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야마토 나데시코(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일본 보수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 ||
연관 이념 | 가부장적 보수주의(새로운 자본주의)자민당 · 국가주의 · 국민보수주의 · 민족주의 · 반동주의일부 · 불교 민주주의공명당 · 사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일부 · 자유지상주의유신회 · 초보수주의일부 | |||
과거 이념 | 야마토 민족주의* · 자유보수주의 · 쇼와 국가주의(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 |||
연관 개념 | 국가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 · 군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 · 울트라내셔널리즘(극우사관)일부 | |||
주요 정당 | 전전 일본 | 입헌정우회 · 국민동맹 · 동방회 · 대정익찬회 | ||
전후 일본 | 일본의 마음 · 일본민주당(1947년) · 일본 유신회(2012년) · 일본민주당(1954년) · 자유당(1950년) | |||
현존하는 정당 | 공명당 · 일본보수당 · 일본 유신회 · 일본제일당 · 자유민주당(지지 기반 · 파벌) · 참정당 | |||
정치인 | 고노에 후미마로 · 고이케 유리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다 후미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도조 유코 · 도조 히데키 · 스가 요시히데 · 스기타 미오 · 아베 신조 · 요시다 시게루 · 이나다 도모미 · 하토야마 이치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
인텔리 | 고 젠카 · 나카가와 쇼이치 · 미노베 다쓰키치 · 미시마 유키오 · 오카와 슈메이 · 햐쿠타 나오키 | |||
언론 | 니혼게이자이 신문 · 사쿠라 TV · 산케이 신문 · 요미우리 신문 | |||
단체 | 과거 | 겐요샤 · 다테노카이 | ||
현재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일본회의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 |||
그 외 | 55년 체제 · 국민 · 국체 · 넷 우익 · 만세일계 · 반미보수 · 신우익(민족파 · 청년민족파) · 보수본류와 보수방류 · 신토(신사본청 · 국가신토) · 아베노믹스 · 야마토 나데시코 · 야마토다마시 · 역코스 · 우익단체 · 대일본제국 · 일본의 보수정당 · 우경화 · 일본인론 · 재무장 · 폴크(Volk) → 민족(民族) | |||
* 21세기 현대 기준 일본에서 Ethnic nationalism이 아닌 단순 Nationalism을 지칭할 때에는 '민족주의'(民族主義)라는 용어보다는 '내셔널리즘'(ナショナリズム)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일본에서 '민족주의'는 전적으로 Ethnic nationalism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 천황제 파시즘과 결합해 야마토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웠던 극우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데다가, (야마토 민족이 아닌) 류큐인이나 아이누인같은 전통적 일본 내 소수민족까지 배제하기 때문에 현재의 주류 보수우익에서 거리를 두는 편이다. | }}}}}}}}} |
1. 개요
立てば芍薬, 座れば牡丹, 歩く姿は百合の花
서면 작약, 앉으면 모란, 걷는 모습은 백합꽃
[ruby(大和, ruby=やまと)][ruby(撫子, ruby=なでしこ)]서면 작약, 앉으면 모란, 걷는 모습은 백합꽃
일본의 문화이자 야마토(大和)와 나데시코(撫子)의 합성어로, 일본 여성을 술패랭이꽃의 가련하고 청초한 아름다움에 비유한 말이다.
2. 상세
만엽집([ruby(萬葉集, ruby=만 요 슈)])에도 나오는 꽃이다. 여기서 야마토는 일본의 미칭(美稱)이고, 나데시코는 카와라나데시코(河原撫子)[1]라는 꽃으로 한국어로는 술패랭이꽃이라고 불리며 그냥 패랭이꽃(カラ撫子, china pink)[2]이 아니다.참고로 아키노나나쿠사(秋の七草, 가을의 7가지 화초) 중 하나인 나데시코도 야마토 나데시코, 즉 카와라나데시코(술패랭이꽃)를 가리킨다.
|
(카와라)나데시코 = 술패랭이꽃[3] |
헤이안 시대 무렵부터 일본 여성의 소박하고 조신한 아름다움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말이었지만, 시간이 흐르고 무사들이 우대되기 시작하면서 남존여비 사상이 강해지는 가운데 '언제나 한 발 뒤로 물러서서 남성을 돋보이게끔 하며, 남성에게 순종을 넘어 내조와 헌신을 다하는 것을 신념으로 삼는 정조와 순결을 중시하는 교양 있는 여성'을 가리키는 의미로 변하게 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을 거쳐 사회 구조가 바뀌며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난 이후로 잘 쓰이지 않는 단어가 되었다.
여자력 때문에 일반적인 회화에서는 잘 쓰일 일이 없게 되었지만 여전히 스포츠에선 많이 쓰인다. 한국에서 여성 국가대표팀을 '태극낭자', 남성 대표팀을 '대한건아'라고 표현하듯이 일본에서도 여성 국가대표팀을 '나데시코 재팬', 남성 대표팀은 '사무라이 재팬, 야마토 오토코(大和男子), 일본남아(日本男児)'라고 부른다. 특히 우승하거나 메달을 따내거나 하면 더더욱 강조한다. 굳이 찾아보자면 현재는 딱히 남존여비와는 관계없이 단순히 조신하고 예의범절이 바른 여자에게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소설이나 만화 등에서는 여기에 '일본풍 미인'이라는 조건이 추가. 단순히 얌전하고 예의범절이 바른 케이스는 모에 속성으로서 '오죠사마'와 겹치기 때문이다. 즉, 일본인들이 떠올리는 '이상적인 일본 여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이상적인 여성상을 막연히 이야기할 때 '요조숙녀'라는 단어로 표현하던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와패니즈를 비롯한 다수의 서양인들이 일본 여성에게 가지는 정형화된 오리엔탈리즘 이미지이기도 하다. 게이샤(정확히는 마이코)의 이미지와 결합된 기모노를 입고 가무에 능통하며 수줍지만 헌신하는 일본 미녀상이다.
3. 비슷한 외국 문화
한국에서는 양갓집 규수, 요조숙녀, 현모양처라는 표현이 비슷한 뜻을 지닌다.미국에서도 비슷한 여성상이 있는데 일명 남부 숙녀(Southern Belle)라고 부른다. 이러한 미국식 요조숙녀(?)들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태양빛 화사한 남부 출신으로, 내향적이어서 집에서만 있기를 좋아하고, 창백한 피부인 데다 병약하며[4], 자녀가 5명 이상이고, 진한 립스틱에 장미꽃이 달린 챙 모자를 쓰고 엉덩이를 크게 부풀린 하얀 드레스 차림으로 연회장을 나가며, 꽉 끼는 코르셋과 하얀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이미지이다. 특히 '살짝 불안하고 히스테릭한 면'이 있는 성격이라고 인식되는 것도 중요한 점이다.
사실 이러한 미국의 남부 미인이란 통념 자체가 동시대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성문화와 성관념이 미국으로 이식된 바가 크고, 이런 경향을 따라 서던 벨 스테레오타입을 다루는 대중문화는 자연스럽게 빅토리아 시대의 겉으로만 표출하는 위선적인 이중성, 음침함 등을 지적하는 내용이 꼭 포함되어 있기 마련이다. 당장 상술한 스테레오타입에 지극히 부합하면서도 이런 전형적 남부 여성상을 극복하려는 주인공이 등장하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도 그렇고, 서던 벨 성향 캐릭터가 변화하는 사회와 세상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처절하게 몰락하는 내용인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가 이쪽에서 가장 대표적인 미디어물이다.[5]
영국에서는 이상적인 잉글랜드 여성을 장미로 비유해서 English ros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빅토리아 시대 때는 '가정의 천사'라고 했다. 이것이 뜻하는 여성상은 아름답고 수동적이며 가정(남편과 자녀들)에게 충실해야 하고 딴 데 한 눈 팔면 안 되고 '가정을 수호하는 천사'처럼 가정을 지키려고 헌신적으로 노력해야 함이다. 참고로 이를 지키지 못한 여성이 이 사실을 들키면 집에서 쫓겨날 정도로 험한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 덤으로 이걸 어기는 행위 가운데서는 미혼녀의 연애도 포함되었다.
4. 일본 창작물에서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옛부터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 하나이다. 보통 청순이나 명문가의 오죠사마 캐릭터들이 이쪽이다. 다만 정통 야마토 나데시코는 2000년대 이후로 전멸했고 학교에서는 나데시코로 알려져 있지만 실체는 다르다는 식의 갭 모에 설정이 트렌드이다.3x3 아이즈의 주인공 중 한 명인 하즈랏트 한은 이러한 여성상을 이상형으로 보고 일본으로 가는데, 후지이 야쿠모가 소개해준 야마토 나데시코는 척 봐도 얼굴이 여장 남자인 술집 마담이었다. 나중에 야쿠모랑 재회하면서 야마토 나데시코 같은 건 현실에 없었다고 분노했다.
4.1. 성격 및 행동
- 기본적으로 가사나 요리에 만능이다. 몇몇 작품에서는 역으로 성품은 전형적인 야마토 나데시코지만 가사나 요리 능력은 절망적인 수준으로 만들어 갭 모에를 노리기도 한다.
- 수줍고 조용조용하며 여린 성격이지만 내면은 굳은 심지와 지조를 갖고 있다.(외유내강)
- 평소에는 소극적이지만 가끔씩 대담하고 적극적인 표현이나 행동을 보여주기도 한다.
- 최근에는 조신하고 정숙하면서도, 막상 할 말은 조곤조곤 다 하는 당찬 스타일의 야마토 나데시코도 많이 등장한다. 이 경우 남성의 엉뚱한 기행에 츳코미를 걸거나, 악역의 행동을 논리적으로 꾸짖는 역할을 주로 맡는다.
- 좋아하는 이에게 지고지순하며 일편단심이다.
- 순수하고 다소 천연. 성격도 대개 주변에서 화내는 법을 모른다고 생각할 정도로 선하게 묘사되지만 이런 캐릭터가 그렇듯 화나면 엄청나게 무서워지는 경우가 많다.
- 병약하다는 설정을 달고 나와서 사망 플래그를 상시 적립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메인 히로인이 아니라면 대개 사망루트를 타지만 하렘물에서는 그런걸 용납하지 않기에 뭔 수를 써서든 살리는 경우가 다수.
- 주인공과 대립하는 악역과 엮이는 경우[6] 해당 악역에게도 친절하게 대해 악역이 갱생하거나 아니면 본래 목적을 포기하고 그냥 돌아가게 하기도 한다. 악역이 주인공과 라이벌 관계라면 아예 히로인을 사이에 두고 경쟁하는 연적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다수.
- 그러나 해당 속성의 히로인은 거의 100% 주인공에게 일편단심이기 때문에 연적이 된 캐릭터의 사랑이 보답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 경우 그 캐릭터가 "왜 내 사랑을 받아주지 않는거야!"라며 다시 악역으로 돌아서서 비참하게 리타이어하거나 아니면 쿨하게 히로인을 포기하고 주인공에게 히로인을 부탁하고 물러나는 게 일반적.
- 말투가 고전적인 편으로 대표적으로는 ~(だ/です)わ 같이 끝에 와(わ)를 붙이거나 ~なの/~ですの / ~しい, ~かしら와 같은 미칭적 느낌의 종조사를 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여성스러운 말투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이게 칸사이벤과 어감이 같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4.2. 외모 및 설정
- 매우 높은 확률로 흑발/갈발/짙은 청발/은발. 헤어스타일은 주로 긴 생머리나 히메컷, 포니테일이 많다.[7]
- 덤으로 피부는 머리카락색과 대비되게 백옥같이 하얗다.[8]
- 복장은 동양이라면 기모노, 유카타, 서양이라면 유럽풍 드레스나 보헤미안 스타일을 입는다. 외출용으로도 자주 입는다. 요즘에는 기모노가 아니라도 예쁘게 옷을 입으면 되는 포인트.[9] 물론 화려하고 튀는 옷이 아닌 수수하면서도 고상하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는게 일반적이다.
- 신체 사이즈는 겉보기에는 평균이지만 은근히, 또는 엄청난 글래머라는 설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것은 최근에 TV 등의 대중매체에서 생겨난 경향으로 추측되며, 전통적인 야마토 나데시코상과 상당한 거리가 있다. 즉, 일본에는 근대 이전에는 큰 가슴을 선호하는 사상은 없었다는 뜻이다.[10] 애초에 기모노가 아담한 가슴에 잘 어울리는 옷으로 발전한 것은 이 때문이다.
- 집안은 아주 잘살거나 유서 깊은 명문가.
4.3. 이 속성을 지닌 캐릭터
※ 조신하고, 집안일 잘하며, 남편(혹은 좋아하는 이)에게 순종적인 완벽한 야마토 나데시코는 옆에 (★)마크. 그 외에는 작중에서 야마토 나데시코라는 직접적인 언급이 있긴 하지만 단순히 성격과 가사일 잘 한다든가 등 한정적인 이미지만으로 붙은 속성의 캐릭터들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가사일 잘하고 소심하다는 것 두 가지만 들어맞는 캐릭터를 전부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갖다대며 붙여놓지는 말자.이런 기믹을 갖고 있는 캐릭터명을 나데시코로 짓는 경우도 있다.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사이고 유리코
- 갈스패닉 S2 - 시라이시 유미코[13]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니시자와 모모카[14], 앙골 모아[15]
- 갤럭시 엔젤 - 카라스마 치토세
- 건방진 천사 - 하나카인 미키
- 걸즈 사우르스 - 사코 아키라
- 걸즈 앤 판처 - 이스즈 하나
- 겸허, 견실을 모토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 후키오카 사쿠라코
- 경성의 헌터 아카데미 - 시마즈 렌까
- 고전부 시리즈 - 지탄다 에루
- 공의 경계 - 료우기 시키의 어머니
- 공태랑 나가신다! - 아키타 사요코
- 괴이증후군 - 히메노 미코토[16]
- 귀여운 여자아이에게 공략당하는 건 좋아하세요? - 시즈카와 린카
- 금의 그녀 은의 그녀 - 아야노미네 에리카
- 기교소녀는 상처받지 않아 - 아카바네 나데시코
- 길티기어 시리즈 - 디지(★)
- 껍질소녀 - 토키사카 유카리
- 꾸러기 수비대 - 스후레
- 나루에의 세계 - 나나세 나루에
- 나루토 - 우치하 미코토(★), 휴우가 히나타(★)
- 난바카 - 산조 노리코
- 남녀비 1:39의 평행세계는 의외로 평범 - 콘노 아야
- 내 뇌 속의 선택지가 학원 러브 코미디를 전력으로 방해하고 있다 - 쇼콜라[17]
- 내 여친은 XXX를 너무 기대해서 탈이다 - 아야
- 내 이야기!! - 야마토 린코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 야마토 나데시코[18]- 널 오타쿠로 만들어줄 테니까, 날 리얼충으로 만들어줘! - 하세가와 미도리
- 노기자카 하루카의 비밀 - 노기자카 하루카
- 노란색 꽃의 붉은색 - 후츠라 베니바나
- 누라리횬의 손자 - 야마부키 오토메(★)
- 눈을 떴더니 최강 무장과 우주선을 가지고 있어서, 집 한채를 목표로 용병으로 자유롭게 살고 싶다 - 크리스티나 다레인왈드
- 니세코이 - 타치바나 마리카, 오노데라 코사키
- 다이쇼 소녀 전래동화 - 타치바나 유즈키(★)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 오오쿠라 유세이[19]- 대악사 - 노기 키쿠코(★)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바네사
- 더 화이팅 - 유키
- 덴카토이츠-센고쿠히메 시리즈
- 센고쿠히메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도라에몽 - 신이슬
- 도사의 무녀 - 야나세 마이, 세토우치 치에
- 도우미 여우 센코 씨 - 센코
- 도키메키 메모리얼 시리즈
- 도키메키 아이돌 - 사나다 코유키무라
- 동급생 - 신교지 레이코, 사쿠라기 마이
- 동급생2 - 스기모토 사쿠라코, 미즈노 토모미
- 드림 클럽 Gogo. - 미야비
- 디멘션 W - 아즈마야 츠바키
- 딸기 100% - 토죠 아야
- 라스트오리진 - 37식 다이카
- 라임색 전기담 - 쿠로다 린즈
- 란마 1/2 - 쿠온지 우쿄, 텐도 카스미, 운류 아카리
- 란스 시리즈 - 야마모토 이소로쿠, 센히메, 여자 몬스터 토코짱
- 러브돌 ~Lovely Idol~ - 키류 코토하
- 러브 라이브! 시리즈
러브 라이브! - 소노다 우미[20]- 러브 라이브! 선샤인!! - 쿠로사와 다이아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 오사카 시즈쿠, 미후네 시오리코
- 러브 라이브! 슈퍼스타!! - 하즈키 렌
- 러브 라이브! 하스노소라 여학원 스쿨 아이돌 클럽 - 오토무네 코즈에, 모모세 긴코
- 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 - 쿠로가네 오토하, 시라야 타마키
- 롯테의 장난감! - 엘플레다 미르야스도티르
- 리틀 버스터즈! - 코시키 미유키, 사사세가와 사사미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 시바 미유키
- 마법선생 네기마 - 코노에 코노카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시즈키 히토미
- 마법의 엔젤 스위트민트 - 민트, 너트
- 마이테츠 - 하치로쿠
- 마탄전기 류켄도 - 사이온지 우미
- 매리지 로얄 - 아키타 코마치
- 모에모에 대전쟁 현대판 - 아타고상
- 무적왕 트라이제논 - 쿄우 쿠라마
- 무적 철가방 - 오니마루 미키
- 미도리의 나날 - 카스가노 미도리(★)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미즈노 아미, 로즈 백작 부인, 토모에 호타루(3기 한정)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유키시로 토모에
-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 - 우메노코지 아오이
- 벚꽃사중주 - 마츠다이라 나데시코
- 벽람항로 - 히에이, 호쇼, 아마기
- 부부 이상, 연인 미만. - 사쿠라자카 시오리
- 불꽃의 임신 시리즈
- 불꽃의 임신 젖가슴돌 마이스타학원 Z - 이스즈가와 아키노
- 좀더! 임신! 불꽃의 가슴 초 에로♡어플 학원! - 사이온지 나나코
- 브레이블리 디폴트 - 엘레오노르 굿맨
- 블렌드·S - 사쿠라노미야 아이카
- 블루 아카이브 - 미즈하 미모리, 아이키요 후우카[21]
- 비탄의 아리아 - 호토기 시라유키
- 뻐꾸기 커플 - 세가와 아사미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나코루루, 이로하(★)
- 사씨남정기 - 사정옥(★)[22]
- 사쿠라 대전 시리즈 - 신구지 사쿠라, 키타오지 하나비
- 상주전신관학원 시리즈 - 이토 노에
- 새벽의 호위 - 니카이도 아야
- 새 엄마가 데려온 딸이 전 여친이었다 - 이리도 유메
- 서클릿 프린세스 - 쿠로다 레이나
- 섭씨 이과 - 무샤노코우지 마리
- 세계수를 따먹다 - 요시노 사쿠
- 세계정복그녀 - 하나노미야 아코
- 세상에서 가슴이 제일 좋아! - 모모세 토우카
- 세이카 여학원 공인 남창 아저씨 - 키사라기 토모에
- 세토의 신부 - 세토 산(★)
- 센티멘탈 그래피티 - 아야사키 와카나
- 셀프 - 나츠메 우타
- 소녀가 연주하는 사랑의 아리아 - 키도 카에데
- 소녀는 언니를 사랑한다 - 미야노코우지 미즈호
- 소녀는 언니를 사랑한다 - 두 사람의 엘더 - 키사키노미야 치하야
- 소녀전선 - 폭죽요정
- 수수께끼 그녀 X - 우라베 미코토
- 슈퍼전대 시리즈
- 스쿨럼블 - 나가야마 토키
- 스타 오션 4: THE LAST HOPE - 레이미 사이온지
- 스텔라 글로우 - 사쿠야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야마토 나데시코: 이름만 그렇다. 레인보우 미카의 태그 팀 파트너인 만큼 외형적으로나 성격상으로는 야마토 나데시코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슬레이어즈 - 실피르 넬스 라다
- 시로가네×스피릿츠! - 시노노메 세츠나
- 시스터 프린세스 - 하루카
- 식신의 성 - 유우키 사요
- 신락 화연담 - 스와 미코토
- 신만이 아는 세계 - 고이도 유이(★)[23]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스고 아스카
- 신좌만상 시리즈
- 실버리오 사가
- 실버리오 트리니티 - 아야 키리가쿠레(★)
- 실버리오 라그나로크 - 리나 키리가쿠레(★)
- 아가씨 - 이즈미 히데코
- 아가씨는 기분이 나쁘다 - 유키노코우지 시아야
- 아득히 우러러본, 아름다운 - 야오토메 시노
- 아들의 친구에게 범해져 - 세리미야 요코(★)[24]
- 아랑전설 시리즈 - 시라누이 마이[25]
- 아르카나 하트 - 카스가 마오리
- 아마카노 - 타카야시로 사유키
- 아스카 120% - 오와다 나나
- 아싸에 오타쿠에 가난하지만 미인 아가씨에게 밀어지고 있습니다 - 죠가사키 아오이
- 아싸인 내게 벌칙 게임으로 고백해 온 갸루가 아무리 봐도 나한테 반한 것 같다 - 바라토 나나미
-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 아이돌 마스터 - 하기와라 유키호(★), 시죠 타카네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코바야카와 사에[26]-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 에밀리 스튜어트(★)[27], 시라이시 츠무기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모리노 린제(★)
- 아이돌 사변 - 나루카미 이스즈
- 아이 러브 서티 - 서티[28]
아이★츄 - 카구라자카 루나[29]- 아이카츠! - 키타오지 사쿠라, 후지와라 미야비[30]
- 안녕 절망선생 - 키무라 카에레
- 앨리스 기어 아이기스 - 아가츠마 카에데[31], 카고메 미사키
- 야근병동 - 나나세 렌
- 야마토 나데시코가 간다 - 야마토 나데시코
- 어떤 시리즈 - 콘고 미츠코, 히메가미 아이사
- 얼터너티브 걸즈 2 - 텐도 마치
- 에어리어 88 - 츠구모 료코
- 에이켄 - 미소노 키리카
- 엘소드 - 아라
- 여신의 키스 - 에노모토 츠바사
- 여신전생 시리즈
- 진 여신전생 4 FINAL - 토키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카와사키 사키
- 역전재판 시리즈 / 대역전재판 시리즈 - 하자쿠라인 아야메(★), 미코토바 스사토, 무라사메 하오리
- 영감! - 아마미 히비키
- 오! 나의 여신님 - 베르단디(★)
- 오보로 무라마사 - 모모히메
- 오토메*도메인 - 키후네 유즈
- 오! 한강 - 야스다 야스코(안영자)
- 와타리 군의 XX가 붕괴 직전 - 이시하라 유카리
- 용사다 시리즈
- 우리 집의 여우신령님 - 코우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그래스 원더
- 원룸, 햇볕 보통, 천사 딸림. - 토와
- 원신 - 카미사토 아야카
- 유루유리 - 요시카와 토모코
- 유리가면 - 다카미야 시오리
- 유작 - 아사카와 코토미
- 유희왕 ZEXAL - 하나조에 아이카
-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 유네(★)
- 이누야샤 - 이자요이, 키쿄우
- 이세계 설렁설렁 여행기 ~노예 하렘을 곁들여~ - 루키
- 이 소리에 모여! - 호즈키 사토와
- 이야기 시리즈 - 센고쿠 나데코[32]
- 이즈모 시리즈
- 작혼 - 쟈바미 유메코
- 잘 나가는 두 사람 - 아리가세 료코
- 절대가련 칠드런 - 우메가에 나오미
- 절대충격 ~PLATONIC HEART~ - 다이몬지 사키
- 정령환상기 - 아야세 미하루(★)
- 주문은 토끼입니까? - 우지마츠 치야
- 진・삼국무쌍 시리즈 - 대교
- 쪽빛보다 푸르게 - 사쿠라바 아오이(★)
- 차를 마시자! - 아네사키 나오미
- 철냄비 짱! - 에이센 미도리코
- 청의 엑소시스트 - 모리야마 시에미
- 초력로보 가랏트 - 시다이인 사키코
- 초수기신 단쿠가 - 유우키 사라
- 초연 발렌타인 스페셜 - 다테 사쿠라
- 츠키우타 - 하나조노 유키
- 카드캡터 사쿠라 - 다이도우지 토모요, 키노모토 나데시코
- 카밀라 - 아게하
- 카케구루이 - 쟈바미 유메코, 니시노토인 유리코
- 칼 이야기 - 야스리 나나미
- 캐릭캐릭 체인지 - 후지사키 나데시코, 테마리[33], 야마토 마이히메
- 캠퍼스 러브 스토리 - 최지혜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 - 코미 쇼코
- 코이모모 - 호리베 치아키
- 코코로 - 쿠온지 카스미
- 쿠라노 군네의 쌍둥이 사정 - 쿠라노 야에
- 쿠레나이 - 호즈키 유노
- 퀸즈 블레이드 - 토모에
- 크레용 신짱 - 오오하라 나나코
- 키라라 판타지아 - 사쿠라노미야 아이카
- 터치 - 아사쿠라 미나미
- 통곡 그리고... - 아오키 치사
- 트루 티어즈 - 유아사 히로미
- 트윈엔젤 BREAK - 키사라기 시즈카
- 파이널 어프로치 - 마스다 시스카
- 판도라의 탑 - 세레스
- 페르소나 시리즈
- 포켓몬스터
-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 - 민화
- 포켓몬스터 SPECIAL - 민화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민화, 무라사메 린도우(임도하), 카오루코(미향)
- 포켓 에이스! - 니카이도 슈리
- 포토제닉 - 호죠 아야노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 오우카
- 푸른 하늘 스트라이프 - 하세쿠라 미사토
- 풀 메탈 패닉! - 미키하라 렌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아사히나 마후유[34]
- 프리큐어 시리즈
- 프린세스 메이커 5 - 호소카와 미호
- 프린세스 X - 테구스 고젠
- 플러마이 워즈 - 진구 토모에
- 하나마루 유치원 - 히나기쿠
- 하나야마타 - 니시미카도 타미
- 하늘색*아일노츠 - 아마기리 유네
- 하렘 천국이라고 생각했더니 얀데레 지옥이었다 - 미야스 사유리
- 하운티드 정션 - 하세가와 하나코
- 하이스쿨 D×D - 히메지마 아케노, 히메지마 스자쿠, 히메지마 슈리
- 학교괴담 - 마리아
- 학원묵시록 하이스쿨 오브 더 데드 - 부스지마 사에코
- 한계돌파 모에로 크로니클 - 란쥬, 리바이어선, 엘프
- 한복이 너무해 - 소촌(★)[35]
- 함대 컬렉션 - 야마토, 하루나, 쇼카쿠, 후소, 야마시로, 호쇼, 하루카제, 하타카제, 새러토가[36]
- 행복 그래피티 - 마치코 료
- 협박 ~끝나지 않는 내일~ - 아키야마 사쿠라
- 황혼소녀×암네지아 - 카노에 유코
- 히라이 가이코츠의 추리노트 - 히라이 스미
- 히모테 하우스 - 아라이 미나모
- AMBITIOUS MISSION - 아리세 카구야
- ALIA's CARNIVAL! Flowering Sky - 미소노 미오
- Aster - 유즈키 사야[37]
- CANVAS ~세피아 색의 모티브~ - 사기노미야 아이
- CLANNAD - 이치노세 코토미
- D.C. ~다 카포~ 시리즈
- Fate 시리즈
- FLOWER KNIGHT GIRL - 만료우
- Garnet Cradle - 시라토 츠바키
- GOSICK - 쿠죠 부인
- HIGHSPEED Étoile - 아사카와 카나타
- I×SHE Tell - 하나모리 시오리
- MAO - 베니코
- NTR 게임의 금태양이 되었다 - 정예은
- RAIL WARS! -일본국유철도공안대- - 코우미 하루카
- Rayark 리듬게임 시리즈 - 사이카
- RDG 레드 데이터 걸 - 스즈하라 이즈미코
- RIDDLE JOKER - 니죠인 하즈키
- Sdorica - 공수현, 미사, 발드리르, 아델 세라핀, 안젤리아 카를로스, 하나조노 치유키
- SKY 캐슬 - 노승혜
- ToHeart - 쿠루스가와 세리카
- Tokyo 7th 시스터즈 - 쿠온지 시즈카
- UG☆얼티메이트 걸 - 오오토리 비비안
- Wake Up, Girls! - 콘도 마이, 히로사와 유카리
- ×CATION 시리즈
[1] 일본에서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카와라(河原), 즉 강가의 모래, 자갈이 많은 곳에 피어서 붙여진 이름이다.[2] 당(唐, カラ)에서 일본에 전해진 외래종이다. 세키치쿠(石竹)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패랭이꽃, 석죽화 등으로 불리는 꽃이다.[3] 학명은 Dianthus longicalyx Miq. 석죽목 석죽과 여러해살이풀로 7-10월쯤에 옅은 자주색 꽃을 피운다. 한국, 일본 등 아시아에 존재한다. 참고로 술패랭이꽃(河原撫子)은 패랭이꽃(カラ撫子)과 그 색깔과 모양이 많이 달라 명확히 구별된다.[4] 이런 숙녀들이 바깥 잠깐 나갔다가 들어와서는 기운없이 손끝으로 이마를 짚으며 탄식하듯 "어머나~"를 외치는 장면은 50년대 미국 대중매체에서 클리셰가 될 정도였다.[5] 여담으로 두 작품 다 영화화 매체의 주연배우가 비비안 리이다.[6] 붙잡힌 히로인으로 엮이는 게 일반적이지만 악역이 정체를 숨기고 주인공의 약점을 찾거나 혹은 다른 불순한 목적을 품고 만나거나 아니면 아예 별다른 이유 없이 우연히 만나는 경우도 있다.[7] 그러나 요새는 헤어 컬러링이나 헤어스타일도 많이 다양해지는 추새. 다만 피부는 흰 편이 많다. 아무래도 동양권에선 (서양물 들어오기 전부터) 흰 피부를 미인으로 치는 풍조가 있었기 때문에 그런 듯하다.[8] 가끔 이종족 히로인이 해당 속성을 가졌다면 피부색이 다양해지는 경우도 있으나 극히 드물다.[9] 물론 일본식 야마토 나데시코형 히로인 한정. 야마토 나데시코형 히로인과 특징이 겹치는 외국 창작물의 히로인들은 성격이라면 몰라도 상대적으로 의상 컨셉은 자유로운 편이다.[10] 사실 이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다 그랬다. 동아시아 사람들이 가슴이 큰 여자를 좋아하게 된 것은 서양 문화의 영향으로 현대에 생겨난 변화이다. 그 전엔 성적 매력이 너무 흘러넘쳐서 저속해 보인다고 꺼렸다.[11] 보통 히로인의 아버지가 이러는 경우가 많고 반대로 어머니는 "나쁜 아이같진 않은데 그렇게 말할 필요는 없잖아요?" 내지 오히려 주인공을 환영하고 두둔하기도 하는 등 유하게 대하고는 한다. 작품에 따라 반대가 되기도 하나 이 쪽이 일반적이다.[12] 말로 반대하는 경우라면 주인공이 끈질기게 설득하다가 논파당하는게 일반적이고, 무력으로 주인공을 반대하는 경우라면 대개 검도나 유도 같은 일본 무술의 유단자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13] 그런데 의외로 시리즈에서 굉장한 노출도를 자랑하는 캐릭터 중 하나다. 본인도 그렇고 주변에서도 조신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작 플레이어 앞에서 옷을 벗는 정도가 과감하고 속옷 자체도 꽤나 야한 것을 입고 다닌다. 물론 부끄러움은 타지만 필요 이상으로 많이 벗고 그게 당연한 줄 아는 성격이다.[14] 폭주하면 이 속성이 없어지고 흉폭해진다.[15] 자신의 특기인 아마겟돈을 발동하지 않을 때 한정이다.[16] 제작자가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공언했다.[17] 캐릭터 NO.56 한정.[18] 과거에는 가문의 장녀로서 이 속성을 갖고 있었지만, 학대에 가까운 엄격한 교육과 통제를 받으며 살아오다 어느날 감금된 창고에서 우연히 발견한 비디오에서 자유로운 미국인의 모습을 보고 동경하게 되어 미국인인척 하면서 살아가게 되었다. 문제는 직업이 국어교사 가끔씩 부끄러워할 때나 당황할 때 이 속성이 튀어나온다.[19] 다만 정말로 작중에서도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불린다...[20] 공식 설정이나 담당 성우가 야마토 나데시코라는 언급을 한다. 하지만 실제 의미랑은 약간 거리가 있는 편.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21] 뉴우카 한정이다. 캐릭터 디자인 비하인드 스토리에서 개발진이 "결혼은 후우카" 라고 불리는 것을 인지하여 "백색의 새 신부" 컨셉을 잡고 디자인했다고 밝혔다.개발자 코멘터리[22] 어찌나 심한지 당대의 사대부들도 사정옥의 행적을 두고 "뭐 이런 답답한 여자가 다 있어!"라고 반응했을 정도.[23] 공략전 한정. 공략전 이후, 남장여자로 진화한다.[24] 작품 시작 시점에서는 명실상부 나데시코지만...[25] 참고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는 해당되지 않으며, KOF 13에서 다이몬 고로와의 대사를 보면 온후한 성격의 다이몬 고로마저 야마토 나데시코는 어디 갔냐고 깔 정도.[26] 겉보기와는 달리 자기 주관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능동적인 성격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27] 야마토 나데시코 캐릭터로서는 매우 이질적인 와패니즈다.[28] 나중에 가면 폭력녀 타입이 추가로 붙지만 일단은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29] 류카가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언급한 적 있다. 다만 실제 성격은 조금 거리가 있는 편. 오히려 성격상으로 보면 호오노키 토오야가 더하다. 그런데 둘 다 남자다.[30] 테마곡의 가사에서 '야마토 나데시코' 언급이 있다. 항목 참조.[31] 캐치 프레이즈가 '단죄 야마토나데시코'이다.[32] 애초에 나데코란 이름도 나데시코에서 따온 이름이다. 애니메이션 오프닝이자 캐릭터 송인 연애 서큘레이션의 가사를 보면 이와 같은 말장난이 있다.[33] 이 경우는 캐릭 체인지 시 주인 후지사키 나데시코의 본성을 드러내게 만들기 때문에 실제 나데시코의 성격과는 거리가 조금 있다고 할 수 있다.[34] 사실 그런 캐릭터가 된 건...[35] 사쿠라바 아오이의 한국인 버전.[36] 전반적으로 인기가 높은 캐릭터들은 이 속성의 캐릭터가 많다.[37] 반대로 쌍둥이 여동생은 적극적이고 꽤 거친 성격이다.[38] 농담이기는 하나 정말 이런 속성을 좀 지니고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