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R패스[전국구] | |||||
| 홋카이도권 | 동일본권 | 도카이권 | 서일본권 | ||
| 시코쿠권 | 큐슈권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패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JR 그룹 공통 | JR패스[전국구] · 청춘 18 티켓[전국구] · 가을 무제한 패스[전국구] | |||
| 홋카이도 레일 패스 · 삿포로-노보리베츠 에리어 · 삿포로-후라노 에리어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 |||||
| JR 동일본 | JR 도쿄 와이드 패스 · JR 동일본 패스(도호쿠) · JR 동일본 패스(신에츠) · 도쿄 1일 승차권 · 도쿄 시내 패스 · N'EX 도쿄 왕복 티켓 · 에치고 원데이 패스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 큥♥패스 | ||||
| JR 서일본 | JR서일본 전지역 패스 · 간사이 패스 · 간사이 와이드 패스 · 산요 산인 패스 · 돗토리 마쓰에 패스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 세토우치 패스[복수]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
| JR 시코쿠 | 올 시코쿠 레일 패스 · 세토우치 패스[복수] |
| JR 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남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북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전큐슈)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
| <colbgcolor=#f5f5f5,#2d2f34> 민간 사철 패스 | 간사이 레일웨이 패스 · 오사카 주유패스 · SUNQ 패스 · 그레이터 도쿄 패스 · 도쿄 서브웨이 티켓 |
| 판매 중지 패스 | 한일공동승차권 . 요카요카킷푸 |
1. 개요
본 문서에서는 교통 패스 중에서도 일본의 교통 패스를 다룬다. 패스는 주 적용되는 권역 별로(주로 JR 구역에 따라서) 나누었으며, 복수의 권역에 적용되는 패스의 경우는 따로 분류하였다.대부분의 패스의 경우 지정된 교환처(공항 인포메이션 센터, 지하철역 무인 개표소, 투어리스트 센터 등)에서 여권과 함께 교환해야 한다[1]. 만약 이것이 귀찮다면 인터넷에서 QR 티켓을 파는 패스도 있으니 찾아보는 것이 좋다.
2. 2023년 이후: 패스의 효율 감소
2023년 10월, JR패스의 가격이 엄청나게 인상되었다. 이전에는 일반석 7일권이 29,650엔이었는데 2023년 10월 이후로 50,000엔으로 약 70% 가까이 가격이 오른 것이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거의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2] 효율이 격감했다.같은 날 JR의 다른 지역 패스들도 일제히 가격이 올랐다. 특히 장거리/광범위 패스들의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는데, 예로 JR 동일본 패스 (도호쿠 지역)은 20,000엔에서 30,000엔으로 50% 가격이 올랐으며 다른 장거리 패스들 역시 이전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가격이 올랐다.
2024년 4월 서일본권 사철 및 관광 패스들도 가격이 오르거나 범위가 축소되었다. 아래는 그 예시다.
- 스룻토 간사이 패스
- 간사이 레일웨이 패스로 명칭 변경
- 2일권 4,380엔→5,600엔으로 27% 가격이 인상, 3일권 5,400엔에서 7,000엔으로 인상.
- 버스 및 교토 란덴 사용 불가로 개정
- 오사카 주유패스[3]
- 2,800엔에서 3,300엔으로 가격 인상 18% (500엔)
- 2일권 5,500엔으로 인상
- 우메다 스카이 빌딩 공중정원 무료 입장시간 단축 (16시→15시), 이후 할인율 감소 (30%→20%)
- 시설 6종 제외
- 한큐/한신 투어리스트 패스
- 한큐한신 패스로 통합 후 단종
2025년 4월, 서일본권 관광 패스들에 다시 한 번 개편이 있었다. 다음은 그 예시.
- 케이한 패스
- 2일권 폐지, 24시간권 신설
- 1일권 1,100엔→1,500엔으로 요금 인상(24시간권은 1,700엔으로 신설)
- 케이한 교토 패스, 쿠라마 패스 등 케이한 계열 패스 모두 가격 인상
- 난카이 패스
- 난카이 올 라인 패스 2,000엔→2,600엔으로 인상
- 고야산 세계유산 티켓 3,140엔→3,540엔으로 인상
- 오사카 메트로 패스
- 1일권 820엔→1,100엔, 2일권 1,500엔→1,800엔으로 인상
외국인에게 그동안 제공되었던 할인이 2023년을 시작으로 점점 적어지거나 없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철도/버스 등 대중교통의 경우 거의 모든 패스들의 가격이 오르거나 서비스 축소 및 단종되었다.[4] 한편 2024년 10월에는 오랫동안 가격 변화가 없었던 일본 고속도로 패스 역시 전국 패스는 아예 단종, 지역별 패스는 1.5~2배 이상의 엄청난 가격 인상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현재는 흔히 말하는 '일단 사면 손해는 안 보는 패스'류는 거의 사라졌으며, 특히 근교 소도시를 갈 때 자주 쓰이던 중,장거리 패스들의 가격이 어마어마하게 올라버렸다. 이전처럼 '특정 지점 왕복'만 해도 본전이 뽑히는 패스는 권역별로 손에 꼽을 수 있을 만큼 적어졌으며, 장거리 광범위 패스는 거의 무조건 2곳 이상 둘러봐야 본전이 뽑히는 수준이 되었다.
즉 이제는 일본을 여행할 때 무조건 패스를 구매하던 시절은 지난 셈이다. 이전처럼 무턱대고 패스를 사면 본전을 뽑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본인이 갈 곳을 두고 계획을 짜서 가격을 비교해보고 비슷하거나 넘었을 때 사는 것이 좋다. 또한 대한민국처럼 일본 각 소도시들에 노선망이 뻗어 있는 국가는 직항편을 타고 따로 그 소도시를 가는 것이 훨씬 저렴한 경우가 많아졌다.
3. 지역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홋카이도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홋카이도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동일본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동일본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도카이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도카이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서일본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서일본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시코쿠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시코쿠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큐슈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큐슈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도서 지역#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도서 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복수 지역#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통 패스/일본/복수 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이를 몰라서 다시 숙소 갔다 오는 관광객도 많으니 주의해야한다[2] 노조미/미즈호 옵션권이 생긴 것뿐이며, 그나마도 옵션권은 당연히 돈 내고 사는 것이므로 서비스가 새로 생겼다고 하기에도 민망하다.[3] 6월 17일 재개정[4] 이 와중에 가격을 내린 거의 유일한 패스가 그레이터 도쿄 패스로, 다른 패스들이 모두 비싸지는 와중에 혼자 2번이나 가격이 내려가서 초기에는 못 써먹을 물건 취급이었던 이 패스가 도쿄 가까운 근교 관광용으로는 그럭저럭 괜찮다고 재평가되었다. 또한 도쿄 서브웨이 티켓 역시 가격이 전혀 오르지 않았다. 한편 비슷한 시기 가격을 인상했으나 범위나 혜택도 동시에 늘려서 불만을 최소화한 JR 서일본 계열 패스나 SUNQ 패스의 사례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