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의 차량정비단·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속철도 | |||
| | |||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도단[중]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서(정비시설) | 호남단[중] | | |||
일반열차 · 관광열차 | ||||
| | | ||
강릉 | 대구[주박] | 이문[중] | 서울 | 부산 | 이문[중] | |||
| | |||
강릉[주박] | 서울 | 대구[주박] | 부산 | 청량리[주박] | 평내[중] |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
구로[폐] | 병점[폐] 이문 | 시흥단[중][타][폐] 성북분소[주박] | 용문 |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분소[주박] | 창동[주박]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동해선 | |
분당 |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 문산[중][타][폐] | 울산[중] | |
서해선 | 대경선 | | ||
시흥단[중][타][폐] | | 대구 | 울산[중][타] |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 | |||
| | |||
기관차 · 객차 · 발전차 · 화차 | ||||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본단[중]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제천조 | 천안 | 청량리 | 포항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 |
호남철도차량정비단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Honam Train Vehicle Maintanence Workshop | |
한자 | 湖南鐵道車輛整備團 | |
주소 |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230번길 26 (장수동 94) | ||
시설 운영기관 | ||
광주기지선 | 한국철도공사 | |
관리부처 | ||
본사 차량본부 | ||
개업일 | ||
2014년 12월 | ||
철도거리표 | ||
광주송정 방면광주송정 ← 5.4 ㎞ | 광주기지선 광주기지 | 종점 |
1. 개요
고속철도차량을 주로 정비하는 한국철도공사의 부속기관이다.본사 안전본부 차량본부의 하위 조직으로 정비단장으로는 주로 기술1급 간부가 배치된다. 약칭으로는 주로 호남단, 광주기지 등으로 불린다.
광주역에 소재한 광주차량사업소와는 다른 곳으로, 광주차량사업소는 광주본부 차량처 하위 조직이다.
2. 배속
과거에는 KTX-1[1] 차량 역시 이 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었다. 2024년부터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과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만 배속되어 있고, 두 기지에서만 정비를 담당하고 있다.[2] 신규 고속선/준고속선 개통에 따라 고속열차 역시 담당 차량기지가 바뀔 수 있다.- 배속 & 중정비
3. 조직
호남철도차량정비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경영인사처
- 기술계획처
- 품질안전처
- 고속차량운영처: 중정비기술부
4. 연혁
- 2014년 12월: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호남고속차량정비센터 신설
- 2015년 4월: 호남고속철도 개통
- 2016년 10월: 호남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개편
- 2018년 12월: 호남철도차량정비단 산하 3부 1센터 신설
- 2017년 2월: 호남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
- 2018년 3월: 호남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개칭
- 2018년 4월: 호남철도차량정비단 산하 3부 2센터로 조직개편
- 2020년 9월: 조직개편(5개 차량사업소 관리가 이관됨)
- 2023년 12월: 조직개편(5개 차량사업소 관리를 지역본부 차량처로 이관함)
5. 업무 및 소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230번길 26 소재. 호남선 하남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KTX 반복정비, 100번대 KTX-산천 경정비, SRT 및 400번대 KTX-산천 차량들의 경·중정비를 담당하고 있다.
KTX-이음 및 KTX-청룡 차량이 한국철도공사로 인수될 때 시운전을 호남고속선 위주로 진행하여 당시 차량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운전은 광주고속철도기관차승무사업소 지도팀 및 시운전TF에서 담당하고 있다.
6. 기타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하부 조직으로 출범하였다가 후에 정비단으로 독립하였다.
- 홍순만 사장 취임 직후인 2017년 2월경 호남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하였다가 사퇴 이후 다시 환원되었다.
- 2020년 9월 조직개편(차량 정비조직 개편)으로 전북본부, 광주본부, 전남본부 차량처가 폐지되고, 산하 5개 차량사업소가 호남철도차량정비단으로 이관되었다. 하지만 2023년 차량사업소 관리가 다시 지역본부 차량처로 이관되었다.
- 이 곳을 비롯한 전국의 모든 차량기지는 국가중요시설이므로 사전 승인 없이 사진을 촬영하여서는 안 된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광주기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1] 현재는 이 차량기지에 주박만 하고 이 차량기지에서 정비를 받지는 않는다.[2] 추가적으로 KTX-이음 150000호대 차량 역시 호남고속선 시운전을 위해서 해당 차량기지에 임시적으로 배속된다.[3] 1C3001~1C3022편성[4] 1C4001~1C4010편성[5] 408호기는 경강선 강릉기지분기 KTX 탈선사고와 심각한 부식으로 인해 폐차로 결번되면서 현재 코레일에서 408호기의 폐차 대신 보관하는 방안이 추진중이다.#, #[6] 1C5001~1C5007, 1C5009~1C5015편성[7] 100번대 산천은 수도단과 공동 소속이며, 이음은 신차 고속선 시운전을 위한 임시 소속이다.[8] 1C2001~1C2024편성[9] 1C6024~1C6031편성[10] 배속 기간은 창원공장 신차 출고일부터 영업운전 투입 시기까지이다.[11] 익일 H402 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