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 [[일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都) | 도(道) | 부(府) | |
도쿄도 | 홋카이도 | 교토부 | 오사카부 | |
현(県) | ||||
아오모리현 | 이와테현 | 미야기현 | 아키타현 | |
야마가타현 | 후쿠시마현 | 이바라키현 | 도치기현 | |
군마현 | 사이타마현 | 치바현 | 가나가와현 | |
니가타현 | 도야마현 | 이시카와현 | 후쿠이현 | |
야마나시현 | 나가노현 | 기후현 | 시즈오카현 | |
아이치현 | 미에현 | 시가현 | 효고현 | |
나라현 | 와카야마현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
오카야마현 | 히로시마현 | 야마구치현 | 도쿠시마현 | |
카가와현 | 에히메현 | 고치현 | 후쿠오카현 | |
사가현 | 나가사키현 | 구마모토현 | 오이타현 | |
미야자키현 | 가고시마현 | 오키나와현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 [[일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 | 도(都) | 도(道) | 부(府) | 현(県) |
도도부현 하위 | 군(郡) | ||||
시정촌 하위 | 행정구(行政区) | 조초(町丁) | 아자(字) |
도도부현 都道府県 | Prefecture |
|
도도부현 깃발 지도 |
1. 개요
도도부현(都道府県)은 일본의 최상위 행정구역 체계로 산하에 시정촌(市町村)을 두고 있다. 한국의 광역자치단체에 해당하는 체계이다. 총 47개로, 1도(都), 1도(道), 2부(府), 43현(県). 사실 한국의 시나 군을 몇 개 단위로 합친 규모와 같다.[1]폐번치현 이전의 오기칠도 체제에서는 일본도 한국처럼 도(道)가 최상위 행정구역이고 현에 해당하는 율령국은 도(道) 아래에 있었으나,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도(道)가 사라졌다.
2. 지방 구분
<nopad> | ||||||||
<rowcolor=#000> 규슈 | 시코쿠 | 혼슈 | 홋카이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상세 정보 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일본은 영토가 전부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 섬나라이다. 따라서 영토를 본토(本土)와 이도(離島)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일본의 4대 섬인 규슈, 시코쿠, 혼슈, 홋카이도를 본토라고 하고, 기준에 따라 오키나와 본도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본토를 제외한 나머지 섬을 이도라고 한다. * 오키나와는 규슈의 일부로 보기도 하고 별개로 보기도 한다. | }}}}}}}}} |
| |
일반적인 지방 구분[2] | 일본 기상청의 지방 구분 |
| |
일본 기상청의 세부 지방 구분 | 일본 기상청의 6개 지방 구분 |
3. 전도
통계 자료 등 일본에서 도도부현을 정렬해야 할 일이 있는 경우, 대부분 이 지도에서 나온 번호 순서대로 정렬된다. 위치와 상관없이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 순서로 정렬하는 한국과 달리, 제일 북쪽 홋카이도부터 시작해 위치만 따져서 정렬한다.홋카이도-도호쿠-간토-주부-긴키-주고쿠-시코쿠-규슈・오키나와 순으로 남북으로 내려가며, 지역 내에서도 마찬가지로 방향에 따라 정렬되어 있다.
4. 관련 노래
영어로 부른 도도부현 노래. (都道府県の歌)[3]
파프리카 버전 도도부현 노래.
5. 분류
5.1. 도(都)
도쿄도를 지칭하는 행정구역단위이다. 영어로는 Metropolis 또는 Metropolitan Prefecture라 번역한다.태평양 전쟁 중이었던 1943년 7월 1일 도쿄도제가 실시되면서 도쿄부를 도쿄도로 개편하였다. 당시 지자체장의 명칭은 '도쿄부 장관'이었다.
지금까지 이 행정단위는 도쿄도가 유일하다. 수도 하나에만 있는 행정구역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특별시'와 비슷한 것 같지만, 조금 다른 점은 하위 행정구역으로 일반 현(県)에서 쓰이는 시정촌(市町村)[4]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비유하면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산하 행정구역 단위를 변경하지 않고 통합한 서울특별도 개편안과 같다. 참고로 서울시 산하에 시와 군을 둘 수 없다. 따라서 구조적으로는 서울보다는 하위행정구역으로 기장군, 옹진군 같은 군이 들어갈 수 있는 광역시와 더 비슷하다.
도쿄 내의 구(区)는 한국의 특별시·광역시의 구(區)처럼 기초자치단체이다. 都 자체만으로 도쿄를 의미하기도 해서 도내(都内, 도나이)라고 하면 도쿄 안(경우에 따라 23구 내부)이라는 뜻이다.
도쿄도의 특별구는 다른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와는 달리 시에 속해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한국의 자치구처럼 기초자치단체(시정촌)의 하나로 취급된다.
5.2. 도(道)
홋카이도를 지칭하는 행정구역단위이다.유래로 따지자면 도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행정단위로, 일본의 옛 행정구역인 율령국(律令国), 줄여 구니(国)를 묶어 놓은 단위. 사이카이도(西海道, 지금의 규슈), 산인도(山陰道, 교토 북부에서 시마네현까지 동해를 타고 이어지는 지방), 산요도(山陽道, 효고현남부에서 야마구치현까지 세토내해를 따라 이어지는 지방), 난카이도(南海道, 지금의 키이 반도와 아와지섬, 시코쿠), 호쿠리쿠도(北陸道, 후쿠이현에서 니가타현까지 동해를 따라 이어지는 지방), 도산도(東山道. 시가현에서 아오모리현까지 산을 따라 이어지는 지방), 도카이도(東海道. 미에현을 시작으로 태평양을 따라 이바라키현까지 이어지는 지방) 7도와 기나이(畿内, 긴키 지방 중심부인 교토부, 오사카부, 나라현 일대)로 구분되어 있었다. 각 도에 있는 구니는 오기칠도 및 율령국 문서 참고.
도는 7세기 율령제 반포 이후 설치되었고, 중앙집권제가 붕괴된 이후로도 관용적으로 쓰여왔지만, 1871년 이후로 홋카이도를 제외한 나머지 도는 행정기구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현이 행정기능을 수행했기 때문에 현이 사실상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쓰이기 시작하여 서서히 용도폐기되었다. 홋카이도는 3현(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이 설치되었지만, 인구가 적다는 이유로 1886년 홋카이도청(北海道廳/北海道庁)이 설치되고 본토와는 정반대로 현은 지청으로 격하되어 청의 하부 행정구역이 되었다
홋카이도청이 세워진 이후 홋카이도는 별칭이었고, 홋카이도를 이르는 행정단위는 청(廳/庁)이었다. 그래서 일본 제국 시절에는 자국(내지)의 광역행정구역을 ‘도도부현’이 아니라 청부현(庁府県/초후켄, 1943년 이전에는 도쿄도가 없었으므로 도/都가 없었음)이라고 하였다. 패전 이후 지방자치제를 도입하면서 행정단위를 도(道)로 개편했다.
땅이 넓어서 출장소 개념으로 14개의 진흥국(振興局, 옛 이름은 지청(支庁))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히야마 진흥국, 히다카 진흥국 두 곳에는 시가 없다.
5.3. 부(府), 현(県)
부는 교토와 오사카를 지칭하는 행정구역 단위이다. 현은 도쿄, 홋카이도, 교토, 오사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적용되는 기본 행정구역 단위이다.부와 현은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처음 설치되었다. 당시 메이지 정부는 중앙집권을 위해서 지방 행정을 개혁하여 기존 봉건제도(막번 체제)를 갈아치워야 했다. 그에 따라 부번현삼치제(府藩県三治制)라는 제도를 실시하였는데, 막부의 직할령이었던 곳에 부(府)와 현(県)을 설치, 각각 지부사(知府事)와 지현사(知県事)를 두었다.
최초로 하코다테와 교토가 부가 되었고, 같은 해 중요 도시인 에도, 오사카, 나가사키, 가나가와, 와타라이, 나라, 니가타, 카이도 부가 되었다. 에도부는 몇 개월 뒤 도쿄부로 개칭되었다.
이듬해 1869년, 판적봉환(版籍奉還)라는 조치를 통해 다이묘가 다스리던 영토,백성을 천황에 반납하도록 하였고, 번에 지번사(知藩事)를 두었다. 이때 정부로부터 압박을 받아 점차 폐번을 신청을 하는 다이묘들이 많아졌고, 그에 따라 번들이 점차 중앙정부의 관할지로 바뀌어 갔다. 또한 같은해 10개였던 부를 오직 핵심 지역 3대 대도시(도쿄,오사카,교토)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폐지하였다.
1871년 폐번치현을 할 당시에는 현 개수만 302개에 달하였으나, 동년 11월, 72개까지 줄였다. [5] 1876년에는 35현까지 줄여 이때 부현의 개수가 제일 적었다. 이후에도 합병과 폐지, 부활을 거듭하였고, 1888년 카가와현 설치 이후 지금의 43현이 완성되었다.
1943년, 도쿄부가 도쿄도로 개편되면서 부는 2개만 남았다.
현은 최상위 행정구역이자 광역자치단체라는 점에서 한국의 도(道)와 같은 위상을 가진다. 하지만 통페합 과정을 거쳤음에도 도와 비교했을때 대체로 규모가 작은 편이다. 43개 현 중 면적이 가장 큰 이와테현(15,275km2)은 강원도(휴전선 이남 기준)보다 약간 작고, 가장 작은 현인 카가와현(1,876km2)은 강원도 홍천군과 면적이 비슷하다. 인구가 가장 많은 현은 가나가와현(924만[6])이고 가장 적은 현은 돗토리현(55만)이다.
부는 산하에 시정촌은 있을 수 있어도 자치구를 둘 수는 없다. 설치 초기에는 부지사가 해당 부의 중심 도시를 관할하였고, 현과 달리 재정,예산,행정 등 면에서 꽤 자율적인 권한이 있었다. 하지만 패전 이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현재는 일반 행정구역인 현과 동일한 법령을 적용받으며, 영어 표기도 Prefecture로 동일하다. 즉 부와 현의 차이는 역사적인 연원에 불과할 뿐, 오늘날에는 그냥 동급이다. 그래서 오사카부 같은 데서는 도 승격을 원하는 오사카도 구상(大阪都構想)도 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단독 문서가 있을 정도다.
일본의 현 명칭은 현청 소재지 지명과 같은 경우가 많은데,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폐번치현과 뒤이은 행정구역 개편에서 현청이 있는 도시(아성) 이름을 따서 현 명칭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 현 명칭들은 현청 소재지 군(郡) 이름을 따 온 경우가 많다.[7] 간혹 현청 소재지가 있는 지역의 명칭이나 군의 명칭과 현 명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합병으로 사라지거나[8], 현청 소재지를 옮겼음에도 명칭을 바꾸지 않은 경우이다.[9] 이 모든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 현은 에히메현과 오키나와현뿐이다. 에히메현은 현이 위치한 율령국(이요)의 별칭에서 따왔고, 오키나와현은 현청이 소재한 섬 이름(오키나와 섬)에서 따왔다.
6. 현존하는 도도부현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 [[일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都) | 도(道) | 부(府) | |
도쿄도 | 홋카이도 | 교토부 | 오사카부 | |
현(県) | ||||
아오모리현 | 이와테현 | 미야기현 | 아키타현 | |
야마가타현 | 후쿠시마현 | 이바라키현 | 도치기현 | |
군마현 | 사이타마현 | 치바현 | 가나가와현 | |
니가타현 | 도야마현 | 이시카와현 | 후쿠이현 | |
야마나시현 | 나가노현 | 기후현 | 시즈오카현 | |
아이치현 | 미에현 | 시가현 | 효고현 | |
나라현 | 와카야마현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
오카야마현 | 히로시마현 | 야마구치현 | 도쿠시마현 | |
카가와현 | 에히메현 | 고치현 | 후쿠오카현 | |
사가현 | 나가사키현 | 구마모토현 | 오이타현 | |
미야자키현 | 가고시마현 | 오키나와현 | }}}}}}}}} |
7. 도도부현지사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도(都) | 도(道) | 부(府) | |
현(県) | ||||
}}}}}}}}} |
-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장들이 거의 대부분 특정 정당에 소속되어 있는 것과 다르게 일본의 도도부현지사들은 거의 대부분 무소속이다. 본디 1970년대 무렵까지는 보혁대결 구도가 일반적이었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현 단위 선거는 대개 무소속 후보끼리 치러지는 편이다. 본래 소속 정당이 있더라도 지사 선거에 출마할 즈음에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며, 선거 때는 각 정당에서 이렇게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들 중 한 명을 추천한다.
-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관료 출신이 매우 많다. 2024년 8월 기준 47명 중 20명이 도쿄대학 법학부 출신이다. 세습 정치인이 많은 중의원과 대조적인 부분.
8. 의인화
8.1. 모에지리!
본격 지리 모에만화 ‘모에지리!’(원제 もえちり!).
차례대로 아래 표에 설명한다. 이름의 유래는 링크된 항목 참조. 항목이 없는 경우나 보충설명이 필요한 경우는 각주로 설명을 달아 놓았다. 사실 별 의미 없이 이름만 맞춘 경우도 있다.
출석부 | 아이치 히로미[10] (아이치) | 아오모리 미코 (아오모리) | 아키타 코마치 (아키타) | 이시카와 코히메 (이시카와) | 이바라키 시즈카 (이바라키) | 이와테 마리 (이와테) | 에히메 미칸 (에히메) |
오이타 아츠코 (오이타) | 오사카 미나미[11] (오사카) | 오카야마 모모코 (오카야마) | 오키나와 히토에[12] (오키나와) | 카가와 히토미[13] (카가와) | 가고시마 소라 (가고시마) | 카나가와 사키[14] (가나가와) | 기후 키리코[15] (기후) |
교토 미야비 (교토) | 구마모토 히비키 (구마모토) | 군마 니분노이치 (군마) | 고치 아키라 (고치) | 사이타마 히나 (사이타마) | 사가 무츠미[16] (사가) | 시가 비와코[17] (시가) | 시즈오카 레이코 (시즈오카) |
시마네 우사기[18] (시마네현) | 치바 미키[19] (치바) | 도쿄 미야코[20] (도쿄) | 도쿠시마 나루토[21] (도쿠시마) | 도치기 유카리 (도치기) | 돗토리 세라자드[22] (돗토리) | 도야마 카코 (도야마) | 나가사키 자비네[23] (나가사키) |
나가노 야스요[24] (나가노) | 나라 부츠코 (나라) | 니이가타 마이 (니가타) | 효고 스미레[25] (효고) | 히로시마 시마 (히로시마) | 후쿠이 렌즈[26] (후쿠이) | 후쿠오카 마츠리 (후쿠오카) | 후쿠시마 마사미[27] (후쿠시마) |
홋카이도 우부코[28] (홋카이도) | 미에 시노부[29] (미에) | 미야기 마사무네 (미야기) | 미야자키 치히로 (미야자키) | 야마가타 사쿠라[30] (야마가타) | 야마구치 케이코[31] (야마구치) | 야마나시 후우카 (야마나시) | 와카야마 미칸 (와카야마) |
8.2. 개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베트남의 성도 도이머이 정책 시행 이후로 35개였던 성을 두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59개(2008년에 58개로 조정)로 쪼개서 일본의 현보다 더 규모가 작았지만, 202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28개 성으로 통페합되면서 한국의 도와 규모가 비슷해졌다.[2] 일본 지리 교과서의 지방 구분법이다.[3] 미국의 초등학생 지리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콘텐츠이다. 동시에 일본의 초등학생 영어 교육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실제로 일본의 초등교사들 사이에서 유행을 탄 뒤로 영어 교육 시간에 한 번쯤 틀어 주기도 한다. 여담으로 한국의 광역자치단체를 소개한 노래도 있다.[4] 한국의 도(道) 산하 시(市)/군(郡)에 해당[5] 당시 개수가 이렇게 많았던 이유는 에도 막부가 정해 놓은 번(藩)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현으로 바꾸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폐번치현 직후 현들을 보면 월경지가 난무하거나, 현 크기가 들쭉날쭉한 모양새가 많았다.[6] 2020년 통계[7] 현재 현청 소재지는 모두 시에 있지만, 메이지 시대만 해도 시는 극히 드물었고 대부분 현 명칭이 지어진 1870년대 초에는 아예 ‘시’라는 행정구역 자체가 없었고 호구 조사를 위해 임시로 편성했다가 정식 행정구역이 된 대구(大區), 소구(小區)만이 있었다. 따라서 당시 현청 소재지는 대개 어느 군 어느 정(町)이었다.[8] 효고현, 가나가와현. 두 곳 다 현의 이름이 현청소재지의 옛 이름이다.[9] 도치기현, 사이타마현, 미에현, 군마현, 이시카와현. 이 중 사이타마현은 특수한 사례인데, 현청을 사이타마군 이와츠키정에 둘 예정이었다가 그 지역의 인프라가 열악해 다른 곳으로 옮겨간 것. 그러니까 실제로는 한 번도 사이타마군에 현청이 있었던 적이 없다. (현재 현청 소재지는 과거에는 기타아다치군 소속이었다.) 2001년에 현청 소재지인 우라와시와 오미야시가 통합하여 사이타마시가 되었으므로 현재는 현 이름과 현청 소재지 이름이 같은데, 표기는 사이타마현이 埼玉県, 사이타마시는 さいたま市로 다르다.[10] 2005년 열린 아이치 엑스포(万博)에서 유래.[11] 오사카 남쪽의 나니와를 중심으로 한 일대의 번화가를 가리키는 ‘미나미에서. 매리지 로얄의 오사카 출신 히로인 ‘우메다 미나미’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12] 오키나와 출신 멤버들로 구성된 4인조 그룹 SPEED의 최연장자 아라가키 히토에(現 HITOE)에서.[13] 이 현 내에 있는 쇼도지마가 배경인 소설 ‘스물네 개의 눈동자(히토미)’에서.[14] 가나가와 + 가와사키[15] 기후현에 있는 세키시는 칼날 제조로 유명하다.[16] 사가에서 유명한 짱뚱어(무츠고로)에서.[17] 시가 중앙의 호수 ‘비와 호’에서.[18] 정작 이나바는 지금의 돗토리현이다.[19] 도쿄 디즈니랜드는 이름과 달리 도쿄도가 아니라 치바현에 있다.[20] 미야코를 都로 쓰면 수도(首都)를 의미한다. 와세다대학 교가 첫 구절이 "都の西北早稲田の森に(수도 서북쪽 와세다라는 숲에)"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미야코가 수도인 도쿄를 뜻한다.[21] 나루토 해협에서 유래.[22] 사구 ≒ 사막 → 아랍(중동)에서 연상한 듯.[23] 일본 유일의 개항지 데지마가 있는 곳이다.[24] 작품 연재 당시(2005~2006) 나가노현 지사를 지낸 다나카 야스오(田中康夫. 재임기간 2000~2006)에서.[25] 효고현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발상지. ‘스미레’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유명 배우 ‘하루노 스미레’에서.[26] 후쿠이현의 사바에시는 일본에서 만들어지는 안경의 90%를 생산한다.[27] 동명의 만화가 후쿠시마 마사미에서.[28] 홋카이도 우부코(北海道産子) = 道産子(도산코. 홋카이도 출신 사람을 일컫는 속칭)[29] 닌자의 본산인 이가(伊賀) 지방이 이곳에 있다.[30] 체리가 많이 나는 곳이다.[31] 가츠라 코고로(桂小五郞) = 기도 다카요시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