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야민정음은 닮은꼴 문자를 사용하여 한글 한두 음절을 대체하거나 단어를 회전, 뒤집는 식으로 사용하는 문체이다. 명칭은 국내야구 갤러리(야갤)와 훈민정음의 혼성어로, 이름 그대로 야갤에서 처음 유행하였다.2. 유래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만든 드립이다. 야갤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야갤에서 주로 쓰였으며, 이것이 야갤에서 수많은 형태로 변형되고 쓰여서 야민정음이라고 불린다. 그것이 퍼져서 디시인사이드 전반은 물론이고, 기타 인터넷상에서 쓰이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몇 가지 들자면, 숲윾싀머튽[1], 세종머앟[2] 등등이 있다.야민정음이란 단어 그 자체가 변환되는 경우도 있다.
현대 유니콘스와 넥센 히어로즈,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강귀태 - 강커태가 시조라고들 하지만 이미 한참 오래 전에 비슷한 드립은 여러 가지 돈 적이 있었다. 한 사례로 2003년 CB Mass의 리더 커빈의 이기적인 행동으로 인해 팀이 해체됐을 당시 힙합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해당 사건을 커빈 - 귀빈 - VIP 사건이라고 불렀다. 다만 이것은 자음과 모음을 파자해서 만든 건 아니고 단지 어감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타블로가 커빈을 비꼬아서 부른 거에서 유래한 거라 야민정음식 유래는 아니다. 힙합 관련 커뮤니티인 힙합 플레이야나, dctribe에서는 귀빈이라는 글자를 커빈으로 잘못 읽었다는 드립이 2000년대 중반부터 꽤 유명하였다. 야민정음과 크게는 멀지 않은 유래다.
야갤 유저들이 엠엘비파크에 낚시 게시물을 올릴 때 대 ↔ 머 를 사용하기도 했으며[3] 2014년 초에 야갤에서 크게 흥해 유명해졌다.
OCR에서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야민정음과 비슷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가끔 발견되기도 한다.[4] 왈본과 같은 경우였다.
2000년대 초반에 앞서 유행한 외계어와 기본적인 발상은 동일하지만 특수문자를 많이 쓰는 외계어와는 다르게 대부분 한글 자모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특징으로, 발현지인 디시의 특성상 너무 귀찮은 변환은 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크기 때문이었다. 실제로는 귀찮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많은 변환이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은 사장되어 일부만 정착된다.
3. 한글파괴 여부
야민정음을 보고 한글파괴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단어 파괴 또는 한국어 파괴면 몰라도 한글파괴로 보기는 어렵다. 한글파괴라는 단어 자체가 '한국어 파괴'의 의미로 잘못 사용되는 것이며 한글파괴의 의미가 맞게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한글은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채 치환될 뿐 전혀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광주를 팡주라고 한다고 해도 한글은 멀쩡하며 단지 단어를 이루는 글자가 바뀔 뿐이다. 다만 하술될 예시를 보면 일부는 한글 자모가 아닌 문자를 섞어서 사용하기도 하므로 한글파괴가 아예 없다고도 볼 수는 없다.4. 글꼴
이러한 부분은 한글글꼴를 제작할 때 애로사항이 생기는 부분이기도 하다. 같은 글꼴 내에서 비슷한 모양의 글자가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야민정음 표기를 하더라도 원 표기와 괴리감이 크게 보이는 것은 그만큼 글자체에 대한 연구가 글꼴에 잘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OCR에서도 한글의 인식은 중국어와 비슷한 고난도 글자 취급을 받는데, 이 또한 컴퓨터가 비슷한 글자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유사한 모양의 글자로 판독할 가능성이 라틴 문자 등 다른 글자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해상도나 선명도가 낮은 문서를 OCR로 판독할 시 의도치않게 야민정음처럼 스캔되는 경우는 이러한 이유가 있다.
5. 예시
| <nopad> |
| 2015년 대전대학교에 걸린 현수막.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이진우, 이승준 학생이 한글 파괴에 대한 우려의 뜻을 담아 만들었다고 한다. ‘대전대’는 실제로 ‘머전머’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 사진은 중앙일보 기사에서 사용됐다. 그런데 해당 기사 사진 출처가 나무위키다. 나무위키에 업로드된 파일들 중 거의 99%는 출처로 나무위키를 적지 말라고 작성되어 있다. |
| |
| 2010년 MBC 《무한도전》의 에피소드 중 〈외박 특집 오마이텐트〉에서 정형돈이 앵커리지 한인회관을 잘못 읽어 내뱉었던 말. 그 무야호로 유명한 최규재 씨가 교민으로 있는 장소이다. 정형돈이 고의로 그렇게 읽은 것이 아니라 ‘커’가 ‘귀’로 보이게 쓰여 있기 때문에 단순히 그냥 잘못 읽은 것일 뿐이다. |
- 아래 예시들은 한 글자쌍이 상호 호환된다.[예시] 그래서 양쪽 화살표(↔)를 붙여 두었다.
- ‘ㅇ’을 초성으로 만들어진 예시는 대부분 초성을 바꿔도 적용된다.
- 굵은 글씨는 실제로 야갤에서 자주 사용하는(했던) 것.
- 이 항목에는 본 문서 편집자들이 임의로 만들어낸 단어들이나 야갤을 포함한 어떤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도 쓰지 않는 것들도 꽤 섞여있다. 항목을 읽거나 작성할 때 유의할 것.
항목 폭주의 우려가 있으므로, 항목 추가시 다음을 고려한다.
- 기본 예시 이외의 다른 예시는 기술하지 않는다.
- 모양이 비슷할 정도로 겹쳐지거나 유사하게 보이는 글꼴과 글자가 나왔으면, 작성하지 않는다.
속어나 욕설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므로 주의.
5.1. 컴퓨터의 일부 글꼴을 작은 크기로 봤을 때 비슷해 보이는 경우
야민정음 초기부터 존재했던 작은 크기로 보면 누가 봐도 헷갈릴 만한 글자들이 주로 여기에 해당된다.- 대 ↔ 머 ↔ 퍼 ↔ 떠 - 머ㅂ긘亼 돠(ㅌr, Er, Eㅏ)르フㅏ(ㄱr, フr)르옌/퍼ㅂ긘亼 돠르フㅏ르옌/떠ㅂ긘亼 돠르フㅏ르옌, 머앟/퍼앟/떠앟, 머튽/퍼튽/떠튽, 머털/대털 ↔ 퍼털/떠털, 머저리 ↔ 대겨긘/퍼겨긘/떠겨긘, 머나믁/퍼나믁/떠나믁/머나픅/퍼나픅/떠나픅/머나뜩/퍼나뜩/떠나뜩, 머극팡역시/퍼극망역시/떠극땅역시, 머견팡역시/퍼견망역시/떠견땅역시, 머윽진설/퍼윽진설/떠윽진설, 머북계ㅈH/퍼북계ㅈH/떠북계ㅈH, 머극머학교/퍼극퍼학교/떠극떠학교, 머견머학교/퍼견퍼학교/떠견떠학교, 머화괸국/퍼화괸국/떠화괸국/머화핀국/퍼화핀국/떠화핀국, ㅁㅁㅁ 머앟/ㅁㅁㅁ퍼앟/ㅁㅁㅁ떠앟, 머머긘/머대긘/머퍼긘/머떠긘/퍼머긘/퍼대긘/퍼퍼긘/퍼떠긘/떠머긘/떠대긘/떠퍼긘/떠떠긘, 머난특/퍼난특/떠난특, 머짐커/퍼짐커/떠짐커[6], 머기업/퍼기업/떠기업[7], 현머ㅊr/현퍼ㅊr/현떠ㅊr, 머윽ㅊr/퍼윽ㅊr/떠윽ㅊr, 머윽견ㅈr/퍼윽견ㅈr/떠윽견ㅈr, 머포(ㅁㅍ)/퍼모(ㅍㅁ)/떠모(ㄸㅁ), 머한항공/머화항끙/퍼화항끙/떠화항끙, 머통령/퍼통령/떠통령, 군머/군퍼/군떠, 대끤/대괸/대민/퍼끤/퍼괸/퍼민/떠끤/떠괸/떠민, 순머국밥/순퍼국밥/순떠국밥, 머슥학/퍼슥학/떠슥학, 머형 석궁/퍼형 석궁/떠형 석궁, 亼트긘대/亼트긘퍼/亼트긘떠, 머릗/퍼릗/떠릗, 人ㅣ머/人l머/人ㅣ퍼/人l퍼/人ㅣ떠/人l떠[8], 머긘점/퍼긘점/떠긘점, 머우l(소문자 L)/머우I(대문자 i)/퍼우l/퍼우I/떠우l/떠우I[9]
- 댕 ↔ 멍 ↔ 펑 ↔ 떵 - 멍71대(퍼, 떠)긘/펑71대긘/떵71대긘[10], 훙댕/훙펑/훙떵, 멍멍이/댕댕이/펑펑이 ↔ 떵떵이, 앞댕이/앞떵이, 펄亼댕/펄亼펑/펄亼떵/멀亼댕/멀亼펑/멀亼떵, 댕청이/펑청이/떵청이, 내동댕이 ↔ LH동멍이/LH동펑이LH동떵이, 댕フㅔ/펑フㅔ/떵フㅔ, 멍텅구리 ↔ 댕텅극긘/펑텅극긘/떵텅극긘, 댕彐/멍彐/떵彐, 댕ㅍ/멍ㅍ/떵ㅍ
- 댸 ↔ 며 ↔ 띠 ↔ 펴 - 며ㄴl쇼/띠ㄴl쇼/펴ㄴl쇼, 댸느긘/띠느긘/펴느긘, 댸븍씓/며븍씓/펴븍씓, 이덍박/이띵박/이평박, 덍곡/띵곡/평곡, 덍성음(운, 읖)슥/띵성음슥/평성음슥, 덍작/띵작/평작, 덍조/띵조/평조[11], 댹살/띡살/펵살, ㄹr댼/ㄹr띤/ㄹr편, 댼人ㅔ점/띤人ㅔ점/편人ㅔ점, 덍나ㄹr/띵나ㄹr/평나ㄹr, 양덍/양명/양평, 양덍큭륵/양명彐륵/양평彐륵, 덍호오r 즉방튽/명호오r 즉방튽/평호오r 즉방튽, 홍덍보/홍띵보/홍평보, 덀치/띨치/펼치, 덀광/띨광/펼광/덀팡/띨팡/펼팡/덀땅/띨땅/펼땅, 덀끙/띨끙/펼끙, 덀종/띨종/펼종
- 커 ↔ 귀 ↔ 긲 - 커화/긲화, 강커돼/강긲돼, 77ㅏ마커/77ㅏ마긲/77ㅏ파커/77ㅏ파긲/77ㅏ과커/77ㅏ과긲[12], 커엽다/긲엽다, 커양/긲양, 조귀/조긲, 커띨익 칼날/긲띨익 칼날/커펼익 칼날/긲펼익 칼날, 재커함슥/재긲함슥/재커핲슥/재긲핲슥, 앵귀긘지/앵긲긘지, 커커/긲긲, 에릐 해귀/에릐 해긲, 귀네/긲네, 커신/긲신, 마커/과긲/파커/파긲[13]
- 파 ↔ 과 ↔ 마 ↔ 따 - 파떼기/마떼기/따떼기/파페기/과페기/따페기, 파슥원/마슥원/따슥원, 파븍/마븍/따븍, 과읟/마읟/따읟, 파읟/마읟/따읟, 마병/과병/따병, 마미익 금즉/과미익 금즉/따미익 금즉/마피익 금즉/과피익 금즉/따피익 금즉, 과시준/마시준/따시준/과시즢/마시즢/따시즢, 과亼칼/마亼칼/따亼칼, 과이머/마이머/따이머/과이떠/마이떠/따이떠, 과노ㄹr과/마노ㄹr과/따노ㄹr과/과노ㄹr파/마노ㄹr파/따노ㄹr파/과노ㄹr따/마노ㄹr따/따노ㄹr따, 과도/마도/따도, 과드떼 아괴달ㄹr/마드떼 아괴달ㄹr/따드떼 아괴달ㄹr/과드페 아피달ㄹr/마드페 아피달ㄹr/따드페 아피달ㄹr, 윾人r파학/윾人r마학/윾人r따학, 과ㄹr파이/과ㄹr마이/과ㄹr따이/마ㄹr파이/마ㄹr마이/마ㄹr따이/따ㄹr파이/따ㄹr마이/따ㄹr따이, 댁지긘 X과읟/댁지긘 X마읟/댁지긘 X따읟, 과키亼돤/마키亼돤/따키亼돤, 과나과/과나파/과나따/마나과/마나파/마나따/따나과/따나파/따나따[14], 과관/마만/따딴, 과긘/마긘/따긘, 괄도 네넴띤/괄도 네넴댼/괄도 네넴편/괄도 네넾띤/괄도 네넾댼/괄도 네넾편/딸도 네넴띤/딸도 네넴댼/딸도 네넴편[15], 과한/파한/따한, 과윾/파윾/따윾, 과모/파모/따모, 과득/파득/따득, 과긘 앙특아비트/파긘 앙특아비트/따긘 앙특아비트, 과긘아/파긘아/따긘아, 과미아/파미아/따미아/과괴아/파괴아/따괴아, 과륵오77ㅏ/파륵오77ㅏ/따륵오77ㅏ, 과뢰/파뢰/따뢰, 과ㅎr/파ㅎr/따ㅎr, 과마득븍/따마득븍/파과득븍/따과득븍, 과외 븍윽/파외 븍윽/따외 븍윽, 과긘/파긘/따긘, 과릗뢰 펀(댄, 떤)로/파릗뢰 펀로/따릗뢰 펀로
- 피 ↔ 끠 ↔ 괴 ↔ 미 - 백피사전/백끠사전/백미사전, 피도/미도, 괴오라/미오라/끠오라, 끠ㄹr끠드/괴ㄹr괴드/미ㄹr미드, 괴즈/미즈/끠즈, 괴자/끠자/미자, 괴젯 亼괴너/끠젯 亼끠너/미젯 亼미너, 끠아노/괴아노/미아노, 亼콜끠오/亼콜괴오/亼콜미오, 피물(풀, 뜰)/끠물/미물, 피짜슥/끠짜슥/미짜슥, 피상/끠상/미상, 괴임/끠임/미임, 괴카디긘/끠카디긘/미카디긘, 미亼트/피亼트 ↔ 괴亼트/끠亼트, 괴녀/피녀/끠녀, 미남/피남 ↔ 괴남/끠남, 미지(수)/피지(슥) ↔ 괴거(슥)/끠거(슥)
- 비 ↔ 네 - 동비, 네상극, 네ㅂ亼, 네돨긘, 네토긘오, 네둗기, 네늑, 네좌되운(웊)/네좌딘운/네좌더운/네좌日운, 네구, 네亼긧, 네亼돠/네亼ㅌr/네亼Eㅏ/네亼Er, 네요프/네요므, 귀네/긲네, 네네와, 비괄/비말, 비틛롸드, 비네게이션, 비비치킨, 비비츠, 네아[16], 비읟, 비떼시亼/비페시亼, 비彐로괜서/비彐로팬서/비彐로땐서, 비 다운/비 다읖, 비륵, 비 명익 기슥, 비亼카메/비亼카떼, 비읜드/비잎드, 비이트, 비기과/비기파/비기따
- 근 ↔ ㄹ - 당ㄹ, 최ㄹ, 접ㄹ 제화, 퇴ㄹ, 야ㄹ/야간 ㄹ믁, 제끕ㄹ, ㄹ머/ㄹ퍼/ㄹ떠, 박ㄹ혜, ㄹ황, 천ㄹ측, ㄹ육, ㄹ지, ㄹ돼/ㄹEH, ㄹ상, 이ㄹ, ㄹ갤, ㄹ육괜/ㄹ육팬/ㄹ육땐, ㄹ육태거/ㄹ육EH거/ㄹ육태7ㅓ/ㄹ육EH7ㅓ, ㄹ초卫앟, ㄹ극슥앟
- 위 ↔ 읶 - 읶페뜨/읶페므/읶떼뜨/읶떼므, 트읶치, ㄴr믁읶키/ㄴr픅읶키/ㄴr뜩읶키, 읶ᅟힸ, 읶성, 읶봐, 읶현, 읶와, 읶와븍, 읶ㄴrㄹr, 읶亼대/읶亼머/읶亼떠, 읶페이드/읶떼이드
- 굿 ↔ 긋 - 긋즈, 긋이어, 긋괜/긋팬/긋땐, 긋-괼/긋-밀
- 삐 ↔ 볘 - (발목이) 볘었다, 삐에로/볘에로, (팔팔량이/팔말량이/팔딸량이/괄팔량이/괄말량이/괄딸량이/딸팔량이/딸말량이/딸딸량이) 볘볘, 천수이삔, 볘괜/볘팬/볘땐, 볘풀ㅃH풀/볘물ㅃH물/볘풀ㅃH물/볘물ㅃH풀, 볘약볘약, 삐뽀삐뽀 ↔ 볘뽀볘뽀, 뽀볘, 볘륵ㅃH로, 볘죽대긘/볘죽퍼긘/볘죽떠긘, 볙볙도요
- 포 ↔ 쪼[17] ↔ 모 - 포경/모경 ↔ 쪼경, 모도/쪼도, 포병/모병 ↔ 쪼병, 모자/포자 ↔ 쪼자, 모성/포성 ↔ 쪼성, 모발 ↔ 포발/쪼발, 쪼다/포다/모다, 쪼꼬핑/포코굉
- 지 ↔ 거 ↔ 겨 ↔ 저 - 거만/저만/겨만/지만, 거꾸로/저꾸로/겨꾸로/지꾸로, 저외/겨외/지외, 저북이/겨북이/지북이, 건영/저영/견영/진영, 거평/저평/겨평/지평[18], 지네/저비/겨비/거비, 저윽/거윽/겨윽, 저저ㅂHㅂH/거거ㅂHㅂH/겨겨ㅂHㅂH, 저룬긛/저릎긛/거룬긛/거릎긛/겨룬긛/겨릎긛, 저라이야/거라이야/겨라이야, 겨털/저털/거털/지털, 겨자/저자/거자/지자, 저윽살이/거윽살이/지윽살이, 겨란/저란/거란/지란, 겨울/저울/거울/지울 거ュ/겨ュ/지ュ, 거굳링/겨굳링/지굳링, 거亼된/겨亼된/지亼된, 거괄7ㅖ/거말7ㅖ/거딸7ㅖ/겨괄7ㅖ/겨말7ㅖ/겨딸7ㅖ/지괄7ㅖ/지말7ㅖ/지딸7계
- 꺼 ↔ 77ㅓ ↔ 刀ㅓ - 77ㅓ어억/刀ㅓ어억, 77ㅓ벙이/刀ㅓ벙이
- 공 ↔ 끙- 머화즉돽끙人r/퍼화즉돽끙人r/떠화즉돽끙人r[19], 끙극, 끙군, 끙즉, 끙71/끙7l(소문자 L)/끙7I(대문자 i)/끙7ㅣ, 끙산즉익
- ㅱ ↔ 딩 - 링ㅱ동, 바오ㅱ, ㅱ동멍/ㅱ동펑/ㅱ동떵, ㅱㅍ, ㅱ가ㅱ가
- 길 ↔ 긛 - 긛돼괴/긛돼피/긛돼끠/긛EH괴/긛EH피/긛EH끠, 긛운/긛읖, 긛더(딘, 되, 日)710ㅓ(Oㅓ/oㅓ)/긛더7ㅣ0ㅓ/긛더7l(소문자 L)0ㅓ/긛더7I(대문자 i)0ㅓ
- 돼 ↔ 태 ↔ EH - 태거/EH거/태7ㅓ/EH7ㅓ, 돼지맨 ↔ 태거괜/태거팬/태거땐/EH거괜/EH거팬/EH거땐/태7ㅓ괜/태7ㅓ팬/태7ㅓ땐/EH7ㅓ괜/EH7ㅓ팬/EH7ㅓ땐, 돼국/EH국, 돼건Or/EH건Or[20], 돼앟/EH앟, 돼백산괙/돼백산팩/돼백산땍/EH백산괙/EH백산팩/EH백산땍, 돼구71/EH구71, 돼즈떼OlㄴlOr/돼즈페OlㄴlOr/EH즈떼OlㄴlOr/EH즈페OlㄴlOr, 돼운력/돼읖력/EH운력/EH읖력, 돼덍양/돼명양/돼띵양/EH덍양/EH명양/EH띵양
- 맨 ↔ 괜 ↔ 팬 ↔ 땐 - 괜특괜/팬특팬/땐특땐, 맨하탄 ↔ 괜하돤(ㅎH튼)/팬하돤/땐하돤, 괜(팬, 땐)체亼던 윾ㄴrOl더(딘, 되, 日)드[21], 괜손/팬손/땐손, 괜슨/팬슨/땐슨, 괜히 ↔ 맨히/팬히/땐히, 괜찮음(읖) ↔ 맨찮운/팬찮운/땐찮운, 맨더(되, 日)/괜더/땐더, 팬더 ↔ 맨티(되, 日)/괜티/땐티
- 의 ↔ 익 - 익룡/의룡, 익자, 익정븍ㅅl(또는 人l, 소문자 L)/익정븍ㅅI(대문자 i)[22], 의사/익人ㅏ/익人r(또는 ㅅr, 소문자 R), 익외, 공의광고협익회, 의산역, 익왕역[23], 국핀익흰/국띤익흰/국면익흰, 국핀익당/국띤익당/국면익당
- 루 ↔ 륵 - 륵긘웹, 륵네, 륵대/륵퍼/륵떠, 륵광/륵망/륵땅, 륵괴/륵끠/륵미[24], 륵파LIOr/륵과LIOr/륵따LIOr, 륵괴비亼/륵끠비亼/륵피비亼, 륵즈, 륵즉, 륵亼/륵亼외
- 빅 ↔ 븨 ↔ 넥 - 븨토긘/넥토긘, 븨토긘아/넥토긘아, 븨괜/븨팬/븨땐/넥괜/넥팬/넥땐, 븨바/넥바, 븨괙/븨팩/븨땍/넥괙/넥팩/넥땍, 븨귀亼/븨긲亼/넥귀亼/넥긲亼, 븨 엠(엪)되/븨 엠더/븨 엠딘/븨 엠日/넥 엠되/넥 엠더/넥 엠딘/넥 엠日, 븨큭긘괜/븨큭긘팬/븨큭긘땐/넥큭긘괜/넥큭긘팬/넥큭긘땐, 븨亼돠/븨亼ㅌr/븨亼Eㅏ/븨亼Er/넥亼돠/넥亼ㅌr/넥亼Eㅏ/넥亼Er, 븨과이/븨마이/븨따이/넥과이/넥마이/넥따이, 븨 파파/븨 과과/븨 따따/넥 파파/넥 과과/넥 따따, 븨나되/븨나더/븨나딘/븨나日/넥나되/넥나더/넥나딘/넥나日, 븨뱅 윽즉론/넥뱅 윽즉론, 븨 트러붇/넥 트러붇, 빅돠이/빅ㅌr이/빅Eㅏ이/빅Er이/븨돠이/븨ㅌr이/븨Eㅏ이/븨Er이, 빅서亼/븨서亼, 빅亼트/븨亼트, 빅돠르/빅ㅌr르/빅Eㅏ르/빅Er르/븨돠르/븨ㅌr르/븨Eㅏ르/븨Er르, 빅센돠이어/빅센ㅌr이어/빅센Eㅏ이어/빅센Er이어/븨센돠이어/븨센ㅌr이어/븨센Eㅏ이어/븨센Er이어
- 주 ↔ 즉 - 즉괄/즉팔/즉딸, 주택 ↔ 즉돽, 즉상복환, 즉괴目/즉미目, 즉거사/즉겨사, 즉윾소, 즉윾극, 즉노, 주사 ↔ 즉사, 즉사우I, 주석 ↔ 즉석, 즉나라, 즉윤말/즉윤팔/즉윤괄/즉윤딸, 즉작, 즉요, 즉관/즉만/즉딴, 즉력, 즉늰(주님), 즉싀, 즉가, 즉요, 즉亼, 즉븯긘, 즉읟머사/즉읟퍼사/즉읟떠사, 즉읟, 즉차, 즉차군거/즉차군겨, 즉괸/즉핀/즉띤, 즉화괴금/즉화피금/즉화띠금, 즉읟괴금/즉읟피금/즉읟띠금, 즉타돼/즉돠돼/즉타EH/즉돠EH, 즉견자, 즉적, 즉외끙, 주결처븜, 주결싄관/주결싄만/주결싄똰, 주석밥, 주석사견
- 쥬 ↔ 즊 - 즊즊, 즊관거/즊딴거/즊관겨/즊딴겨, 즊라기 끙원, 즊자안 즊윽, 즊네, 즊리아, 즊다, 즊윽더, 즊나, 즊브나읟亼
5.2. 글자의 모양과 형태가 거의 유사하거나 비슷하게 일치되는 경우
이 경우는 ‘날려 쓴 글자’의 원본을 보지 않으면 ‘왜 이 글자가 이 글자인지’ 납득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유 ↔ 윾, 우 ↔ 윽[25][예시2]
- cl ↔ d, lo ↔ b, rn ↔ m[예시3][예시4][예시5][예시6]
- 대통령 이명박 ↔ 새토갱 어맹뿌
- ♡= ↔ 오크[31]
- 이 ↔ OI ↔ Ol ↔ 01 ↔ 0I ↔ 0l ↔ ㅇI ↔ ㅇl
- 병 ↔ ㅹ
- ♡ ↔ S2[32]
- ♡ ↔ S7[33]
- 리 ↔ 21[34]
- ㄺ ↔ 27, ㄻ ↔ 20[35]
- B ↔ 13[36][37]
- 배 ↔ IdH[38]
- ㅇㄱㄹㅇ ↔ 0720
- 디 ↔ ㅁ[39]
- ㅍ ↔ 고 ↔ 끄
- ㄲ ↔ 77
- 구 ↔ ㅋ ↔ ヲ
- 켜 ↔ 궈 및 이에 받침이 추가된 글자들.
- 기 ↔ 71[40][41]
- ᄓ ↔ 너, 네 ↔ 비, 넥 ↔ 빅 ↔ 븨
- 왕 ↔ 앟, 왱 ↔ 앻, 욍 ↔ 잏, 왓 ↔ 앛, 왯 ↔ 앷, 욋 ↔ 잋
- 광교 ↔ 갛교: 실제로 노면에서 발생한 사례이다.
- 봉 ↔ 넣
- 티 ↔ 더
- 도 ↔ 든 ↔ ㅌ ↔ E
- T ↔ ㅜ
- L ↔ ㄴ
- 또 ↔ SE
- 야 ↔ OF
- l ↔ I ↔ ㅣ[42]
- 백 ↔ 뿌
- clc ↔ dc
- EH ↔ 태 ↔ 돼
- 개새끼 ↔ 7H∧H77l[43]
- 포 ↔ 딜 #
- 멋짐 ↔ ㅁㅈ검 #
- EU ↔ 日J
- U ↔ IJ ↔ lJ[44]
- Z ↔ 2 ↔ ㄹ
- 미 ↔ 121 ↔ ㅁI
- 겨 ↔ 저 및 이에 받침이 추가된 글자들.
- 76 ↔ 깅, 김
- OH ↔ ㅇH ↔ 애
- LH ↔ ㄴH ↔ 내[45]
- 응 ↔ % ↔ ÷
- ㅁ ↔ 12
- 사 ↔ ㅅr ↔ 人ㅏ
- 자 ↔ ㅈr ↔ スㅏ
- 니 ↔ LI ↔ Lㅣ ↔ レㅣ
- 나 ↔ ㄴr ↔ Lr ↔ レr ↔ 4
5.3. 글자가 여러 개를 합쳐서 뭉치고, 압착하여 만들어진 글자일 경우
- ㅅㅂㄹㅁ ↔ 섊[46]
- 조조 ↔ 쬬 - 삼국지 커뮤니티에서 종종 사용된다. 조조전·쬬전 등.
- 돌돔 ↔ 뚊 - 백괴사전에서 먼저 사용되었다.
- 존좋 ↔ 쬲
- 스시 ↔ 씌
- 스스 ↔ 쓰
- 복복 ↔ 뾲[47]
- 부부 ↔ 쀼[48]
- 북북 ↔ 쀾[49][50]
- 불붙이봐라 ↔ 쁉이봐라
- 도도 ↔ 뚀 ↔ 벼
- 도도새 ↔ 뚀새
- 주작 ↔ 짞
- 주주 ↔ 쮸
- 주주총회 ↔ 쮸총회
- 최대주주 ↔ 최대쮸
- 쮸쮸바 ↔ 주주주주바
- 굴국밥 ↔ 뀱밥
- 속삭 ↔ 쏶
- 고고 ↔ 꾜
- 보보경심 ↔ 뾰경심
- 딘딘 ↔ 田 ↔ ㅁㅁㅁㅁ
- 디디디 ↔ ㅁㅁㅁ ↔ 品
- d ↔ cl[51]
- 붓x4 X ↔ 쁐쁐[52]
- ㄱㅂㄹㅌ ↔ 걡[53]
- 두두 ↔ 뜌
- 족족 ↔ 쬮
- 보보 ↔ 뾰
- 누나 ↔ 나누 ↔ 낙
- 바보 ↔ 보바 ↔ 봐
- 구각(목) ↔ 깎(목)
- 후하 ↔ 하후 ↔ 학
- 무마 ↔ 마무 ↔ 막
- 주자 ↔ 자주 ↔ 작
- 바부 ↔ 부바 ↔ 박
- 수사 ↔ 사수 ↔ 삭
- 투타 ↔ 타투 ↔ 탁
- 우아 ↔ 아우 ↔ 악
- 부비 ↔ 비부 ↔ 뷔
- 부비부비 ↔ 뷔뷔
- 노나 ↔ 나노 ↔ 놔
- 오아 ↔ 아오 ↔ 와
- 구거 ↔ 거구 ↔ 궈
- 모마 ↔ 마모 ↔ 뫄
- 오이 ↔ 이오 ↔ 외
- 우이 ↔ 이우 ↔ 위
- 기구 ↔ 구기 ↔ 귀
- 쪼짜 ↔ 짜쪼 ↔ 쫘
- 조지 ↔ 지조 ↔ 죄
- 으이 ↔ 이으 ↔ 의
- 곡곡 ↔ 꾞
- 죽죽 ↔ 쮺
- 좃좃 ↔ 쭀
- 속속 ↔ 쑊
- 곳곳 ↔ 꾰
- 봇봇 ↔ 뿄
- 줏줏 ↔ 쯌
- 숙숙 ↔ 쓖
- 굿굿 ↔ 뀼
- 붓붓 ↔ 쁐
- 국국 ↔ 뀪
- 골 곡 ↔ 꾥
- 뀨뀨 ↔ 구구구구
- 귤복복 ↔ 귤뾲
5.4. 회전·대칭
대칭 문자를 이용한 경우이다.5.4.1.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경우
- 곳뿌 ↔ㅓEE>ㅏJ
- 고 ↔ ㅂ
- 동 ↔ 내0
- 햬 ↔ 앞
- 둥둥 ↔ 뱌8
- 으아아아 ↔ 호옹이[54]
- 비니 ↔ 뜯[55]
비버 ↔ 뜨또[56]- 버비 ↔ 또뜨[57]
- 뚜또 ↔ 바버
- 냉면 ↔ Г묘0도
- 바비킴 ↔ 뚜뜨숲
- 비비고 ↔ ㅏJ뜨뜨
- 비빔밥 ↔ ㄸ뚜ㅁ뜨뜨[58]
- 비빔면 ↔ Г묘ㅁ뜨뜨 / 비빔냉면 ↔ Г묘0도ㅁ뜨뜨 [59]
- 물냉면 ↔ Г묘0도Nㅓㅁ
- 비냉 ↔ 0도뜨
- 방귀대장 뿡뿡이 ↔ 방커머튽 으어뚠어뚠[60]
- 아오오니 ↔ ㄷЮЮ우
- 아오이 바루토 ↔ ㅏㆬㅓN뚜 으Ю우
- 얍 ↔ ㄸ유
- 응 1번 ↔ Г또ㅡ%, 응 3번 ↔ Г또Ш%[61]
- 어버이 ↔ 으또오
- 어머니 ↔ ㄷ모오
- 똥 ↔ 버0
- 똥꼬쑈 ↔ 버0 Fㅓ텨
- 즐 ↔ KIN[62]
- 좆 ↔ KㅓK
- 히오스 ↔ ㅓㆆ어<ㅣ
- 밥도둑 ↔ JㅓПㅏПㄸ뚜
- 할머니 ↔ ㄷ모N우ㅏ
- 홍대광 ↔ 0부모아아
- 송대관 ↔ Г부모아>
- 별 ↔ N뚀
- 우병우 ↔ ㅓ00뚀ㅓ0
- 비아이 ↔ 으우뜨
- 이명박 ↔ J뚜0묘으
- 홍미 ↔ 므아아[63]
- 홍어 ↔ 오아아
- 흠 ↔ 미아
- 뜸 ↔ 미A
- 줄리아 ↔ KㅏNÑㅎ
- 호주 ↔ ㅓ어Kㅏ
- 스포츠 ↔ I>ㅏㅏㅒㅣ>
- 숯 ↔ >ㅏㅓ>
- 숲 ↔ <ㅏㅒ ↔ ㅒㅓ>
- OK ↔ 읏[64]
- 끈 ↔ FIJ
- 끝 ↔ FIШ
- 즉 ↔ KIГ
- KNN ↔ 줄[65]
- KHU ↔ 졷
- 중학교 ↔ ㅑJJ우ㅏ어>I
- 아이유 ↔ ㅕ0으우
- 현아 ↔ 우Г요ㅏ
- i들 ↔ iUIN
- 염병 ↔ 0뚀ㅁ요
- 아시아 ↔ 우≥우
- 몽골 ↔ 머0ГㅓN
- 대한민국 ↔ JㅓJГ우ㅏ
- 중국 ↔ KЮГㅏГ
- 일본 ↔ ГㅏㄸN으
- 인도 ↔ ㅏПГ으
- 인도네시아 ↔ 우≥뜨ㅏПГ으
- 미얀마 ↔ 무Г유므
- 미국 ↔ JㅓJ므
- 대만 ↔ Г무모
- 도쿄 ↔ ㅑJJㅏΠ
- 시부야 ↔ 유ㅓㄸ≥
- 대 ↔ 모
- 구룡마을 ↔ NIㅇ무야NㅓJ
- 아이돌 ↔ NㅏП으우
- 병신 ↔ Г≥0뚀
- 목공풀 ↔ 머ГГㅓ0ㅒㅏN
- 몰폰 ↔ ГㅏㅒNㅏㅁ
- 아이폰 ↔ Гㅏㅒ으우
- 이어폰 ↔ Гㅏㅒ오으
- 금융 ↔ Гㅣㅁ야0
- 윤후 ↔ 야Jㅓ아
- 눈물 ↔ JㅏJ마N
- 폭풍 ↔ ㅒㅓГㅒЮ
- 폭풍눈물 ↔ ㅒㅓГㅒЮJㅏJ마N
- 폭음룡 ↔ ㅒㅓГ이ㅁNㅕ0
- 풍운 ↔ ㅒЮ아J
- 국 ↔ JㅓJ ↔ ГㅏГ
- 물음표 ↔ 마N이ㅁㅒㅕ
- 곰표 ↔ Гㅓㅁㅒㅕ
- 공룡 ↔ Гㅓ0Nㅕ0
- 통일 ↔ N으아ㆬ
- 네이버 ↔ 또으뜨
- 골목 ↔ ГㅓN머Г
- 능률 ↔ JI0NㅑN
- 용궁 ↔ 어J야ㅇ
- 울릉군 ↔아NNI0ГㅏJ
- 능금 ↔ 미J이Γ
- 눈높이 ↔ 으ㅒㅏΓΓㅓΓ
- 아잉눈 ↔ ГㅓГㅇ으우
- 굴욕 ↔ Г ㅏN여Г
- 목욕 ↔ 머Г여Г
- 목욕용품 ↔ 머Г여Г여ㅇㅒㅏㅁ
- 음운론 ↔ 이ㅁ아JNㅓJ
- 녹음 ↔ JㅓΓ이ㅁ
- 물품 ↔ 마Nㅒㅏㅁ
- 공용물품 ↔ Γㅓㅇ여ㅇ마Nㅒㅏㅁ
- 아크 ↔ Ш우
- ㅇㄱㄹㅇ ㅂㅂㅂㄱ ↔ Jㄸㄸㄸ ㅇNJㅇ
- TOILET ↔ㅏㅇㅡJШㅏ
- TWINS ↔ ㅏ∃ㅡZ∽
- When i was in LA ↔ ∃工ШZ ㅡ ∃ㄸ∽ ㅡZ Jㄸ
- 오늘은 영국이다 ↔ 수으JㅓJ0요 ΓI0NIΓЮ
- 군만두 ↔ㅓΠΓ무ΓㅓJ
- 고수 ↔ㅓ>ㅏJ
- 고구마 ↔ 무ㅓJㅏJ
- 옥수수 ↔ㅓ>ㅓ>JЮ
- 호박 ↔ J뚜ㅏ아
- 트롬본 ↔ Γㅏㄸ마Nㅣㆬ
- 호시노 아이 ↔ 으우 ㅏΓ≥ㅏ아
- 고추 ↔ ΓㅓIKㅏ
- 족발 ↔ N뚜Jㅏ>I
- 농구공 ↔ 아JㅓJ아Γ
- 프로 야구↔ㅓJ유ㅏNㅣㅒ
- 오줌 ↔ 어Kㅏㅁ
- 바밤바 ↔ 뚜ㅁ뚜뚜
- 바둑 ↔ JㅓП뚜
- 오목 ↔ JㅏㅁЮ
- 돈 ↔ ΓㅏΠ
- 굳 ↔ nㅓJ
- 굿 ↔ >ㅓJ ↔ Γㅏ<
- 마인 부우 ↔ ㅓㅇㅓㄸ Γ으무
- 언론 ↔ ГㅏNГ오
- 아몬드 ↔ IПГㅏㅁ우
- 맘모스 ↔ㅣ>ㅏㅁㅁ무
- 일요일 ↔ N으ㅑㅇN으
- 수요일 ↔ N으ㅑㅇㅓ>
- 혹돔 ↔ 마ΠJㅏ아
- 돌문어 ↔ 오ГㅓㅁNㅏП
- 오이 ↔으Ю
- 막국수 ↔ ㅓ>JㅓJJ무
- 소바 ↔ 뚜ㅏ>
- 우동 ↔ 아Πㅓㅇ
- 불알 ↔ N우Nㅓㄸ
- 포도 ↔ ㅏПㅏㅒ
- 수박 ↔ J뚜ㅓ>
- 복숭아 ↔ 우어>Jㅏㄸ
- 도구 ↔ ㅓJㅏП
- 유비트 ↔ Iㆬ뜨ㅕㅇ
- 영광굴비 ↔ 뜨NㅓJㅇ부ㅇ요
- 음악 ↔ J우미ㅇ
- 고양이 ↔ 으ㅇ유ㅏJ
- 류으미 ↔ 므IOㅕN
- 마이마이 ↔ 으무으무
- 알두인 ↔ Г으ㅓnN우
- 오버로드 ↔ ㅣnㅏN또Ю
- 아르마 ↔ 무IN우
- 입실론 ↔ ГㅏNN스ㄸ으
- 광역시 ↔ ≥J요ㅇ부
- 광신도 ↔ ㅏПГ≥ㅇ부
- 바울로 ↔ ㅏNNㅓㅇ뚜
- 아밍 소드 ↔ ㅣПㅏ> ㅇ므우
- 아폴론 ↔ ГㅏNNㅏㅒ우
- 마르스 ↔ ㅣ>ㅣN무
- 프로토스 ↔ ㅒㅣNㅓШㅓ<ㅣ
- 신도시 ↔ ≥ㅏПГ≥
- 신드바드 ↔ ㅣn뚜ㅣПГ≥
- 보물 ↔ Nㅓㅁㅏㄸ
- 보물 금고 ↔ ㅏJㅁㅣJ Nㅓㅁㅏㄸ
- 바이오 ↔ Ю으뚜
- 바이오쇼크 ↔ ㅣJJㅑ>Ю으뚜
- 폴아웃 ↔ >ㅓㅇ우Nㅏㅒ
- 퐁퐁 ↔ ㅇㅏㅒㅇㅏㅒ
- 고무통·고무신 ↔ OㅏㆬㅓㅁㅏJ·r≥ㅓㅁㅏJ
- 우주 ↔ 아Kㅏ
- 봉고 ↔ ㅏJㅇㅏㄸ
- 도봉구 ↔ ㅓJㅇㅏㄸㅏП
- 드봉 ↔ ㅇㅏㄸㅣП
- 봉인 ↔ Г으ㅇㅏㄸ
- 봉봉 ↔ ㅇㅏㄸㅇㅏㄸ
- 봉투 ↔ ㅓMㅇㅏㄸ
- 봉주르 ↔ INㅓ>Iㅇㅏㄸ
- 부르봉 ↔ ㅇㅏㄸINㅓㄸ
- 보루 ↔ ㅓNㅏㄸ
- 육군·공군 ↔ ГㅓJJㅕO·ГㅓJOㅏJ
- 무술 ↔ Nㅓ>ㅓㅁ
- 볼트·볼트론·볼트 보이 ↔ IMNㅏㄸ·ГㅏNIMNㅏㄸ·으ㅏㄸ IMNㅏㄸ
- 마론·마룬 ↔ ГㅏN무·ГㅓN무
- 바론 ↔ ГㅏN뚜
- 마루마루 ↔ ㅓN무ㅓN무
- 루비 ↔ 뜨ㅓN
- 루이 ↔ 으ㅓN
- 어묵 ↔ Jㅓㅁ오
- 홍이포 ↔ ㅏㅒ으ㅇㅏㅇㅏ
- 신발벗어 ↔ 오>또N뚜г≥
- 미미 ↔ 므므[66]
- 박명수 ↔ ㅓ>ㅇ묘J뚜
- 복면 ↔ Г묘Jㅏㄸ
- 이연복 ↔ JㅏㄸГ요으
- 열빙어 ↔ 오O뜨N요
- 흑인 ↔ Г으Jㅣ아
- 포도주 ↔ ㅒㅓUㅓKㅏ
- 홀수 ↔ ㅓ>Nㅏ아
- 야반도주 ↔ ㅓ>| ㅏПГ뚜유
- 8번 출구 ↔ ㅓJNㅓ>ㅏГ또∞
5.4.2. 18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경우
- ᅟᅭᆼᅟᅩᆼ ↔ 우유
- 고, 끄 ↔ ㄸ
- 구 ↔ 亡
- 구룡마을 ↔ 릉ㅓㅁ율亡
- 곰 ↔ 문[67]
- 국 ↔ 논[68]
- 공용물품 ↔ 뫂롬융운
- 굥 ↔ 윤(석열)
- 풍운 ↔ 공옾
- 어 ↔ Ю[69]
- 히오스 ↔ ▽ꅂㅣ우
- 비비고 ↔ ㄸㅣAㅣA
- 비아이 ↔ ㅣㅇㅓOㅣA
- 곰국 ↔ 논문
- 운율 ↔ 룡공
- 물론 ↔ 굴롬
- 구몬 ↔ 굼亡
- 골룸 ↔ 몰룬
- 녹음 ↔ 믕눅
- 금융 ↔ 용믄
- 능글 ↔ 른윽
- 육근옥 ↔ 눙근뇽[70]
- 개새끼 ↔ ㅣLL ㅐV ㅐL[71]
- 논공 ↔ 운국[72]
- 오목 ↔ 눔ꅂ
- 폭음룡 ↔ 율믕눞
- 디씨 ↔ ㅣWㅁ
- 금물 ↔ 롬믄
- 폭풍 ↔ 옾눞
- 눈물 ↔ 롬곡
- 폭풍눈물 ↔ 롬곡옾눞
- 굴욕 ↔ 늉론
- 폭풍굴욕 ↔ 늉론옾눞
- 울금 ↔ 믄롱
- 폭풍저그 ↔ ㄷㅏㅛ옾눞
- 시공의 폭풍 ↔ 옾눞 Iㆆ운IV
- 오늘은 영국이다 ↔ ㅓ⊃ㅣㅇ논ꄗㅇ 긍륵ꅂ
- 모히또에서 몰디브 한 잔 ↔ ㅓ교 ㅋ우 Āㅁ룸 ㅏVIЮ五I우石
- 능금 ↔ 믄윽
- 너 그리고 나 ↔ ㅓㄱ 띠ㄹㄷㅏㄱ
- 물 ↔ 롬[73]
- 근육 ↔ 뇽근
- 눈높이 ↔ ㅣㅇ푹곡
- 능률 ↔ 룔윽
- 용궁 ↔ 온융
- 온몸 ↔ 뭄궁
- 몽골 ↔ 룬움
- 공룡 ↔ 율운
- 몰폰 ↔ 궆룸
- 골목 ↔ 눔룬
- 어머니 ↔ ㅣㄱㅏㅁЮ
- 아버지 ↔ ㅣㅛㅏAㅓㅇ
- 어버이 ↔ ㅣㅇㅏAЮ
- 아오오니 ↔ ㅣㄱꅂꅂㅓㅇ
- 폰 ↔ 궆[74]
- 울릉군 ↔ 곤을롱
- 녹농균 ↔ 굔욱눅
- 목욕 ↔ 늉눔
- 목욕용품 ↔ 뫂융늉눔
- 물품 ↔ 뫂롬
- 이새롬 ↔ 물ㅐVㅣㅇ
- 음운론 ↔ 굴공믕
- 목공풀 ↔ 롶운눔
- 아이폰 ↔ 궆ㅣㅇㅓㅇ
- 이어폰 ↔ 궆Юㅣㅇ
- 옹기 ↔ ㅣㄴ웅
- 농구공 ↔ 운亡욱
- 아시아 ↔ ㅓㅇㅣVㅓㅇ
- 미국 ↔ 논ㅣㅁ
- 카리나 ↔ ㅓㄱㅣㄹㅓ匕
- 문은율 ↔ 룡긍곰[75]
- 601 - 098 ↔ 860 - 109[76]
- 문재인 ↔ ㅣ∂ㅐと곰
- ㅇㄱㄹㅇ ㅂㅂㅂㄱ ↔ LAAA OZLO
- 또치 ↔ IҰ五
- 카이저 ↔ ㅏㅛㅣㅇㅓ匕
- 리어카 ↔ ㅓ匕Юㅣㄹ
- 고구마 ↔ ㅓㅁ亡ㄸ
- 뷁 ↔ 情[77]
- TWINS ↔ SNIMㅗ
- TOILET ↔ ㅗ3710ㅗ
- TELEPHONE ↔ 3NOHd373ㅗ
- WILL ↔ 771M
- helicopter ↔ ɹǝʇdoɔ!lǝɥ
- When i was in LA ↔ ㅂㄱ N! SㅂM ! N3HM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zʎxʍʌnʇsɹbdouɯlʞſ!ɥɓɟəpɔqɐ
- YOOA ↔ ㅂㅇㅇㅅ
- 문어 ↔ Ю곰
- 오이 ↔ ㅣㅇꅂ
- 물고기 ↔ ㅣㄴㄸ롬
- 금룡 ↔ 율믄
- 비몽사몽 ↔ 움ㅓV움ㅣA
- 구미시 ↔ ㅣVㅣㅁ亡
- 서울시 ↔ ㅣV롱ㅏV
- 서울대 ↔ ㅐ⊃롱ㅏV
-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 ㅓ우ㅓㅍㅓ∃匕ㅓҰㅓㅛㅓㅇㅓVㅓAㅓㅁㅓㄹㅓコㅓㄱㅓㄴ
- 아가씨 ↔ ㅣWㅓㄴㅓㅇ
- 아저씨 ↔ ㅣWㅏㅛㅓㅇ
- 개저씨 ↔ ㅣWㅏㅛHㄴ
- 개놈 ↔ 묵ㅐㄴ
- 목사 ↔ ㅓV눔
- 폴카 ↔ ㅓ匕뤂
- 카폰 ↔ 궆ㅓ匕
- 고물차 ↔ ㅓҰ롬ㄸ
- 대리기사 ↔ ㅓVㅣㄴㅣㄹㅐコ
- 윤리 ↔ ㅣㄹ굥
- 육군·해군·공군 ↔ 곤운·곤ㅐ우·곤뇽
- 해물 ↔ 롬H우
- 해바라기 ↔ ㅣㄴㅓㄹㅓAH우
- 해룡 ↔ 율H우
- 해마 ↔ ㅓㅁH우
- 해롱이 ↔ IO울H우
- 해태 ↔ H∃H우
- 해운대 ↔ H⊃공H우
- 티거·타이거 ↔ ㅏㄴIOㅓ∃·ㅏㄴI∃
- 바스티온 ↔ 궁ㅣ∃▽ㅓA
- 저스티스 리그 ↔ ㄷㅣㄹ ▽ㅣ∃▽ㅏㅛ
- 울티마 ↔ ㅓㅁㅣ∃롱
- 캐서디 ↔ ㅣ⊃ㅏVㅐ匕
- 리퍼 ↔ ㅏㅍㅣㄹ
- 라이카 ↔ ㅓ匕IOㅓㄹ
- 라이플 ↔ 릎ㅣㅇㅓㄹ
- 사다리 ↔ ㅣㄹㅓコㅓV
- 사마귀 ↔ I亡ㅓㅁㅓV
- 가지 ↔ ㅣㅛㅓㄴ
- 가자 지구 ↔ 亡ㅣㅛ ㅓㅛㅓㄴ
- 기차 ↔ ㅓҰㅣㄴ
- 마차 ↔ ㅓҰㅓㅁ
- 차이나 ↔ ㅓㄱㅣㅇㅓҰ
- 치타 ↔ ㅓ∃IҰ
- 치아 ↔ ㅓㅇㅣҰ
- 치마 ↔ ㅓㅁㅣҰ
- 치카치카 ↔ ㅓ匕ㅣҰㅓ匕ㅣҰ
- 치아라 ↔ ㅓㄹㅓㅇIҰ
- 아싸 ↔ ㅓWㅓㅇ
- 야자 ↔ ㅓㅛㅕㅇ
- 그리스 ↔ ▽ㅣㄹㄷ
- 파리 ↔ ㅣㄹㅓㅍ
- 공해 ↔ ㅐ우운
- 그물 ↔ 롬ㄷ
- 크리스마스 ↔ ▽ㅓㅁ▽ㅣㄹㅌ
- 마리·마리아 ↔ ㅓㅇㅣㄹㅓㅁ·ㅣㄹㅓㅁ
- 디지몬·디지몽·디지몽키 ↔ ㅣ匕움ㅣㅛㅣ⊃·움ㅣㅛㅣ⊃·굼ㅣㅛㅣ⊃
- 퐁퐁 ↔ 웊웊
- 라마 ↔ ㅓㅁㅓㄹ
- 파이퍼 ↔ ㅏㅍ이ㅓㅍ
- 리카온 ↔ 궁ㅓ匕ㅣㄹ
- 리아·리아나 ↔ ㅓㅇㅣㄹ·ㅓㄱㅓㅇㅣㄹ
- 마론·마론 ↔ 굴ㅓㅁ·골ㅓㅁ
- 바론 ↔ 굴ㅓA
- 기아·기어 ↔ ㅓㅇㅣㄴ·ㅏOIㄴ
- 몽키 ↔ ㅣ匕움
- 어묵 ↔ 놈Ю
- 비너스 ↔ ▽ㅏㄱㅣA
- 비자금 ↔ 믄ㅓㅛㅣA
- 바커스 ↔ ▽ㅏ匕ㅓA
- 지온·지온 공국 ↔ 궁ㅣㅛ·논운 궁ㅣㅛ
- 새대가리 ↔ IㄹㅓLHコHV
- 라라 ↔ ㅓㄹㅓㄹ[78]
- 싸구려 ↔ ㅑㄹ亡ㅓW
- 기저귀 ↔ ㅣ亡ㅏㅛㅣㄴ
- 퐁퐁 ↔ 웊웊
- 바이오 ↔ ꅂㅣㅇㅓA
5.4.3. 좌우반전의 경우
- 리어카 ↔ ㅓFЮI5
- 이재오 ↔ 오ㅐㅈIO #
- 최초 ↔ 초I초 #
- 카이저 ↔ ㅏㅈIOㅓF
- 카데나 ↔ㅓJᆘコㅓF
- 아크 ↔ Eㅓㅇ
- 유나라 ↔ ㅓ5ㅓJ유
- 니시자와 모모카 ↔ㅓF모모ㅓ오ㅓㅈIㅅIJ
- 히나타 나츠미 ↔ Iㅁ츠ㅓJ ㅓ∃ㅓJIㅎ
- 히나타 후유키 ↔ IF유후 ㅓ∃ㅓJIㅎ
5.5. 한자와 한글을 맞바꾼 경우
닮은꼴 문자 항목도 참조할 것.- 한글 자모음
- 長 ↔ 튽, 張 ↔ 국튽[79]
- 金 ↔ 숲[81][82]
- 下川 ↔ F-111
- 辛라면 ↔ 푸라면, 후라면[85]
- 凸 ↔ ㅗ
- 奀 ↔ 좆[86]
- 日 ↔ 티 ↔ 딘[87]
- 目 ↔ 틴
- 呂 ↔ 몸
- 여포(呂布) ↔ 몸포(몸布)
- 音 ↔ 흡
- 夬 ↔ 곳 ↔ 끗
- 㖖 ↔ 품
- 旧 ↔ 18
- 卒 ↔ 쭈[88]
- 卫 ↔ 고
- 引 ↔ 뤼
- 弓 ↔ 국
- 公 ↔ 소
- 告 ↔ 솜
- 丕 ↔ 조
- 丕刀卜乙卜 ↔ 조까라
- 丛 ↔ 쓰
- 啚 ↔ 몸
- 笑 ↔ 쑻 또는 쑟
- 豆 ↔ 묘[89]
- 䜳 ↔ 묜
- 音 ↔ 흠, 흡
- 站 ↔ 팜[90]
- 呫 ↔ 맘
- 叫 ↔ 뫄
- 左 ↔ t2[91]
- 性 ↔ 아날[92]
- 情 ↔ 아홉[93]
- 号哭 ↔ 묵뽓
- 爿 ↔ 뉘
- 㐃 ↔ 수
- 今 ↔ 슥
- 合 ↔ 슴[94]
- 召 ↔ 끔
- 㕦 ↔ 못[95]
- 吴 ↔ 뭊
- 司 ↔ 금
- 卟 ↔ 마
- 仆 ↔ 사
- 亼 ↔ 스
- 丑 ↔ 표
- 上 ↔ 노
- 号 ↔ 묵[96]
- 彐 ↔ 크[97]
- 佔 ↔ 삼
- 异 ↔ 류
- 夨 ↔ 놋
- 巫 ↔ 쪼
- 𥩖 ↔ 파
- 从人巨大 ↔ ㅆㅅㅌㅊ
- 呫 𠃍丨彑匚匚丨 ↔ 앙 기모띠
- 口大匚 口大〇 ↔ ㅁㅊㄷ ㅁㅊㅇ
- 巪 ↔ 특[98][99]
- 立巨大 ↔ ㅍㅌㅊ
- 喜 ↔ 횸, 囍 ↔ 횸횸
- 哈 ↔ ㅁ슴
- 上上口丨卒卒 ↔ 노노미 쭈쭈 #
- 大丨卫ト↔치과
- 首領蜂 ↔ 티고티닉수
5.6. 가타카나와 한글을 맞바꾼 경우
- 初音ミク ↔ 체흡늑7
- ゴスト ↔ 고자 혹은 그자(BGM주의)
- ヨ ↔ 크
- ュ(ユ) ↔ 그
- ロ ↔ ㅁ
- ストレス ↔ 잕[100]
- ヲ ↔ ㅋ
- フトスト ↔ 가자
- フフニ ↔ ㄱㄱㄷ[101]
- 卒卒 ストス丨弖 今今 廿丨廿丨フ丨 ↔ 쭈쭈 자지로 슥슥 비비기
- ス ↔ ㅈ
- ト ↔ ㅏ
- レ ↔ ㄴ
6. 유행과 변화
다른 디시 발 유행어들이 그렇듯이 뒤늦게 청소년층에게 전파된 이후 열화되었다. 특히 급식충이라는 멸칭으로 대표되는 청소년 인터넷 이용층은 인터넷 방송과 인터넷 커뮤니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몇몇 스트리머들 사이에서 야민정음이 인기를 끌고 페이스북 등지에서 퍼져 나간 후, 야민정음 몇 자를 두고 낄낄거리는 급식충들이 크게 늘어났는데, 이들이 원래 야민정음의 사용계층은 물론이고, 일반 언중에게도 반감을 살 짓을 골라 하면서, 야민정음은 열화를 겪을 뿐 아니라, 거부감이 심화되었다.야민정음이 생기기 전에도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중심으로, 몇몇 단어가 야민정음 비슷하게 비틀리기도 했다. 예를 들면, '롯데월드'가 돗네눨드 내지는 놋네눨느, '싸이월드'가 싸Ul눨느 등으로 마치 위쪽이 살짝 잘려나간 듯한 형태로 비튼 것이다. 《와라! 편의점》에 놋네나드가 등장했으나, 유료화되어 볼 수 없다. 애초에 한글이 모양이 단순하고 기하학적이라, 단어들이 옛날 버디버디 시절을 비롯해 웹상에서 흔히 비틀리는 현상이 일어나곤 했다. 즉, 없다가 뚝 생겨난 문화는 아니다. 야민정음은 신생 언어문화가 아니지만, 일상적으로 관측되는 이러한 오자들이 한 명칭 아래 사용되고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 셈. 간단히 말한다면, 개념 자체는 옛날부터 존재했으나, 이 개념을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있는, 이거다! 싶은 한 단어는 없었던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우연한 기회에 이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단어가 생겨서 통용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바로, 야민정음이다. 물론 지금은 과도기이므로, 논란의 여지는 있다.
간혹 손으로 썼거나, 인쇄돼 있는 한글을 기계로 판독해서 텍스트로 전산화할 때, 갑자기 오류가 발생하여 야민정음을 쓴 것처럼 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야민정음처럼 의도적으로 비틀어 쓴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이 기사는 1985년 동아일보 기사의 식빵이 잘못 인식돼 싀빵으로 전산화된 케이스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다국어 경고문을 붙이는데, 취식금지를 의미하는 경고문의 한국어 부분을 '음싀 행위 금지'로 쓴 사례도 있다.
2020년대 기준으로 언중들에게 안정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바로, 댕댕이가 있다.[102] 심지어 관공서인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에서 주최하는 반려견 행동교정 아카데미를 댕댕이 학교로 홍보할 정도로 언중들에게 정착되었다.#
한 뉴스 아나운서가, 원고에 적혀 있던 'F-111' 전투기를 下-川(하-천)으로 잘못 읽은 사례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 밀덕계 유저들 사이에서는, 종종 저런 모델명의 기체를 삼아 하천 전투기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한 보이스피싱 조직에서 가짜 인터넷뱅킹 사이트를 만들었는데, '인터넷뱅킹'을 '인터빗뱽킹'이라고 적으면서 웃음거리가 된 적도 있다.
육성재와 조이도 <우리 결혼했어요>에 출연 당시, '부부'를 줄여 쀼라는 호칭을 썼고,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쀼커플로 부르기도 했다.
러블리즈도 사용한다. 머장, 띵근이 등등은 자체 예능프로에 대놓고 자막으로 나온 적도 있었다.
야민정음 변환기(APKCombo)
영어권에도 야민정음과 비슷한 leet(리트 또는 릿)라는 게 있다. 그러나, 2010년대 기준으로 생명력을 사실상 잃고, 몇몇 표현만 살아남은 리트에 비해 야민정음은 한국에서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아마, 리트가 더 알아보기 난해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리트는 애초에 해커들이 쓰던 말이었으니...
조선일보에서 이를 기사로 내보낸 적이 있다.기사보기
2016년 11월 16일부로 구글 번역도 완전하진 않지만, 대표적인 예시들은 정상적으로 번역(한→영 기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뀨단이들도 쓴다. 2상한 4라의 9구단
디스코드 업데이트 공지에서도, 야민정음을 사용했다.[103]
2019년 tvN 《쿨까당》에서, 야민정음을 소개하기도 했다.## 어원을 소개하면서 야갤이라고 하지 않고, 야구 커뮤니티라고 돌려서 말한 것과, 야구 얘기는 안하고 언어를 창조하셨네~란 코멘트에 야갤의 본질을 꿰뚫어봤다는 평은 덤이었다.
2021년에는, 결국 사회면 만평에서도 등장했다. 예시의 1번 문단을 풍자한 만평인 듯하다. #
심지어 2023 수능에 등장하기까지 했다. 2023 사회문화 13번 주요지문으로 등장했다.
미국에서는, 로마자랑 비슷해 보이는 일부 숫자로[104] 암호문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도 천조국의 야민정음이라고 볼 수 있겠다.
2025년에는 도로 노면에 '광교'를 'ᄀᅶᆼ교'로 잘못 표기한 사례가 등장했다.#
6.1. 야갤에서의 사어화
정작 야민정음을 만든 야갤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유행이 지나서 이전만큼 애용되진 않는다. 가장 실용성이 있는 ㄹ ↔ 근[105], 멍 ↔ 댕[106], 네덕 ↔ 비틱[107] 등이 생존해 있다. 머대리(빡빡이·탈모충), 숲튽훈(金長훈) 등 자주 쓰였던 야민정음조차 시들시들 하다. 이는 야갤에 국한된 것이 아닌 디시의 전반적인 현상으로, 점차 야민정음은 이전의 한글 파괴 설레발 사례들[108]과 마찬가지로 유행이 식자 빠르게 사용빈도가 낮아지고 있다. 은어의 적은 유명해지는 것이라는 말도 있다. 야민정음의 정체성은 한글을 잘못 읽음으로써 나오는 신선함인데 너무 널리 알려져 식상해지니 쓸 이유가 사라지는 것이다. 특히 야갤에서의 사장화는 2020년 뉴비 유입의 증가로 인해 쐐기가 박혔다.반면 야갤 같은 남초 갤러리와는 다르게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야민정음으로 검방을 하는 터라 자주 쓰인다. 2023년에도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7. 해외 사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외부 링크
[1] 김유식대장, '숲'은 金(쇠 금), '튽'은 長(긴 장)이다.[2] 세종대왕.[3] 당시 정사갤에서 한창 유행하던 '김대중 개새끼 해 봐'라는 요청에 누군가가 김머중으로 적절하게 피해가면서부터 비롯됐다.[4] 인도비시아, 캠굉, 올림괵, 싀빵, 쫄란드 등이 있다.[예시] 대머리 ↔ 머대리.[6] 이쪽은 머 ↔ 퍼 ↔ 떠짐긲도 가능하다.[7] 대기업이라는 말은 규모가 큰 기업이라는 말도 있지만, 시청자 수가 많은 트위치 스트리머들도 대기업이라 불린다.[8] 소문자 'L'이면서도, 'I(대문자 i)'로도 사용된다.[9] 적용되어 받침이 있는 것 모두 외에는 해당사항, 바로 아래의 ㅇ받침이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10] 또는, '7(ㄱ, フ)l(소문자 L)/7I(대문자 i)/7ㅣ'로도 사용된다.[11] 이쪽은 아예 명조 ↔ 띵조랜드, 띵조마켓이라고 공식 팝업스토어에서 야민정음을 쓴다.[12] 또는, '77r , ㄲr, 刀r, 刀ㅏ'로도 사용된다.[13] 과귀/과긲/파커/파긲 및 이에 받침이 추가된 글자들(그 예로는, 펭귄/뗑컨이나 링컨/링귄).[14] 마나과랑 거의 유사하면서, 비슷해지기도 한다.[15] 이건 2개 다 실제로 해당 제명으로 출시까지 되었다.[16] 로 끝나는 나라들 및 이에 받침이 추가된 글자들.[17] 굴림 문서 참조. 물론 이에 받침이 추가되어도 해당사항. 물론 푸와 쭈도 가능하다.[18] 도라에몽 한국판에서도 이를 이용해 노진구는 노견구가 되었다. 원작은 한자를 잘못 쓴 것이다.[19] 요 쪽은 구 로고가 실제로 주택끙사로 보일 지경이었다. 구 로고 보러가기[20] 'Ll, Lㅣ, ㄴl, ㄴI' 또는 'oㅏ, Oㅏ, or, ㅇr, 0r'로도 사용된다.[21] 또는, 'OI(대문자 i)/ㅇl(소문자 L)/ㅇI(대문자 i)/ㅇ1'으로도 사용된다.[22] 코레일체로 쓰면 매우 비슷해보인다. 익정븍역 드립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다.[23] 물론 초성을 바꿔 응용도 가능하다. 특히, 끠가 나온 경우 끽, 피, 괴, 미자로도 바꿀 수 있다.[24] 루미랑 거의 가까우면서, 비슷해지기도 한다.[25] 동아출판이 두산동아이던 시절 로고가 ‘득솨동아’처럼 보이던 때가 있었다. 이후 제대로 ‘두산동아’처럼 보이게 바뀌었다가 지금은 동아출판으로 변경. 덤으로 ‘두산 베어스’도 ‘득솨 Vㅔ어亼’다.[예시2] 윾재석. 머윾읶니아, 윾정연, 윾힉판, 윾고슬라비아, 윾승민, 윾신, 윾영혁, 윽彐라이나, 우윽지, 윽윽지, 우우지, 지윽, 윽건산견, 키이윽 등.[예시3] 예를 들어서 ‘clear’를 ‘dear’로 쓰는 경우다.[예시4] ‘club’ ↔ ‘clulo’ ↔ ‘dub’이다.[예시5] 파파고에서 ‘띵작’이라고 하면 ‘a rnasterpiece’로 번역이 된다.[예시6] 파파고에서 ‘댕댕이’라고 입력을 해도 ‘cIog’라고 번역되어 나온다.[31] #[32] 그 기원을 찾기 힘들 정도로 오래된 예시로 오래 전부터 영미권에서 자주 쓰여 왔다. 아마 이 항목에서 가장 오래된 사용례. 서브컬쳐 등에서도 종종 사용례가 등장하는데 대표적으로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S2 기관’.[33] 갤럭시 S7을 마케팅할 때 이걸 이용하여 ‘♡7’이라고 했다.[34] MBC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에서 ‘참수리’를 ‘참수21’로 잘못 내보냈다. 전자숫자 ‘21’은 글자 ‘리’처럼 보이기도 한다.[35] 숫자 ‘8’이 ‘日(날 일)’과 비슷한 모양으로 표현되는 ‘디지털 시계 숫자 폰트’를 적용해서 나타낼 경우엔 ‘77’이 ‘ㄲ’, ‘20’이 ‘ㄻ’으로 보인다.[36] ‘B’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로 나누면 ‘13’처럼 보이고 ‘13’을 공간없이 붙여쓰면 대문자 ‘B’와 똑같다.[37] 이를 이용한 착시현상도 있다. 그 예시로 가로 방향으로 ‘A. B. C.’, 세로 방향으로 ‘12. 13. 14.’랑 혼합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스킨라빈스 31’의 옛 로고가 ‘1312’처럼 보인다.[38] # 참조. 이쪽은 아예 TV 광고로 써먹었다. 그걸 거꾸로 돌려서 마시면 HP가 1이 된다는 드립도 있었다.[39] 디 고든을 ㅁ ㅍㅌ으로 쓰는 식.[40] 숫자 ‘1’의 위쪽 부분에 꼭지가 없어 ‘작대기 하나’처럼 보이고 ‘7’의 왼쪽 윗부분에 꼭지가 없어 ‘ㄱ’처럼 보이는 폰트가 있는데 해당 폰트로 ‘71’을 쓰면 ‘기’와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젤리를 71개나 사버려서 개당 100원에 처분한다는 글이 해당 폰트로 적혀있어 “기개가 무슨 뜻이냐?”고 물어본 게 짤방화되기도 했다. # 참조.[41] ‘ㄱ’을 ‘7(숫자)’로, ‘ㅣ(한글 자모)’ 또는 ‘I(i)’를 ‘1’로 볼 때 해당된다. 이로 인해 여러 유머 사이트에서 ‘기억’을 ‘71억’으로 나타내어 혼동한 짤방이 유행하기도 했다.[42] 좌측은 소문자 L, 중앙은 대문자 i, 우측은 한글 자모 ㅣ.[43] 새 부분을 AH로 쓰기도 한다.[44] 왼쪽은 알파벳 U, 가운데는 J앞에 대문자 i, 오른쪽은 J앞에 소문자 L을 붙인 것이다.[45] 야민정음 중에서는 그래도 생명력이 긴 경우. PD수첩도 이 야민정음을 사용했다.(내 집인가, LH 집인가)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이 터진 이후로는 LH를 비하하는 용도로도 쓰이기도 한다.[46] 야민정음이 정립되기는커녕 야갤 탄생보다도 한참 전, 허무개그나 허무송이 유행했던 시절에 벌써 유행했었던 유서깊은 표기법이다. KIN과 같은 시대를 풍미했다.[47] 철갤, 모노레일 갤러리에서 복복선을 말할 때 뾲선으로 주로 쓴다. 추가로 젠레스 존 제로의 귤복복도 귤뾲을 응용한 귤뾲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48] 부부가 산에 올라가면 쁏, 부부가 절벽에 서면 쀽, 부부가 공에 올라가면 쁑 등의 바리에이션이 있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가 쀼의 세계라고 불리는 것도 여기서 따왔다.[49] 동북아 국가들 중 러시아를 지칭할때 쓰는 말이다. 헬조선을 동북아 판으로 확장했을 때 사용되는데, 북조선 즉 북한보다 북쪽에 있는 조선이라 하여 북북조선 → 쀾조선이 되었다.[50] 북북춤 할배를 쀾춤 할배라고 줄일 수 있다.[51] 76가지 게임 문서 참조.[52] 붓 X란 카트가 있는데 붓 모양을 하고 있다. 벼루 X는 바퀴에 붓이 4개 달려서 붓x4로 쁐쁐 X라 부른다.[53] 위의 섊과 비슷한 예시이다.[54] 김성모 작가의 《럭키짱》 만화 중 “으아아아!!”라고 쓴 장면이 가로로 길어 세로로 긴 대사에다 그 장면을 넣기 위해 그것을 90도 왼쪽 방향으로 회전했는데 그로 인해 ‘으아아아’라는 단어가 ‘호옹이(으/ㅇㅏㅇ/ㅏㅇㅏ ↔ 으/아ㅇ/ㅏ아)’로 나타내었던 것에서 유래됐다.[55] 비니의 활동명이 변경되어 사용 빈도가 급격히 줄었다.[56] 한 야갤러가 저스틴 비버가 자기 이름을 한글로 팔에 문신한 것을 보고 뜨또라고 한 것이 시초. '비버'를 가로쓰기한 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읽어보면 된다.[57] 이게 저스틴 비버랑 자주 헷갈리는데 선례인 호옹이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기 때문에 또뜨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야 비버가 나오기 때문이다.[58] 이걸 이용한 논리 퀴즈도 있다.[59] 냉자만 빼면 된다.[60] 혼합된 케이스다.[61] 응을 %로 바꾼 드립은 훗날 이마트 고래잇 페스티벌에서 사용된다.[62] 야민정음이 정립되기는커녕 야갤 탄생보다도 한참 전, 허무개그나 허무송이 유행했던 시절에 벌써 유행했었던 유서깊은 표기법이다. 섊과 같은 시대를 풍미했다.[63] 귀여운 의성어로도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64] OK금융그룹 마스코트 이름이 여기서 왔다. 산하 팀들도 다 읏으로 맞추는 등 공식 별칭으로 밀고 있다.[65] 실제 로고가 그렇다.[66] 미미 별명 항목 참고 9호[67] 제일 유명한 예시로 산 속에서 ‘곰’을 만났는데 물구나무를 서서 ‘문’으로 통과했다는 유머도 있다.[68] 실제로 과거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다는 금배지가 한글 ‘국’으로 적혔던 적도 있었는데, 이를 180도 뒤집으면 ‘놀고먹는 것.’을 비유하는 ‘논’이 되어 한자 ‘國’으로 돌아갔다는 얘기가 있다. 현재는 한글 ‘국회’로 바뀌었다.[69] 두 문자는 좌우반전을 해도 서로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되긴 했지만 둘 다 90도로 돌리면 ‘오’가 된다.[70] 최아랑에게 엎어치기를 당한 후 생긴 별명.[71] ‘V’자 대신에 ‘Y’자를 쓰기도 한다.[72] 80년대 코미디에서 ‘논공’ 주민이 이정표를 세우고 갔는데, 옆 마을 ‘운국’ 주민이 그걸 뒤집어 자기 마을 방향 표시로 바꾸고 간 이야기가 있다.[73] 과거 닌텐도 DS 관련 카페 등지에서 불법공유할 때 회피용 은어로 사용했다.[74] 주로 롤챔스에서 KT 롤스터 미드라이너 소속인 허원석 선수가 죽거나 피즈 재간둥이를 쓰면, 각종 온라인 중계 채팅창에서는 폰이 거꾸로 누워있는 글자인 궆이라는 글자로 도배된다.[75] 마음의소리 986화 외워 #[N]에서 등장한 인물이다.[76] 위 서술한 마음의소리의 등장인물인 문은율의 전화번호이며 마찬가지로 마음의소리 986화#[N]에서 사용되었다.[77] 2000년대 당시 문희준 안티가 많았을 때부터 짤방으로 사용되었다.[78] 좌우반전이랑 동형이다.[79] 단어에 들어 있는 '장'의 한자 표기가 長이 아니라도 쓰인다. 예를 들면 명長 ↔ 띵長 ↔ 띵튽, 김장훈 ↔ 金長훈 ↔ 숲튽훈, 장원삼 ↔ 튽B(튽=長(장) 1 (원) 3 (삼)).[80] 참고로 야민정음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무려 10년 전인 2004년에 나온 것이다.[81] 金자는 長자와 함께 쓰여서 '김유식 대장'을 표현할 수도 있다.(김유식대장 ↔ 숲윾싀머튽 (金유식대長)/숲윾싀ㅊ튽(金유식大長).[82] 다만 4성장군을 의미하는 '대장'에서 '장'은 長이 아니라 將.[83] 바로 위에 서술되어 있듯이 '장'의 한자 표기가 長이 아님에도 특유의 찰진 어감 덕에 널리 사용되는 사례. 실제 김장훈의 '장'은 장할 장(壯) 자를 쓴다.[84] '일'의 한자 표기 日을 '티'로 읽은 것이다.[85] 이것은 야갤이 원조가 아님은 물론이고 야갤이 거대 갤러리로 성장하기 이전, 아니 인터넷 따위 없던 PC통신 시절부터 있었던 예다. 야민정음의 진정한 아버지.[86] 백괴사전 쪽이 원조다.[87] 여기서 딘딘 - 日日 - 田, 딘딘이 불쬐면 火田 - 畑이라는 드립까지 나왔다. 유래는 딘딘이 불을 끄는 짤방.[88] 공교롭게도 卒의 중국어 발음을 들어 보면 '쭈'와 비슷하게 들린다.[89] 실제론 '두' 발음이 난다. 동두천시의 '두'자가 이 콩 두다. 근데 묘 라는 글자와 닮아서 동豆같은 말이 생긴다.[90] 이쪽도 야갤이 원조가 아니다. 야갤이 거대 갤러리로 성장하기 이전부터 게임 거래 등에 숱하게 쓰인 예다.[91] 페이스북 7월 12일자 라인업 사진에 달린 SK 와이번스 갤러리 댓글이 원조다. 지금은 해당 댓글이 삭제된 듯하다.[92] 리듬게임 갤러리가 원조다.[93] 초코파이, 정 항목 참조.[94] 파워레인저 닌자포스 12화에서 해당 야민정음이 나오는데, 이만세가 합체 닌자 수리검에 적힌 合을 슴으로 읽어서 클라우드 강이 합(합할 합/合)이라고 츳코미를 걸었다.[95] 실제로 개그콘서트의 달인에서 써먹은 바가 있다. 한자의 달인편에서 진행자 류담이 자기 이름 한자로 쓰라고 했더니 수제자 노우진은 이걸 이용해서 못써를 썼다.[96] 이쪽은 원 한자가 '號'이며(일본과 중국에서 간체로 쓰인다), 여기서 虎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묵' 자와 유사하게 보이는 이유다.[97] 참고로 모양이 비슷하긴 하지만 가타카나 쉽게 외우는 방법 중에 ヨ를 크네'요'로 외우는 방법이 있었다.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다.[98] 나무라이브(現 아카라이브)가 원조. 어떤 도배러가 이 글자로 도배를 한 것을 보고 남라 유저들이 '특'이라고 한 데서 유래했다.[99] 여기서 응용해서 '乬 ↔ 틀' 변환쌍도 가능하다. -乬- 참고로 乬은 '음역자 걸'로 동사 '걸다'의 어근인 '걸-'을 음역하기 위해 만든 한자다.[100] 일본발 야민정음이다.[101] ㄷ자가 묘하게 끊어진 모양이라 저렇게 보였다고 한다.[102] 디시인사이드 같은 커뮤니티에서 나온 용어들을 싫어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이런 류의 야민정음은 유례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댕댕이 이외에는 띵작이나 커엽다 처럼 뜻을 유추하기 쉬운 것들이 대부분이다.[103] 맞춤법 검사기를 Discord에 도입해서 오타가 나지 않도록 만들었습니다. → 맞춤법 검イト기를 Discord에 도입해서 오타才 나거 않도록 만들었습니다.[104] A ↔ 4, E ↔ 3, I ↔ 1, O ↔ 0, S ↔ 5, Z ↔ 2[105] 주로 근/ㄹ첩(루리웹), 박근혜 등을 표기할 때 쓰인다.[106] 멍멍이 → 댕댕이가 대표적이다. 다만 댕댕이는 발음하기 쉬운데다가 귀여운 강아지의 이미지와 어감이 잘 어울리기 때문인지, 발생지인 야갤 외에 다른 매체로도 널리 퍼져 오프라인 공간, 심지어는 TV 예능에서까지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신조어가 되는 등, 단순 생존 수준을 넘어 대중적인 유행어의 위치까지 등극했다.[107] 단, 비틱은 게임 등에서의 기만 행위를 뜻하는 용어로, 기존의 네덕과는 거의 다른 의미가 되었다.[108] 예를 들자면, 아햏햏이나, 뷁 등.[109] 대전대학교에서 야민정음 테러가 일어난 사진이다. 맨 위의 개요 사진이기도 하다.[110] 서울대 학술 기고. 야민정음 현상은 최근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래 전, 심지어 석보상절 해석에도 이런 현상 때문에 애를 먹었다는 내용도 있다. 참고로 이 글은 야민정음 현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게 아닌 오히려 다양한 문화현상의 일부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111] 문서가 전부 야민정음으로 이루어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