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연가(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연가(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연가(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연가(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연가(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연가(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年暇
직장에서 직원들에게 1년에 일정한 기간을 쉬도록 해 주는 유급 휴가. 공직사회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는 연차라고 부른다.
공무원과 대한민국 군무원의 경우 1년에 11~21일[1][2]을 연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한 해가 끝날 때까지 쓰지 않은 연가가 있다면 최대 10일 분량만큼의 연가보상비를 지급한다. 이 경우 하루 임금에 n%를 가산해서 지급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일 중독이나 돈을 많이 벌고싶은 직장인들은 연가를 버리면서까지 출근해서 일하기도 한다. 모든 공무원과 군무원은 연가 사용 전 소속기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교사의 경우 육아휴직이나 청원휴가[3]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는 한 학기 중에는 연가를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연가보상비도 지급되지 않으므로 방학때 연가를 몰아서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교사의 경우 학생들처럼 방학이 존재하는 것이다. [4]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는 방학이라도 보충수업으로 인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러 출근해야 하므로 1~2주 정도 되는 보충수업이 없는 방학기간에 연가를 몰아서 쓸 수밖에 없다. 모든 고등학교 교사들이 일제적으로 연가를 해당기간에 쓰는 이유가 이것.
대한민국 국군 기간병은 1년에 16일의 연가가 지급된다. 따라서 육군 기준 총 복무일 18개월에 연가 24일이다. 육군 복무기간이 21개월일 때는 28일이었으나, 복무일수가 줄어듦에 따라 연가 또한 줄어든다.[5] 다만 일반적인 연가와는 달리 당해 년도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연가가 소멸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국군 병사는 휴가단축(휴가제한)이라고 하는 지급된 연가의 일부를 박탈하는 징계가 존재한다. 한 번에 5일까지, 누계 15일까지 박탈이 가능하므로, 휴가단축을 최대로 받아도 육군은 9일, 해군은 12일, 공군은 13일의 연가는 무조건 보장된다.
사회복무요원 또한 공무원과 똑같은 연가를 보장받는데 차이점이 있다면 당해 년도에 지급받은 연가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기업 역시 연가가 존재하나, 공무원, 공기업 직원에 비해 자기 마음대로 쓰기가 쉽지 않다.
공무원의 경우, 연가는 분 단위로 쪼개 쓸 수도 있다. 이 중 반일(4시간)분을 쪼개서 사용하는 경우는 특별히 반가(반일연가)라고도 부른다. 9시 출근 6시 퇴근인 공무원 기준으로 오전 반가를 사용하면 2시 출근 6시 퇴근이고, 오후 반가를 사용하면 9시 출근 2시 퇴근이 된다.
[1] 1년차 공무원은 11일이며, 재직한 기간에 따라 연가 일수가 늘어나 6년차 이상 재직하면 21일이 부여된다.[2] 다만 군 간부의 경우 임관한 1년차부터 바로 21일을 부여받는다.[3] 장례식, 결혼식, 공무 상 병가 등[4] 물론 교사는 조퇴 또는 지각을 이용해서 연가를 사용한다.[5] 공군은 현재 21개월 복무하므로 연가 28일이 지급된다.[6] 다만 특별한 사유로 당해 년도에 남아있는 연가 일수를 익년으로 이월시켜서 사용할 수는 있다. 이 경우 복학을 위해 남은 연가를 소집해제하기 1달 이전에 몰아써서 조기 소집해제를 하게 되는 경우가 거의 대다수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