성(6량→10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 개조분(2010)
해당 차량: 舊316~320, 341~344편성(10량)
2009~2010년 1984년식 GEC 초퍼제어 차량 폐차 시에 내구 연한이 남은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한 것이다. 舊301~315, 319, 321, 323~326, 328~331, 336~344편성에서 차출했다.
2.3. 인버터제어
2.3.1. 현대정공/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현대로템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차 (EMU/DMU/PP) | ||||||||||
🚄 고속열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TX[라](34개 편성 한정) | KTX-산천 SRT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TX-이음 |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 KTX-청룡 SRT EMU-32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SR-350X운행 불가 | HEMU-430X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MU-370 |
🚅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TX-청춘 | GTX-A A000호대수도권 전철 | |||||||||
GTX-B수도권 전철 | GTX-C수도권 전철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TX-새마을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4차분수도권 전철 |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HRCS2 |
🚆 디젤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EC[퇴역] | NDC[퇴역]- | |||||||||
DHC-PP[퇴역] | 경복호[대우] | ||||||||||
CDC[퇴역] | RDC[퇴역] | ||||||||||
수출차량 보기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EC(수도권 통합환승x)[퇴역] |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상세)[퇴역] | |||||||||
인버터 제어 1세대[대우] | 일산선 전용 1세대(상세)[퇴역] | ||||||||||
인버터 제어 2세대 | 인버터 제어 3세대 | 인버터 제어 4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저항제어[대우][현공] |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퇴역] |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 | ||||||||
1000·4000호대 VVVF 1세대(상세)[대우][현공] | 5000호대 VVVF 1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1세대[대우] | |||||||||
6000호대 VVVF 2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2세대[한진] | 2000·3000호대 VVVF 2세대 | |||||||||
9000호대 VVVF 3세대 3~4차분 | 5000호대 VVVF 3세대 |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항철도 1000호대(수도권 통합환승x) | ||||||||||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대우]~2차분 | 네오트랜스 D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1세대(1~7차분)(상세)[한진][현공] | 1000호대 2세대(8~10차분) | |||||||||
2000호대 1[한진]~2차분 | 3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 표준형 전동차 | AUT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SEPTA Silverliner V | 싱가포르 J151형 | 타이완 EMU600 | ||||||||
타이완 EMU900 |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 홍콩 동철선 EMU | |||||||||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경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 ||||||||||
동북선 DL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코비 (UTM-0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가선 저상 트램 | 수소전기 트램 보기 | 수출차량 보기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
⚙️ 기관차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7000/#000호대 디젤기관차[대우][현공] |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 |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 국가철도공단 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 ||||||||||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4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 ||||||||||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객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 | 무궁화호 격하 특실[퇴역] | |||||||||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 |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발전차 (문서 이동) | |||||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2.3.1.1. 1세대 (1993~1996, 1998~1999, 2002)
2.3.1.1.1. 구 서울지하철공사 관할 (1, 4호선) (1993~1994, 1995, 1998~1999, 2002)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101편성 (1차분) | 470편성 (2차분) |
해당하는 차량은 101~104편성(10량), 105~106편성(8량), 107~108편성(10량), 109~110편성(8량), 401~426, 451~471편성(10량)이다.
1993년부터 도입된 대한민국 최초의 VVVF 인버터제어 열차들이다.
1993년부터 도입된 대한민국 최초의 VVVF 인버터제어 열차들이다.
- 1차분(1993~1994, 1998~1999)
해당 차량: 101~104편성(10량), 105~106편성(8량), 452, 455편성(10량), 401~409, 451, 453~454, 456~463편성(10량)
제작사: 현대정공
- 2차분(1994~1995, 2002)
해당 차량: 107~108편성(10량), 109~110편성(8량), 411, 422, 426편성(10량), 410, 412~421, 423~425, 464~471편성(10량)
제작사:대우중공업,
현대로템
2.3.1.1.2.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5호선) (1994~1996)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1세대 전동차 Seoul Metro 5000 Series 1st Generation EMU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996cac>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8량 1편성 (46편성(1994년식) + 30편성(1996년식) = 총 76편성) | ||
생산량 | 608량 (368량(1994년식) + 240량(1996년식))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1996년 (1996년식) | |||
제작사 | 현대정공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고덕차량사업소 방화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 526 ~ 546 (8량) | ||
547 ~ 576 (8량)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996cac>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차중 | TC | 30.9t | |
M1 | 37.8t | ||
M2 | 33.7t | ||
T | 29t | ||
대차 | 에어스프링 ND-317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제어방식 | ABB VVVF-GTO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4M 4T(8량) (Tc-M1-M2-T1-T2-M1-M2-Tc) | }}}}}}}}} |
- 해당 차량: 501~576편성(8량)
- 1994년식(1994~1995)
해당 차량: 526~546편성(8량), 501~525편성(8량)
제작사: 현대정공
- 1996년식(1996)
해당 차량: 547~576편성(8량)
제작사: 현대정공
2.3.1.1.3.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7, 8호선) (1995~1996)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 1세대 전동차 Seoul Metro 7000·8000 Series 1st Generation EMU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
생산량 | 226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1995 ~ 1996년 | ||
제작사 | 대우중공업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제어방식 | 알스톰 VVVF-GTO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1-M2-T1-T2-M1-M2-Tc) (Tc-M1-T1-M1-M2-Tc) | }}}}}}}}} |
- 해당 차량: 701~717편성(8량), 801~815편성(6량)
- 1995년식(1995~1996)
해당 차량: 705, 709편성(8량), 801~815편성(6량), 701~704, 706~708, 710~717편성(8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2.3.1.2. 2세대 (1999~2000, 2005, 2007~2010)
2.3.1.2.1.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6호선) (1999~2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2세대 전동차 Seoul Metro 6000 Series 2nd Generation EMU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cd7c2f>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8량 1편성 | ||
생산량 | 328량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1999 ~ 2000년 | ||
제작사 | 현대정공 | ||
한국철도차량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cd7c2f>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GRS[2] ATC/ATO | ||
제어방식 | 미쓰비시 VVVF-IGBT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4M 4T(8량) (Tc-M1-M2-T1-T2-M1-M2-Tc) | }}}}}}}}} |
- 해당 차량: 601~641편성(8량)
2.3.1.2.2. 구 서울도시철도 관할 (7, 8호선) (1999~2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 2세대 전동차 Seoul Metro 7000·8000 Series 2nd Generation EMU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 | ||
생산량 | 402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1999 ~ 2000년 | ||
제작사 | | ||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제어방식 |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1-M2-T1-T2-M1-M2-Tc) (Tc-M1-T1-M1-M2-Tc) | }}}}}}}}} |
- 해당 차량: 718~763편성(8량), 816~820편성(6량)
- 1999년식(1999~2000)
해당 차량: 718~763편성(8량), 816~820편성(6량)
제작사: 한진중공업(718~721, 752, 763, 816~820편성) / 한국철도차량(722~762편성)
2.3.1.2.3. 구 서울메트로 관할 (2, 3호선) (2005, 2007~201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2000·3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전동차 Seoul Metro 2000·3000 Series Hyundai Rotem 2nd Generation EMU | }}} | |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생산량 | 674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 |||
| |||
제작사 | 현대로템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선두차 | 19,950㎜ |
중간차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 ||
제어방식 | 현대로템 VVVF-IGBT(IPM)[M]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14:99 | ||
제동방식 | | ||
편성출력 | 4,000㎾[6] (5,400HP) | ||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M'-T-M'-T1-T-M-M'-Tc) (Tc-M'-M'-Tc) | }}}}}}}}} |
- 해당 차량: 201~205, 215~222편성(10량), 223~231편성(8량), 257~260편성(4량), 261~270편성(10량), 271~272편성(8량),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10량)
- 2005년식(2005)
해당 차량: 201~205편성(10량), 257편성(4량)
- 2007년식(2007~2008)
해당 차량: 215~222편성(10량), 223~231편성(8량), 258~260편성(4량), 261~270편성(10량), 271~272편성(8량)
- 2009년식(2009~2010)
해당 차량: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10량)
2.3.1.3. 3세대 (2016~2020, 2023)
2.3.1.3.1. 9호선 전용 차량 (2016~2019, 2023)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9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전동차 Seoul Metro 9000 Series Hyundai Rotem 3rd Generation EMU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BDB092>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6량 1편성[7] | ||
생산량 | 174량 (총 53편성)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016 ~ 2019년 (2016년식) | ||
2023년 (2023년식) | |||
제작사 | 현대로템 | ||
소유기관 | 서울특별시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9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김포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 901 ~ 936 (2량) 937 ~ 945 (6량) | ||
946 ~ 953 (6량)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BDB092>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Alstom Mastria 200 ATP/ATO[8] | ||
기어비 | 14:99 | ||
제어방식 | 현대로템 VVVF-IGBT(IPM)[M] | ||
동력장치 |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3M 3T(6량) (Tc-M1-M2-T-M1-Tc) | }}}}}}}}} |
- 해당 차량: 901~936편성(2량), 937~953편성(6량)
- 2016년식(2016~2019)
해당 차량: 901~936편성(4량→6량 증결), 937~945편성(6량)
- 2023년식(2023)
해당 차량: 946~953편성(6량)
2.3.1.3.2. 5호선 전용 차량 (2018)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전동차 Seoul Metro 5000 Series Hyundai Rotem 3rd Generation EMU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996cac>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8량 1편성 | ||
생산량 | 32량 (총 4편성)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018년 | ||
제작사 | 현대로템 | ||
소유기관 | 하남시 | ||
운영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고덕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 577 ~ 580 (8량)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996cac>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차중 | TC | 30.9t | |
M1 | 37.8t | ||
M2 | 33.7t | ||
T | 29t | ||
대차 | 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기어비 | 14:99 | ||
제어방식 | 현대로템 VVVF-IGBT(IPM)[M]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4M 4T(8량) (Tc-M1-M2-T1-T2-M1-M2-Tc) | }}}}}}}}} |
- 해당 차량: 577~580편성(8량)
- 2018년식(2018)
해당 차량: 577~580편성(8량)
2.3.1.3.3. 2, 4호선 전용 차량 (2019~2020)
#!if 넘어옴1 != null
'''밥통열차'''{{{#!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485계 전동차}}}에 대한 내용은 [[485계 전동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485계 전동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485계 전동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485계 전동차: }}}[[485계 전동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485계 전동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485계 전동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2000·4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전동차 Seoul Metro 2000·4000 Series Hyundai Rotem 3rd Generation EMU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생산량 | 264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019 ~ 2020년 | ||
제작사 | 현대로템 | ||
소유기관 | | ||
| |||
운영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 | ||
급전방식 | | ||
운전보안장치 | | ||
제어방식 | 현대로템 VVVF-IGBT(IPM)[M] | ||
동력장치 |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14:99 | ||
제동방식 | (영속도 회생제동 포함) | ||
최고속도 | 영업 | | |
설계 |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M'-T-M'-T1-T-M-M'-Tc) (Tc-M'-M'-Tc) | }}}}}}}}} |
- 해당 차량: 214, 232~238편성(10량), 256편성(4량), 273~284, 293편성(10량), 481~485편성(10량)
2.3.2. 다원시스
2.3.2.1.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적용차량 (2017~2018, 2020~2025, 2028~202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2000·3000·4000·9000호대 다원시스 전동차 Seoul Metro 2000·3000·4000·9000 Series Dawonsys EMU | }}} | |
| |||
| |||
| |||
| |||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생산량 | 630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 |||
| |||
| |||
소유기관 | | ||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 ||
궤간 | 1,435㎜ | ||
재질 | | ||
급전방식 | | ||
운전보안장치 | | ||
제어방식 | 다원시스 VVVF-IGBT[K] | ||
동력장치 |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14:99 | ||
제동방식 | | ||
최고속도 | 영업 | | |
설계 |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M'-T-M'-T1-T-M-M'-Tc) (Tc-M-M'-T-M'-Tc) | }}}}}}}}} |
- 해당 차량: 206~213편성(10량), 223~231편성(2량), 239~242편성(10량), 245~248편성(6량), 271~272편성(2량), 285~292편성(10량), 316~320편성(10량), 334~335편성(10량), 341~348편성(10량), 450~470편성(10량), 954~957편성(6량)
- 2017년식(2017~2018)
해당 차량: 206~213, 239~242, 285~292편성(10량)[18]
- 2020년식(2020~2022)
해당 차량: 245~248편성(6량)[19], 223~231, 271~272편성(무동력 초퍼제어 객차 교체 2량), 316~320, 334~335, 341~348편성(10량)[20]
- 2023년식(2023~2025)
해당 차량: 450~470편성(10량)[21]
- 2028년식(2028~2029)
해당 차량: 954~957편성(6량)[22]
2.3.2.2.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적용차량 (2025~현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5000·7000·8000호대 다원시스 전동차(PMSM 적용) Seoul Metro 5000·7000·8000 Series Dawonsys EMU(PMSM) | }}} | |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생산량 | 538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 |||
소유기관 | | ||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600㎜ | ||
궤간 | 1,435㎜ | ||
재질 | 알루미늄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 ||
제어방식 |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 도시바 완전밀폐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 | ||
기어비 | 14:99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1-M2-T1-T2-M1-M2-Tc) (Tc-M1-T1-M1-M2-Tc) | }}}}}}}}} |
- 해당 차량: 526~576편성(8량), 도봉산옥정선 개통분 5편성(8량), 801~815편성(6량)
- 2027년식(2027~2028)
해당 차량: 552~576편성(8량)[26], 도봉산옥정선 개통분 5편성(8량)
2.3.3. 우진산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1000·4000·5000·7000·8000호대 우진산전 전동차 Seoul Metro 1000·4000·5000·7000·8000 Series Woojin Industrial Systems EMU | }}} | |
| |||
| |||
| |||
| |||
| |||
| |||
| |||
| |||
차량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열차 형식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 ||
생산량 | 870량 (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 |||
| |||
| |||
소유기관 | | ||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 |||
| }}}}}}}}}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293896>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 ||
궤간 | 1,435㎜ | ||
재질 | 알루미늄 | ||
급전방식 | | ||
운전보안장치 | | ||
제어방식 |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 | ||
기어비 | 14:99 | ||
제동방식 | | ||
최고속도 | 영업 | | |
설계 |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Tc-M-M'-T-M'-T1-T-M-M'-Tc) (Tc-M1-M2-T1-T2-M1-M2-Tc) (Tc-M1-T1-M1-M2-Tc) | }}}}}}}}} |
- 해당 차량: 101~116편성(10량), 401~426편성(10량), 471~473편성(10량), 501~525편성(8량), 701~717편성(8량), 816~829편성(6량)
- 2023년식(2023~2024)
해당 차량: 821~829편성(6량)[29]
- 2024년식(2024~2025)
해당 차량: 401~426편성(10량)[30]
2.3.4. 미정
- 해당 차량: 601~641편성, 718~763편성, 순수 증차분 1편성 (제작사 미정)
[I] 인피니언 소자 기반이다.[2] 참고 자료: 영문 위키피디아 General Railway Signal 문서[3] Distance to Go 방식[4] 1~2차분 차량의 경우 도입 시에는 ATS-S2 방식으로 도입되었으나 2009년 후반부터 ATO/ATP로 개조되었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6] 연속 정격출력 4,000㎾, 1시간 정격출력 4,600㎾[7] 901~944편성은 처음에 4량이었다가 6량으로 증결됐다. 향후 8량까지 증결 가능하다.[8] Distance to Go 방식[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11] Distance to Go 방식[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13]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일부 및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저항 일부 대체분[14] 진접선 개통분[15] Distance to Go 방식[16] Distance to Go 방식[K] KEC 소자 기반이다.[18]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일부 대체분[19]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저항 일부 대체분[20]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일부 대체분[21]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직교류겸용 1~2차분 대체분[22] 순수 증차분[23] 편성번호를 자세히 보면 526편성이라고 써져있는데 디자인 투표에서도 다른 시안들은 801편성으로 써져있고 확정된 이 디자인인 3안도 다른 8호선 사진들은 정상적으로 표기되어있는걸 보면 아마 5호선 조감도에 8호선 색상을 입히려다가 수정 과정에서 발견하지 못한 오류로 보인다.[24]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차분 일부 및 2차분 일부 대체분[25]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1차분 대체분[26]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2차분 일부 대체분[27]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차분 일부 대체분[28]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1차분 대체분[29] 별내선 개통분[30]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직류전용 1~2차분 대체분[31]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 및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저항 대체분[32]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 대체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