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colcolor=#fff> 한국 철도의 열차번호 체계 | ||||
| 한국철도공사 | 고속열차 (SR 할당분 포함) | 일반열차 | 화물열차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그 외 수도권 전철 | |
| 비수도권 광역전철 | 동남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 수도권 전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한국철도공사 | 기타 수도권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
| | (여섯 자릿수)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전동차(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서울시메트로9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1000호대 저항(현황) - VVVF(현황) | 2000호대 저항(현황) 초퍼(상세 · 현황) VVVF(현황) | ||||||||||
| | | ||||||||||
| 3000호대 - 초퍼(현황) VVVF(현황) | 4000호대 - 초퍼(현황) VVVF(상세 · 현황) | ||||||||||
| | | | | ||||||||
| 5000호대 (현황) | 6000호대 (현황) | 7000호대 (상세 · 현황) | 8000호대 (현황) | ||||||||
| | | | |||||||||
| 90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
| | | | | ||||||||
| 초저항 | 직각형 저항 · 초퍼 | 광폭형 GEC 초퍼 | 1세대 VVVF | }}}}}}}}} | |||||||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 ||||||||
| 1000호대 (현황) | 2000호대 (현황) | 에코비 | 미쓰비시 우진산전 | }}}}}}}}} | |||||||
| 한국철도공사 · GTX · 그 외 수도권 전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1000호대 (상세 · 현황) | 31x000호대 (상세 · 사고 · 현황) | 321000호대 (현황) | 331000호대 (현황) | ||||||||
| | | | | ||||||||
| 3000호대 (현황) | 341000호대 (상세 · 현황) | 351000호대 (상세 · 현황) | 361000호대 (현황) | ||||||||
| | | | | ||||||||
| 371000호대 (현황) | 391000호대 (현황) | D000호대 (현황) | UL000호대 (현황) | ||||||||
| | | | | ||||||||
| SL000호대 (현황) | U100호대 (현황) | Y100호대 (현황) | 1000호대 (현황) | ||||||||
| | | | |||||||||
| 초저항 | 3000호대 1차분 | A000호대 (현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1000호대 (현황)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
| DL000호대 | WTL000호대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개번 전(철도청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2030호대 (현황) | 5000호대· 6000호대 (현황) | }}}}}}}}} |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1. 개요
서울교통공사의 열차번호 체계를 정리한 문서이다. 1, 3, 4호선은 한국철도공사 차량(K차)이 운행하는 열차와 머릿글자만 다를 뿐, 동일한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노선과 직결 운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1]2. 열차번호
2.1. 구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관할 (1~4호선)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서울교통공사 전동열차의 열차번호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열차의 열차번호}}}에 대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s-2.1|2.1]]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서울교통공사 전동열차의 열차번호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열차의 열차번호: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s-2.1|2.1]]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철도공사/열차번호/광역전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계통 | 주요 운행구간 | 비고 |
|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S를 붙인다. | ||||
| 주중 15~230 주말 및 공휴일 11~214 | | 경인선 구간 운행 | 양주·의정부·광운대·동묘앞 ↔ 인천 | [주의] |
| 주중 401~510 주말 및 공휴일 401~502 | 경부선 구간 운행 | 의정부[3]·광운대·청량리·동묘앞·서울역[4]↔ 서동탄 | ||
| {{{#!folding 주중[펼치기 · 접기]{{{#!folding 주말[펼치기 · 접기] | 경원선 구간 운행 | 서울역 ↔ 광운대·의정부·양주 | [5] | |
| 907 | 교통공사 구간 운행 | 청량리 → 서울역 | [6] | |
| 914 | 서울역 → 동묘앞 | |||
| 18XX | 임시열차 | 서울역 ↔ 동묘앞·청량리 | [7] | |
| 861~888 | 회송 | 군자기지 입·출고 | 서울역·동묘앞 ↔ 군자기지 | [알파벳x] |
| 주중 1501~1726 주말 및 공휴일 1501~1708 | | 성수지선 운행 | 성수 ↔ 신설동 | |
| 주중 2001~2521 주말 및 공휴일 2001~2436 | 을지로순환선 운행 | 시청 ↔ 시청 | [9][10][11] | |
| 주중 5501~5720 주말 및 공휴일 5501~5714 | 신정지선 운행 | 까치산 ↔ 신도림 | ||
| 1901~1911 | 회송 | 군자기지 입·출고 | 군자기지 ↔ 성수·신설동 | [알파벳x] |
| 1921~1946 29XX | 군자기지 ↔ 성수 | |||
| 5901~5908 | 신정기지 입·출고 | 신정기지 ↔ 신도림·도림천 | ||
| 5921~5946 69XX | 신정기지 ↔ 신도림 | |||
| 주중 3001~3432 주말 및 공휴일 3001~3361 | | 교통공사 구간 운행 | 구파발 ↔ 수서·오금 | [주의][14] |
| 전 구간 직결 운행 | 대화 ↔ 수서·오금 | |||
| 일산선 운행 | 대화 ↔ 삼송 | |||
| F39XX | 회송 | 지축기지 출고 | 지축기지 ↔ 구파발·삼송·독립문 | |
| G39XX | 지축기지 입고 | |||
| F58XX F59XX F5980 | 수서기지 출고 | 수서기지 ↔ 수서·도곡·오금 | ||
| G5802 G5804 G59XX | 수서기지 입고 | |||
| 주중 4001~4236 주말 및 공휴일 4001~4192 | | 교통공사 구간 운행 | 불암산 ↔ 사당 | [15] |
| 진접선 직결 운행 | 진접 ↔ 사당 | |||
| 4301~43XX | 과천·안산선 직결 운행 | 불암산 ↔ 안산 | [주의][17] | |
| 4505~47XX | 불암산 ↔ 오이도 | |||
| G4227 ↓ F4236 | 회송 | 단다이아 차량 회차 | 사당 ↔ 남태령 | |
| 4853 ↓ 4852 | 야간 주박 | [알파벳x] | ||
| G4401 | 사당 → 남태령 | |||
| F45XX~F47XX | 시흥기지 출고 | 오이도 ↔ 시흥기지 | ||
| G45XX~G47XX | 시흥기지 입고 | |||
| G49XX | 창동기지 입고 | 불암산·노원 → 창동기지 | ||
| F49XX | 창동기지 출고 | 창동기지 → 창동·불암산 | ||
2.2. 구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관할 (5~8호선)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rowcolor=#fff> 번호대 | 노선 | 계통 | 주요 운행구간 | 비고 |
| 다른 운영사의 열차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머릿글자로 SMRT를 붙인다. 회송의 경우 별도의 머릿글자가 존재하지 않다. | ||||
| 주중 5001~5220 주말 및 공휴일 5001~5175 | | 본선 및 하남선 직결 운행 | 방화 ↔ 상일동·하남검단산 | [19] |
| 주중 5501~5727 주말 및 공휴일 5501~5671 | 마천지선 직결 운행 | 방화 ↔ 마천 | ||
| 1001~1058 | 회송 | 고덕기지 입·출고 | 상일동 ↔ 고덕기지 | |
| 2001~2028 | 고덕기지 ↔ 미사 | |||
| 5902~5990 | 기지 외 회송 | 상일동 ↔ 강동/강동삼각선분기 | [별도] | |
| 미사 ↔ 하남검단산 | ||||
| 강동삼각선분기 ↔ 마천 | ||||
| 1502~1574 | 방화기지 입·출고 | 방회기지 ↔ 방화 | ||
| 5901 | 첫차 출고 | 방화 → 화곡 | ||
| 주중 6001~6341 주말 및 공휴일 6001~6251 | | 짝수: 신내·봉화산 → 응암 홀수: 응암 → 응암순환선 → 응암 → 봉화산·신내 | [21][22] | |
| 1601~1656 | 회송 | 신내기지 입·출고 | 신내기지 ↔ 봉화산 | |
| 6902 | 첫차 출고 | 봉화산 → 안암 | [별도] | |
| 6904 | 봉화산 → 상월곡 | |||
| 6901 | 주말 막차 입고 | 안암 → 봉화산 | ||
| 주중 7001~7423 주말 및 공휴일 7001~7332 | | 장암·도봉산 ↔ 온수·석남 | [24] | |
| 1701~1728 | 회송 | 도봉기지 입·출고 | 도봉기지 ↔ 도봉산 | |
| 1341 → 7705 → 1382 | 기지간 차량교환 회송 | 도봉기지 → 도봉산 → 온수 → 천왕기지 | [별도] | |
| 1381 → 7702 → 1342 | 천왕기지 → 온수 → 도봉산 → 도봉기지 | |||
| 1901~1928 | 천왕기지 입·출고 | 천왕기지 ↔ 온수 | ||
| 2902 → 7902 | 천왕기지 → 광명사거리 → 신풍 | [별도] | ||
| 7901 | 첫차 출고 | 도봉산 → 태릉입구 | ||
| 7903, 7906 | 석남 연장구간 야간주박 | 부평구청 ↔ 석남 | ||
| 7904 | 야간 주박차량 입고 | 수락산 → 도봉산 | [27][별도] | |
| 주중 8001~8324 주말 및 공휴일 8201~8242 | | 별내선 직결 운행 | 별내 ↔ 모란 | [29] |
| 8551, 8553 | 서울, 성남 구간 한정 운행 | 암사 → 모란 | [30] | |
| 1801~1850 | 회송 | 모란기지 입·출고 | 모란 ↔ 모란기지 | |
| 8902 | 첫차 출고 | 모란 → 가락시장 | [별도] | |
| 8901 | 종착후 익일 출발지 야간주박 | 별내 → 구리 | ||
[1]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일부구간 수인선 공유)이 있다.[주의] 해당 계통의 모든 열차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으로 운행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또한 주중에 운행하는 열차와 주말에 운행하는 열차는 서로 열번이 다르다. 그리고 흔히들 S차라고 칭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들이 1호선에는 고작 16편성 밖에 없기 때문에 탑승하고 싶다면 열차 운행 정보 시스템을 필히 확인해야 한다. 참고로 한국철도공사와 공동으로 운행하는 1호선, 3호선, 4호선의 경우 열번 앞에 머릿글자로 S가 써있다면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이며, K가 써있다면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다.[3] 평일 하행 1회 한정[4] 아침 첫차 한정[5] 서울역 이남 구간에 입선하지 않는다.[6] 평일 한정[7] 이 번호대는 한국철도공사와 공유하지 않는다. 대구권 광역전철 대경선과 중복되기 때문이다.[알파벳x] 회송열차이지만 운영사 사정으로 별도의 알파벳이 붙지 않는다.[9] 방향을 막론하고 열차가 성수역에 정차하는 순간 열차번호는 바뀐다.[10] 신정기지 입·출고 차량은 신도림역 착발이다.[11]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삼성역, 서울대입구역, 홍대입구역, 을지로입구역[알파벳x] [주의] [14]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도곡역, 압구정역, 약수역, 독립문역[15]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서울역[주의] [17]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노원역, 한성대입구역, 사당역[알파벳x] [19]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화곡역, 여의도역, 애오개역, 왕십리역, 군자역, 강동역[별도] 운영사 사정으로 차량기지 입·출고 열차와 별도의 열차번호를 부여한다.[21] 응암순환선에서는 짝수 열차번호를 가진 운행은 존재하지 않는다.[22]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독바위역, 새절역, 대흥역, 공덕역,한강진역, 안암역[별도] [24]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수락산역, 건대입구역, 청담역, 내방역, 신풍역[별도] [별도] [27] 평일 기준 1회 편도 존재[별도] [29] 기종점 제외 첫막차 착발지: 암사역, 잠실역, 가락시장역[30] 평일 한정으로 2회 편도 운행중[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