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22:17:14

KTX(차량)/현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TX(차량)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일반열차 광역전철 화물열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편성번호 차량번호 차량번호여섯 자리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8호기 한정)
광역전철
도입 예정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고속철도#s-7.1|{{{#ffffff EMU-370 (파일:KTX BI_White, Red.svg)}}}]]
 연구중
개번 전  2030호대
전량 퇴역
[[통일호|
통일호
]] 9900호대(1980~2001)

 1000호대(상세)(1974~2020)
 초저항(1974~2014)
 1차분(1996~2024)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개번 전  2030호대/현황
전량 퇴역
[[통일호|
통일호
]] 9900호대/현황

 10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1. 개요

KTX(차량)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2. 현황

편성: 1C1001(100151/52) ~ 1C1046(104651/52)
차호 인버터 소자 전조등 소속 제작회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colbgcolor=#003da5><colcolor=#fff> 001 알스톰 GTO HID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산철도차량정비단
알스톰 1996년~1997년 KTX 운행분[1]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열차[2]
한국철도공사 최초의 여섯 자리 차호 편성
[3]
2011년 청남건널목 KTX 승용차 충돌 사고 차량
[D][5]
002 1998년 국내에 최초로 반입된 고속철도 차량
2023년 구로~가산디지털단지 구간 사상사고 차량
[D]
003 알스톰[7]
주식회사 로템[8]
1998년[9]
2003년[10]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피해 차량
SK텔레콤 LTE-A 랩핑(2013년)
[D][조성변경경력_2차]
004 알스톰 1999년 [D]
005 [D]
006 [15][D]
007 2000년 [F][18]
008 2017년 천안아산역 안전지장 고장 차량
[19][F][21][PFC][한국형atp]
009 넷플릭스 랩핑(2023년)
[D]
010 2001년 [D]
011 2018년 서울역 인근 열차충돌사고 차량
[D]
012 LED 2004년 개통식 후 하행 첫 열차로 주행한 차량
2019년 광명역 고장 차량
[D]
013 HID 주식회사 로템 2002년 [D]
014 KTX 개통식 당시 주행차량
2017년 광명역 인근 고장 차량
2018년 김천(구미)역 사상 사고차량
[D]
015 최초의 ATS 패널 시험 차량
[D]
016 [D]
017 [D]
018 2019년 5월 9일 오송역~공주역 구간 투신 사고 차량
[D]
019 [D]
020 [D]
021 [D]
022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랩핑 (2022년)
[D]
023 2023 순천만 국제정원 박람회 홍보 랩핑 (2023년)
[D]
024 2018년 김천구미역 사상사고 발생 차량
[39][D]
025 2007년 부산역 KTX 추돌 사고 피해 차량
11, 12호차 출입문 고장
[D][조성변경경력_1차]
026 2022년 신경주역 인근 고장 차량
[D]
027 KTX 개통 20주년 랩핑(2024년~현재)
[D]
028 방탄소년단 정국 생일 축하 기념 랩핑(2020년)
2021년 영등포~금천구청 구간 고장 차량
[D]
029 2021년 상동~밀양 구간 고장 차량
2024년 경산역 구간 동력차 고장 차량[46]
[J]
030 2003년 [J]
031 인천공항행 KTX 고장 차량
[D]
032 [J]
033 알스톰[51]
주식회사 로템[52]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사고복구]
1998년[54]
2003년[55]
2013년~2014년[사고복구]
2004년 개통식 후 상행 첫 열차로 주행한 차량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피해 차량
[J][조성변경경력_2차]
034 주식회사 로템 2003년 [K]
035 2023년 광명~천안아산 구간 동력차고장 차량
[F][61]
036 [62]
과거 대통령 특벌(特閥) 동차 운행 차량
[K]
037 [J]
038 2007년 부산역 KTX 추돌 사고 피해 차량 2016년 서울역 KTX 부산행 영화 촬영 차량 [M]
[J][조성변경경력_1차]
039 [F]
040 [D][주변압기]
041 2009년 KTX 승용차 충돌 사고 차량
2024년 부산역 KTX 화재사고 차량
[F][D][주변압기]
042 [D][주변압기]
043 [J]
044 [MB1]
2017년 천안아산역 안전지장 고장 차량
[J]
045 [79] [한국형atp]
2021년 영등포역 사상 사고 차량
[D][PFC][주변압기]
046 대한민국 최후 20량 편성 동차[84]
2023년 대전역 인근 차량고장
[85][K][PFC][주변압기]

2.1. 조성변경경력

2.1.1. 경부선 부산역 KTX 충돌사고 당시

사고 이전 편성 조성
025편성 PC1 및 1호차 2~17호차 18호차 및 PC2
038편성 PC1 및 1호차 2~17호차 18호차 및 PC2
사고 당시 편성 조성
025편성 PC1 및 1호차 2~17호차 18호차 및 PC2
당시 사고피해 차량
038편성 PC1 및 1호차
당시 사고피해 차량
2~17호차 18호차 및 PC2
사고 복구 후 편성 조성
025편성 PC1 및 1호차 2~17호차 18호차 및 PC2
과거 038편성 출신
038편성 PC1 및 1호차
사고복구
2~17호차 18호차 및 PC2
과거 025편성 출신
사고복구

2.1.2. 경부선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당시

사고 이전 편성 조성
003편성 PC1 및 1호차 2~10호차 11~17호차 18호차 및 PC2
033편성 PC1 및 1호차 2~10호차 11~17호차 18호차 및 PC2
사고 당시 편성 조성
003편성 PC1 및 1호차 2~10호차 11~17호차 18호차 및 PC2
당시 사고피해 차량
033편성 PC1 및 1호차
당시 사고피해 차량
2~10호차
당시 사고피해 차량
11~17호차 18호차 및 PC2
사고 복구 후 편성 조성
003편성 PC1 및 1호차 2~10호차 11~17호차 18호차 및 PC2
과거 033편성 출신
033편성 PC1 및 1호차
사고복구
2~10호차
사고복구
11~17호차 18호차 및 PC2
과거 003편성 출신
사고복구

[1] 경부고속선 금천구청~대전, 옥천~신동
구포 경유 및 서대전 경유
[2] 시험용 차량인 G7과 HEMU는 KTX 1차분 반입 이후 제작된다.[3] 먼저 도입된 전동차들 역시 KTX 개통 당시에는 4자리 차호였다.[D] 양 동력차 주변압기 방열 라디에이터 양 끝 부분이 둥글다.[5] PC2는 1996년에 제작되었다. 그 이후에 PC1이 제작됐다.[D] [7] PC1 및 1~17호차[8] PC2 및 18호차[9] PC1 및 1~17호차[10] PC2 및 18호차[D] [조성변경경력_2차] 경부선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이후 복구 과정에서 조성이 변경되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참고.[D] [D] [15] 양 동력차의 주공기압축기를 ABB 모터가 장착된 새 제품으로 바꾼 전적이 있다. 현재는 원상복귀 되었다.[D] [F] PC1 주변압기 방열 라디에이터의 양 끝 부분이 각져있다, PC2 주변압기 방열 라이에이터의 양 끝 부분이 둥글다.[18] PC2의 주공기압축기를 ABB 모터를 장착된 새 제품으로 바꾸었다.[19] MB3 작동 시험 차량[F] [21] PC1, 2의 주공기압축기를 ABB 모터를 장착한 새 제품으로 바꾼 전적이 있다. 현재는 원상복구 되었다.[PFC] 기술변경 적용[한국형atp] 한국형 고속철도 ATP(KTCS-2) 장비가 008, 045호기 두 편성의 모터블록 앞에 붙어있다. 8호기의 동력차에는 현대로템 제작 차상장치, 45호기의 동력차에는 TECHVille 제작 차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D] [D] [D] [D] [D] [D] [D] [D] [D] [D] [D] [D] [D] [D] [D] [39] 편성에 설치된 4개의 주공기압축기 모두 소리가 일정하다.[D] [D] [조성변경경력_1차] 경부선 부산역 KTX 충돌사고 이후 복구 과정에서 조성이 변경되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참고.[D] [D] [D] [46] 이로 인해 KTX가 KTX를 대피하는 일이 일어났다. 그리고 정차 당시에는 객실 조명과 행선안내기가 꺼져 있었던 것으로 보아 정차 후 배터리를 취소했을것.[J] PC1, 2 주변압기 양 끝이 각져있다.[J] [D] [J] [51] PC2 및 18호차[52] PC1 및 1~17호차[사고복구] 양 선두차(PC1, PC2)및 1~10, 18호차의 복구 수리를 정비단이 담당했다. 당시 차량의 파손이 심해 거의 신조에 준하는 복구가 이루어졌었다.[54] PC2 및 18호차[55] PC1 및 1~17호차[사고복구] [J] [조성변경경력_2차] [K] PC1 주변압기 양 끝 부분이 둥글다, PC2 주변압기 양 끝 부분이 각져있다.[F] [61] 객차 지붕의 일부의 도색이 흰색이다.(원래는 회색이다.)[62] 1C1036(36호기)편성은 검측 장치가 설치된 전동차로서 1호차(103601)와 18호차(103618) 동력객차 절반이 모니터링실로 위치해 있다.
검측 편성이 일반철도 전동차로는 2B1020(ITX-새마을 20호기)편성이 현역이며 광역도시철도는 312B00, 341B31, 331C27 세 편성에 설치되어 있다. 특정 다이아에서 운행되고 있는데, 코레일톡 및 레츠코레일에서 확인 가능하다.
[K] [J] [M] [J] [조성변경경력_1차] [F] [D] [주변압기] 040~042, 045~046호기 다섯 개 편성은 그나마 최신식 KTX 임에도 불구하고 방열 라디에이터 끝부분이 둥근 주변압기를 사용한다.[F] [D] [주변압기] [D] [주변압기] [J] [MB1] 모터블록에 컴퓨터가 없다. 그대신 송풍구가 있다. MB2에는 모터블록 컴퓨터가 있다.[J] [79] 2003년 12월 22일 제작완료 후 12월 28일 출고됐다.[한국형atp] [D] [PFC] [주변압기] [84] 2003년 12월 23일 제작완료 후 12월 28일 출고됐다. 이 이후에 도입되는 모든 고속열차/일반열차는 모두 10량 이하이다.[85] 모터블록에 특수 장치를 사용해 소음이 줄어들었다.[K] [PFC] [주변압기] [조성변경경력_1차] [조성변경경력_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