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2:31:39

찰스 다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rowcolor=#ffe> 1위 2위 3위 4위 5위
윈스턴 처칠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다이애나 스펜서 찰스 다윈 윌리엄 셰익스피어
<rowcolor=#ffe>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이작 뉴턴 엘리자베스 1세 존 레논 호레이쇼 넬슨 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rowcolor=#ff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어니스트 섀클턴 제임스 쿡 로버트 베이든 파월 알프레드 대왕 아서 웰즐리
<rowcolor=#ff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거릿 대처 마이클 크로포드 빅토리아 여왕 폴 매카트니 알렉산더 플레밍
<rowcolor=#ff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앨런 튜링 마이클 패러데이 오와인 글린두르 엘리자베스 2세 스티븐 호킹
<rowcolor=#ff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윌리엄 틴들 에멀린 팽크허스트 윌리엄 윌버포스 데이비드 보위 가이 포크스
<rowcolor=#ffe>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레오나르드 체셔 에릭 모어캠브 데이비드 베컴 토머스 페인 부디카
<rowcolor=#ffe>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토머스 모어 윌리엄 블레이크 존 해리슨 헨리 8세
<rowcolor=#ffe>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찰스 디킨스 프랭크 휘틀 존 필 존 로지 베어드 어나이린 베번
<rowcolor=#ffe>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보이 조지 더글러스 베이더 윌리엄 월레스 프랜시스 드레이크 존 웨슬리
<rowcolor=#ffe>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아서 왕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로버트 스콧 이넉 파월
<rowcolor=#ffe>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클리프 리처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프레디 머큐리 줄리 앤드류스 에드워드 엘가
<rowcolor=#ffe>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조지 해리슨 데이비드 애튼버러 제임스 코널리 조지 스티븐슨
<rowcolor=#ffe>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찰리 채플린 토니 블레어 윌리엄 캑스턴 바비 무어 제인 오스틴
<rowcolor=#ffe>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윌리엄 부스 헨리 5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로버트 1세 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rowcolor=#ffe>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무명용사 로비 윌리엄스 에드워드 제너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찰스 배비지
<rowcolor=#ffe>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제프리 초서 리처드 3세 J. K. 롤링 제임스 와트 리처드 브랜슨
<rowcolor=#ffe>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보노 (아일랜드인) 존 라이든 버나드 로 몽고메리 도날드 캠벨 헨리 2세
<rowcolor=#ffe>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J. R. R. 톨킨 월터 롤리 에드워드 1세 반스 월리스
<rowcolor=#ffe>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리처드 버튼 토니 벤 데이비드 리빙스턴 팀 버너스리 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2><colcolor=#fff> FRS[1] FRGS[2] FLS[3] FZS[4]
찰스 다윈
Charles Darwin
파일:1878_Darwin_photo_by_Leonard_from_Woodall_1884.jpg
본명 찰스 로버트 다윈
Charles Robert Darwin
출생 1809년 2월 12일[5]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슈루즈베리
(現 영국 잉글랜드 슈롭셔 주 슈루즈베리)
사망 1882년 4월 19일 (향년 73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켄트주 다운
(現 영국 잉글랜드 런던 브롬리구 다운)
국적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생물학자, 지질학자[6], 철학자, 박물학자
서명 파일:찰스 다윈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colcolor=#fff> 묘소 웨스트민스터 사원
신장 약 183cm[7]
학력 슈루즈베리 스쿨 (졸업, 1818–1825)
에든버러 대학교 (의학 / 중퇴, 1825–1827)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 / B.A., 1828–1831)
수상 로열 메달 (1853)[8]
월스턴 메달 (1859)
코플리 메달 (1864)[9]
발리 메달 (1879)
가문 다윈
부모 아버지 로버트 다윈 (1766–1848)
어머니 수재나 다윈 (1765–1817)
배우자 에마 웨지우드 (1808–1896 / 1839년 결혼)
자녀 장남 윌리엄 이래즈머스 다윈 (1839–1914)
장녀 앤 다윈 (1841–1851)
차녀 메리 엘리너 다윈 (1842–1842)
삼녀 헨리에타 리치필드 (1843–1927)
차남 조지 다윈 (1845–1912)[10]
사녀 엘리자베스 다윈 (1847–1926)
삼남 프랜시스 다윈 (1848–1925)
사남 레너드 다윈 (1850–1943)
오남 호러스 다윈 (1851–1928)
육남 찰스 워링 다윈 (1856–1858)
종교 개신교(성공회) → 무종교(불가지론)[11]
}}}}}}}}} ||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2.2. 학창시절
2.2.1. 슈루즈베리 학교2.2.2. 에든버러 대학교 의학과2.2.3.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과2.2.4. 비글 함의 탐험 항로
3. 학술 활동4. 말년5. 저서6. 명언7. 후세 인물들의 평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세기 영국의 생물학자이다. 진화론으로 19세기 이후 생물학에 혁명에 가까운 거대한 변화를 이끈 인물이다. 다윈의 이론은 유전학 관련 부분만 빼면 대부분이 현대 생물학계에서도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생물이 오랜 세월에 걸쳐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한다는 그의 이론은 생물학을 넘어서 많은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2. 생애

2.1. 유년기

잉글랜드 슈루즈베리(Shrewsbury)에서 부유한 의사인 아버지 로버트 워링 다윈과 도자기로 유명한 웨지우드 가문출신 어머니 수재나 다윈 사이에서 2남 4녀 중 다섯째 아이이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집안과 어머니 집안 모두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소위말하는 금수저다.

그의 할아버지 이래즈머스 다윈(Erasmus Darwin, 1731–1802)은 유명한 의사였다. 물론 현대적인 의미의 의술을 행했던 것은 아니었고, 주로 약물과 심리치료를 통해 몸의 안정과 병증을 다스렸다고 한다. 그는 의사로서의 실력을 크게 인정받았었는데, 그 능력이 왕의 귀에까지 들어가 당시 영국의 국왕 조지 3세는 이래즈머스 다윈에게 주치의가 되어줄 것을 요구했지만 거절했다. 이래즈머스 다윈은 토리당을 매우 싫어했는데, 당연히 국왕의 주치의가 되면 그들과 엮이고 한패가 되는 것이라 여겨 거절했다고 한다. 거의 반드시 귀족의 작위를 수여받을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는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진보적 지식인이었으며, 손자인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비슷한 주장[12]을 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종교적으로 사람의 신분을 가르는 짓은 어리석다면서 기독교 주류를 비난하다가 파문당했으나 당시대뿐만 아니라 현대에까지 이름을 남긴 저명한 학자들과도 교류할 정도로 존경과 인정을 많이 받았던 터라 별다른 불편을 겪지 않았고 그걸 자랑하며 당당하게 지냈다.[13] 그의 혁신적인 주장들은 당대에 묻혀졌고, 손자의 엄청난 유명세 때문에 오히려 불이익(?)을 받기도 했지만, 이러한 사상이 집안의 밑거름이 되어 손자 찰스가 그런 이론을 펼칠 수 있었던 만큼 지금은 상당히 재조명되고 있는 인물이다.

이래즈머스는 자신의 아들들도 의사가 되기를 바랐다. 찰스 로버트 다윈의 아버지 로버트 워링 다윈은 이런 아버지의 바람대로 훌륭한 의사로 성장할 수 있었다. 경제적인 성공보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이래즈머스와 달리 로버트는 사회적으로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크게 성공하였다. 슈루즈베리는 잉글랜드 슈롭셔 주의 주도인데, 당시 로버트는 슈루즈베리의 3/4을 소유한 대지주였다. 그는 대부업이나 부동산업 등을 통해 재산을 크게 키웠으며, 그의 집인 '더 마운틴'에 드나드는 사람들은 의학적인 상담을 받기 위해 드나드는 사람도 있었지만 금전적인 거래나 기타 상담을 위해 드나드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다고 전해진다. 로버트 다윈은 고집이 있지만 온화한 아버지상의 인물이었다. 자신의 생각대로 아이들이 움직여주기를 바랐지만, 강요하거나 험하게 다루지는 않았다. 여기에는 아이들이 혹시 비뚤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그는 저녁이면 아들인 찰스과 함께 마차를 타고 산책하며 세상의 여러 이야기들을 해주곤 했다. 그러다가 이야기가 끊기면 찰스 다윈은 자신이 관찰한 새의 이야기들로 남은 부분을 채웠다.

찰스 다윈의 어머니인, 수재나 다윈도 상당한 상류층 가문 출신으로 도자기로 유명한 웨지우드 가문의 사람이었다. 조시아 웨지우드가 수재나의 부친으로 찰스 다윈에게는 외조부이다. 두 가문은 학문적, 사상적, 경제적 교류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찰스와 수재나와의 관계는 매우 깊은 관계가 아니었다. 당시 찰스의 육아를 맡은 것은 그의 누나들, 형이었고 그가 부모님과 만나는 시간은 기껏해야 저녁 후 1시간 정도였다고 한다. 게다가 찰스가 어머니 수재나와 사별한 것은 7살 때였기 때문에 그가 어머니의 사랑을 기억하기에는 너무 이른 나이였다. 실제로 찰스 다윈은 후에 어머니인 수재나에 대해 가진 기억이 거의 없다고 회고하였다. 다만 기억나는 것은 어머니가 죽던 날 자신과 누나가 매우 크게 울고 있었고, 하루 종일 그랬었다고. 로버트는 이후 다른 여자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로버트는 슈루즈베리의 한구석에 '더 마운틴'이라는 집을 짓고 살았다. 뒤편에는 작은 개천이 둘러 흐르고, 집을 조금만 벗어나면 숲이 있었다. 찰스 다윈은 이 개천과 숲에서 여러 생물을 관찰하거나 채집하였다. 그의 집에는 작은 다용도실도 있었는데, 찰스의 형인 이래즈머스[14]와 함께 화학 실험을 하며 박물학에 기초적인 관심을 가졌다. 다용도실의 반대편에는 작은 온실이 딸려 있었다. 이것은 아버지의 취미였는데, 다양한 식물을 기르고 상세히 기록하는 것을 꾸준히 하였다. 자연스럽게 아들 찰스 다윈도 아버지의 취미를 따라했으며 지금까지 전해지는 찰스 다윈의 노트에도 어린 시절 당시의 날씨나 식물의 길이, 모양 등을 기록한 내용들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찰스 다윈의 이러한 취미들은 그가 죽을 때까지 평생 이어졌으며, 훗날 '종의 기원'을 출간하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

집안에서도 다윈의 학문 연구에 대한 자금 지원을 해주었고 이러한 집안의 가풍은 다윈이 어진 성품과 생물학 분야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며 성장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다.

2.2. 학창시절

2.2.1. 슈루즈베리 학교

찰스 다윈은 1817년부터 1825년까지 초중등 교육을 받았는데, 초등학교중학교 시절 다윈이 다녔던 곳은 슈루즈베리의 중심부에 위치한 '슈루즈베리 학교'였다.[15] 하지만 다윈은 학생들의 재능과 개성을 살리지 못하는 암기 위주의 권위적인 교육 때문에 수업에 집중하지 못했고, 자연히 공부에도 영 소질을 보이지 못했다.[16]

그러니 성적은 낮을 수밖에 없었는데, 특히 라틴어나 고전 공부와 같은 당시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꼭 필요했던 과목들을 굉장히 못했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교사에게서 심한 욕을 듣기도 했고, 이 사실을 부친 로버트 워링 다윈에게 직접 통보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집안에선 그런 다윈을 꾸짖지 않고 집에서 자유로운 복습과 예습을 권장하였다. 찰스 다윈이 어릴 적부터 많은 사람들 앞에서 나서길 부끄러워하고 훗날 어른이 되어서도 논쟁에 나서면 무척 당황해한 버릇은 어릴 적의 교육 여파가 컸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그에게 아버지나 아우와 달리 매우 당찬 성격인 형 이래즈머스 다윈은 그런 걸로 부끄러워할 필요없다고 위로하며 그를 아껴주었다. 로버트 워링 다윈은 이 학교에 찰스를 계속 남겨두는 것이 그다지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고, 이래즈머스와 함께 의학 공부를 하라고 찰스를 에든버러로 보냈다.

2.2.2. 에든버러 대학교 의학과

1825년, 찰스 다윈은 자유로운 분위기의 에든버러 대학교 의학과에 입학했다. 당시 에든버러 대학교는 해부학계에서는 유럽 전역에 명성이 자자할 정도였으며 찰스 다윈의 집안은 매우 부유했으므로 스코틀랜드로 '유학'을 보낸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다윈은 여기서 1827년까지만 공부하다가 자퇴하였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당시의 대학교는 지금의 인강 사이트와 비슷하게 운영되었는데, 학생들은 강의를 듣기 위해 대학에 돈을 내는 것이 아니라 강사에게 직접 지불했고, 강사는 그 돈으로 생활비 등을 충당했다. 당연히 돈을 벌기 위해 소위 '돈이 되는 강의'를 하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런 경쟁에서 자유로운 강사들이 있었는데 그 강사의 과목이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경우였다. 이럴 경우 기본적인 학생수가 보장되므로 어떤 강의를 해도 문제될 것이 없었고, 대충대충 강의하는 교수들이 나타났다. 이런 대충대충 강의하는 교수들 중에는, 심지어 그의 아버지가 강의하던 강의록을 그대로 읽는 교수도 있었다. 그래도 수업이기 때문에 따라가려고 노력해 보았으나 다윈은 이내 지쳐버린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그가 들었던 해부학 수업이었다. 해부학으로 유명한 에든버러 대학교 답게 해부학 수업은 강사가 실제 사람의 시체를 가지고 해부를 하면서 진행되었는데, 다윈의 강의를 담당하던 교수[17]가 능력이 부족하여 좋은 시체를 구해오지 못했다. 이는 당시 스코틀랜드 법률이 바뀌면서 해부용 시신을 쉽게 구하기 어려웠던 이유가 컸다. 당시 해부학자들은 남몰래 묘지에서 죽은 지 얼마 안 된 시신을 파오는 도굴꾼들과 거래하는 것이 암묵의 룰이었는데, 망자에 대한 존중의식이 점점 신장하면서 도굴꾼들이 활동하기 어려워진 것이 큰 요인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다윈이 수강하던 시기, 해부학 수업에 사용된 시체는 온전한 시체라기보단 방부제에 절여진 덩어리에 불과했고, 공부할 만한 부분들이 이미 상당히 훼손되어 제대로 된 강의가 불가능했다. 게다가 학생들이 직접 실습할 시신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에 엄청난 수의 학생들이 강당에 모여 잘 보이지도 않는 시신을 멀찍이서 바라봐야만 했다. 그 시체를 보면서 다윈은 수술을 하는 것에 혐오감을 가졌다. 설상가상으로 교수의 강의력까지 좋지 않아 찰스 다윈은 이 수업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

또한, 그 당시에는 마취학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도 영향을 주었다. 수술을 하며 엄청난 고통을 겪는 환자들의 모습을 보고, 의사가 되어서 저런 수술을 해야 한다는 것에 큰 회의감을 느끼게 된 것이다. 공부하는 환경에도 적응하기 힘들고, 공부를 열심히 해도 의사가 되어 해부나 수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윈은 정말로 의사가 되기 싫어했다. 다윈은 점차 자신이 굳이 의사가 되어 생계를 책임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결국 그는 의사가 되는 길을 포기하고 1827년 에든버러 대학교를 자퇴하게 된다. 그는 의사가 되는 길보다는 성공회 신부가 되는 길이 낫겠다고 생각했고 로버트 워링 다윈은 이러한 아들의 생각을 받아들여 찰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 신학과에 입학하게 된다.

학교를 자퇴하기 전, 찰스 다윈은 로버트 그랜트와 함께 플리니안 학회에 소속되어 있었다. 이 학회는 에든버러에 다니는 학생들이 모여서 서로 연구한 것을 발표하고 함께하는 모임이었다. 로버트 그랜트는 찰스 다윈의 동료와 같은 존재였는데, 찰스에 비해 아는 것이 많고 연구 방법 등을 잘 알고 있을 뿐 아니라 젊은 과학자로 명성을 쌓고 있어 이내 찰스는 로버트 그랜트의 조수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둘은 함께 해양의 무척추동물을 연구하였는데 찰스는 이때 현미경을 다루는 법 등의 기본적인 생물학 연구 방법을 익히게 된다. 연구를 통해 아는 지식이 크게 늘어났음은 당연한 이야기다.

또한, 이때 이미 다윈은 진화론에 대한 생각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다. 당시의 도서 대출 목록이나, 그가 남긴 글을 보면 진화론적인 사상을 가졌던 할아버지 이래즈머스나 라마르크의 저서들을 읽어보았음은 명확하다. 이들뿐만 아니라, 당대에는 진화론적 관점을 가진 진보적인 사상가들이 많았기에[18] 다윈이 그 영향을 받았음은 틀림없다. 그와 자주 붙어다녔던 로버트 그랜트 역시 라마르크주의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 즉 다윈이 대학생인 시절에도 '진화'라는 개념은 낯선 개념이 아닌 학계 최신의 떠오르는 연구분야였으며 많은 '가설'들이 나오던 시점이었다.

사소한 이야기지만 의대 재학 시절 유명한 연쇄살인마와 엮인 적이 있다. 이 당시 연고 없는 노숙자나 극빈층을 골라 살해한 뒤 자연사로 위장해 에든버러 의대에 해부용 시체로 팔던 윌리엄 버크(William Burke)와 윌리엄 헤어(William Hare)[19]를 자주 만났기 때문이다. 교수를 대동하거나 혹은 혼자 만나서 시체상태를 살핀 뒤 시체값을 두고 흥정을 벌였는데 나중에 사건이 발각되자 이 때문에 다윈은 경찰 조사도 받고 법정에 나가 증언을 하기도 했다.[20] 그래서 후일 다윈이 진화론을 두고 공방을 벌일 때 공격 측에서 이 일을 거론하며 인신공격에 쓰기도 했다. 공격의 요지는 "당신 진짜로 그 시체들이 살해 당한 시체라는 걸 몰랐나?"는 것. 이 부분은 사이먼 페그 주연의 영국 영화 '버크와 헤어(Burke and Hare)'에도 나오는데 이 영화에서는 아예 다윈이 살해 당한 시체인 걸 눈치 채고도 사는 것처럼 묘사된다.

2.2.3.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과

에든버러 대학교를 자퇴한 후 다윈은 1827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에 입학하여 1831년에 졸업했다. 하지만 다윈 본인은 에든버러에서 그랬던 것처럼 자신이 배워야 하는 과목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교회에서의 사목보다는 박물학에 관심이 많아서, 친척 형인 폭스와 함께 곤충을 잡으러 다니거나 존 스티븐스 헨슬로[21]의 식물학 강의를 꼬박꼬박 챙겨들었다.[22] 다윈의 열정과 지적 능력 그리고 다윈의 가문은 찰스 다윈이 헨슬로의 총애를 받게 하는 데에 충분했기 때문에 이내 찰스는 헨슬로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헨슬로는 다윈이 광물학과 지질학을 배우면 훌륭한 박물학자가 될 것이라 생각했고, 같은 대학의 애덤 세지윅 교수에게 그를 소개시켜주었다. 지질학은 잘 모르는 자신보다는 애덤 세지윅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찰스는 케임브리지에서 사촌형 폭스, 교수인 헨슬로와 세지윅에게 곤충학, 식물학, 광물학, 지질학과 같은, 박물학의 여러 지식들을 흡수하게 된다.

이런 인연은, 현대 생물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건을 만들어낸다. 찰스 다윈이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해인 1831년 12월 27일 영국 해군의 탐험선 HMS 비글 함을 타고 약 5년(1836년 2월 10일까지) 동안 탐사 여행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시 그는 생물학자로서 승선한 게 아니라, 지질학 탐사와 과학 표본 수집을 원하는 로버트 피츠로이(1805~1865) 함장[23]의 지적 욕심에 따라 승선한 것이었다.

영국 해군은 세계 각지에 여러 탐험선들을 파견해서 측량과 과학 연구를 시키고 있었는데, 피츠로이 함장의 비글 함도 그중 하나였다. 비글 함은 과거에 연구 목적으로 출항하였다가 긴 항해 속 외로움으로 전임 함장이 자살하고 말았고, 새로 그 배의 함장이 된 피츠로이는 선배의 전철을 피하고자 젊은 의사나 과학자를 태워 교류하기를 원하여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헨슬로에게 그런 사람을 찾는 편지를 보내게 된다. 헨슬로는 곧바로 찰스 다윈을 추천하여, 22살의 찰스 다윈은 비글 함에 승선할 수 있게 된다.

다윈의 그 자리는 무보수였지만 항해 끝에 수집해온 진귀한 물건을 팔면 돈은 좀 될거라 꼬셨는데, 장거리 항해가 굉장히 위험한 모험이었으므로 제정신인 영국의 의사, 박사들은 모두 고개를 저었던 자리였다. 헌데 다윈은 젊은 나이의 패기 때문인지 이 자리를 멋도 모르고 학구적인 욕심으로 타겠다고 나선 것이었다.

2.2.4. 비글 함의 탐험 항로

영국 플리머스 항에서 출항 → 브라질 사우바도르 항 → 리우데자네이루우루과이 몬테비데오 → 포클랜드 섬 → 남아메리카 남단을 돌아서 → 칠레 발파라이소 →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태평양 횡단 →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아프리카 남단을 돌아서 → 대서양의 어센션 섬 → 다시 브라질 사우바도르 항 → 영국 콘월의 팰머스 항 도착

당시의 항해 기술로는 이 정도 항해를 하면 살아 돌아올 확률이 반 정도였다고 한다. 5년간의 탐험에서 무사히 돌아왔을 때, 다윈은 이미 엄청난 유명인사가 되어 있었다. 그가 탐험하며 기록한 것들을 전보를 통해 영국에 지속적으로 보내왔기 때문인데, 지질학, 광물학, 생물학에 걸친 자세하고 다양한 새로운 지식에 사람들은 어느새 다윈이 보내오는 다음 전보를 기다리게 되었다. 집에 돌아온 다윈은 세계 일주 탐험에서 수집한 많은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결과 보고서 작성에 노력하였다. 1837년 다윈은 이른바 "적색 메모장" (Red Notebook)에 최초로 종의 변화에 관한 착상을 기록하였다.

3. 학술 활동

1838년 지질학회 서기에 선출되었다. 1839년 1월 훌륭한 조수이자 외사촌인 에마 웨지우드(1808~1896)와 결혼한 후, 탐구 여행에 관한 보고서를 출판하는 등 활발한 학문활동을 했다. 지금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웨지우드 도자기 회사를 운영하는 에마의 집안과 다윈의 집안 모두 부유했기 때문에, 다윈은 학자로서의 연구활동에 집중할 수 있었다. 1842년 생물계에 관한 최초의 연구서 〈산호초의 구조와 분포〉를 발표했으며,같은 해에 종의 발생에 관해 착상했다. 1844년 〈화산도의 지질학적 관찰〉을 출판했고, 1846년 비글 함의 탐험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남미의 지질학적 관찰〉을 발표했다.

파일:external/www.chicagoontheaisle.com/Watercolors-of-Emma-Darwin-and-Charles-Darwin-1840-by-George-Richmond.jpg
(다윈 부부의 초상화. 왼쪽이 부인 에마 웨지우드)

이러한 활발한 학문활동은 다윈 혼자서 이룬 것이 아닌, 독일어 등 5개 언어에 능통한 에마의 번역 봉사를 받아서 이룬 것이기도 하다. 다윈은 흔히 진화론의 이론을 정리한 생물학자로만 알려져 있어서 당시 일부 보수 언론들은 다윈을 원숭이에 빗대는 풍자만화를 그릴 정도였다. 하지만, 그는 남아메리카 여행 당시 백인들의 흑인노예 제도에 격분하여, 노예제도를 반대하기도 했다.[24]

그는 남아메리카 여행 당시 피츠로이 함장과 노예 제도 문제로 논쟁을 벌인 적이 있는데, 함장이 노예들이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해 모두 그렇다고 대답한다고 하자, 다윈은 이에 대해서 만약 주인이 없는 곳에서도 그런 말을 하겠느냐고 응수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백인 주인들이 노예들을 학대하는 노예제도를 싫어했으며 반대했다.[25]

비록 다윈의 이론을 곡해한 결과이긴 했으나, 아래의 허버트 스펜서사회진화론을 주창한 것도 이런 생각의 연장선이다. 그리고 피츠로이는 뒷날 뉴질랜드의 2대 총독으로 부임했을 당시에 백인들의 침략으로 인해 고통받던 마오리족들의 권리를 최대한 인정해 주려고 한 바도 있다.]. 또한 자신의 생물학적 진화론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 사회진화론을 주창한 허버트 스펜서[26] 대해 "그의 이론은 과학적 측면에서는 전혀 가치가 없다."며 신랄한 혹평을 가했다.[27]

앞의 이야기와는 꽤 모순되게 보이겠지만 아르헨티나에서 원주민들이 살해당하고 아이들이 노예로 잡혀가는 것을 보고 "이 그리스도교 문명 사회에서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 있다니 놀라울 테지만 나는 이들(원주민)이 그런 대우를 받는 데 그다지 불평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28]

이는 인종 자체를 열등하게 본 것이 아니라, 원주민 사회의 환경이 다윈의 기준에서는 야만적으로 보였던 것이다. 링크[29]

이 점이 와전되어 '다윈은 원주민들이 원숭이처럼 진화가 덜 된 존재라고 생각했는데, 수십 년 후 선교사들이 전한 복음을 받아들여 문명 생활을 하는 것을 알고는 진화론을 주장한 것을 후회했다.'는 낭설이 우리나라 개신교인 사이에서 퍼졌다. 하지만, 다윈은 원주민들이 뒤쳐저 있어서 비참한 상황을 면할 수 없었던 것이라 한 것이지, 이들이 문명화될 수 없다고 여긴 것은 아니다. 위 링크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인종보다는 문화적 이질성이 갈등의 원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지금 기준으로 보면, 자문화 중심주의라는 점에서 비판받을 여지가 있지만, 사실 지금도, 우리의 기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문화를 고집하는 지역에 대해 '그들 사회 사람들은 차별받아도 싸다'는 식으로 비난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음을 생각한다면, 다윈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게다가 다윈이 살았던 시대는 19세기다. 현대의 시각으로 다윈을 평가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
파일:종의기원초판.jpg
귀국 직후 종의 기원을 저술하기 시작했지만 세상에 미칠 파장을 염려, 더 확실한 증거를 모으기 위해 20년이 넘는 세월을 기다렸다. 이후, 훗날 다윈의 평생 친구이자 선의의 라이벌이 된 생물학자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 1823~1913)가 인도네시아에서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자신에게 보낸 논문과 편지에 담긴 학설이 진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자[30] 다윈은 1858년 월리스와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했고, 1859년이 되어서야 종의 기원을 출판하게 된다. 월리스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뺏겼다고 생각할 만도 하지만, 오히려 다윈과 논문을 공동으로 발표하는 것을 '가문의 영광'이라고 표현했다. 이후로도 다윈과의 교류를 통해 다윈의 학설이 더 완성도 있고 설득력 있음을 인정하고 함께 진화론을 연구하는 동반자의 길을 걸었다.[31]

월리스는 늘그막에는 심령과학적인 면에 빠져들어서 심령학으로 병을 고친다는 사기에 빠져들기도 했다. 그러나 월리스 역시 동남아에서 여러 생물 연구 및 체계 조사 같은 면이나 다른 생물학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다.[32][33]

이런 진화론에 대하여 영국은 물론 전유럽에서 찬반이 오고갔다. 하지만 진화론에 대하여 비슷한 생각을 가진 이들은 세계에서 여럿 있었으며 진화론이 나오자 공식적으로 지지하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34]

심지어 영국을 라이벌 삼던 프랑스에선 오랫동안 묻혀졌던 용불용설을 다시 발굴해내 이 주장을 한 라마르크의 유일한 혈육인 작은 딸에게 훈장을 수여하고 이것을 대대적으로 알리면서 우린 다윈보다 50년은 앞서 진화론 비슷한 주장을 한 이가 있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다윈에게 진화론에 대한 주장을 보이라는 초청이 많았으나 수줍음이 많고 많아 사람들이 나가는 자리를 꺼린 그는 일절 응하지 않았다. 다윈이 진화론을 정립하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로 밖에 나가는 걸 두려워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대신 진화론의 열광적인 지지자인 토머스 헉슬리(1825~1895)[35]나 조지프 후커(1817~1911) 같은 후배들이 대신 나서서 이런 논쟁에서 격렬하게 맞섰다.

피츠로이 제독은 독실한 성공회 신도였는데, 그는 진화론에 대하여 비난했다. 그 뒤에 피츠로이는 1863년 해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나 이 당시 우울증 및 가정적인 문제로 시달리고 있었다가 1865년 4월 30일 아침, 면도하는 자리에서 면도칼로 목을 찔러 자살했다. 자살 5년 전에 이미 정신이 이상해져 성서를 머리 위로 치켜들고 방안을 왔다갔다 하면서 '성경을! 성경을!'이라고 고함을 질러댔다고도 한다. 이쯤 되면 다윈에 대하여 그는 그다지 좋지 않은 감정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진화론 문제 말고도 당시 그는 정치가로서 활동을 말아 먹어서 빚도 지고 여러 모로 실패한 경력으로 경제적 고민에 시달려 아내와 이혼했었다.

하지만 다윈이 피츠로이 제독을 싫어했던 건 아니다. 다윈은 자서전에서 피츠로이 제독을 이렇게 평했다.
그는 의무에 충실하고 실패에 관대하고, 용감하고, 의지가 강하고, 불굴의 정신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지휘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전부 이 열성적인 친구였다 ... 큰 단점으로 욱하는 성질이 있었지만 그의 성격의 일부는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사람 중 가장 훌륭했다.[36]

이후 인간의 진화와 성 선택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를 출간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종의 기원에서도 인간 역시 진화의 산물이라는 점이 암시되었고 성 선택에 대한 설명이 있었지만, 이 책에서는 인간이 창조가 아닌 진화의 산물이라는 점이 명백하고도 상세하게 설명됐기 때문이다. 해부학자인 미바트 같은 사람들은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을 출판하는 것이 관습 뿐만 아니라 법에 저촉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4. 말년

진화론 하나로 세계적인 화제를 낳았으며, 2015년에 공개된 비밀편지의 내용을 보면 성서도 예수도 믿지 않는다며 종교적 소신을 명확히 밝혔다. 편지가 공개되기 전의 관련 기록에서는 다윈이 종교에 대해서 분명하게 언급하지 않고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서, 일부 기독교인들이 퍼뜨린 '다윈이 죽기 직전 회개하고 진화론을 부정하였다'는 루머가 버젓이 돌아다녔다. 하지만 공개된 편지에서 다윈은 신탁으로서의 성서를 부인하고, 예수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지 않는다고 밝히게 돼 유감이라고 명확히 적어놓았다. 여담으로 그 편지는 경매에 붙여졌고 197,000달러에 낙찰되었다.

다윈의 자서전을 보면 그 자신이 기독교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린 것만은 명백한 듯하다. 자서전 86~87페이지를 보면,
"...하지만 나는 정말로 내 (기독교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내가 이걸 확신할 수 있는 것은, 몇번이고 자주 유명한 로마인들 사이의 오래된 서신들이나 폼페이 등지에서 발굴된 문서들이 복음서들의 모든 내용을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확인시켜 주는 몽상들을 지어낸 것을 확실히 기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내 상상력이 억압되지 않는 여유를 주면서 동시에 나 자신을 설득할 만큼 충분한 증거를 생각해내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불신은 느리지만 완전하게 나를 집어삼켰다. 그 속도는 내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만큼 충분히 느렸고 또한 그 뒤 단 일 초도 내 결론이 맞다는 것을 의심해 본 적이 없었다. 나는 어떻게 해서 누군가 기독교를 사실이라고 여길 수 있는지 참으로 알기 어렵다. 만약 경전의 문구들이 보여주듯이 내 아버지와 형제들, 거의 모든 내 절친한 친구들이 포함된 불신자들이 영원히 처벌 받는다면 말이다. 이것은 참으로 지독한 교리다..."
라고 말하고 있다.

앞서 말한 헉슬리나 조지프 후커를 비롯한 지지자들의 강력한 옹호를 받았으며 생전에 그다지 큰 어려움은 없었다. 게다가 형인 에라스무스는 편지로 진화론을 강력하게 지지했었기에 그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 (다윈의 일기를 봐도 그걸 매우 기뻐했다.) 원래 집안이 꽤 넉넉한 집안이었거니와 그가 죽을 당시에도 이미 영국 여러 왕립학회 과학자들이 그를 위대한 학자이자 영국의 자랑이라고 찬양하고 있었다. 덕분에 왕립학회 회원으로 거리낌없이 활동했고 연금도 받았다.

게다가 그를 굳게 믿고 지지하던 형 에라스무스 다윈은 사업가로서 큰 성공을 거뒀는데 에라스무스는 자식이 없어서 1881년 죽을 당시 10만 파운드가 넘는 거액의 재산을 다윈과 누이동생 하나(여럿 형제가 있었는데 에라스무스가 죽을 당시 둘만 살아있었다)에게 남겨줬고 다윈 본인도 죽을 당시 전재산이 25만 파운드가 넘는 부자였기에 다윈은 적어도 아내인 에마와 자식들, 손자들의 생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다.

늘그막에는 여러 동식물 연구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그 범위는 척추 고등 동물에서부터 균류까지 매우 다양했다. 특히 식충식물 연구에는 아주 큰 업적을 남겼다. 1879년에 마지막으로 쓴 저서가 바로 식충식물 및 여러 식물 연구에 대한 책자인데 초판 8천 권이 전회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하지만 식충식물 사기꾼에게 이용당한 적도 있다.

그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다윈은 1870년에도 식충식물에 대한 연구 책자도 써서 상당한 인정도 받고 책도 꽤 팔렸다. 그런데 이 책을 본 독일인 칼 리쉬라는 자가 1874년 다윈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이 마다가스카르에서 사람도 잡아먹는 거대한 식인나무가 있는 걸 봤다고 할 때 다윈은 "자세히 모르겠으나 어딘가 미지의 알려지지 않은 곳에선 지금 우리의 상상을 넘는 동식물이 있을테니까 그게 이상한 건 아니다."라는 답장을 보냈는데 이 작자가 이걸 다윈도 이걸 공식으로 인정했다는 투로 나중에 낸 책 서문에 써먹어버린 거였다. 물론 나중에 드러난 것은 당연히 사기극이었다. 당시에도 다윈은 억울하게 이용당했다고 밝혀졌지만… 다윈은 이 일로 한동안 활동을 삼가고 꽤 불편하게 지냈다.

다윈의 연구에 대한 집요함은 정말 대단했는데, 지금 기준으로도 세상 그 누가 따개비를 몇년간 집요하게 연구해 그것이 조개의 일종이 아니라 새우와 같은 갑각류의 일종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용자 짓을 할 수 있을까? 다윈의 이런 집요함이 만들어낸 업적 중 하나가 바로 지렁이의 생태와 토양과의 관련성을 연구, 땅을 기름지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The Formation of Vegetable Mould Through the Action of Worms)을 집필한 것이다. 이것 때문에 그 동안 지렁이를 지극히 가련하고 하찮은 생물로만 여겨 온 학계가 발칵 뒤집혔다.

식물과 곤충을 연구하던 도중 자신이 내세운 공진화 개념에 따른 새로운 종을 예견하기도 했다. 다윈은 안그레쿰 세스퀴페달레(Angraecum sesquipedale)라는 마다가스카르의 난초를 관찰하다가 이 난초의 꽃은 꿀주머니의 길이가 28cm를 넘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꿀을 빠는 주둥이의 길이가 이보다 더 긴 곤충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리고 실제로 다윈이 사망한 뒤인 1903년 마다가스카르에서 다윈이 예상한 수준으로 주둥이가 긴 나방이 발견되었다. 이 나방에는 크산토판 모르가니 프레딕타(Xanthopan morgani praedicta, 크산토판박각시나방)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프레딕타(praedicta)는 예견되다는 뜻으로 다윈이 예견한 아종이라는 뜻이다.

그 밖에 곤충기로 유명한 곤충학자 장 앙리 파브르와 친하게 지냈으며, 서로 연구한 벌레에 대한 자료와 의견을 보내기도 했다. 비록 파브르는 진화론에 대하여 부정적이었지만[37], 둘은 절대로 이 일로 싸우지 않았으며 서로 생각을 존중하며 친하게 지냈다. 다윈은 개미들을 연구했는데 아이디어를 내서 개미들을 작은 섬을 만들게 해서 섬에서만 살아가게 하여 이걸 연구했다. 간단하게 작은 인공호수를 만들고, 거기에 흙을 가득 부어서 작은 섬을 만들고 배를 여러 사람이 개미들을 가득 넣은 상자를 흙 위에 올려둬서 개미가 물 바깥으로 못 나오게 하고 개미들이 이 섬에서 어찌 사는지 세세하게 연구하고 관찰했다. 이걸 파브르에게 상세하게 연구결과를 이야기하자 파브르도 재미있어하며 책으로 내면 좋겠다라고 권유하며 그의 연구를 인정해줬다.

아무튼, 늘그막 고령에도 열심히 연구하던 다윈은 1882년 4월 19일 73살로 세상을 떠났다. 유족들이 밝힌 그의 마지막 유언은 이랬다.
"쓰러질 것 같소....."
4월 18일 오후 3시 30분쯤에 아내 에마에게 남긴 말이었고, 이후 혼수상태에 빠져 다음 날 숨을 거뒀다.

보통 흔히 알려진 "난 죽는 게 두렵지 않아." 라는 말은 유언이 아니라 죽기 나흘 전인 4월 15일에 산책 도중에 아내인 에마에게 한 말이라고 한다. 에마의 증언에 의하면 이미 60대 때부터 다윈은 여러 병에 시달려 자주 요양을 가고 같이 누워서 안정을 취했는데, 70대가 넘으면서 혼수상태가 되는 일이 잦아지자 죽기 며칠 전에 자신의 손을 잡으면서 단호하게 하던 말이었다고 한다. 또한 에마는 다윈은 죽을 때까지 자신의 연구를 부정하는 건 일절 없었고 당당하게 여겼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다윈이 유언으로 진화론을 부정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고인을 모독하는 엉터리 주장이라고 분노했다. 그렇게 그녀는 평온하게 살면서 14년 뒤에 남편을 따라갔다. 오랫동안 그냥 다윈의 아내로만 알려졌던 그녀도 조수이자 남편의 연구를 돕던 반려자라는 걸 부각시킨 그녀에 대한 전기가 2001년에서야 나오게 되었다.

파일:external/www.thesundaytimes.co.uk/darwin_19958a.jpg
(말년의 다윈 부부)

다윈과 에마가 낳은 아이들도 6남 4녀나 되었다. 큰딸인 안나 엘리자베스(1841~1851), 둘째 딸 메리 엘리너(1842), 막내 아들 찰스 워링(1856~1858)은 일찍 죽었지만 나머지 7명은 꽤 오래 살다가 갔으며 업적도 남겼다.
  • 윌리엄 이래즈머스 다윈(1839~1914) - 큰아들. 아동심리학자, 교육자
  • 헨리에타 에마 다윈(1843~1927) - 아버지에 대한 자서전 집필에 참여했다. 열성적인 기독교도였지만 아버지의 유언을 조작하던 자들에게 헛소리 말라면서 일갈했다. 당연하지만 다윈의 아이들은 누구도 진화론을 부정하지 않았다.
  • 조지 하워드 다윈(1845~1912) - 천문학자, 수학자로 영국 왕실과학협회 금메달을 받았다. 재미있게도 그의 아들의 이름도 할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찰스 다윈이다. 단 미들네임은 골턴(Galton). 그리고, 막내딸 마가렛 엘리자베트는 후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조카와 결혼. 위의 뉴턴을 예사로 할 영향력을 끼친 인물과 사돈이 되었다.
  • 엘리자베스 다윈(1847~1926) - 가정주부
  • 프랜시스 다윈(1848~1925) - 식물학자, 왕실학회 회원.
  • 레너드 다윈(1850~1943) - 군인, 경제학자, 과학자, 우생학자… 우생학 참고
  • 호러스 다윈(1851~1928) - 건축가, 토목기사

파일:external/www.theexaminingroom.com/darwin-grave.jpg
다윈은 당당하게 웨스트민스터 성당에 묻혀져서 생전에도 대과학자로 국가적 인정을 받음을 보여주었다. 되려 다윈은 형 에라스와 부모와 할아버지가 묻혀진 가족무덤에 묻혀지길 바랐으나 되려 영국신문들과 여론이 그런 위인을 웨스트민스터가 외면하면 국가적 망신이라고 주장하여 성당에 묻힌 것이다. 오죽하면 당시 타임스는 이렇게 기사를 썼다.
이젠 영국이 다윈을 위대하게 포장하는 데 안달이 났다. 물론 그는 당연히 그럴 자격이 있는 인물이다.

1835년 갈라파고스 제도를 방문할 당시 갈라파고스땅거북 세 마리를 영국으로 가져왔었는데, 이 거북이 중 한 마리인 "헤리엇"[38]은 무려 2006년까지, 175년 동안 생존했다. 당연히도 기네스북에 올랐던 거북이다. 사인은 노화로 인한 심장마비.

5. 저서

  • 비글호 항해기 (Voyages of the Adventure and Beagle, 1839 London)
  • 산호초의 구조와 분포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oral Reefs, 1842 London)
  • 화산도의 지질학적 관찰 (Geological Observation on the vocanic Islands, 1844 London)
  • 남미의 지질학적 관찰 (Geological Obeservation on South America 1846 London)
  • 종의 기원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1859 London)
  •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1871 London)
  •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 in animals, 1872)

6. 명언

가장 강한 것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고, 가장 똑똑하다고 해서 살아남는 것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 살아남는다. (적자생존)
But I own that I cannot see, as plainly as others do, & as I should wish to do, evidence of design & beneficence on all sides of us. There seems to me too much misery in the world.
나는 남들처럼 아무런 증거도 없이 속 편하게 우리가 설계된 존재이고 은총 입은 존재라고 믿을 수 없다. 내가 볼 때 세계에는 너무나 많은 고통이 있는 듯 하다.
- Asa Gray에게 보낸 편지에서
인간과 고등 포유류 사이에는 정신적인 능력에서 아무런 기초적인 차이가 없다. 그 차이는 아무리 크다해도, 그것은 종류의 차이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이다.
- 저서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에서
우리는 사랑, 기억, 집중, 호기심, 흉내, 사유 등과 같이 인간들이 자랑스러워하는 감성과 직관이 동물들에게서도 나타나는것을 보아왔다.
어떤 동물이든지, 부모와 자식으로서의 도리 같은 명확한 사회적 본능을 익히게되면, 지능이 발달해감에따라 약간의 도덕적 감각 혹은 양심을 후천적으로 습득한다. 사람과 마찬가지다. 모든 생명 있는 피조물에 대한 애정이 인간의 본성 중 가장 귀한 것이다.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동물들은 떨어져 있을경우 서로를 부르게 되며, 만났을 때 매우 기뻐한다. 한 예로서 동료로 지내던 말이 돌아왔을 때, 그 말을 보고서 울부짖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어미는 새끼를 잃어버렸을때 끊임없이 소리쳐 부른다. 이것은 소와 송아지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새끼 역시 어미를 찾아 소리쳐 부른다. 양떼가 흩어지면 암양은 새끼 양을 찾아 끊임없이 울부짖으며 서로 다시 만났을때 매우 기뻐한다.
- 저서 《인간과 동물의 감정표현》에서
In the distant future I see open fields for far more important researches. Psychology will be based on a new foundation, that of the necessary acquirement of each mental power and capacity by gradation. Light will be thrown on the origin of man and his history. (On the Origin of Species ,1859 - CHAPTER XIV. Recapitulation and Conclusion)[39]
먼 미래에 나는 훨씬 더 중요한 연구를 위한 열린 분야를 봅니다. 이 심리학은 단계적으로 각 정신력과 능력의 필요한 습득이라는 새로운 토대를 기반으로 할 것입니다. 인간의 기원과 그 역사에 빛이 비쳐질 것입니다. (종의 기원, 1859 - 제14장 요약 및 결론)

7. 후세 인물들의 평

...다윈 같은 이들은 사물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그것이 과학자들의 비결일까요?
소로의 일기 1851년 7월 23일 中 다윈에 대한 소로의 생각.
저는 씨가 없던 곳에 싹이 날 줄은 믿지 않지만 씨에 대해서는 큰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맹목적으로 자기 주도적이고, 투쟁과 우연에 의해 주도되고, 저절로 저작되는 자연 세계에는 경이로움이 있습니다.
1860년 소로가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은 후 내린 결론. #
- 헨리 데이빗 소로, 초월주의자, 생태주의자[40]
많은 생물학 분야가 그에 의해 영감을 받았고, 그를 창설자, 개척자라고 주장한다. 놀라운 것은 다윈의 가설에 기초하거나 그 가설을 검증하려한 많은 연구가 기본적으로 그를 변함없이 정당화시켜 왔다는 것이다.
- 콘라트 로렌츠, 동물학자,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다윈은 저의 지적 영웅입니다. 종의 기원은 현재도 유효한 생물학적 저서입니다.
- 장대익, 생물학자, 서울대 자율전공학부 교수
사실, 20세기를 형성했다고 알려진 3대 19세기 지적 거인-다윈, 마르크스, 프로이트 중 다윈만이 여전히 건재하다#
- 마이클 셔머, 작가
지구의 생물체는 자신들 중의 하나가 진실을 밝혀내기 전까지 30억년 동안 자기가 왜 존재하는가를 모르고 살았다. 진실을 밝힌 그의 이름은 찰스 다윈이었다. 정확히 말하면 몇몇 사람들도 어느 정도 진실을 느끼고는 있었지만 우리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일관성있고 조리있는 설명을 종합한 사람은 다윈이었다.
- 리처드 도킨스, 생물학자

8. 기타

  • 어린 시절, 그는 거짓말까지 하며 어른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한 적이 있다. 그런데 그 와중에서도 완전 허황된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 그의 첫사랑은 굉장히 말괄량이였다. 얌전하고 뚱뚱한 범생이 스타일의 남자애와 말 많고 활달한 여자애의 로맨스는 그다지 오래가지는 않았고, 썸만 타다가 끝났다.
  • 찰스 다윈은 아버지가 자신의 능력이나 정신력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의 가족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그의 누나는 찰스의 아버지가 찰스를 굉장히 아끼고 그의 능력을 잘 이해한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찰스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해 안타깝다는 말과 함께. 찰스 다윈은 교사들도 자신을 평균 수준에 못 미치는 아이로 생각한다고 느꼈다.
  • 자신이 부잣집 자식임을 깨닫게 된 이후, 그는 아버지의 돈을 마음껏 썼다고. 덕분에 아버지에게 처음은 혼나긴 했지만 이 돈을 쓴게 당시에는 비싸지만 다양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을 엄청 사오거나 온갖 연구 장비를 사온 것 같이 학문 연구 쪽에 쓴 거라서 아버지도 쾌락이나 낭비보단 낫다고 그가 마구 사모은 것을 보고 이해도 해주었다고 한다.
  • 그는 곤충 채집이라는 취미를 굉장히 본격적으로 했다. 한번은 여러 마리의 곤충을 발견해서 채집했는데 곤충을 들 손이 없어 입속에 폭탄먼지벌레를 넣었다가 입에 화상을 입기도 하고 아예 조수를 몇명 두고 대신 곤충 채집을 시킬 정도였다. 물론 거기에 필요한 돈은 아버지에게서 나왔다. 참고로 그가 생전에 채집한 곤충들은 아직도 분류가 끝나지 않았다고 한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를 다니던 시절, 지질학자 애덤 세지윅과 지질 탐사를 겸하여 나갔다가 더 마운틴(다윈의 집)에 들르기로 하였다. 다윈은 크게 기대하면서 세지윅이 방문하기 전에 슈루즈베리 주변의 지질 조사를 하고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러다가 특이한 사실을 알게 되어 세지윅이 방문했을 때 세지윅에게 말했는데, 그는 크게 웃으면서 그런 건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찰스 다윈 역시 근거가 부족함을 인정했지만 크게 부끄러워했다고 한다. 아마도 이 사건에 영향을 받아 더 자세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종의 기원의 출판이 20년이나 미뤄지지 않았을까 하는 의견도 있다.
  • 그는 성직자가 되는 것을 굉장히 진지하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하지만 생전 썼던 편지를 보면 딸 애니의 죽음 이후 신앙을 잃었으며, 본격적으로 연구에 집중하고 불가지론자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로버트 그랜트가 자신의 많은 연구 성과 중에 찰스 다윈의 연구 결과를 끼워서 자신의 연구 결과로 발표해버린 적이 있다. 찰스는 이때 굉장히 기분이 나빴다고 한다. 결국 그는 로버트 그랜트와 사이가 틀어지게 된다. 이 사건은 다윈의 성격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20년이나 질질 끌던 종의 기원의 출판이 급물살을 타고 이뤄진 것은 다른 사람이 자신과 같은 결론에 거의 도달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었다.
  • 그는 진화(evolution)란 용어를 썩 좋게 보지는 않았다. 찰스 다윈이 저서에서 처음으로 '진화'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종의 기원이 발간된 지 12년 후인 1871년 출간된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부터 이다. 종의 기원은 1859년 출판된 후 1872년까지 총 여섯 번 수정판이 나왔는데, '진화(evolution)'라는 단어가 사용된것은 1872년 6판부터다. 그는 그 대신 변이를 수반한 유전(descent with modification)이라는 말을 더 많이 썼다. 유전적 변화가 좋은 방향(진화)으로만 일어난다고 생각치 않았기 때문이다.
  • 당시 멸시받던 지렁이가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도 다윈이다. 물론 연구 도중 비웃음을 많이 받았다. 당시에 진화론 발표 때문에 안 그래도 미친 영감 취급받았던 다윈을 갖고 드디어 단단히 미쳤다고, 아예 인류의 조상은 지렁이라고 하지 그러냐고 하는 사람들도 엄청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 다윈이 인정받고 유명해지면서 이것도 인정받아 지렁이 연구가 더 많이 이뤄진다.
  • 당시 조개의 일종이라고 알려져 있던 따개비가 갑각류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사실, 진화론이나 종의 기원만으로 다윈의 공적을 이야기하는 건 터무니없을 정도로 다윈은 많은 동식물 연구에 큰 기여를 한 고생물학, 생물학 분야의 먼치킨이다. 파브르와 친하게 지내며 곤충 연구에도 재능이 있다라고 파브르가 다윈을 인정할 정도였다.
  • 따개비를 연구하며 본인이 의도한건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밝혀낸 사실이 하나 더 있었는데, 바로 따개비에서 기러기가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냐고 할 수 있는데, 과거 중세 유럽에선 철새라는 개념에 대해 알지 못했고 따라서 유럽으로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왔다가 여름이 되면 다른 곳으로 닐아가는 기러기(거위)에 대해 갑자기 나타났다가 갑자기 사라지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다가 단순히 유럽지역에 서식하던 흰뺨기러기(Barnacle Goose)와 따개비의 색이 꽤 비슷하다는 이유만으로 따개비에서 기러기가 태어난다고 생각했고, 이 믿음이 그대로 지속되어 전해져 내려온 것. 다윈의 따개비 연구 덕분에 따개비에 대해 자세한 사실들이 밝혀지게 되었고, 따라서 따개비에서 기러기가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의도치않게 밝혀지게 되었다.
  • 식충식물 중에서도 파리지옥을 매우 신기해하고 관심을 많이 가졌었다. 다윈은 파리지옥을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식물"이라며 칭송했다고 한다.
  • 이처럼 진화론 외에도 생물학 자체를 대표하는 워낙 압도적인 인물이다보니, 영국 런던자연사 박물관 1층 로비의 계단 중앙에는 그의 동상이 위엄있게 자리잡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 자연사 박물관 건립에 기여한 이가 밑에 후술한 리차드 오언 경이다. 그럼에도, 그는 끝내 박물관장이 되지 못했는데, 당대에도 개차반 성격 때문에 학계에서 엄청난 반발을 얻어 관장이 되지 못했다는 게 지배적인 의견이다.
  • 평생을 지병인 두통과 위장병으로 고생했으며, 비글호 항해 뒤에는 더 심해졌다.
  • 어딘가에 소속되어 일하는 직업은 평생 가져본 적이 없지만, 재산은 인세와 강연등으로 몇 배로 불어났다고 한다.
  • 다윈상이라는 상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찰스 다윈과 반목하던 고생물학자로 리처드 오언 경(Sir Richard Owen, 1804~1892)이 있다. 이 사람이 바로 Dinosaur라는 단어를 만들어 낸 사람으로 유명하다. 그만큼, 확실히 고생물학자 및 온갖 생물 연구, 화석 연구, 논문 저술 등등으로 경 작위와 훈장도 받았을 정도로 안티들, 다윈이나 다윈의 추종자들 모두가 그 재능을 인정하던 유능한 먼치킨 학자로 나이 서른 초반에 영국 왕립대학교 교수가 될 정도였다. 그러나, 됨됨이는 그야말로 최악이라 오만방자하고 남이 이룩한 공로를 빼앗으려는 짓도 벌이다가 이게 들켜서 학계에서 만장일치로 추방당하며 대학교수에서 나이 마흔 한창 나이로 쫓겨나는 온갖 추한 모습을 보였다. 재능이나 업적은 온갖 인정을 받은지라 온갖 동물 연구라든지 화석 연구에 엄청난 업적을 남겨 죽을 때까지 왕실에서 하사하는 두둑한 연금도 받고, 늘그막에서 살던 큼직한 별장까지도 빅토리아 여왕이 하사했을 정도. 하지만, 막가파 성격과 온갖 추태로 학계에서 철저하게 버려져 늘그막을 쓸쓸하게 살다가 죽었다. 영국 자연박물관 설립에도 이바지했음에도 박물관장 자리도 많은 학자들이 반대할 정도였다.그나마, 빅토리아 여왕의 배려로 초대 자연사 박물관장에 임명되었지만 이땐 77살 고령으로 명예직으로 오른 셈이었기에 오래가지 않아 은퇴했다. 그는 다윈과 반목한 점으로도 유명하지만 무신론자로서 창조설을 지지하는 동료 학자들에게도 반목했고 그런 끝에 잊혀져 많은 사람들 축복과 장례식 참가, 온갖 언론의 미사여구를 듣으며 많은 식구들을 두고 편히 눈감은 다윈과 달리 아내와 아들을 모두 잃고 달갑지 않은 88살 장수를 누려야 했고, 죽을때도 언론에게 작게 다뤄지며 친척과 유족이나 일부 참여한 장례식이 치러져 잊혀진 이름이 된지 오래였다.
  • 인생의 동반자 에마 웨지우드는 전술했듯이 외삼촌의 딸로 사촌관계이다.[41] 재밌는건 다윈의 누이는 부인의 오빠와 결혼했다. 사촌끼리 결혼을 한 데다 겹사돈을 맺었다.
  • 2015년에 유비소프트에서 제작한 게임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에 출연한다. 다윈의 지성을 알아본 템플기사단이 협력을 요청하였지만 단칼에 거절해버리고 템플기사단에 의해 원숭이 몸과 다윈의 얼굴 삽화를 합성하는 등의 조롱을 당하여 곤혹을 치르게 되고 그 와중에 프라이 남매를 만나게 된다.
  • 주식투자를 매우 잘해서 부인의 재산을 수없이 불렸다. 당시에는 신산업이였던 철도와 방직과 관련한 투자로 돈을 많이벌었다. 한마디로 기술주 투자를 매우 잘했다고 할 수 있다.
  • 다윈이 결혼에 관해서 장단점을 요인별로 분석한 것이 유명하다. 다윈은 결국 결혼했으니까 아마도 결혼의 장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 것 같다. 현대인과 관점이 비슷하다.
결혼의 단점 결혼의 장점
다툼, 자유박탈 아이
혼자 여행 불가능 지속적 동반자
끔찍한 시간낭비 같이 놀 수 있는 상대
돈을 벌어야 하는 의무감 늙고 난 다음 친구
친구들과 클럽에서 노는것 불가능 살림 해 줄 사람
수집 못함 여자의 풍부한 화젯거리 및 수다
책도 볼 시간 줄어듬 상냥한 아내와 난로 옆 소파
친지 방문 강요 건강에 도움이 됨
가난한 노예로 전락 어쨋거나 개를 키우는 것보다는 낫다
  • 2025년 1월 환경운동가들이 찰스다윈의 무덤을 훼손시켰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파일:찰스다윈 흑사진1.svg
<tablebgcolor=#000>찰스 다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업적 <colcolor=#000,#fff>진화생물학(자연 선택)
생애 생애
소속 케임브리지 대학교(크라이스트 컬리지) · HMS 비글
관련 학자 허버트 스펜서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기타 유전학
}}}}}}}}} ||



[1] 왕립학회 회원.[2] 왕립지리학회 회원.[3] 런던 린네학회 회원.[4] 런던 동물학학회 회원.[5]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과 같은 년월일에 태어났다. 아래에도 설명하겠지만 두 사람은 생년월일 말고도 비슷한 점이 많았다. 어려서 어머니가 돌아가신 점, 셰익스피어와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취미, 자식을 일찍 잃은 비극, 노예제 폐지를 지지한 것 등이다. 다만 태어난 곳과 시간은 당연히 다르다.[6] 혹은 자연지리학자.[7] # 6 피트.[8] 왕립학회가 매년 영국 연방에서 "자연에 대한 지식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두 사람과 "응용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한 사람에게 주는 상.[9] 과학 업적에 대해 수여되는 가장 오래된 상.[10] 천문학자이며, 의 기원 중 하나인 지구가 생성하던 도중 현재의 태평양의 자리에서 분리되어 달이 생성되었다는 분리설을 발표한 인물이다. 현재는 분리설이 인정되지 않는다.[11]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신앙을 버린 이후 이신론과 불가지론 사이의 어딘가였다는 것이 중론이다.[12] 1794년 동물학(Zoonomia)이라는 책을 썼는데 "모든 온혈 동물은 자신의 일부를 변형하는 힘을 갖고 있고, 이렇게 개량된 형질은 자손에게 이어진다"라고 기록하였다. 그의 이런 사상은 찰스 다윈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 아이디어에 대해 책 한 권까지 썼다면 깊이 파고든 셈이고, 다만 손자만큼 전문적으로 파고들지 못했을 뿐이다.[13] 어차피 이 시기는 중세도 아니고 교회에서 파문당한다고 해도 사회적으로 매장되는 일 따위는 없었던, 종교의 힘이 엄청나게 줄어든 시기였다. 그래서 이래즈머스는 성공회 측으로부터 파문을 당했음에도 아무런 타격도 입지 않았다. 뒷날 그의 손자인 찰스도 진화론과 관련된 이유로 종교계의 공격을 받았음에도 오히려 승승장구 했고, 되려 그와 대립하게 된 인물이자 진화론이 종교의 가르침에 반한다고 주장한 윌버포스 주교가 입에 게거품을 물면서 창조론을 설파했다가 세간으로부터 시대에 뒤떨어진 인간이라고 비웃음을 당했다고 한다.[14]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15] 당시의 교육 제도는 현대와는 달라서, 이 곳은 옥스브리지에 보내기 위한 예비 교육을 하는 곳이었다. 학제가 초/중/고등학교가 나뉘어진 것은 19세기 초중반의 일이다.[16] 당시 이 학교의 교장이 "나는 일주일에 같은 아이를 세 번 이상 매질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한다. 매와 권위에 의존한 교육이었다.[17] 알렉산더 먼로라는 해부학자였다.[18] 라마르크는 용불용설을 주장했던 그 라마르크 맞다. 그는 당대의 저명한 진보사상가 중 한 명이었다. 지금은 다윈의 진화론이랑 맨날 비교당하는 신세지만.[19] 이들에게 살해되어 팔린 희생자만 16명. 참고로 이들의 주 거래 대상은 로버트 녹스라는 또다른 해부학자였다. 버크는 재판을 받고 교수형을 당하여 해부당하는 신세가 되지만 헤어는 사법거래로 추정되는 석연치 않은 명목으로 석방되어 1862년에 암으로 사망한다. 석방되기는 했지만 세간의 이목은 여전히 살인마 취급이라서 평생 숨어 살았다.[20] 출처 : R. Michael Gordon의 The Infamous Burke and Hare: Serial Killers and Resurrectionists of Nineteenth Century Edinburgh.[21]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명물 중 하나인 대학 식물원의 설립자.[22] 그가 가장 큰 열정을 쏟은 강의라고 한다. 수업만 열심히 들은 게 아니라 그의 조교 노릇을 자처했다.[23] 이 사람은 당시에 독실한 기독교인이면서 과학에도 관심이 많아 저명한 과학자들과 친분을 나누었는데, 다윈도 이 중 하나였다. 이 양반은 이후 다른 방면에서 유명한데, 바로 해군 중장으로 진급한 뒤 영국 최초의 기상청장으로 취임, 일기예보 시스템을 처음으로 구축했던 사람 중의 한 명이었다. 그러나 비글 함 항해 이후 항해로 인한 재산 탕진과 기독교인으로서 진화론을 주장한 다윈을 도왔다는 죄책감과 정치적 실패, 기상청을 모함하는 주위에 대한 스트레스와 과로에 시달리다, 피츠로이 제독은 1865년 4월 30일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24] 이는 할아버지인 이래즈머스 다윈의 영향이 컸다. 일부에서는 처음부터 다윈이 인종차별과 노예제도에 반대하기 위해서 진화론을 창시하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5] 다만, 이 일화를 두고 로버트 피츠로이를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매도하는 건 잘못된 평이다. 이 사람도 항해 도중에 비글 호에 승선해 있던 티에라델푸에고 원주민 두 명을 고향으로 데려다준 일이 있었는데, 원주민들이 거의 헐벗은 몸에 거칠고 호전적인 경향을 보여주어서 다윈이 크게 실망하자, '야만인'을 군함에 태울 수 없다는 상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영국의 발전한 문물을 가르쳐주려고 이들을 배에 태웠던 이야기를 해주면서 다윈을 달랜 일화가 있다. 당시에는 '문명의 이기를 누리지 못한 이들을 근대화로 이끈다'는 주장이, 엄연한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비문명인'들을 백인들과 동등한 지위를 누릴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상당히 진보적인 사상이라고 평가받은 바 있었다.[26] 정확히 말하자면 다윈은 스펜서가 쓴 '진화'라는 용어만 가져다 썼을 뿐이다. 그나마도 원래는 꺼리던 용어였으나 유행하면서 억지로 쓴 것에 가깝고. 하지만 스펜서는 생물학적 진화론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적극적으로 자신의 이론에 이용했다. 생각보다 심하게 왜곡된 게 문제.[27] 특히 다윈은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제국주의인종차별에 악용된다는 점 때문에 그의 이론을 더더욱 싫어했다. 그런데 문제는 다윈이나 스펜서나 제국주의와 인종차별에 모두 반대하는 진보주의자였던 게 함정.[28] "The children of the Indians are saved, to be sold or given away as servants, or rather slaves as long a time as the owners can make them believe themselves slaves; but I believe in their treatment there is little to complain of".[29] 다만 영국인 특유의 블랙유머적 정서로 해석하면, 오히려 원주민들의 현실을 역설적으로 표현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뭣보다 다윈은 원주민들을 엄연히 문명인으로 인식한 사람이다.[30] 흔히 다윈이 월리스의 편지를 보고 자신감을 가졌다고 하는데, 사실 월리스의 편지를 처음 본 다윈은 엄청나게 불안했었다. 아닌 게 아니라 비글 함 항해로 각종 국가에 다니면서 여러 생물의 진화에 대해 연구했을 그가 한 젊은이한테 진화론 주장의 위협을 느끼는 거나 다름없었으니... 그러나 추후에는 종의 기원을 발표하였고 불안감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종의 기원을 출판하면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았다.[31] 다만 둘은 몇 가지 쟁점에 대해 의견을 크게 달리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진화에서 적응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문제다. 다윈은 어떤 기능을 가진 기관이 발달하면서 그 기능과 관련 없는 기관이 변화하거나, 한 기관이 그것이 발달하게 된 원래의 이유와 상관없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말하자면 어떤 진화는 적응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니라 일종의 '부산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월리스는 모든 진화는 적응의 결과라고 생각했다. 개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진화한 것이지, '부산물' 같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현대 진화론은 다윈의 견해에 훨씬 가까우며, 적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위 '적응주의자'들조차도 월리스처럼 극단적인 주장은 하지 않는다. 또 다윈은 인간의 정신도 진화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한 반면, 월리스는 여기서 한 발 후퇴해 인간 정신의 발생에는 초자연적인 원인이 있었을 거라는 의견을 내놓았다.[32] 친구인 곤충학자 헨리 베이츠와 남미 정글을 다녀보기도 했고, 동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다니고 생물을 채집하면서 관찰하기도 했다. 다만 남미에서 돌아올 때는 병에 걸리고 배에 불이 붙어 연구물들이 다 타버리는 등 수난이 많았다. 현재 말레이제도의 생물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중간 지점을 월리스 선(Wallace's line)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그의 동남아시아 항해에 도움을 주었던 사람이 바로 오늘날의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의 전신인 사라왁 왕국백인제임스 브룩이었다.[33] 월리스는 말년에도 엄청난 업적을 남겼는데, 명왕성 발견의 초석을 닦았던 미국천문학자퍼시벌 로웰화성에 운하가 있다는 주장을 펼치자, 곧장 이에 반박하는 이론을 발표했다. 월리스의 이론에 따르면, 화성의 표면은 극도로 건조해서 액체 상태의 수분이 생겨도 운하를 이룰 정도로 크게 흐를 수준은 못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때 월리스의 나이는 무려 82세였다. 월리스의 예측은 뒷날 NASA에서 추진한 화성 탐사계획인 매리너 계획을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34] 다윈은 진화론을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발표한 학자일 뿐 진화와 연관된 생각을 처음 해 본 학자는 당연히 아니다. 다윈 이전에도 학계에서는 종의 다양성과 변화에 대해 어느 정도 조심스럽게 의견이 나오고 있었다. 그리고 놀랍게도 진화론 비슷한 생각은 아득히 오래전부터 있었다. 우선 고대 그리스철학자 아낙시만드로스가 인류의 기원에 대해 본래 물고기같은 수생동물이었다가 땅으로 올라오면서 형태가 변화했으리라 추측한 사실이 익히 알려져있다. 이외에 호주 원주민의 전설에도 종 분화 비슷한 개념이 등장하고 다윈이 주장하기 천 년 전 아랍인 과학자도 생물의 오래전 뼈를 보면서 과연 알라가 생물을 창조할 때 그 모습 그대로 영원히 낼까? 사는 곳마다 다른데 뭔가 다르게 창조한 게 아닐까 아니면 창조한 것이 기후나 여러 지역에 맞게 조금씩 달라지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 기록까지 남아있다.[35] 다윈을 대신해 각종 논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다윈의 불독'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멋진 신세계로 유명한 작가 올더스 헉슬리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 더불어 아들은 레너드도 작가로 이름을 알렸고 또 다른 손자인 제프리는 영국 교육부장관에 올랐으며 유네스코 초대 사무총장 줄리언 헉슬리나 1963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받은 앤드루 헉슬리도 손자다.[36] 틀린 얘기는 아니다. 비록 우울증 증세의 일환으로 기독교 근본주의자가 된 것이 흑역사이긴 하나, 젊은 시절의 그는 엄연히 라이엘과 함께 지층 생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현대 지질학을 확립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 학자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뒷날 그 자신이 적대하게 된 다윈처럼 피츠로이도 이때 당시에 종교계의 무수한 공격을 받았지만, 반대로 과학자들로부터는 엄청난 찬사를 받았다.[37] 파브르가 당대의 다른 반(反)진화론자들마냥 기독교 근본주의에 빠져있어서 진화론을 부정적으로 본 것은 아니다. 참고로 파브르는 종교에 대하여 그리 광신적이지도 않았고 되려 식물도 암수 구별이 있다는 주장을 하여 당대 기득권 기독교로부터 엄청난 포화를 당하여 광신적인 종교론을 혐오하던 사람이다. 오히려 파브르는 진화론에 대해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은 했지만, 자신이 나나니벌의 생태를 관찰하면서 다윈의 이론과 맞지 않는 부분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대한 것이다. 정확히는 나나니벌을 포함한 사냥벌 종류의 곤충들이 애벌레의 먹이용으로 잡아온 곤충을 마비시켜서 저장하는 행동을 당시의 진화론으로는 이 부분을 설명하기가 곤란했기 때문이다. 자칫 마비시킨 곤충이 마비에서 깨어나서 도망갈 위험성 때문에 번식에 지장을 줄 수도 있는 이런 행동을 나나니벌이 학습으로 얻어낸 결과로 보긴 어려웠고, 그래서 파브르는 진화론에 대해 회의적으로 본 것이다. 하지만, 뒷날 이 부분도 후속 연구를 통해 진화론으로 설명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만일 이 사실을 파브르가 알았다면, 그는 기꺼이 진화론을 인정했을 것이다.[38] 이 거북이를 소재로 한 동화책도 있다. 제목은 거북이의 이름인 '헤리엇'[39]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By Charles Darwin, M.A., Fellow Of The Royal, Geological, Linnæan, Etc., Societies; Author Of ‘Journal Of Researches During H.M.S. Beagle’s Voyage Round The World.’ LONDON: JOHN MURRAY, ALBEMARLE STREET.1859.https://www.gutenberg.org/files/1228/1228-h/1228-h.htm[40] 다윈과 동시대의 인물이지만 다윈이 더 나이가 많았다. 생전 다윈의 책을 자주 읽었고, 다윈의 사상은 그의 사상인 초월주의와 생태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41] 형제, 부모와는 근친결혼이 금기시 되었지만 유전학 지식이 부족했던 19세기만해도 부유한 가문들 사이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여러 세대에 걸쳐 사촌과 근친결혼을 자주 했다.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근친번식의 위험성은 사회 통념상 생물학적 문제로 대두되지는 않았다. 찰스 다윈의 자녀들이 근친번식의 악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 찰스 다윈의 자녀 10명중 3명이 성인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고 6명은 결혼했으나 이중 절반만 자식이 있었다.[42] 정확히는 육지거북 중에서도 대형종인 갈라파고스땅거북. 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갈라파고스 출신이다.[43] 참고로 암컷. 정작 오랜 세월동안 수컷으로 오인당했다. 그래서 원래 이름은 남성형인 해리였는데, 성별이 제대로 밝혀지자 여성형인 해리엇으로 개명.[44] 뒤에서도 나와있지만, 원주인 다윈이 죽은 이후에도 엄청 살다 갔다.[45] 사망장소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물원이며,(다윈에게 해리엇을 인도받은 장교가 호주로 갔을 때 이 녀석을 데리고 갔기 때문에 그 이후엔 호주에서 살게 되었다.) 사인은 심장 발작이라고 한다.[46] 기록으로 출생년도가 알려진 파충류 중 제일 오래 산 개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