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의 차량정비단·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속철도 | |||
| | |||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도단[중]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서(정비시설) | 호남단[중] | | |||
일반열차 · 관광열차 | ||||
| | | ||
강릉 | 대구[주박] | 이문[중] | 서울 | 부산 | 이문[중] | |||
| | |||
강릉[주박] | 서울 | 대구[주박] | 부산 | 청량리[주박] | 평내[중] |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
구로[폐] | 병점[폐] 이문 | 시흥단[중][타][폐] 성북분소[주박] | 용문 |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분소[주박] | 창동[주박]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동해선 | |
분당 |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 문산[중][타][폐] | 울산[중] | |
서해선 | 대경선 | | ||
시흥단[중][타][폐] | | 대구 | 울산[중][타] |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 | |||
| | |||
기관차 · 객차 · 발전차 · 화차 | ||||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본단[중]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제천조 | 천안 | 청량리 | 포항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 |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서울 지하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군자[중][폐] | 군자[중][폐] 신정[중] | 지축[중][폐] 수서 |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단[주박] |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
고덕[중] 방화[폐] | 신내 도봉[중][타][폐] | 도봉[중][폐] 천왕 |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 |||
9호선 | 우이신설선 | 신림선 | ||||
김포[중] | 우이[중] | 보라매 김포한강[중][타] |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 ||||||
1호선 | 경의·중앙선 | 3호선 | 4호선 | |||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단[중][타][폐] 성북[주박] | 용문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서해선 | |||
분당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문산[중][타][폐] | 시흥단[중][타][폐]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귤현[중] | 운연[중] 오류[주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GTX-A | ||||||
운정[중] | ||||||
기타 일반철도 노선 | ||||||
신분당선 | 공항철도 | |||||
광교[중] 판교[주박] | 용유[중] | |||||
기타 도시철도 노선 | ||||||
용인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 김포 도시철도 | ||||
용인[중] | 의정부[중] | 김포한강[중]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 ||||||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 |
시흥철도차량정비단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iheung Train Vehicle Maintenance Workshop | |
한자 | 始興鐵道車輛整備團 | |
주소 | ||
경기도 시흥시 봉화로 55 (월곶동 800-1번지) | ||
운영기관 | ||
시흥기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2000년 7월 28일 | ||
관리부처 |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광역차량운영처(2020.09.~2023.12.) ↓ 수도권서부본부 차량처(2023.12.~2025.03.03.)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전동차량중정비처(2023.12.~2025.03.03.) ↓ 본사 안전기술총괄본부 차량본부(2025.03.04.~) | ||
철도거리표 | ||
오이도 방면 오이도 ← 2.0 ㎞ | 시흥기지선 시흥기지 | 종점[1] |
1. 개요
|
정비단 정문(시흥차량사업소 당시)[2] |
|
정비단 전경 |
광역철도차량을 주로 정비하는 한국철도공사의 부속기관이다. 본사 안전기술총괄본부 차량본부의 하위 조직이다.
본래 시흥차량사업소로서 수도권서부본부 차량처 산하에서 전기동차를 정비하였으며, 전동차량 정비품질 제고를 위해 2025년 3월 4일부로 시흥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개편되었다. #
2. 조직
- 시흥철도차량정비단장
- 기술계획처
- 품질안전부
- 전동차량운영부
3. 역사
- 2000.07.28. 개소 및 업무개시
- 2016.12. 조직개편(기지관제 업무를 오이도역으로 이관)
- 2018.06. 조직개편(안산주재가 초지주재로 변경)
- 2020.09. 조직개편(수도권서부본부 차량처에서 수도단 관리로 변경)
- 2023.12. 조직개편(경정비: 수도권서부본부 차량처, 중정비: 수도단 각각 관리로 변경)
- 2025.03.04. 조직개편(시흥철도차량정비단으로 승격)
4. 상세
수도권 전철 4호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서해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가 이 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전 편성의 중정비 역할도 맡고 있다.[3] 또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직교겸용차량)의 야간 유치도 실시한다. 이곳의 유치선은 빨간색(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남색(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하늘색(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노란색(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라임색(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까지 모두 볼 수 있다.수도권 전철 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선이 직결된 현재는 소속에 관계 없이 운행을 마치면 분당차량사업소와 시흥차량사업소 중 가까운 기지로 입고한다. 즉, 시흥출고-분당입고나 분당출고-시흥입고 운행이 존재한다.
2019년 조직 개편으로 분당차량사업소가 더 이상 중정비를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351000호대 전 편성이 시흥으로 와서 중정비를 받고 있다. 차량 정비 상황에 따라 평내차량사업소로 회송되는 경우도 있다.
지금은 폐차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경우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이 용산개발사업으로 인해 철거되면서 장비와 업무를 이관받은 것이었다. 한때 중저항과 신저항이 종종 이 곳을 들려 중검수를 받기도 했으며, 병점기지나 구로기지와 마찬가지로 구형 전동차들이 폐차 대기를 하기도 했었다.
서해선을 운행하는 전동차의 경우 송산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전까지 서해선 차량들이 시우역 (서해선) ~ 안산역 (안산선) 간 안산연결선을 통해 시흥차량사업소에 임시로 배속되어 주박한다.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역시 광교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전까지 분당차량사업소에 임시로 주박한 적이 있었다. 임시 주박과 함께 분당선과 수인선 직결에 대비하여 추가로 도입한 전동차들을 수용하기 위해 2017년 기존 유치선 서쪽에 추가적으로 유치선을 신설했다.
전동차 수리에 필요한 대부분의 핵심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사고로 인해 전동차의 차체가 손상되거나 부품이 완전히 고장나는 등 열차가 손상되면 시흥차량사업소로 끌려간다. 그리고 언더프레임 등의 핵심 구조가 손상되거나 차체가 대파되지 않은 수준의 경미한 차체 손상을 복구하고 손상된 대차와 모터 등의 전장품 대신 새 전장품으로 교체한 반쯤 새 차가 되어서 다시 구로차량사업소나 병점차량사업소, 이문차량사업소로 돌아간다.
인천발 KTX가 이곳을 차량기지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월곶역 방면으로도 입출고선이 있기 때문에 추후 월곶판교선 개통 이후에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차량기지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도 중정비는 이곳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연천 연장분 (6량 3편성) 319F08~319F10편성이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이문차량사업소로 2023년 12월 16일 연천 연장 구간이 개통될 시에 배정을 받게 될 예정이었으나 연천 연장 구간이 연천 - 인천간 10량 차량의 직결 운행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평일 출, 퇴근 시간대에 오이도~인천 구간을 운행중에 있다.
319F10편성은 이문기지로 돌아갔고 지금은 319F08, 319F09편성만 운행하고 있으며 2027년 하반기에 양주역 ↔ 동두천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될 계획이다.
5. 차량 관리 소홀 문제
기술력과는 상반되게 경정비는 매우 부실해서 341000호대 전동차의 도색이 갈라지는 등 외관 및 내부 상태도 그리 좋지 않았고, 심한 경우 정차 및 발차 시마다 삐걱거리는 소리가 났던 시절이 있었다. 351000호대 전동차가 노란색으로 도색을 바꾼 이후로는 4호선 차량들에 대대적 중정비를 하고 경정비도 철저히 하기 시작해 많이 개선되었으나, 2017년 이후 경정비 및 세차의 경우에는 다시 부실해져서 같은 코레일 소유 열차라도 분당차량사업소 소속 형제기인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대비 상태가 좋지 않게 됐다.차량 관리 소홀 등의 이유로 341B02(341502), 341B04(341504, 341804), 341B07(341807), 341B08(341708), 341B10(341810), 341B12(341812), 341B13(341813), 341B14(341714, 341814), 341B19(341719, 341819)편성의 객차 일부는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2017~2019년에 내구 연한을 다 채우지도 못한 채 운행 불가 판정을 받았다.[4]
6. 배속 차량
- 광역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상세): 30개 편성 (341B31~341B60편성)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상세): 13개 편성 (351F61~351F73편성)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17개 편성 (391G01~391G17편성)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상세): 2개 편성 (319F08~319F09편성)
7. 기타
기지 안에 함께 끼어 있는 역은 없으나 달월역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달월역은 본래 협궤철도 시절 수인선의 역으로 수인선 운영 중단과 함께 폐역됐고, 수도권 전철 수인선 건설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곧신도시 개발과 주변 주민 민원에 따라 전철역으로의 복원을 개시해 2014년 12월 27일 개업했다. 그러나 달월역과 주 수요처라고 할 수 있는 배곧신도시 사이를 77번 국도와 차량사업소가 가로막고 있는 데다 도로망도 좋지 않은 등 접근성이 극도로 나쁘다보니 실질적으로는 인근 자연부락 거주민들이 아니면 이용할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수도권 전철 전체 역 이용객 순위 중 뒤에서 1위를 다투는 공기수송 역이라는 불명예를 쓰고 있다.시흥차량사업소의 입출고선은 평면교차로 설치된 오이도역 방면과 입체교차로 설치된 월곶역 방면 두 곳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오이도역 쪽으로 나 있는 입출고선만 사용하고 있다. 다만 추후 수인선 월곶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열차가 생기거나, 경강선 연장 시 이쪽의 입출고선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빛 자동차운전전문학원 바로 옆에 정문이 있으며, 달월역 북쪽 서해안로 736번길과 연결된 후문이 있다. 정문은 출입구가 크지만 내부 시설과의 거리가 상당히 멀며, 후문은 내부 시설과의 거리는 가깝지만 출입구와 연결된 도로가 매우 좁다. 서해안로 우회도로와 배곧 해안도로 확충 공사 중인데 이 도로가 개통되면 제2경인고속도로 신천IC 방향, 오이도역 방향, 배곧신도시 방향으로의 통행이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 9월 12일에 수인·분당선의 완전 개통에 의한 오이도역의 회차 용량 부족으로 오이도역에서 착발하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들은 시흥기지에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들은 월곶역에서 회차한다. 서울교통공사 열차를 월곶역에서 회차하게 되면 승무원의 추가 교육 및 구간 인증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철도공사 열차들도 일부 시간대에는 시흥기지에서 회차한다.
플레이유 4회의 촬영 장소로 쓰였다.
341B05편성(구 2X34편성) 일부가 신입사원 교육을 위해 종합훈련장으로 개조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링크
|
341B01편성 |
8. 외부 링크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시흥기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