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망 구축계획 | ||||
1차 (2006~2015) | 2차 (2011~2020) | 3차 (2016~2025) | 4차 (2021~2030) | 5차 (2026~2035) |
1. 개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일환으로 두 번째로 발표된 계획안. 이 철도망 구축계획안이 모두 성공적으로 완공할 경우 총 철도연장은 4934km로 늘어나고 복선화율은 79.1%로, 전철화율은 85%로 올라간다. 774만 톤의 이산화 탄소(CO₂) 감축효과도 있다. 여객수송 분담률은 27.3%, 화물수송 분담률은 18.5%로 늘어난다.
총사업비는 국고 59조 원, 지방비 3조 원, 민자유치 및 기타 26조 원으로 총 88조 원이다. 기사
국토해양부 시절인 2011년 4월 4일에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120호로 발표되었다. 요약 자료 관보 공시
하지만 구축계획의 목표 종료 시점인 2020년 말 기준으로, 아래 '신규사업' 중 절대 다수가 예산 부족, 지역 내/지역 간 갈등 등 여러 이유로 많은 사업이 삽 조차 뜨지 못한채 다음 구축계획으로 넘어갔다. 이는 뒤의 3차계획에 나온 것들중에도 상당수는 진행중인 것에 비해 비교가 된다.
물론 '기존사업'은 공사가 지연될지언정 순차적으로 완공되었다.
결론적으로 '신규사업' 대다수가 5년 동안 어영부영하다 3차로 그대로 넘어갔다. 어차피 본 계획은 부동산 관련자들이나 국회의원들의 희망사항과 달리 행정계획으로 특별한 구속력도, 기속력도 없다.
2. 주요 내용
국가철도망 구상 (X자형+ㅁ자형 결합 노선)
철도 통행시간 분포변화 (서울 기점, 차내시간 기준)
2.1. 목표
- 철도망을 통해 국토를 통합 · 다핵 · 개방형 구조로 재편
- 전국 주요 거점을 고속 KTX망으로 연결
- 대도시권 30분대 광역, 급행 철도망 구축
- 녹색 철도물류체계 구축
- 편리한 철도 이용환경 조성
2.2. 고속철도
총 3개 사업, 332.8km2.2.1. 신규사업
2.2.2. 기존사업
2.3. 일반철도
총 58개 사업, 2854km2.3.1. 신규사업
- 전반기 (2011년 ~ 2015년) 착수 사업
- 수서용문선
- 장항선
- 경강선
- 월곶역 ~ 판교역 구간 → 연수역 ~ 판교역으로 변경. 35.8km 복선전철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2026년 개통 예정)
- 여주역 ~ 원주역 구간 21.9km 복선전철[A]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2024년 착공, 2027년 12월 31일 개통 예정)
- 동탄인덕원선
- 경전선
- 천안-청주공항선
- 춘천속초선
- 동해항인입철도
- 동해역 ~ 동해항역 구간 1.3km 단선철도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
- 여수율촌산업단지 인입철도
- 덕양역 ~ 여수율촌산업단지역 구간 7.1km 단선철도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
- 후반기 (2016년 ~ 2020년) 착수 사업
2.3.2. 기존사업
- 일반철도 복선전철화 및 230km/h, 250km/h급 고속화
- 경춘선
- 중앙선
- 영동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경전선
- 부전역 ~마산역 구간 32.6km 복선전철
- 동순천 ~ 광양역 구간 10.9km 복선전철화
-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95.5km 복선전철화
- 진주역 ~ 광양역 구간 51.5km 복선화
- 보성역 ~ 임성리역 구간 79.5km 단선철도
- 전라선
- 태백선
- 동해선
- 서해선
- 경원선
- 부산신항선
- 수도권북부내륙화물기지인입철도
- 문산역 구내 구간 3,2km 단선철도
- 경강선
- 여주-문경선
- 대구선
- 장항선
- 포승-평택선
- 광양항 인입철도
- 울산신항인입철도
-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활성화
- 신경의선 연결구간 2.9km
- 철도종합시험선로
- 이단적재열차
- 경전선 개량
2.4. 광역철도
총 18개 사업, 474.7km2.4.1. 신규사업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일산 ~ 수서(동탄)역 구간 46.2km 복선전철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착공
- 송도 ~ 청량리역 구간 48.7km 복선전철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착공예정)
- 의정부역 ~ 금정역 구간 45.8km 복선전철 →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착공예정)
2.4.2. 기존사업
3. 후보 노선
총 20개 사업, 1081.8km말 그대로 '후보사업'이다. 모든 노선이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미착공이며 일부 노선만 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으로 착공예정(착공 확정)이다.
- 경부고속선
- 용문-춘천선
- 동해선
- 강릉역 ~ 제진역 구간 110.2km 단선전철 → 착공예정(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기본계획 고시)
- 포항역 ~ 동해역 ~ 강릉역 구간 223km 복선전철화 → 전철화 착공예정(후반기 기한 종료시점 기준 예타 면제)
- 문경선
- 평택부발선
- 새만금-대야선
- 신분당선
- 의정부-철원선
- 경원선
- 김천-전주선
- 서해산업선
- 대구-광주선
- 수도권고속선
- 제2공항철도
- 대산항 인입철도
- 당진시 ~ 대산항 구간 18.5km 단선철도
- 인천남외항 인입철도
- 시흥철도차량정비단 내 구간 1.5km 단선철도
- 녹산산업단지 인입철도
- 녹산역 구내 구간 1.5km 단선철도
- 반월산업단지 인입철도
- 안산역 구내 구간 1.5km 단선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