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일반열차 | 광역전철 | 화물열차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편성번호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 간선열차 | |||||
| 관광열차 | 200000호대(8호기 한정) | ||||
| 광역전철 | |||||
| 도입 예정 |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고속철도#s-7.1|{{{#ffffff EMU-370 ( 연구중 | ||||
| 개번 전 | 2030호대 | ||||
| 전량 퇴역 | 1000호대(상세)(1974~2020) 초저항(1974~2014) 1차분(1996~2024) |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 간선열차 | |||||
| 관광열차 | |||||
| 광역전철 | |||||
| 도입 예정 | |||||
| 개번 전 | 2030호대/현황 | ||||
| 전량 퇴역 | 1000호대/현황 |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
1. 개요
ITX-새마을/차량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2. 현황
2.1. 210000호대
| 차호 | 인버터 소자 | 전조등 | 소속 | 제작년도 | 도입 목적 | 비고 |
| <colbgcolor=#c30e2f><colcolor=#fff> 01 | 도시바 IGBT | LED | 서울차량사업소, 부산차량사업소 | 2013년 | DHC 디젤동차 대체분 | 대한민국 최초 상업용 독자개발 EMU-150 차량[1]EMU-150이 맞다. 하지만, 일본에서 수입된 차량이다.]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영업운전 첫 주행차량[2] 대구역 배터리 고장 사고 |
| 02 | 2021년 11월 27일 영동역 40대 남성 추돌사고 차량 | |||||
| 03 | ||||||
| 04 | ||||||
| 05 | 2014년 | |||||
| 06 | ||||||
| 07 | ||||||
| 08 | 2019년 경적 고장열차 | |||||
| 09 | ||||||
| 10 | ||||||
| 11 | 추풍령 인근 오물탱크 역류 사고 차량[3] [VR] | |||||
| 12 | ||||||
| 13 | ||||||
| 14 | ||||||
| 15 | ||||||
| 16 | ||||||
| 17 | ||||||
| 18 | ||||||
| 19 | 2025년 6월 6일 서울역 보조전원장치 고장 차량 | |||||
| 20 | [검측] | |||||
| 21 | ||||||
| 22 | ||||||
| 23 |
[1] 200000호대 차량 역시[2] 2004년 4월 1일의 KTX 개통 이래로, 현재 2024년까지 다양한 고속철도 및 간선철도 운행 목적의 전동차가 도입된다. ITX-새마을 01호기는 현재까지 개통식 또는 영업운전 첫 열차에 투입된 차량중 유일한 초도편성이다.[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VR] 해당 편성은 2024년에 새로 코레일톡에 생긴 VR열차 실내보기 기능에 촬영된 차량이다.[검측] 2B1020(ITX-새마을 20호)편성은 고속철도 1C1036(KTX-1 036호), 광역철도 331C27(뱀눈이), 312B00(삼눈이), 341B31(주둥이)편성들과 마찬가지로 간선형 전동차를 대표하여 검측장비를 설치한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