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3:54:53

뉴질랜드

New Zealand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키위 새 · 키위 과일
역사 역사 전반(와이탕이 조약)
정치 정치 전반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총독 · 뉴질랜드 총리 · 뉴질랜드 의회
외교 외교 전반 · 뉴질랜드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JUSCANZ
경제 경제 전반 · 뉴질랜드 달러
사회 교육(유학 ·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항공(오클랜드 국제공항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 · 웰링턴 국제공항 · 퀸스타운 국제공항 · 더니든 공항 · 에어 뉴질랜드) · 철도(브리토마트 역) · 오클랜드 교통공사(뉴마켓 역 · 서던 라인 · 오네항가 라인 · 웨스턴 라인 · 이스턴 라인 · 파넬 역 · 노던 버스웨이)
국방 뉴질랜드군 · 뉴질랜드 해군 · 뉴질랜드 공군
치안·사법 뉴질랜드 경찰 · 뉴질랜드 관세청 · GCSB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뉴질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 · 영어(뉴질랜드 영어) · 마오리어 · 마오리 하카 · 키리 테 카나와 · 피터 잭슨(웨타 디지털 · 반지의 제왕) · Pokarekare ana
관광 관광 · 비자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남섬 · 북섬 · 채텀 제도 · 서던 알프스 산맥(밀포드 사운드) · 아오랑기 쿡 산 · 테와히포우나무
민족 뉴질랜드인 · 마오리족 · 뉴질랜드계 미국인 · 유럽계 뉴질랜드인(영국계 뉴질랜드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인도계 뉴질랜드인
기타 뉴질랜드 시민권 }}}}}}}}}

[[영연방|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wiki style="margin: -4px 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영연방 왕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북아일랜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파일:자메이카 국기.svg파일:바하마 국기.svg
캐나다호주뉴질랜드자메이카바하마
파일:그레나다 국기.svg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그레나다세인트루시아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세인트키츠 네비스앤티가 바부다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파일:벨리즈 국기.svg파일:투발루 국기.svg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파일:영연방 기.svg
솔로몬 제도벨리즈투발루파푸아뉴기니영연방 왕국
공화국인 회원국 (X 표시: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음)
파일:인도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인도파키스탄스리랑카나이지리아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가나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탄자니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
가나시에라리온키프로스탄자니아케냐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파일:말라위 국기.svg파일:몰타 국기.svg파일:잠비아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우간다말라위몰타잠비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파일:보츠와나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나우루 국기.svg
싱가포르가이아나보츠와나모리셔스나우루
파일:피지 국기.svg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피지방글라데시감비아세이셸키리바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누아투카메룬도미니카 연방몰디브바베이도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
나미비아X모잠비크(포르투갈)X르완다(벨기에)X가봉(프랑스)X토고(프랑스)
별도의 군주가 있는 회원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레소토 국기.svg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파일:통가 국기.svg
말레이시아브루나이레소토에스와티니통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탈퇴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아일랜드짐바브웨
가입 희망국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남수단 국기.svg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
소말릴란드수단남수단부룬디수리남}}}}}}}}}
뉴질랜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오스트랄라시아의 국가.png 오스트랄라시아의 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호주 뉴질랜드[1] 파푸아뉴기니[2] }}}
[1] 폴리네시아로 분류되기도 함.[2] 멜라네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섬 지방
[[노스랜드 지방|파일:노스랜드 지방 로고.png
노스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오클랜드 지방|파일:오클랜드 지방 로고.png
오클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와이카토 지방 로고.jpg
와이카토
[[베이오브플렌티 지방|파일:베이오브플렌티 지방 로고.png
베이오브플렌티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기즈번 지방|파일:기즈본 지방 로고.png
기즈번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호크스베이 지방|파일:호크스베이 지방 로고.png
호크스베이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타라나키 지방 로고.png
타라나키
남섬 지방
[[태즈먼 지방|파일:태즈먼 지방 로고.png
태즈먼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넬슨 지방|파일:넬슨 지방 로고.jpg
넬슨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말버러 지방|파일:말버러 지방 로고.png
말버러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4><width=25%>
[[웨스트코스트 지방|파일:웨스트코스트 지방 로고.png
웨스트코스트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캔터베리 지방|파일:캔터버리 지방 로고.png
캔터베리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오타고 지방|파일:오타고 지방 로고.png
오타고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사우스랜드 지방|파일:사우스랜드 지방 로고.png
사우스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
<rowcolor=#fff> 특별령 자유주
[[채텀 제도|파일:채텀 제도 기.svg
채텀 제도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쿡 제도|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자치령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로스 속령
*
* 영유권 동결 }}}}}}}}}

파일:APE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뉴질랜드 대만 대한민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멕시코 미국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칠레 캐나다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태국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호주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

<colcolor=#072b5f,#fff>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조약 회원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남극조약 창립 가맹국
영유권 비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nopad>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국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스웨덴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인 에콰도르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인도 일본 중국 체코 페루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폴란드 핀란드
영유권 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노르웨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영국 칠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프랑스 호주
비자문 가맹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과테말라 덴마크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모나코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몽골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북한 스위스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슬로바키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콜롬비아 쿠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르키예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포르투갈 헝가리 }}}}}}}}}

파일:태평양 공동체 문장.png 태평양 공동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b4c5>회원국
기타 국가
속령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

MSMT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 팀)
{{{#!wiki style="margin: 0 -10px 0.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
}}}}}}}}} ||

파일:OECD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IMF선진국.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파이브 아이즈
Five Eyes
파일:미국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2.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1]
New Zealand | Aotearoa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장.svg
<rowcolor=#fff> 국기 국장
상징
국가 God Defend New Zealand
God Save the King
국수 키위
역사
마오리족 상륙 13세기
와이탕이 조약 체결 1840년 2월 6일
뉴질랜드 자치령 출범 1907년 9월 26일
웨스트민스터 헌장 비준 1947년 11월 25일
뉴질랜드 신헌법 발효 1987년 1월 1일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웰링턴
최대도시오클랜드[2]
면적268,021km²[3]
내수면 비율2.1%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전체 인구5,198,200명(2023년) | 세계 123위
인구밀도17.9명/km²
출산율1.56명(2023년) 출처
민족구성유럽계 74.0%, 마오리족 14.9%, 아시아계 11.8%, 태평양 도서 주민 7.4%
재외국민 수21,958명(2021년)
공용어영어(사실상), 마오리어, 뉴질랜드 수어
종교국교 없음(정교분리)
기독교 37.0%, 힌두교 2.6%, 이슬람 1.3%, 무종교 48.2%, 기타 9.5%
군대뉴질랜드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방(region)16개
기초자치단체 13개 시(city), 53개 구역(district), 채텀 제도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부 형태영연방 왕국, 입헌군주제,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단원제
국왕찰스 3세[4]
총독신디 키로 (Cindy Kiro)[5]
총리크리스토퍼 럭슨(Christopher Luxon)
여당[[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민주주의 지수9.61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2위)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목
GDP
전체
GDP
2,494억 달러(2023년)
1인당
GDP
48,071$(2023년)
GDP
(PPP)
전체
GDP
2,791억 달러(2023년)
1인당
GDP
53,809$(2023년)
국부$1조 2,530억 / 세계 32위(2020년)
신용 등급무디스 Aaa
S&P AA
Fitch AA
통화뉴질랜드 달러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12(채텀 제도, 토켈라우 외 전역)
UTC+12:45(채텀 제도)
UTC+13(토켈라우)
도량형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연합(UN) 가입1945년 10월 24일
대한 수교현황대한민국: 1962년 3월 26일
북한: 2001년 3월 26일
무비자 입국양국 모두 90일[6]
주한 대사관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21-15 }}}}}}}}}
ccTLD
.nz
국가 코드
554, NZL, NZ
국제 전화 코드
+64
여행 경보
무경보 전 지역
위치
파일:뉴질랜드 위치.svg
[7]
1. 개요2.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장2.4. 국조2.5. 국가
3. 뉴질랜드와 뉴질랜드 왕국, 자유연합4. 자연
4.1. 지리4.2. 기후4.3. 생태계4.4. 자연재해4.5. 시간대
5. 역사6. 행정구역7. 정치8. 사회·문화
8.1. 종교8.2. 복지8.3. 공휴일8.4. 음악8.5. 영화8.6. 스포츠
8.6.1. 럭비8.6.2. 축구8.6.3. 농구8.6.4. 넷볼
8.7. 그 외
9. 경제10. 교육11. 민족
11.1. 유럽계 백인11.2. 마오리족11.3. 아시아계
11.3.1. 한국계
12. 군사13. 언어14. 관광15. 교통16. 외교17. 출신 인물18. 매체에서19. 기타

[clearfix]

1. 개요

뉴질랜드(New Zealand) 또는 아오테아로아(Aotearoa)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영연방 왕국이다.

수도북섬웰링턴이며, 최대도시면서 경제 중심지는 북섬오클랜드이다.[8] 그리고 남섬 최대도시크라이스트처치이다.

2. 상징

2.1. 국호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dcdc,#1c1d1f> 영어 New Zealand
마오리어 Aotearoa
이탈리아어 Nuova Zelanda
스페인어 Nueva Zelanda
포르투갈어 Nova Zelândia
폴란드어 Nowa Zelandia
프랑스어 Nouvelle-Zélande
네덜란드어 Nieuw-Zeeland
독일어 Neuseeland
톡 피신 Niu Silan
히리 모투 Niu Silen
인도네시아어 Selandia Baru
러시아어 Новая Зеландия
중국어 新西兰 / 紐西蘭
일본어 ニュージーランド }}}}}}}}}

뉴질랜드(New Zeeland)라는 국호는 네덜란드 동남부 주인 제일란트(Zeeland)에서 유래된 것이다. 네덜란드인 항해가 아벌 타스만(Abel Tasman)[9]이 뉴질랜드를 유럽에서 처음 발견했을 때 라틴어식으로 새로운 제일란트라는 의미의 Nova Zeelandia(네덜란드어식으로 Nieuw-Zeeland)라 명명했다.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는 뉴질랜드를 칭할 때 New를 의미하는 자국어와 Zealand의 자국식 철자 변형을 합쳐 부른다.

마오리어로는 뉴질랜드를 아오테아로아(Aotearoa, 길고 하얀 구름의 땅)라고 한다. 마오리족의 시조 격인 하와이키의 대족장인 쿠페(Kupe)가 배를 타고 낚시를 하던 도중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우연히 뉴질랜드를 발견했는데, 쿠페의 아내는 뉴질랜드 남섬 특유의 만년설을 멀리서 보고 "저기는 섬이 아니라 '긴 흰구름'이에요."라고 말하며 상륙을 말렸다. 하지만 쿠페는 아내의 만류를 무릅쓰고 처음으로 뉴질랜드에 상륙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아내의 말에서 아오테아로아라는 지명이 유래했다. 북섬은 테 이카아마우이(Te Ika-a-Māui, 마우이의 물고기)라 한다. 이는 반인반신의 영웅 마우이가 건져 올린 거대한 물고기가 북섬이 되었다는 폴리네시아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남섬은 공식적으로는 테 와이포우나무(Te Waipounamu, 녹옥의 물), 비공식적으로는 테 와카 마우이(Te Waka a Māui, 마우이의 배)라고 한다. 최남단인 사우스랜드 지방의 스튜어트섬은 라키우라(Rakiura, 불타오르는 하늘)라고 한다.

'뉴질랜드'라는 영어 국명과 '아오테아로아'라는 마오리어 국명은 일반 뉴질랜드 언중에서뿐만 아니라 정부기관과 행정부에 의해서 관습적으로 대등한 지위를 갖는다. 이에 '아오테아로아'를 공식 국명에 포함시키거나 아예 공식 국명으로 변경하자는 여론 또한 존재한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공식 국명에 '아오테아로아'를 추가해 달라는 2019년 청원에 대해 공식적인 변경은 시기상조이나 두 국명이 관습적으로 사실상 같은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한다고 답변했다.

한자 표기는 신서란(新西蘭). 신(新)은 New의 훈차이고, 서란(西蘭)은 Zealand의 음차다. 제일란트네덜란드(和)의 서쪽(西)에 위치해있다. 대륙 중국어로도 저 한자 표기가 쓰이고 있다. 발음은 "씬씨란". 대만에서는 뉴질랜드의 뉴 까지 음차한 紐西蘭(뉴씨란) 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도 한자는 잘 사용하지 않고 뉴-지-란도(ニュージーランド)라고 부르며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호주)와 달리 한자 표기는 거의 쓰이지 않고, 오히려 뉴질랜드가 원산지인 식물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국조

국조는 나름 유명한 키위새이다. 뉴질랜드 국민을 지칭하는 뜻으로도 쓰인다. 뉴질랜드에서 키위는 꽤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과일과 키위새 말고도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키위라고 하면 주로 뉴질랜드 현지인[10]을 가리킨다. 외환시장에서의 키위는 뉴질랜드 달러를 뜻한다.

2.5. 국가

뉴질랜드의 국가는 공식적으로 2개다. 하나는 영국의 국가이기도 한 God Save the King, 또 하나는 God Defend New Zealand인데, 마오리어영어로 되어 있어서 공식 행사 때 국가를 부를 일이 있으면 먼저 마오리어로 부르고, 그 다음에 영어로 부른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od Save the Ki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od Defend New Zealan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뉴질랜드와 뉴질랜드 왕국, 자유연합

뉴질랜드는 뉴질랜드 본국 이외에 국방 등을 책임지는 속령 또는 자유연합(free association) 상태의 지역들이 있다. '뉴질랜드'라는 명칭은 본토 지역이라 할 수 있는 남섬·북섬과 그 주변 작은 섬들, 그리고 본토에서 떨어져 있지만 본국 관할인 채텀 제도(Chatham Islands), 케르마데크(커머덱) 제도(Kermadec Islands)만 포함하고, 그 외의 속령이나 자유연합하에 있는 지역들은 포괄하지 않는다.

속령과 자유연합 지역들은 쿡 제도(Cook Islands), 니우에(Niue), 토켈라우(Tokelau), 로스 속령(Ross Dependency)[11]이 있는데, '뉴질랜드'와 이들을 한데 일컫는 명칭이 따로 있다. 이를 Realm of New Zealand라고 하고 한국어로의 번역은 보통 '뉴질랜드 왕국'이라고 한다. 실제 국가라는 뉘앙스가 있는 Kingdom과 다른 개념이니 주의. 물론 뉴질랜드의 외교는 '뉴질랜드 왕국'이 아니라 '뉴질랜드'라 한다. '뉴질랜드 왕국'은 어디까지나 뉴질랜드 본국과 속령·자유연합 지역들을 총칭하고자 할 때 쓰라고 만든 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만 뉴질랜드 왕국은 그냥 뉴질랜드와 구분되어 공식적으로 존재하는 정치적 실체이기에 이 자체가 다양한 논의의 대상이 된다. 영국 국왕이 겸임하는 뉴질랜드 국왕은 법적으로 뉴질랜드 본국의 군주로서 다른 뉴질랜드 왕국 내 영토에 영향력을 끼치는 형태가 아니라, 그냥 뉴질랜드 왕국 자체의 군주로 해석되며, 이에 따라 뉴질랜드 본국이 아닌 아닌 뉴질랜드 왕국이 영연방 왕국이라고 해석되기도 한다. 그리고 뉴질랜드가 만약 향후에 공화국이 된다면 뉴질랜드 본국만 공화국이 되느냐 뉴질랜드 왕국 전체가 통째로 공화국이 되느냐에 따라 속령과 자유연합 지역이 어떻게 될지가 결정되게 된다. 그러므로 뉴질랜드 왕국이라는 용어가 아예 허울뿐인 개념어라고 보긴 어렵다.

과거에 있었던 뉴질랜드 자치령(Dominion of New Zealand)은 현 뉴질랜드 본국의 전신이 아닌 뉴질랜드 왕국의 전신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뉴질랜드는 뉴질랜드 왕국의 일원인 자치령 주민들에게도 똑같이 뉴질랜드 시민권을 주고 있으며, 이들은 뉴질랜드 여권을 발행 받는 등 뉴질랜드인으로서 권리를 모두 부여받고 살 수 있다. 뉴질랜드 여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뉴질랜드'를 포함한 '뉴질랜드 왕국' 전체를 대표하는 국가원수의 공식적인 칭호는 '뉴질랜드의 군주'(Monarch of New Zealand)인데, 현재 그 자리를 맡고 있는 사람이 남성이기 때문에 '뉴질랜드 국왕'(King of New Zealand 또는 King in Right of New Zealand)이라고 불리며, 영국 등 16개 영연방 왕국의 국왕이자 영연방의 원수인 찰스 3세가 그 자리를 맡아 뉴질랜드 시민들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12]

4. 자연

4.1. 지리

오세아니아에서 호주, 파푸아뉴기니에 이어 3번째로 큰 나라이다.[13]
파일:external/www.go2nz.com/c477cbbb7e1485ef677e29f8ca05698b.jpg
국토는 두 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섬의 면적은 영국보다 조금 더 크다. 오클랜드웰링턴이 있는 북섬크라이스트처치가 있는 남섬으로 나눌 수 있다. 북섬은 상대적으로 대도시들이 많고 현대화가 잘 되어 있는 편에 속하고 남섬은 영국 빅토리아 시대 이후 개발이 되지 않은 곳이 많아 그 시절의 모습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 북섬이 화산지대로 대표된다면 남섬은 빙하지형이 많으며, 높은 산들과 절벽, 호수로 대표된다. 그래서 북섬의 별명은 '불의 섬', 남섬의 별명은 '얼음의 섬'이다. 남북섬의 명칭 앞에 The를 붙여야 하는가로 논란이 일어난 적이 있는데 결론은 붙이는 게 맞다. 북섬의 웰링턴에서 남섬의 픽턴까지의 거리는 배로 3시간밖에 안 걸릴 정도로 가깝다. 남북섬을 오가는 비행기표도 저가항공사 기준으로 많이 저렴하다.

최고봉은 쿡 산으로 높이는 3,724m 이다.

바다 밑에 뉴질랜드의 일부인 질랜디아라는 해저 대륙이 있는데 492만㎢ 크기에 호주와 매우 가깝게 있다.[14] 대륙간 거리는 불과 25km밖에 차이나지 않는다고. 게다가 이 질랜디아는 북쪽으로는 뉴 칼레도니아서부터 남쪽으로는 남위 52도의 캠벨 섬까지 속해있다고 한다기사

가장 큰 호수는 616 ~ 619km²의 넓이를 가진 타우포 칼데라 호수로서 이는 서울시보다 넓다. 참고로 타우포 호는 산이었으나, 화산 폭발로 인해 그 산이 통째로 날아가 버렸다.[15]

북섬 서쪽의 불룩 튀어나온 부분에는 타라나키 산(Mount Taranaki)이라는 화산이 있는데, 인공위성 지도로 보면 특이하게도 산 정상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6km 범위의 넓은 원형의 땅이 목초지가 아닌 숲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이것은 자연보호를 위해 에그몬트 국립공원으로 화산 일대를 지정하면서 나타난 것이라고. #

남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더니든(Dunedin)에는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경사기네스북에 등재된 거리, 볼드윈 거리(Baldwin street)가 있다. 고저차는 70m이며, 경사는 최대 35%에 달한다. 이 길은 막다른 길인데, 길의 상단부가 종착점이고 여기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경사가 급해진다. 구글에서 찾아보면 비탈길과 평행하도록 카메라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촬영한 사진들도 많이 있어 기아 K3 디젤광고도 이 거리에서 촬영했다.

남섬과 북섬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4.2. 기후

남반구이기 때문에 북반구와 비교하면 당연히 계절은 반대. 국토 대부분이 중위도인 남위 30도대 후반에서 40도대 중반까지 걸쳐져 있고 남태평양 한가운데 떠 있는 섬이라서 전반적으로 서안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태즈먼 해를 건너 있는 호주와는 달리 여름이라 해도 대체로 크게 덥지 않다. 다만, 같은 서안 해양성 기후라 해도 최대도시인 오클랜드가 위치한 북단지역은 최한월의 평균온도가 10도 이상이기에 아열대와 비슷한 성질도 띄고 있다. 지형이 복잡하여 크지 않은 땅덩어리에도 지역에 따른 기후차가 상당하여 말 그대로 변화무쌍한 날씨를 볼 수 있다. 최남쪽으로 갈수록 영국의 날씨와 비슷해진다. 실제 북섬에서 땅을 파고 들어가면 나오는 대척점스페인이고 남섬의 경우는 프랑스 앞바다가 나온다. 그리고 최남단 캠벨 제도의 대척점은 아일랜드 더블린이다.

다만 평탄한 지형이 많은 영국과 달리 섬을 가로지르는 높은 산맥이 있기 때문에 산을 사이로 기후 차이가 크다. 특히 3,000m가 넘는 서던 알프스 산맥이 있는 남섬에서 기후 차이가 더욱 심하다. 남섬의 서부는 전혀 덥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비가 많이 오는지라 우림이 존재한다. 열대우림의 그 우림 맞다. 물론 열대성 식물이 아닌 온대성 식물로 된 우림. 알래스카, 칠레와 함께 빙하와 우림이 한 장소에 공존하는 동네. 이쪽은 서풍이 서던 알프스 산맥에 부딪히면서 강한 비구름을 만들어내어 비가 많이 와, 연강수량이 2,000mm 이상이며, 지역에 따라 무려 4,000mm 이상이 되기도 한다.[16] 이와 대조적으로 남섬의 동부는 습한 바람이 산맥을 타고 오면서 비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기 때문에 연강수량이 대부분 700mm 이하가 되며, 심지어 400mm 인 곳도 있다.[17]

또한, 이쪽은 여름철 평균기온이 크게 높지는 않지만, 때때로 뜨거운 북서풍이 산을 타고 넘어오면서 기온을 크게 상승시켜 폭염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원래 여름에 크게 덥지 않은데 가끔 기온이 35도, 심할 경우 40도를 넘어 헬게이트가 일어난다. 북섬은 한반도와 위도가 비슷하지만, 한반도보다 겨울에 훨씬 따뜻하고 여름에 훨씬 시원한 서안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북섬 역시 섬의 서쪽에 비가 많고 동쪽에 비가 적지만, 남섬만큼 차이가 크지는 않다.

북섬의 동쪽은 대체로 여름[18]에 서쪽보다 덥지만, 심하게 덥지는 않다. 뉴질랜드 대부분 지역은 겨울철에 위도에 비해 기온이 높아, 위도가 높은 남쪽의 도시에서도 겨울에 눈은 많이 오지 않으며, 위도가 낮은 북쪽의 도시에서는 눈은 극단적으로 드물다. 2011년, 오클랜드에는 82년만에 눈이 내렸고기사, 웰링턴에도 수십년만에 눈이 내려 헬게이트가 열렸다고 한다.

다만, 뉴질랜드의 겨울[19]은 심하게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데도 한국인들은 매우 춥게 느끼는 편이다. 칼바람만 피하면 버틸만한 한국의 추위와는 다르게 습도가 고르기 때문이다. 한국 초봄에 꽃샘추위가 습도가 높아 생기는 추위다. 이땐 아주 뼈가 시리다.[20] 겨울엔 꽤 춥다. 눈이 어쩌다가 올 때도 있다. 보통은 전기로 난방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지진이 일어났을 때 전기가 끊긴 일이 있었는데 그때 얼어 죽을 뻔 했다는 교민들이 꽤 있었다.

아무튼 이런 변화무쌍한 날씨와 특이한 지형 덕분에 쌍무지개를 손쉽게 볼 수 있는 지구상 몇 안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한때, 뉴질랜드에 가면 공기가 좋고 경관이 좋아서 눈이 좋아진다는 소문이 돌았었다. 하지만 그건 과학적으로 절대 말도 안 되는 일이며 오히려 자외선이 강해서 눈에 안 좋다. 꼭 선글라스를 챙기도록 하자. 뉴질랜드 부근의 오존층이 심하게 파손되어 태양이 장난 아니게 강하다. 그래서 눈이 좋아지기는커녕 선글라스를 안 끼면 눈이 심하게 손상이 된다. 또한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암의 위험이 높다. 뉴질랜드 거주인은 온몸에 반점이 있는 사람이 많은데 이게 다 자외선 때문이다.[21] 특히 백인들이 자외선에 약한데 남극과 가까운 파괴된 오존층 사이로 자외선이 들어와 피부암을 일으킨다. 때문에 한국인이 뉴질랜드를 간다면 모자와 선글라스는 꼭 필수다.

자외선이 어느정도로 심하냐면 뉴질랜드 학생이 교모로 카우보이 모자를 쓸 정도다. 소지하지 않고 등교한 학생들의 경우 집으로 돌려보내 모자를 가져오게하고 때때로 벌점을 주는 학교도 있으며 점심시간이나 쉬는시간에 야외 활동을 아예 금지하기도 한다. 조금 풀어줘도 그늘 밑에만 있으라고 한다.

참고로, "뉴질랜드에는 하루에 사계절이 다 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사실이다. 진짜로 하루 안에 사계절을 다 느낄 수 있는 날이 꽤 많다. 예를 들자면, 아침은 봄, 정오 전후는 여름, 저녁은 가을, 밤은 겨울. 이런 식.

4.3. 생태계

뉴질랜드는 다른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특성, K-Pg 멸종이전에 초대륙과 갈라졌다는 역사 때문에, 생태계 구성이 상당히 독특하다. 대표적으로, 사람이 이주해 와서 살기 전까지는 이 지역에는 박쥐물개, 바다표범, 고래를 제외한 포유류가 단 한 종도 없었다.[22] 지금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육상 포유류는 사실 전부 사람들이 데려와서 살기 시작한 것.[23] 키위새도 이렇게 포유류가 없는 생태계에 맞도록 진화해서, 다른 곳의 포유류의 위치를 자신이 대신하게 된 것. 실제로 과거에는 키위 외에도 이렇게 날지 못하는 육지 조류가 더 많이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모아가 있다.

남섬에 사는 케아(Kea)라는 새는 매우 영리하다고 한다. 그들이 즐겨 훔쳐 먹는 것은 보통 창틀 접착제. 집 유리 접착제를 다 먹은 다음 들어가 냉장고를 열어 커피 캔이나 레드불 캔을 딴 뒤 마신다고 한다. 가끔씩 자동차의 안테나 고무를 먹어치워 라디오를 먹통으로 만들기도 한다.

그 외에도, 투아타라[24], 웨카 등 뉴질랜드에만 사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이 있다.

문제는 외부에서 들어온 포유류 동물들 때문에 생태계가 교란되는 바람에 토착 동물들이 많이 멸종되어 버렸다는 것. 키위가 멸종 위기인 이유도 다름아닌 가 알을 훔쳐가거나 고양이, 등의 동물들에게 사냥을 당해 버렸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는 곳곳에 2-3미터 가량의 펜스를 쳐서 생태계 보호 구역을 지정해, 원래의 생태계를 복원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본토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외지의 섬들의[25] 외래종들을 완전히 싹쓸이 해버린 후, 토착 생태계로 보존하는 세스코 뺨 치는 작업을 하기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곤충 중에 하나인 웨타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사는 앵무새카카포(kakapo)가 서식중이다. 단 카카포는 멸종위기종이라 현재 123마리만 남아있으며 철저히 보호관리되고 있다. 더불어 애완용, 관상용 앵무새로 자주 키우는 카카리키(Kakariki)도 뉴질랜드가 원산지다.

어류는 장어 중 크기가 큰 편인 뉴질랜드장어가 서식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남극에 많이 살고있다고 알려진 펭귄들 중 일부 종들이 이 뉴질랜드에서도 서식한다. 주로 쇠푸른펭귄, 흰날개펭귄, 노란눈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 스네어스펭귄 등이 속한다.

뉴질랜드 남부의 남극과 인접한 캠벨 섬(Campbell island)에는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이 존재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관목과 풀숲으로 이루어진 숲이기는 하지만.(…) 그런 거 말고 진정한 의미의 "나무" 를 찾는다면 이 섬에 딱 한 그루 있다. 사실, 이 유일한 가문비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외딴 곳에 존재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으며, 수령이 100년에 달한다. 가장 가까운 다른 나무를 찾는다면 222km(!) 떨어진 오클랜드 섬으로 가야 한다.

아일랜드아이슬란드처럼 오랫동안 고립된 탓에 바다뱀만 있고, 일반 이 없다. 이웃나라인 호주독사들로 악명높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 동물원이나 가정에서 뱀을 키우는 것도 금지하고 있다. 다만 태평양 바다에 둘러싸인 섬나라여서 그런지 바다뱀은 종종 발견된다고 한다. 출처 또 외부에서 몰래 들여온 사육용 뱀들이 야생에 버려지거나 탈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26]뉴질랜드에 뱀이 없는 이유

뉴질랜드 동물 말고도 식물 중에서는 양치식물이 유명하다. 엄청난 종류의 양치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숲 곳곳에 양치식물이 없는 곳이 없다. 심지어 뉴질랜드의 상징도 고사리 잎이다.

남섬에서는 모아를 잡아먹고 살았던, 어린아이도 낚아채 갈 수 있을만한 크기를 가진 하스트수리가 있었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4.4. 자연재해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하며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과 환태평양판이 충돌하는 지역으로 화산과 지진이 잦은 지역이다. 당장 위에 언급된, 서울특별시 면적보다 크다는 타우포 호수부터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크기의 초화산 칼데라다.

2010년 9월 4일 크라이스트처치에 규모 7.1의 커다란 지진이 일어났다. 이때 빅토리아 여왕 시절부터 있었던 건축물들을 포함해서 아름다운 오래된 건축물들이 폭삭 가라 앉아 버렸다. 그런데 도시가 쓸려나가는 와중에 피해자는 심장마비로 사망한 1명과 몇 명의 중상을 제외하고 없었다. 목조건축이어서 쉽게 무너지지 않았다는 듯하다.[27] 비록 사망자는 없었으나 주민들의 경제적 그리고 정신적 피해는 컸다. 뿐만 아니라, 여진의 가능성이 높기에 더욱 그러했다. 피해규모는 상당히 컸는데, 당시 UN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보내주겠다고 했음에도 이를 사양했다. 당일 멀쩡한 관광용 비행기가 추락해서 8명이 죽었는데, 참 아이러니한 일. 총리가 뉴질랜드 국민들이 이 위기를 스스로 헤쳐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고, 이 발언에 오히려 국가 신용도가 올라갔다고 한다.

2011년 2월 22일 12시 51분에 규모 6.3의 지진이 한번 더 일어났다. 이번 지진은 규모는 더 낮았으나 진원이 크라이스트처치와 더 가까운 곳에 깊이도 얕았기에 피해는 더 컸다. 2011년 3월 3일 기준, 공식 사망자는 160명을 넘어섰고 실종자 또한 200명에 육박했다.[28] 피해규모는 최소 12조에서 최대 17조 원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시티 복원 및 모든 피해가 정리되기까진 15년(…)이 걸린다고 한다. 작년도에 푼돈따윈 필요 없다는 간지폭풍 연설로 뉴질랜드의 부유함을 뽐낸 존 키 총리가 공개적으로 도네이션을 구걸할 만큼 이번 피해수준은 감당이 안 될 정도였다. 이 때 크라이스트처치 시는 1년 가까이 출입이 금지되었다. 폐허 상태에서 복구에 시간이 좀 걸렸다. 지진 발생 이후 열흘 동안 인구가 30만 중 대략 6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크라이스트처치를 빠져나갔고 타지역으로 완전 이주를 결심한 시민들도 만여 명이 넘어섰으나 대부분 지진 사태가 진정되자 되돌아왔다.

2016년 9월 1일 뉴질랜드 동북부 먼 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진원이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별다른 피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2016년 11월 13일 크라이스트처치 북동쪽 91km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했다. 2016년 뉴질랜드 지진 참조. 쓰나미 경보도 발령되었고 이후 규모 5 이상의 강한 여진도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2.5m 높이의 쓰나미가 동부해안을 덮쳤다.

2017년 7월 11일 오전 7시에 오클랜드(남섬) 북서쪽 먼 해상에서 규모 6.6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피해도 거의 없으며 쓰나미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2019년 12월 9일 오후 2시 11분(현지시각) 북섬 동부해안에 있는 화이트 섬(마오리어로는 와카아리)에서 화산이 분출하여 5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실종되었다.#

2021년 3월 4일 뉴질랜드 케르마덱 제도 해역에서 규모 8.1의 강진이 또 발생했다. 2021년 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참조. 규모 7.3 및 규모 7.4의 2차례 전진이 있었으며, 쓰나미경보도 발령되었다.

4.5. 시간대

세계에서 가장 시간대가 빠른 곳에 속하기도 하는데 현재는 UTC +14인 키리바시의 키리티마티 섬이 1위이며 그 다음은 서머타임 때 UTC +14가 되는 사모아가 2위, UTC +13인 통가가 3위, 그 다음은 서머타임 때 UTC +13이 되는 뉴질랜드와 피지가 4위이다. 때문에 한국에서 12월 31일 오후 8시일[29] 때 뉴질랜드는 벌써 1월 1일이 된다.

5.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세아니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99c5, #75b2dd, #5a99c5)"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 ~ 중세 근세 근대 현대
<colbgcolor=#5a99c5> <nopad> 영국의 식민지들 <#c8102e> 호주 자치령 호주
마오리족 <nopad> 뉴질랜드
멜라네시아인 <nopad> 영국령 피지 피지
뉴헤브리디스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파푸아 <nopad> 파푸아 지역 <nopad> 파푸아 뉴기니 지역 <nopad> 파푸아뉴기니
<nopad> 독일령 뉴기니 <nopad> 뉴기니 지역
<nopad> 영국령 솔로몬 제도 <nopad>
미크로네시아인 <nopad> <nopad> <nopad> <nopad> 나우루
남양 군도 태평양 제도 <nopad>
<nopad> 미크로네시아
연방
<nopad> 팔라우
북마리아나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길버트
앨리스 제도
<nopad>
폴리네시아인 <nopad> 투발루
투이 마누아
통가 제국
사모아 왕국 <nopad> 독일령 사모아 서사모아 지역 <nopad>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통가 왕국 <nopad> 통가(영국 보호령) 통가
하와이 왕국 <nopad> 하와이
공화국
하와이 준주 하와이주 }}}}}}}}}}}}

6.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섬 지방
[[노스랜드 지방|파일:노스랜드 지방 로고.png
노스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오클랜드 지방|파일:오클랜드 지방 로고.png
오클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와이카토 지방 로고.jpg
와이카토
[[베이오브플렌티 지방|파일:베이오브플렌티 지방 로고.png
베이오브플렌티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기즈번 지방|파일:기즈본 지방 로고.png
기즈번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호크스베이 지방|파일:호크스베이 지방 로고.png
호크스베이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타라나키 지방 로고.png
타라나키
남섬 지방
[[태즈먼 지방|파일:태즈먼 지방 로고.png
태즈먼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넬슨 지방|파일:넬슨 지방 로고.jpg
넬슨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말버러 지방|파일:말버러 지방 로고.png
말버러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4><width=25%>
[[웨스트코스트 지방|파일:웨스트코스트 지방 로고.png
웨스트코스트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캔터베리 지방|파일:캔터버리 지방 로고.png
캔터베리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오타고 지방|파일:오타고 지방 로고.png
오타고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width=25%> [[사우스랜드 지방|파일:사우스랜드 지방 로고.png
사우스랜드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
<rowcolor=#fff> 특별령 자유주
[[채텀 제도|파일:채텀 제도 기.svg
채텀 제도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쿡 제도|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wiki style="margin: -8px 0px 0px;"
]]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자치령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로스 속령
*
* 영유권 동결 }}}}}}}}}

7.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사회·문화

오스트랄라시아문화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호주

8.1. 종교

뉴질랜드의 종교인 비율은 명목상으로는 약 50% 이상이 그리스도교이며 교파는 성공회 24.3%, 장로회 18%,[30] 가톨릭 15% 등이다. 그러나 이는 공식 기록일 뿐이고 실상은 명목상 신자들이 대다수라 종교 응답만 그리스도교라고 답하고 실제론 주일 예배에 가는 사람은 고작 4% 정도밖에 안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마저도 거의 노인들이 대다수이고 젊은 층에서는 정기적으로 교회 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31] 명목상 그리스도교일 뿐이라 교회는 태어나서 세례 받고 부활절크리스마스 그리고 결혼식장례식 등으로 가는 곳 정도로 인식되며 덕분에 문 닫는 교회도 많다고 한다.

8.2. 복지

옆나라 호주에 비해 정치사범들이 많이 이민 왔고, 비교적 원주민인 마오리족과 타협과 공존을 잘 유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영국의 사회주의 운동으로 말미암아 복지제도를 본토에 적용하기 전에 호주와 뉴질랜드를 대상으로 제도적 실험이 행해져 왔던 이유 등으로 이 나라는 주민 사이에는 평등정신이 강하며 사회적·경제적인 상하계급으로 나누는데 거부감이 있는 편이다.

이런 사회적 토대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양로연금 제도를 실시하고 완전고용과 실업수당제도, 무상의료, 대학까지 무상교육제도[32] 등 사회보장제도를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2012년에 뉴질랜드는 복지시스템을 개혁하였다. 복지의존도를 높이는 수동적인 복지제도에서 탈피해 근로 중심의 능동적 복지제도로 전환하고 있다. 자녀를 둔 편친(偏親.Solo Parents), 과부 등 수당 수혜자들의 근로 의무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수당에 의존할 가능성이 큰 10대 청소년 부모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들은 자녀를 둔 편친과 과부, 50대 이상 독거여성 수당 수혜자들의 근로 의무를 강화하고 5세 이상의 자녀를 둔 편친은 파트타임, 14세 이상의 자녀를 둔 편친은 풀타임으로 일을 하거나 풀타임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10대 청소년 부모가 학업과 기술교육 등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생활비 관리와 부모교육 코스를 이수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청소년 서비스 단체는 10대 청소년 부모들이 렌트비와 공공요금 등을 직접 지불하고, 생활비 관리와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한다. 뉴질랜드의 복지 개혁 하지만 이렇게 복지 개혁을 한 결과 10대와 20대의 출산율이 줄어들어 뉴질랜드의 출산율이 줄고 있다. 뉴질랜드의 연령대별 출산율

가족제도는 1960년대와 70년대를 걸쳐서 핵가족화되었으며, 20% 이상이 독신이다. 다만 한국에 비하면 2-3명 이상 낳는 경우는 훨씬 많기 때문에 전체적인 출산율은 그리 낮지 않은 편이다.

전체적인 출산율은 호주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그렇게까지 큰 차이가 있는 수준은 아니다. 백인 출산율은 대체로 1.8명대로 호주의 전체적인 출산율과 비슷한 수준이고, 마오리 족의 경우에는 출산율이 2명대 중반 수준으로 출산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참고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그룹은 아시아계 이민자로 1명대 중반 수준.

8.3. 공휴일

뉴질랜드의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이 공휴일들이 주말에 겹치면 그 다음에 오는 월요일 또는 화요일에 대체공휴일을 준수하여 일요일인 공휴일의 대체공휴일이 화요일인 경우를 연출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 화요일이 대체공휴일이 되는 경우는 총 4가지인데 새해 첫날[37], 새해 둘째 날[38], 크리스마스[39], 박싱 데이[40]가 그들이다. 뉴질랜드에서 공휴일이 없는 달은 5월, 8월, 9월, 11월이라 뉴질랜드에 사는 한인 학생들은 추석에도 등교를 해야 한다. 크리스마스, 박싱 데이, 새해 첫날은 모든 학교에서 여름방학 기간이다.

8.4. 음악

Pokarekare ana[41]라는 뉴질랜드 민요가 한국에서 연가라는 이름으로 번안해 들어와서 유행하였고 우리에게 익숙하다. "비바람이 치던 바다~"로 시작되는 노래가 바로 이 노래다.[42]



이 나라의 민요는 군가에도 영향을 주어 이탈리아 공수부대 등에서 개사하여 활용하기도 하였는데, 대표적인 케이스로 <하늘의 번개처럼> 'Come folgore dal cielo', <당신의 공수부대> 'Paracadutista tu', <하늘의 대담한 전사로서> 'All'armi arditi dell'aria' 등이 있다.

포이 에(Poi e)라고 하는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훨씬 이전에 존재한 전통민요가 있다. 이쪽은 보통 마오리족남자들이 부르는 하카와는 달리 여자들이 많이 부르는 노래인데 주로 40대 중년의 아주머니들이 부른다.

잘 알려진 가수는 노래 Royals로 빌보드 1위를 한 Lorde가 있으며, 싱어송라이터 BENEE, 밴드 그룹인 SIX60는 뉴질랜드 현지에서 매우 인기가 많은 국민 가수이다. 이외에도 BLACKPINK의 멤버 로제[43]도 뉴질랜드 출생이다.

인디 및 언더그라운드 록 음악에서도 작지만 존재감을 내뿜는 밴드들이 있다. The Clean, The Chills 등 80-90년대 Flying Nun 레이블 소속의 인디 음악 밴드들이 암암리에 유명세를 얻었으며, 반면 The Dead C, This Kind of Punishment 같은 기이한 노이즈 록 밴드들 또한 같은 뮤지션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8.5.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 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뉴질랜드 영화 참조. 호주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8.6. 스포츠

비교적 적은 인구를 감안하면 스포츠에 재능이 엄청난 나라다. 어디를 가나 널려 있는 푸른 초지,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 환경에다 강인하며 전투적인 토착민(마오리)의 DNA가 섞인 측면도 있어 보인다. 또한, 뉴질랜드의 거의 모든 초·중·고등학교에는 럭비, 넷볼, 크리켓, 필드 하키 등 스포츠 대표팀이 있으며, 인근 학교들끼리 경기도 펼친다.

뉴질랜드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인 럭비 유니언은 남녀 공히 세계 최강이고[44], 여성 전용 경기인[45] 넷볼 또한 호주와 1,2위를 다투는 강국이다. 남자 소프트볼도 세계 1위를 다툴 실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이 나라에도 야구선수들이 좀 있는 편이다. 아울러 AC72로 알려진 아메리카컵 세계 요트 경기에서는 미국의 유일한 라이벌이다.[46]

크리켓도 꽤 하는 편으로, 비록 크리켓 월드컵(ODI)[47], T20 월드컵 우승 경험은 없지만 테스트[48], ODI(원데이 인터내셔널), T20I 세계 랭킹에서 모두 1위까지 도달해본 경험이 있으며, 테스트 룰 형식 국제 대회인 ICC 월드 테스트 챔피언십(ICC World Test Championship)에서 첫 대회부터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린 역사를 지니고 있어 20[age(2000-01-01)]년 현재 인도, 잉글랜드, 호주, 서인도를 비롯한 최강국에 밀리지 않는 실력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선수로 T20I 국가대표에서 주장을 맡았던 케인 윌리엄슨이 있다.

올림픽에서도 선전하는 편이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육상, 조정, 요트, 카누/카약 등에서 주로 메달을 획득했다. 동계 올림픽의 경우, 주로 스노보드프리스타일 스키에서 메달을 따오다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슬로프스타일에서 조이 사도스키-시놋이 70년 만에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내면서 역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한국이 "이렇게 작은 나라에서 이렇게 메달을 많이 딴다"라고 할 때 뉴질랜드는 "이렇게 인구 수가 적은 나라에서 이렇게 메달을 많이 딴다"라고 하고 있다. 하긴, 인구 수가 부산+울산+양산 인구와 비슷하니. 자국의 총 인구수 대비 인구비례 메달 획득 순위에서 뉴질랜드는 하계 올림픽의 경우 전체 3위 이내, 커먼웰스 게임은 단연 1위인 국가이다.

그러나 축구, 야구, 양궁, 태권도 같은 스포츠는 약한 편이며, 서양의 대표적인 개인 구기인 테니스골프에서 의외로 세계적인 선수가 드물다. 테니스는 1970~80년대 이후 스타급 선수가 나오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현재 ATP 200위 이내 남자 랭커가 전무하다. 골프의 경우 남자는 노장의 '마오리 전사' 마이클 캠벨[49] 정도가 한국에서도 이름이 친숙한 선수이며, 여자는 한국 교포인 리디아 고[50]로 인해 근래 LPGA에서 뉴질랜드 골프 위상이 높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제 대회는 오세아니아 지역 대회 퍼시픽 게임보단 아시아 쪽 대회 아시안 게임에 나가고 싶어한다. 오세아니아는 호주와 뉴질랜드 둘 말고는 조그만 섬나라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나름 스포츠 강국인 뉴질랜드와 섬나라들 간의 실력 차이가 너무 크다. 반면 아시아는 한중일이나 동계 종목의 카자흐스탄 같이 스포츠 강국이 좀 있으니 그 쪽에서 노는 게 뉴질랜드의 실력을 드러내고 발전시키는 데 더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세아니아 지역의 스포츠 게임인 퍼시픽 게임에는 2015년 대회 이전까지 참가하지 않았고, 아시안 게임에 계속 노크한 결과 결국 호주와 함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정식은 아니고 초청국 자격으로 참가가 결정되었다. 다만 이 대회에 코로나 문제로 불참을 선언했다.

8.6.1. 럭비

파일:external/www.whatisrugby.com/new_zealand_all_blacks.jpg 파일:external/media.web.britannica.com/89762-050-F63E94E9.jpg
자타공인 럭비 세계 최강국이다.[51][52] 15인제 럭비, 즉 럭비 유니언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을 온통 검정색인 유니폼에 맞게 올 블랙스라고 부른다.[53][54] 뉴질랜드 대표팀의 저력은 원주민인 마오리와 백인의 적절한 조합에서 나온다. 마오리 선수들의 몸무게는 대체로 유럽의 백인 선수들보다 높은데, 거의 모두가 90kg은 넘고 100kg 이상도 흔하다. 가장 무거운 선수가 140kg을 넘을 정도.[55]

럭비 종주국인 잉글랜드를 쌈싸먹고 매년 유럽 순회를 돌며 밥먹듯 전승을 거두고 오기도 한다. 럭비 월드컵에서도 1987년 첫 대회를 우승했으며, 2015 럭비 월드컵까지 최초로 3회 우승 및 2연속 우승을 달성한 나라다. 라이벌로는 지리적 라이벌인 호주 럭비 국가대표팀, 실력적 라이벌인 남아공 럭비 국가대표팀이 있다. 참고로 이 셋이서 2023년까지 10번 열린 럭비 월드컵 중 2003년을 제외하고(잉글랜드 우승) 남아공이 4번, 뉴질랜드가 3번, 호주가 2번 럭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한마디로 세계 최강 트리오.

매년 열리는 정기전으로는 위 세 나라와 아르헨티나까지 4개국이 참가하는 럭비 챔피언십이 있다. 당연히 여기서도 압도적인 승률을 자랑한다.

올 블랙스 하면 유명한 것으로 경기 전 추는 마오리 하카가 있다. 평소엔 기본 하카인 카 마테를, 특히 중요한 경기거나 분발이 필요한 시점에선 '올 블랙스'라는 뜻인 카파 오 팡오를 춘다.

선수들 중에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나지 않은 선수도 있는데, 대개는 피지, 통가, 사모아 등의 럭비 강국들에서 귀화한 선수들이다. 역으로, 통가와 사모아 대표팀 선수들도 대부분 뉴질랜드 태생이다.

프로 리그로는 호주, 피지와 함께 운영하는 슈퍼 럭비가 있으며, 자국 리그로 내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이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6.2. 축구

축구고등학교 리그까지는 나름 잘 운영되는 편이며 자국 내 프로리그는 뉴질랜드 내셔널 리그가 있다. 다만 한국에 그나마 알려진 프로 팀인 웰링턴 피닉스호주 A리그 멘 소속이고, A리그에서 오클랜드 FC도 창단시키며 뉴질랜드 연고지의 호주 A리그 팀은 두 곳이 되었다[56].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이라는 라이벌이자 강호가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넘어감으로 인해 오세아니아 1위 고정이나 다름없는 입지가 되었다. 그러나 당연히 다이렉트로 월드컵 본선 출전권이 주어질 리 없고 대륙 간 플레이오프를 거쳐야만 하는데, 여기서 어느 대륙이 상대로 걸리는지가 관건이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아시아바레인을 꺾으며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북중미의 강호 멕시코를 만나 탈탈 털렸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남미페루를 만나 스코어 합계 0:2로 아쉽게 고배를 마셨다. 그런데 2026 FIFA 월드컵부터는 본선 진출국이 48개국으로 확대됨에 따라 오세아니아에 온전한 출전권 한장이 부여되면서, 뉴질랜드는 앞으로 월드컵 단골 손님이 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3무로 조별리그 3위에 오른 전적이 있다.[57][58]기본적으로 신체 조건이 매우 좋고, 같은 문화권인 호주나 영국에서 뛰는 선수들도 많아 인구 수에 비해 국가대표팀이 나름 강력한 편이다. 오세아니아에서는 독보적인 강호이고, 국제 무대에서도 예전과 달리 무시할 만한 실력은 아니다. FIFA U-17 월드컵에서는 2009, 2011, 2015년에 모두 16강에 올랐고,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8강에 올랐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6.3. 농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6.4. 넷볼

뉴질랜드를 방문해서 TV를 보다 보면 여자들이 하는 스포츠로 농구와 비스무레하면서 상당히 생소한 스포츠를 볼 수가 있는데 바로 넷볼이다.

넷볼은 뉴질랜드에서 유독 관심이 높아 커먼웰스 게임을 하면 호주와 항상 우승을 다투는 국가다.

8.7. 그 외


동성애에 관대한 편으로 이미 1986년에 동성애를 합법화하였으며, 2013년 4월 17일 동성결혼을 공식 합법화하였다. 동성 결혼에 대한 논쟁이 활발할 당시, 이를 지지하는 국회의원인 모리스 윌리엄슨[59]의 재치있는 연설이 주목을 끈 바 있다. 주한뉴질랜드대사관의 공관장 필립 터너도 동성애자이다.

2022년 8월부터는 개인의 성 정체성이나 성적 지향을 바꾸거나 억제하려는 치료 행위를 금지하는 법을 가진다.#

청교도 문화의 영향으로 음주 문화가 빡빡한 편이다. 술의 구매 시간도 밤 10시까지만 가능하다. 맥주나 포도주 정도는 대형 마트에서도 판매하지만, 그 외의 위스키나 사케와 같은 술은 일반 가게에서는 판매 자체가 금지되고 '리쿼 샵(liquor shop)'이라고 해서 허가받은 전문 판매점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 리쿼 샵에서 술을 살 때도 신분증을 반드시 제시해야 한다. 음주는 18세부터 가능하나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선 교칙으로 금지하는 듯하다[60]

2018년 1월 새해 첫날 때는 이 술에 대한 재미있는 일이 발생했다. 뉴질랜드 북쪽 코로만델 반도 끝 타이루아 보호구역에서는 신년 맞이 등의 행사들이 많아서 너무 소란스럽다는 민원 때문에 해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음주를 금지하였다. 그러자 한 일행들이 직접 해변 모래를 퍼다가 인공 섬을 만든 뒤 그 위에서 신년 파티를 행했다. 이를 두고 '공해' 상에 있었으므로 뉴질랜드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드립도 나왔다. 현지 경찰들도 이 창의성(?)에 감탄했는지 따로 처벌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담배에 대한 규제도 매우 강력한 나라 중 하나로 담배 가격 또한 매우 높은 나라이다. 2020년 기준 담배 한 갑이 무려 30 뉴질랜드 달러, 대한민국 원으로는 24,000원에 달하며 2021년 들어서는 아예 2008년 이후 출생한 이들은 담배 구매 자체를 금지하는 법안이 제기되었다. # 다만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의 당선이후 저 법안은 2024년 2월에 폐지되었다.

치안은 절대치론 나쁘진 않은 편이지만, 2022년에는 절도나 강도 범죄가 늘어나면서, 아침 뉴스 중 최소 하나는 그날 새벽에 일어난 상점 절도 사건이 몇 번 있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을 정도라고 한다. 어떤 상점은 짧은 시간 내에 연속으로 여러번 털린 적이 있을 정도로 이전보다 치안력이 나빠지긴 한 모양. 이런거와 별개로라도 뉴질랜드에서 소수인종인 한국인은 조심해서 나쁠건 없다. 실제 한국인들이 범죄의 피해자가 된 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2003년 10월 뉴질랜드에서 배낭여행을 하던 25세 한국인 남자 대학생이 히치하이킹을 탔다가 운전자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다. 히치하이킹 범죄 특성상 추적도 어려워 실종 처리만 된 후 미제 사건이 될 뻔 했다가 5년이 지나서 한 제보자에 의해 겨우 시신을 발견하고 범인을 잡을 수 있었다. #국내기사[61] #영문기사

갱단도 꽤 많은 편이며, 특히 호크스베이 지방 쪽은 와인과 갱(...)으로 유명하다.

마오리족의 영향으로 문신에도 관대하다. 길거리를 거닐다 보면 문신을 새긴 사람을 흔히 볼 수 있다.

9.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뉴질랜드 유학에 대한 내용은 유학/국가별 정보/뉴질랜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뉴질랜드 어학연수에 대한 내용은 어학연수/국가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뉴질랜드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민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사마다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2013년 기준 인구의 약 14.9%가 마오리족, 11.8%가 아시아인, 7.4%가 태평양 원주민, 1.2%가 아랍인이며, 1.7%는 기타 인종이라고 한다. 나머지는 대부분 유럽계 백인이다.

11.1. 유럽계 백인

NZ European. 유럽계 백인들은 영국인, 아일랜드인의 후손이 많은 편이다. 이 점은 호주와 비슷하다. 저출산과 이민으로 백인의 비율은 점차 줄고 있다. 기타 내용은 유럽계 뉴질랜드인 항목도 참고.

11.2. 마오리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오리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āori. 원주민인 마오리족의 인구는 2018년 기준 60만 명 정도이다. 여기에는 마오리 혼혈이나 본인의 정체성을 유럽계 및 다른 인종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제외되었으며 이를 합하면 10~15만명 정도는 더 포함된다. 미국/캐나다/라틴아메리카에서 몰락한[62] 아메리카 원주민과 옆나라 호주에서 사냥감 신세로 전락한 호주 원주민에 비하면 특이하게도, 뉴질랜드에서 원주민인 마오리족 주민은 나름대로 국민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오늘날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이걸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각종 스포츠 경기를 할 때 뉴질랜드 대표팀은 경기 시작 전에 마오리족의 전투 춤인 마오리 하카를 추고 경기에 임하곤 한다. 백인들 역시 뉴질랜드의 문화로 마오리족을 받아들인 것. 이때 하카를 추는 행위를 영어로는 'dancing Haka'라 하지 않고 'doing haka'라고 표현한다. 또 마오리족은 뉴질랜드 왕을 겸하는 영국 왕과는 별개로 마오리족만의 왕을 섬기는데, 뉴질랜드 정부와 국민들도 영국 왕과 함께 마오리족의 왕을 자국의 군주로서 우대하고 있다. 2024년 현재 마오리 왕은 나 와이 호노 이 테 포(Ngā Wai Hono i te Pō)다.

다만 당시 뉴질랜드가 마오리족을 받아들인건 그만큼 마오리족의 저항이 심했기 때문도 있었다. 씨족 단위로 생활하며 사냥과 채집에 의존하는 석기시대 수준으로 살고 있던 호주의 아보리지니와 달리[63], 금속을 사용하지는 않아도 부족 단위로 거주하며 농경을 했고[64] 마오리족이 웬만한 백인들보다도 체구가 더 크며 힘 또한 장사인 전투종족이었기 때문에 싸움도 꽤 잘 했다. 게다가 오래 전부터 포경선을 타고 찾아온 유럽인들과 교류를 좀 해 놓아서 유럽식 무기도 꽤 갖추고 있었고, 적어도 눈 뜨고 당할 만큼인 야만사회는 아니었다. 심지어는 유럽을 여행하면서 통일 마오리 왕국의 꿈을 가지고 돌아온 홍이 히카(Hongi Hika)라는 추장이 유럽 상인들에게 총을 사들여 뉴질랜드 통일전쟁을 시도했을 정도인데, 유럽 상인들이 그 추장의 경쟁자인 다른 추장에게도 총을 팔았기 때문에 실패했다.(...)

이런 와중에 차츰 유럽인들의 세력 침투가 가속화되자 이에 경계심을 품은 전 마오리족이 단결, 19세기 중반에 약 10년에 걸친 마오리 전쟁이 벌어졌다. 그 과정에 마오리족의 인구는 10만에서 5만으로 줄었지만, 마오리족은 인구 면에서 뉴질랜드의 유럽인들에 크게 밀리지 않았고 이미 이 당시에 마오리족은 대포도 마련할 수 있던 수준이라 유럽인들이 마오리족을 완전히 굴복시킬 수 없었다.[65] 결국 마오리족은 나름대로 자신들의 위치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여 이후부터 비교적 뉴질랜드 사회는 조화를 이루며 살고 있다. 덩치가 크다 보니 스포츠 분야에서도 많이 활약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등 전쟁이 터질 때는 군인으로도 명성을 날렸다.

오늘날이라고 마오리족들의 불만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라, 뉴질랜드 거주 한국계 변호사의 책에서 사귄 마오리 친구들의 증언을 보면, 뉴질랜드도 마오리족 대우한다면서 은근히 보호구역으로 밀어두고 알짜배기 땅을 헐값으로 뜯거나 강탈했던 건 다를 거 없다고 분노하는 마오리족도 있는 모양. 실제 '와이탕이 조약'(Treaty of Waitangi)은 불평등 조약으로 역사에 남아 있으며[66] 아직도 이 조약으로 갈등이 있다. 그래서인지 한국 해외뉴스에선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뉴질랜드 총리가 연설하면 마오리인 단체들이 와서 '마오리인 차별 및 학살 사죄, 보상' 등을 요구하면서 시위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물론 이는 마오리족들이 뉴질랜드에서 경제적으로 상류층은 아닌데서 오는 불만도 있어보이는데, 실제로 일부 마오리족들은 급속한 문명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낮은 교육 수준과 높은 실업률로 인해 술과 마약 중독 등에 빠져 사회문제화 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뉴질랜드에서 전통 문화하면 마오리족과 연관되는게 많은건 부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뉴질랜드 정부에서도 마오리족들을 포용하는 모습은 보이고 있다. 제국주의 시절엔 탄압의 대상이었는데, 제국주의 시대가 저물고 나니 아이러니하게도 뉴질랜드의 상징 비스무리하게 된 것이다.

11.3. 아시아계

NZ Asian. 아시아계는 19세기 중국계 이주노동자들이 금광 채굴 및 건설 노동자로 유입되었던 게 기원이다. 현재는 아시아 각국인의 이민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머지 않아 마오리족을 제치고 뉴질랜드 제 1의 소수 민족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아시아계는 48만 명 정도이며 이 중 중국계가 17만 명, 인도계가 15만 명이다.

11.3.1. 한국계

2013년도 인구조사 결과 전체 한국인수는 30,172명이며, 조사 중 자신의 민족을 밝힌 사람 중 >1%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인으로 분류 또는 조사된 인구에 대한 요점을 추려보자면 다음과 같다.
  • 오클랜드 지역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 (전체 한국인 중 72.8% 또는 21,981명.)
  • 중위연령은 31.2살이다.
  • 전체 한국인 중 11%(3,294명)가 뉴질랜드에서 태어났고 나머지 89%(26,613명)는 해외(뉴질랜드 이외의 국가)에서 태어났다.
  • 15살 또는 그 이상의 한국인 중 93.2%(21,687명)가 뉴질랜드 정부에서 인정하는 학위를 수료하였다(초등학교 이상의 학력).
  • 15살 또는 그 이상의 한국인 중위소득은 뉴질랜드 달러 $11,500이다.[67]

뉴질랜드의 교포 사회는 한국인을 상대하는 영세한 소규모 사업자들이 많다.[68] 경제 구조가 1/3차 산업에 한정되어 있고 그마저도 시장 규모가 작은 편이다. 이른바 키위(유럽계 뉴질랜드인) 회사나 기업체, 공공 기관에 정규직으로 근무하는 인력은 드문 편이다. 다만 산학계에는 적지 않은 한인들이 기여하고 있는데, 순수 과학, 기초 연구, 자연 탐사, 식품 공학, 영화 산업(웨타 디지털)에 강점이 있는 국가여서 좋은 대우를 받고 종사하고 있다. 한국학, 경영학, 공학 및 정보학에도 폭넓은 연령층의 박사급 한인들이 대학교에서 활약 중이다.

멜리사 리(한국명 이지연) 국민당 의원은 2024년 기준 5선 의원으로, 정부에서 3개 정부부처 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2007년 이후 매년 최소 1명의 한국인이 뉴질랜드에 난민 신청을 했다고 한다.

12.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언어

영어는 법적 지위는 없으나 뉴질랜드에서 널리 쓰이는 언어이자 사실상의 공용어이며, 1987년부터 마오리어[69], 2006년부터 뉴질랜드 수어가 법적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2018년 2월 13일에 연립여당 중 하나인 뉴질랜드 제일당의 클레이튼 미첼 의원이 영어의 법적 지위를 명문화하는 일반의원 제출법률안[70]을 제출하였으나, 추첨에 당첨되지 못한 상태에서 2020년 6월 새로운 법률안을 제출하기 위해 철회되었다.

뉴질랜드 영어 발음이 호주 못지 않게 난해하기로 유명하지만, 그래도 호주 영어에 비하면 본토 영국 발음에 훨씬 더 가까운 편이다. 영국에서도 동남계 억양과 거의 일치한다. https://youtu.be/IRKzby13TSE?si=panDktUO1gjX1zkZ$0 이 링크의 영상의 댓글들도 보면 뉴질랜드 사람들의 댓글들이 보이는데 다들 하나같이 뉴질랜드 영어와 똑같다고 말을 한다. 단, 포쉬 억양에 제일 비슷한 오클랜드 억양 기준이고, 뉴질랜드도 마오리족 억양, 농부 억양, 그리고 크게 북섬과 남섬 억양으로 갈린다. 북섬은 잉글랜드, 특히 런던 RP, 잉글랜드 동남 억양에 가깝지만, 남섬은 스코틀랜드의 잔재와, 역사, 후손들 그리고 문화가 생생하게 남아있는 지역이라, 남섬, 특히 크라이스트처치, 퀸스타운, 더니든, 이런곳들은 억양과 발음 부터 다르다. 스코틀랜드식 영어처럼 R 발음을 정확하게 굴리고, 오클랜드 사람들은 못알아듣는 스코틀랜드 슬랭도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들면 오클랜드에서 Thank you 혹은 cheers 를 남섬에서는 간단하게 Ta 라고 하고 끝낸다. 단, 아카로아 지역 예외. 아카로아는 옛날의 프랑스 정착민들의 주거지 였기에 지역명이나 도로명은 프랑스어로 되있고, 뉴질랜드에서도 프랑스인들이 심심치 않게 보이는이유도 그 이유이다. 더 정확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마오리족을 대상으로 마오리어 보급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래서 표지판이나 안내 문구 등에 마오리어가 사용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2023년 총선 이후 집권에 성공한 국민당 정부 측에서 마오리어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가 마오리어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발표한 이후 정작 본인은 사비로 마오리어 교습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으며, 현 뉴질랜드 국회의 최연소 의원인 마오리당 하나-라위티 마이피-클라크 의원은 이와 같은 방안에 반대하는 의미를 담아 국회에서 연설 중 하카를 선보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14.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매체에서

※ 해당 국가의 작품은 제외한다.

19. 기타

  • 영연방 국가답게 기행을 꽤 자주 선보인다. 예를 들어 나체(!)로 조깅하는 것을 합법화한다든지, 유기견 보호소에서 유기견들이 멍청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개들한테 운전을 가르치고 있으며 에어 뉴질랜드의 항공안전 비디오도 유명하다.
  • 유럽 기준으로 볼 때 동쪽 맨 끄트머리에 있다보니 간략한 세계지도에서는 어쩔 수 없이 뉴질랜드 전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뉴질랜드가 생략된 지도만 모아둔 레딧하위레딧이 있고, 뉴질랜드인 입장에서는 상당히 짜증나는 일인지라 총리까지 나서서 불만을 표시하기도 할 지경이다.
  • 세계 최남단 맥도날드가 뉴질랜드의 인버카길에 있다.
  • 윾갤에는 한국의 국명을 New Zealand로 변경한다는 밈이 있다. 호주 연방헌법에 의거 New Zealand라는 국명을 가진 국가가 원한다면 언제라도 무조건 호주 연방에 가입할 수 있는 법안(호주-뉴질랜드 관계 항목 참조)이 있으므로, 국명을 뉴질랜드로 고친 후 가입하면 한국 GDP는 1조 4,000억 달러, 기존 호주 GDP는 1조 2,000억 달러이므로 한국 문화가 개발도 50%를 넘어가니 주문화를 korean으로 변경하면 인구도 한국이 5,000만명, 기존 호주가 2,300만 명이므로 자연스럽게 연방 총리는 New Zealand(한국)주에서 독식하게 되니 국민투표로 호주의 국명을 Korea로 다시 변경할 수도 있다. 호주는 영연방에 가입되어 있으니 영연방에 한국을 추가하면 인구 24억, GDP 11.5조 달러이고 인구 14억, GDP 11.2조 달러인 중국을 능가하는 세력이 되니 대국으로써 상대적 소국이 돼버린 중국에게 무리한 요구를 해도 된다는 밈이다. # 당연히 농담 따먹기식 개드립이다.
  • 1988년에 잠시 판다를 보유한 적이 있었다.
  • 국가와 관계 없는 이야기긴 하나, 2000년대에 '뒤질래?'라는 뜻으로 "뒤질랜드?"라 말하던 아이들이 있었다. 드라마 뉴하트(2007~08)에서 의사 배대로(박철민 扮)도 "뒤질랜드"라고 말하는데, 이는 ‘뒤지다’(죽다)와 ‘디즈니랜드’(놀이터)의 합성어로서 '죽은 사람들이 가서 노는 곳'인 저승을 의미한다.


[1] 마오리어로 길고 흰 구름의 땅이라는 뜻이다.[2] 과거 영국령 식민지였을 당시 수도 역할을 하였다.[3] 대한민국의 약 2.6배. 한반도의 약 1.2배.[4] 마오리족(Kīngitanga)이 있고 그의 직위 역시 뉴질랜드에서 존중을 받지만[74] 그가 뉴질랜드 국정에 명목상의 권한을 갖지는 않는다. 뉴질랜드에서 명목상 법안을 재가하는 등의 국가원수 역할을 하는 주체는 뉴질랜드 국왕으로 되어 있는 찰스 3세이다. 현임 마오리 왕은 나 와이 호노 이테포(Ngā Wai Hono i te Pō)[5] Dame Cindy Kiro라고도 한다. 이름 앞에 붙는 Dame이라는 표현은 이름이 절대 아니고 영연방 왕국에서 국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은 여성들을 부르는 경칭이다. 한국어로 옮길 때는 귀족(기사) 작위를 받은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무슨 무슨 경으로 옮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독립 이후 뉴질랜드의 총독은 기사 작위나 귀족 작위를 받은 사람들이 맡고 있다. 더불어 Dame의 발음은 '담'이 아니라 '데임'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6] 대한민국 국민이 뉴질랜드 입국시에는 NZ-ETA 사전신청 필요. 반대로 뉴질랜드 국민이 대한민국 입국시에도 K-ETA를 사전신청해야 한다. 입국 거부 경력이 있으면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다.[7] 남극 영유권을 주장중이지만 남극조약에 의해서 인정되지 않는다.[8]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오클랜드와는 철자와 발음이 다르다. 미국의 오클랜드는 Oakland이고 뉴질랜드의 오클랜드는 Auckland이다. 발음은 Oakland가 /ˈoʊklənd/(오우클런드), Auckland가 /ˈɔːklənd/(오ː클런드)에 가깝다.[9] 유명한 탐험가로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많다. 대표적으로 태즈메이니아 섬이 있으며, 뉴질랜드 남섬에 위치한 태즈먼 만과 태즈먼 빙하,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의 해역인 태즈먼 해 등이 있다.[10] 주로 백인.[11] 뉴질랜드가 남극대륙에 선포한 영토인데, 남극조약에 따라 주권 행사가 제한돼 있다.[12]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시절에는 '뉴질랜드 여왕'(Queen of New Zealand 또는 Queen in Right of New Zealand)이라고 불렸다.[13] 많은 이들이 파푸아뉴기니를 빠뜨리고 뉴질랜드가 2번째로 크다고 오해한다. 파푸아뉴기니의 존재를 모르거나, 파푸아뉴기니를 동남아 국가라고 착각하거나, 오세아니아라는 걸 알고 있어도 크기까지는 잘 모를 수 있다. 또한 경제 규모는 뉴질랜드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인지도가 더 높을 만하다. 뉴기니 섬의 서쪽 반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 국가라는 것도 혼동을 부르는 요인 중 하나이다.[14] 물론 그 해역이 모두 대륙붕이란 소리가 아니라 질랜디아를 구성하는 지각이 해양지각이 아닌 대륙지각이라는 뜻이다.[15] 이곳에서 무려 전세계에서 6번째로 큰 화산 폭발이 있었으며, 화산재가 중국까지 날아갔을 정도로 피해가 컸다.[16] 밀포드 사운드의 경우 무려 7,000mm에 근접한다.[17] 건조기후를 단순히 연강수량만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안된다.[18] 11월에서 3월 정도로 크리스마스는 한여름에 해당한다. 뉴질랜드 학교들은 크리스마스 근방이 매우 더운 시기라는 점을 이용해서 졸업식을 빠르면 11월 중순, 늦어도 12월 초에 하고 방학에 들어간다. 뉴질랜드의 졸업식 영상을 보면 학생들이 반팔을 입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19] 대략 5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현지에서 6월, 7월, 8월은 겨울이다.[20] 사실 난방기구도 온돌 시스템에 비하면 열악하고 단열도 안 좋다. 처음 뉴질랜드에 오면 초여름임에도 그늘은 너무 춥고 바깥은 너무 더운 아스트랄함을 느낄 수도 있다는데 진짜다.[21] 뉴질랜드의 사망원인 암 1위가 피부암이라는 서술이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사망원인이 되는 암1위는 공기 좋다는 사실이 무색하게 폐암(...)이다. 원인은 높은 흡연율. 가장 흔한 암 1위 역시 피부암이 아니다.[22] 선사시대에는 소형 육상 포유류가 살기도 했지만 이 종은 인류가 뉴질랜드에 오기도 전에 멸종하였다.[23] 꽃사슴, 삼바사슴, 엘크, 다마사슴, 왈라비, 히말라야 타르등 대형 초식동물들은 사람들이 사냥을 하기 위해 다른 곳에서 데려온 동물들이다. 문제는 이러한 대형 초식동물들이 토착 식물들의 씨를 말리고 있다는 것. 뉴질랜드 정부는 아예 이러한 동물들을 전부 없에버리려 했지만, 사냥 단체의 로비 때문에 그렇지 못하고, 대신 사냥 단체가 주기적으로 사냥을 해서 개체수를 조절하는 걸로 합의를 봤다.[24] 도마뱀 비슷하게 생겼는데 도마뱀은 아닌 특이한 파충류이다.[25] 리모트 아일랜드(Remote island) 라고 통칭되는 곳들이다.[26] 공교롭게도 뉴질랜드의 토대를 제공한 영국도 인도에서 들여온 뱀들이 버려지면서 생기는 문제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27] 그리고 지진이 일어난 시간이 오전 4시였기에 건물 피해가 많은 곳에 사람이 별로 없었다.[28] 여담이지만 이때 뉴질랜드에서 비밀 공작 중이던 이스라엘 모사드 요원들도 지진에 휘말려 사망하여 사망자 수습 과정에서 정체가 드러나기도 했다.[29] 뉴질랜드에서 12월은 여름이라 이 때 서머타임을 적용하면 뉴질랜드의 1월 1일 0시는 한국의 12월 31일 오후 8시이고 한국의 1월 1일 0시는 뉴질랜드에서 같은 날 새벽 4시이다.[30]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뉴질랜드 개혁교회 등.[31] 이와 비슷한 사례는 오늘날의 북유럽 국가들이 있다.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지역 국민들도 태어날 땐 루터교로 등록하지만 실제 예배에 정기적으로 다니는 사람들은 극히 적어서 3%도 안된다.[32] 의무교육 연령은 6~16세이다.[33] 와이탕이 조약을 체결한 날.[34] 마오리족의 전통 음력설 명절로, 원래 날짜는 밤하늘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처음 떠오르는 날이었는데, 그 날에 가장 가까운 금요일을 공휴일로 정했다. 2022년 추가.[35] 제정 당시에는 10월 둘째 주 수요일이었으나 1910년 10월 넷째 주 월요일로 옮겼다.[36] 때문에 크리스마스가 금요일이나 토요일이면 연휴가 12월 28일까지 연장된다.[37] 새해 둘째 날이 월요일이라 새해 첫날의 대체공휴일은 1월 3일 화요일이 된다.[38] 이 경우는 1월 3일 월요일이 새해 첫날의 대체공휴일이라 새해 둘째 날의 대체공휴일은 1월 4일 화요일이 된다.[39] 박싱 데이가 월요일이라 크리스마스의 대체공휴일은 12월 27일 화요일이 된다.[40] 이 경우는 12월 27일 월요일이 크리스마스의 대체공휴일이라 박싱 데이의 대체공휴일은 12월 28일 화요일이 된다.[41] 류승완 감독의 영화 <주먹이 운다> OST에서 박정현이 원어로 부른 바 있다.[42] 뉴질랜드에서 2013년 4월 17일 동성 결혼을 공식 합법화하는 법안이 통과 된 직후 방청객들이 기립, 노래를 불러 화제가 되었을 당시 방청객들이 불렀던 노래도 바로 이 노래. 밑에 있는 '그 외' 항목에 링크된 모리스 윌리엄슨의 연설 동영상에서 당시 현장을 볼 수 있다. 현 SK 와이번스 소속의 야구선수 박재상의 응원가 원곡으로, 문학구장 최고의 응원가로 평가받는다.[43]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 뉴질랜드인으로, 이중국적이다.[44] 다만 2020년대 들어서 남자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이전보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아득한 절대 강자에서 내려온 수준이지, 여전히 최고 수준의 강국이다. 이들을 한 번이라도 이기는 것은 다른 국가대표팀들의 꿈이자 최고의 영예이다.[45] 뉴질랜드와 호주에서는 2022년부터 남자와 혼성 팀도 구성 중이며, 뉴질랜드는 학교에서도 남녀 혼성으로 넷볼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도 여성 전용 스포츠라는 인식이 강하다.[46] 2013년 미국(오라클팀)에 당한 대역전패의 아픔을 2017년에 시원하게 되갚으며 챔피언이 되었다.[47] 최근 2015년, 2019년 대회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다. 하지만 2015년에는 호주에 밀려 준우승했고 2019년에는 잉글랜드에게 연장 슈퍼 오버까지 가는 숨막히는 접전 끝에 우승에 실패하고 말았다.[48] 크리켓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경기 룰이다.[49] 2005년 US 오픈 우승자.[50] 한국명 고보경.[51] 국가간 매치를 보면 스피드, 파워, 지구력, 돌파력, 팀웍, 개인기, 운영력, 정신력, 선수 뎁스 등 모든 면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위, 3위 나라도 뉴질랜드와는 비교가 안 된다.[52] 2019년 8월 19일, 웨일스에 0.03점 차이(89.43 vs 89.40)로 월드 럭비 랭킹 1위 자리를 내어 주었다. 2009년 11월 이후 거의 10년 만의 일이다.[53] 사실 뉴질랜드 크리켓 대표팀(Black Caps)이나 뉴질랜드 농구 대표팀(Tall Blacks) 등의 유니폼도 검정색으로 통일되어 있다.[54] 다만 축구는 All Whites라고 불리며 유니폼도 흰색. 여성 스포츠인 넷볼 대표팀은 Silver Ferns라고 불린다.[55] 그 주인공은 바로 타마이티 윌리엄스(Tamaiti Williams)로 전성기 때의 몸무게는 무려 144kg.[56] 다만 이 두 팀은 리그 소속인 호주는 AFC, 연고지인 뉴질랜드는 OFC 가맹국이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프리미어(정규리그 1위)를 받거나 플레이오프 우승을 차지해도 AFC, OFC 중 어느 쪽 챔피언스리그에도 나갈 수 없다.[57] 이 때 2무 1패로 꼴찌를 기록한 팀이 무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다.[58]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일한 무패 팀이었다.[59] 보수당인 국민당 소속 의원. 2013년 당시 9선의원으로 통계부와 건설건축부, 관세부 장관이었다.[60] 학생증으로는 살 수 없는 모양이다.[61] 국내기사에는 자세히 서술되지 않았는데 영문기사를 보면 히치하이킹을 타고 이동중에 피해자를 교살한 뒤 삽으로 목을 참수시켜(...) 시체를 버렸다고 한다.[62] 다만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엔 원주민이나 혼혈 등이 주류인 나라도 제법 있긴 하다. 페루, 멕시코 등이 대표적.[63] 심지어 호주 태즈메이니아 섬에 살던 원시인들은 대부분 멸망했다. 물론 백인들에게 죽어라 저항한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도 마찬가지였지만 진작에 서구 무기로 무장한 마오리족들과는 달리 부메랑같은 원시적인 무기로 무장한 탓에 마오리 전쟁 당시 영국과 마오리족의 사상자 비율은 745 : 2,154였으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백인과의 사상자 비율이 2,000~2,500:40,000이었다.[64] 찰스 다윈이 뉴질랜드에 왔을 때 마오리와 유럽인이 사는 아일랜즈 만 지역을 보고는 "이건 뭐 영국 풍경과 다를게 없네?" 라고 했을 정도.[65] 물론 유럽인들은 자체 생산할 수 있었고 마오리들은 그걸 못했지만 - 할 수 있었다 쳐도 영국처럼 찍어낼 수는 없었을 것이고 찍어낸다 해도 세계 곳곳에 식민지를 경영하는 영국만큼 찍어낼 순 없었을 것이지만 - 어디서든 꼭 돈되는 곳에 몰려들 사람은 있는 법. 무기를 팔 사람은 존재했다. 이이제이[66] 가장 대표적인 논란이 '오역'. 마오리어 번역본과 영어 번역본 두 개가 존재하는데 오역들 중 가장 유명한 게 바로 "주권"(sovereignty)과 "카와나탕아"(kawanatanga). 후자는 주권보다는 "지배"(governance)와 의미가 더 가깝다. 자잘한 평등사회 부족(iwi)들로 이루어져있던 마오리에게는 주권이란 말이 있을 수 없었다. 무엇보다도 kawana는 영어 governer를 그냥 마오리어 발음으로 음차한 것이고 뒤에 붙은 tanga는 명사어미일뿐이라 애초에 번역자가 governership을 직역해서 만들어낸 단어이다. 이걸 마오리족들이 의도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천재다. 이런 이유로 마오리 측은 "모든 토지는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에 백인 측은 "뉴질랜드는 영국의 식민지이다"로 파악해 서로 토지를 놓고 싸웠다.[67] 지난해 3월 5일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한인의 중간소득은 11,500달러로 조사됐다. 이는 2006년 인구조사의 7,600달러에 비해서는 51.3%나 증가한 것이지만 뉴질랜드 전체(30,600달러)는 물론 중국인(16,000달러), 인도인(27,400달러) 등 아시아인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소득이다. 한인 남성의 중간소득이 15,300달러로 여성(8,600달러)보다 많았고 뉴질랜드 출생 15세 이상 한인의 중간소득은 0인 반면 해외 출생 한인은 12,00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한인들이 아직 경제활동에 참여할 연령이 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인의 63.9%가 연간소득 20,000달러 이하였고, 70,000달러가 넘는 고소득자는 3.5%로 조사됐다. 임금 또는 급여 등의 수입이 있는 한인은 2006년 26.2%에서 지난해 38%로 늘었다. 복지수당을 받는 한인은 여성이 19.2%로 남성(18.2%) 보다 많았다. 뉴질랜드 정부 공식 인구 조사 결과.[68] 한때 교민 기업을 대표하던 달러샵인 123 마트가 유명했었으나, 중국계 달러샵의 공세에 고전하다가 2017년 법정 관리에 들어갔다.[69] 자세한 내용 및 원문은 링크(영문) 참조.[70] Members' bills. 행정부 장관(Minister)이 아닌 일반의원이 제출할 수 있는 법안으로, 의사 일정표(Order Paper)에 빈자리가 생길 경우 추첨을 통해 독회에 회부할 법안이 선정된다. 일반의원 제출법률안이 법률이 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 제1독회조차 통과하지 못한다. 상세한 입법 과정에 대해서는 링크(영문) 참조.[71] 마오리족과 하와이 원주민의 혼혈로 마오리족답게 특유의 문신을 하고 있다. 다만 국적 자체는 하와이 쪽으로 이민간 탓인지 일단 미국.[72] Blood in the water 코믹스에서 뉴질랜드 출신으로 밝혀졌다.[73] 배우인 제임스 데이비스 본인도 뉴질랜드 출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