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 세이부 철도의 지정좌석제 열차}}}에 대한 내용은 [[S-TRAIN]]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TRAIN#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TRAIN#|]]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 세이부 철도의 지정좌석제 열차: }}}[[S-TRAIN]]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TRAIN#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TRAIN#|]]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새마을호 등급 | |
레일크루즈 해랑 | 정선아리랑열차(A) | |
교육열차(E) | 서해금빛열차(G) | |
남도해양열차(S) | 백두대간협곡열차(V) | |
동해산타열차 | 에코레일관광열차 | |
무궁화호 등급 | ||
전통시장관광열차 |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 |
폐지 | ||
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 | 부울경테마관광열차 | |
환상선눈꽃순환열차 |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 |
중부내륙순환열차(O) | 경북나드리열차 | |
평화생명관광열차(DMZ) | 바다열차 | }}}}}}}}} |
남도해양열차 南道海洋列車 | SOUTH COAST TRAIN (S-Train) | ||
<nopad> | ||
열차정보 | ||
범례 | 서울 ~ 여수엑스포 | 부산 ~ 목포 |
열차 종류 | 관광열차 | |
정차역 수 | 14 | 21 |
운행개시일 | 2013년 9월 27일 | |
운영 주체 | 코레일관광개발 | |
사용 차량 | 공통: 리미트 객차 |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300~7400호대 디젤기관차 발전차 |
| |
현재 도색[기관차제외] | |
캐릭터 | |
레츠코레일 공식 홍보 영상 |
1. 개요
2013년 9월 27일에 운행을 개시한 경전선과 전라선 구간을 달리는 한국철도공사의 관광열차. 별칭은 'S-Train'으로, O-Train, V-Train에 이어 3번째로 나온 '-Train' 시리즈이다.S-Train의 S는 바다를 뜻하는 영단어 Sea의 S와, 남해안의 구비구비 얽힌 리아스식 해안을 본뜬 S, 또한 경전선의 꼬불꼬불한 철길[2]의 모습을 본뜬 S를 의미한다고 한다.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개조하였으며, 7380, 7381호 기관차가 전용기로 선정되어 거북선을 나타낸 전용도색을 한 채로 운행되었으나, 최근 내구연한과 관련해서 7380호와 7381호가 일반 도색으로 환원되었다. 이를 대신해 7476, 7477호가 새 전용기로 차출되어 두 대 모두 바다 무늬의 도색을 한 채로 운행되었으나, 이 차량들도 일반 도색으로 환원되었다.
총 2편성이 있으며 모두 바다 무늬[A]로 도색되어 있다.
발전차 역시 도색되어 있다. 99419(두루미 무늬), 99420, 99531(바다 무늬)[A]
전 좌석 새마을호 특실에 준하여 취급되며, S-train 패스도 발매하였으나,[5] 2015년 5월 1일부로는 나드리 패스로 발매된다.
하행 열차들(#4871, #4873)에서는 사연을 추첨으로 읽어주고, 상행 열차들(#4872, #4874)에서는 승무원이 3명이 타면 3호차에서 신청곡을 틀어주었으며, 승무원 이벤트는 진행하지 않는다. 현재는 이마저도 진행하지 않으니 참고할 것.
2015년 9월에 득량역 추억의 거리처럼 3호차 카페실을 꾸며 추억의 게임(예: 제기차기, 팽이치기, 보드게임, 옛날교복체험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조용한 여행을 원한다면 3호차 이용은 되도록 자제해야 할 것이다. 현재는 경전선과 전라선 모두 카페객차가 연결되지 않는다.
수도권과 연계하면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한 상태이며 매진도 자주 보인다. 초창기의 실패와 노선 변경 후에 증가한 수요는 이후 만들어진 서해금빛열차[6]와 정선아리랑열차 같은 관광열차들이 수도권과 연계하게 되는데 영향을 미쳤다.
입석발매 및 입석승차(내일로 등)가 안 되는 차량이므로 상대적으로 쾌적하다(테이블석이 있는 2호차 제외). 특히 4호차 다례실은 인원도 적고 별도의 매우 넓은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어 정숙한 분위기에서 노트북 작업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안성맞춤.부산역에서 경전선 구간을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소요시간도 의외로 봐줄만하기 때문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보다 부산역, 구포역이 가까운 사람은 충분히 고려해봄직하다. 다만 단 1편성밖에 없다는 것과 주말만 운행한다는 것, 운임이 시외버스의 1.5배 가량인 19,200원이다.[7]
2. 역사
2014년 6월 1일부터 수요 부족으로 인하여 용산역~여수엑스포역, 부산역~보성역 구간을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10월부터는 용산~여수엑스포 노선이 서울역 출발로 변경되고 용산역을 통과한다. # 보성군 현지에서는 S-Train이 보성역에서 시종착한다고 현수막까지 동원해서 재홍보했다. 그리고 남평역은 2014년 6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보성역에서 타절하는 걸로 결정되는 바람에 다시 무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실제로 S-Train이 수요가 거의 없던 것을 증명하는 게, 서부경전선의 중간역 중 유일하게 승하차 합쳐 연이용객 10만을 찍는 보성역의 2013년 이용객 현황에서 S-Train은 고작 승하차 합쳐 1000여 명밖에 안 되었다.2016년 5월 16일부터 7월 12일까지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 공사와 관련해 전라선 열차의 시종착역이 용산역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초중반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관광열차들이 운행을 잠정 중단하기로 하여 S-train도 같이 운행을 중지하였다.
2020년 8월 1일부터 운행을 재개하였으나, 2020년 12월 22일 코로나 19 재확산으로 인한 정부의 5인이상집합금지 명령에 따라 다시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1년 2월 10일에 모든 관광열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경전선 열차의 운행 구간이 보성역에서 광주송정역으로 연장되었다. 동시에 관광열차 번호가 변경되어 전라선은 #2521~2522, 경전선은 #2525~2526 열차로 운행한다.
2021년 4월 1일부터 다시 모든 관광열차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1년 11월 12일에 전라선 열차만 운행을 재개하였다. 다만 코로나 19로 인해 카페 객차인 기존 3호차를 연결하지 않고 4량으로 운행하며, 해당 객차는 에코레일관광열차 3호차로 차출되었다.
예전에는 관광개발 소속 승무원도 승차했으나, 요즘은 여객전무 1인만 승무한다.
2022년 6월부터 경전선 열차도 운행을 재개하였으나, 토~일요일에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전국 철도노조 태업으로 2022년 11월 24일부터 전라선 열차의 운행이 중지되었으나, 이후 다시 운행을 재개하였다.
2023년 3월 1일부터 전라선 하행(#2521) 열차는 임실역에, 전라산 상행(#2522) 열차는 여천역과 임실역에 추가 정차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전라선 모든 열차가 여천역에 정차하며, 디젤기관차 대신 8200호대 전기기관차가 견인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발전차를 연결하지 않는다.
2025년 9월 27일부터 목포보성선의 개통으로 경전선 열차의 운행 구간이 '부산~목포'로, 운행일이 금~일요일로 변경되었다.
3. 차량 구성
의자는 무궁화호 일반실 의자에 색만 칠한 것이다.전라선 경유는 8200호대, 경전선 경유는 7300~7400호대가 견인한다.
일반 좌석 178석, 4인 테이블석 7세트, 휠체어 2석, 전동휠체어 2석으로 정원은 총 210명이다.
남도해양열차 객실 구성 | |
↑ 상행 (서울·부산 방면) | |
1호차 (64석) | 간이 좌석[미발매] 1A~16D: 일반 좌석 |
2호차 (32+4석) | 1A~16D: 일반 좌석 / 다례실[미발매] 9A, 9D: 휠체어석 / 10A, 10D: 전동휠체어석 |
3호차 (68석) | 1A~10D: 일반 좌석 11A~18D: 테이블석 7세트 / 수유실[미발매] |
4호차 (42석) | 1C~1D, 2A~2D, 3A~3B: 자전거석 3C~3D, 4A~11D: 일반 좌석 |
↓ 하행 (여수엑스포·목포 방면) |
3호차에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석은 비둘기호 내지는 새마을호 식당차 테이블석 느낌의 직각 무리클 좌석이다. 코레일톡에서도 안내하고 있듯이, 일행이 아닌 사람들과 마주 앉아서 가야하는 뻘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기존에 연결되었던 3호차에는 매점 기능이 철수된 간이식당[미발매]과 방송실이 배치되어 있었다.
4. 현행 운행구간
현행 구간인 전라선은 2014년 6월 1일부터, 경전선은 2025년 9월 27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운행 요일은 다음과 같다.
- #2521~2522 (서울 ⇆ 여수엑스포): 목~월요일 (화~수 운휴)
- #2525~2526 (부산 ⇄ 목포) : 금~일요일 (월~목 운휴)
4.1. 전라선 서울 ⇆ 여수엑스포 (#2521~2522)
#2521 (서울 → 여수EXPO, 2025년 9월 27일 기준) | ||||||||||||||
정차역명 |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임실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도착시각 | 출발 | 08:14 | 08:41 | 09:20 | 10:06 | 11:02 | 11:18 | 11:36 | 11:52 | 12:03 | 12:15 | 12:32 | 12:47 | 12:56 |
출발시각 | 08:04 | 08:17 | 08:48 | 09:21 | 10:08 | 11:03 | 11:20 | 11:37 | 11:53 | 12:04 | 12:16 | 12:33 | 12:48 | 도착 |
정차시간 | - | 3 | 7 | 1 | 2 | 1 | 2 | 1 | 1 | 1 | 1 | 1 | 1 | - |
#2522 (여수EXPO → 서울, 2025년 9월 27일 기준) | ||||||||||||||
정차역명 | 여수엑스포 | 여천 | 순천 | 구례구 | 곡성 | 남원 | 임실 | 전주 | 익산 | 서대전 | 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
도착시각 | 출발 | 17:29 | 17:45 | 18:02 | 18:15 | 18:27 | 18:43 | 19:00 | 19:17 | 20:16 | 21:05 | 21:36 | 22:00 | 22:15 |
출발시각 | 17:22 | 17:30 | 17:46 | 18:03 | 18:16 | 18:28 | 18:44 | 19:01 | 19:19 | 20:19 | 21:07 | 21:39 | 22:03 | 도착 |
정차시간 | - | 1 | 1 | 1 | 1 | 1 | 1 | 1 | 2 | 3 | 2 | 3 | 3 | - |
한 달 전부터 매진이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며, ITX-새마을 요금과 거의 비슷해 전라선 편법증차라는 말이 자주 나왔었다.
정차역이 매우 특이하다. 서울역에서 출발해 용산역을 무정차 통과하고 영등포역에 정차하며[12], 대부분의 일반열차들이 정차하는 평택역 또한 정차하지 않는다. 그리고 호남선 구간의 경우 서대전 경유 KTX 열차들이 필수로 정차하는 계룡역과 논산역도 무정차해서 유일하게 서대전~익산 구간을 직통 운행하는 열차이다. 정차역이 적으니[13] 잘 확인할 것.
익산역에서 기관사와 여객전무 교대가 이뤄진다.
4.2. 경전선 부산 ⇆ 목포 (#2525~2526)
#2525 (부산 → 목포, 2025년 9월 27일 기준) | ||||||||||||||||||||||
정차역명 | 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광양 | 순천 | 벌교 | 득량 | 신보성 | 장동 | 전남장흥 | 강진 | 해남 | 영암 | 목포 | |
도착시각 | 출발 | 08:01 | 08:11 | 08:25 | 08:39 | 08:50 | 09:03 | 09:34 | 09:51 | 10:03 | 10:19 | 10:29 | 10:54 | 11:15 | 11:42 | 11:51 | 12:00 | 12:12 | 12:25 | 12:38 | 12:56 | |
출발시각 | 07:48 | 08:02 | 08:12 | 08:26 | 08:40 | 08:52 | 09:05 | 09:36 | 09:53 | 10:05 | 10:20 | 10:31 | 10:56 | 11:31 | 11:43 | 11:52 | 12:02 | 12:15 | 12:27 | 12:39 | 도착 | |
정차시간 | 1 | 1 | 1 | 1 | 2 | 2 | 2 | 2 | 2 | 1 | 2 | 2 | 16 | 1 | 1 | 2 | 3 | 2 | 1 |
#2526 (목포 → 부산, 2025년 9월 27일 기준) | ||||||||||||||||||||||
정차역명 | 목포 | 영암 | 해남 | 강진 | 전남장흥 | 장동 | 신보성 | 득량 | 벌교 | 순천 | 광양 | 하동 | 북천 | 진주 | 마산 | 창원중앙 | 진영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 |
도착시각 | 출발 | 15:28 | 15:41 | 15:52 | 16:06 | 16:17 | 16:27 | 16:41 | 17:22 | 17:47 | 17:59 | 18:16 | 18:28 | 18:44 | 19:19 | 19:32 | 19:43 | 19:57 | 20:15 | 20:29 | 20:43 | |
출발시각 | 15:10 | 15:29 | 15:42 | 15:57 | 16:08 | 19:19 | 16:30 | 17:03 | 17:24 | 17:50 | 18:01 | 18:17 | 18:29 | 18:46 | 19:21 | 19:34 | 19:45 | 20:03 | 20:16 | 20:30 | 도착 | |
정차시간 | 1 | 1 | 5 | 2 | 2 | 3 | 21 | 2 | 3 | 2 | 1 | 1 | 2 | 2 | 2 | 2 | 6 | 1 | 1 |
2025년 9월 27일 목포보성선 개통에 따라 운행을 시작하였다. 특이사항으로 득량역에서 16~21분간 정차하며, 이로써 남도해양열차 이용 도중에도 '득량역 추억의 거리' 관광지 일대를 여유롭게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5. 역대 운행구간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5.1. 부산~여수엑스포 (#4871~4872)
2013년 9월 27일부터 2014년 5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 승객이 상당히 적었던 광주~마산, 서대전~광주송정 구간에 비해 이 구간만은 연선 인구와 관광지로 유명한 순천, 여수를 거치다보니 손님이 조금이나마 있었다.
5.2. 마산~광주 (#4873~4874)
2013년 9월 27일부터 2014년 1월 10일까지 운행하였다.
5.3. 서대전~광주송정 (#4873~4874)
2014년 1월 11일부터 2014년 5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 서대전~익산 구간은 호남선을, 익산~순천 구간은 전라선을, 순천역에서 방향 전환 후 순천~광주송정 구간은 경전선을 이용하는, 아주 복잡한 운행 계통을 가진 열차였다. 빙빙 돌아가는 데다가 서대전 착발이라는 어정쩡한 입지 때문에 수요도 제대로 잡지 못하여 공기수송 신세가 되었으며, 결국 2014년 6월 1일부터 여수엑스포역 착발로 변경되었다.
5.4. 부산~광주송정 (#2525~2526)
대부분 객실이 텅텅 빈 채로 운행하였으며, 휴가철 관광 수요와 부산+창원 인구 덕분에 계속 유지되는 듯하다.
운임과 소요시간 등을 보더라도 부산역 근처에서 출발하는 사람이 순천에 엄청 급하게 가야되는 경우 외에는 이 열차를 탑승할 이유가 없으며, 보성발 부산행의 경우 저녁시간에만 있으므로 부산/창원 방면으로의 상용수요를 만들기 쉽지 않다. 게다가 창원 공단지역에서 근무하는 부산시민들의 입장에서는 부산행의 경우 정시 퇴근할 때에만 이용할 여지가 있는 반면, 보성행의 경우 운행시각 때문에 출근 목적으로 쓰기도 어렵다. 부산 원도심에 거주하는 창원대학교 학생이 통학할 목적이라면 이용할 만하나 요금이 비싸 이마저도 쉽지 않다. 그냥 열차 이용 구간 외에는 걸어서 통학할 수 있는 사람, 즉 초량동에 사는 창원대 학생들에게나 자취 비용을 생각하면 S-Train 타고 통학하는 게 유리한 게 현실.
2016년 시간표 이전에는 #4872의 순천역 정차시간이 무려 32분으로 잡혀 있었는데, 이는 보성역에서 부산 방향으로 나갈 때 기관차 선두부가 뒤쪽을 바라보는 채로 운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뒷방향으로 전 구간을 운전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도중에 순천역 전차대를 이용해 정방향으로 돌려주는데, 이때의 소요시간이 추가된 것이다. 지루하면 잠시 나갔다 와도 좋았다. 그 덕분에 여수에서 부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4874 열차로의 환승도 가능했다. 그리고 이때 승무원들도 교대했었으나, 4월부터 서울-여수엑스포 구간은 승무원이 서울승무원으로 바뀌면서 교대할 필요가 없어졌다.
2016년에 개정된 시간표에서는 북천역, 하동역에서 5분가량 길게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순천역의 정차시간이 크게 바뀌었는데, 보성→부산 방향은 8분 정차로, 부산→보성은 2분 정차로 짧아졌다. 그리고 보성에서 출발하기 전에 미리 기관차를 순천역으로 보내서 방향을 돌려오기 때문에 이제 보성역에서부터 정방향 출발한다.
2020년 11월 2일부터 #4871 열차의 운행 시간이 25분 앞당겨진다.
2021년 1월 시간표 개정으로 보성역에서 광주송정역으로 시종점이 연장되었다.
2022년 8월 20일부터 #2525 열차의 운행 시간을 24분 늦어지고, #2526 열차의 운행 시간이 7분 앞당겨졌다.
6. S-트레인 욱일기 문양 인테리어 논란
2016년 8월, 코레일이 운영하는 남도해양열차 카페객차 인테리어에서 일본 군국주의 상징인 욱일기를 연상시키는 문양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었다. 해당 문양은 미국 여자 아이돌 그룹 앨범 재킷 전시에 포함된 것으로, 2015년 4월 외부 업체가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가 광복절 직후 문제를 제기하자, 코레일은 즉시 해당 디자인을 삭제하겠다고 밝혔다.[기관차제외] S-Train 전용기관차로 지정되어 해당 도색을 하고 있던 7476호와 7477호 2대 모두 2023년 10월 기준 일반 도장으로 환원된 상태다.[2] 2030년 이후 경전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사라질 예정이다.[A] 원래 쪽빛 천, 두루미 무늬였으나 검수를 받을 때 도색이 변경되었다.[A] [5] 이전에 발매되었던 S-Train 패스 이용 구간은 해당 문서 3.2 항목 참조)[6] 실제로 천안 착발이 논의되었다.[7] 2023년 12월 기준 부산 ~ 순천 시외버스 요금은 13,300원(서부산-순천 기준), 우등고속은 20,800원(부산종합-순천 기준)이다. 소요시간은 S-Train 이용시 부산 시내에서 2시간 38분이며, 시외버스는 사상에서 2시간 반 (시외버스 이용시 부산역 출발 기준 부산 버스 59 이용시 40분 정도가 추가된다). 그래서 부산 ~ 순천 구간을 엄청 급하게 가야되는 사람이 아니면 S-Train을 이용할 매력이 없다.[미발매] 코레일톡이나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매가 불가능한 좌석이다.[미발매] [미발매] [미발매] [12] 전라선 전 열차 중 유일하게 용산역을 통과하는 열차이다.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는 일부 호남고속철도 계통 KTX는 원래 용산역에 시종착하던 열차들이 서울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개념이라서 서울역에서 출발해도 용산역에 반드시 정차한다.[13]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임실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EXPO[14] 전경삼각선으로 하동역에서 바로 여천역으로 가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