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총독 | ||||
<colcolor=#fff>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대리지사(Lieutenant-Governor) | |||
<rowcolor=#fff> 초대 | ||||
윌리엄 홉슨 | ||||
<rowcolor=#fff> 지사(Governor)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윌리엄 홉슨 | 로버트 피츠로이 | 조지 그레이 | 토머스 고어 브라운 | |
<rowcolor=#fff> (제3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조지 그레이 | 조지 보웬 | 제임스 퍼거슨 | 조지 핍스 | |
<rowcolor=#fff>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허큘리스 로빈슨 | 아서 해밀턴-고든 | 윌리엄 저부아 | 윌리엄 온슬로 | |
<rowcolor=#fff>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데이비드 보일 | 어크터 녹스 | 윌리엄 플렁켓 | 존 딕슨-파인더 | |
<rowcolor=#fff> 제16대 | ||||
아서 폴잼 | ||||
<rowcolor=#fff> 총독(Governor-General)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아서 폴잼 | 존 젤리코 | 찰스 퍼거슨 | 찰스 배서스트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조지 몽크턴-아룬델 | 시릴 뉴월 | 버나드 프레이버그 | 윌 로비노리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찰스 리틀턴 | 버나드 퍼거슨 | 아서 포릿 | 데니스 블런델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키스 홀리오크 | 데이비드 비티 | 폴 리브스 | 캐서린 티자드 | |
<rowcolor=#fff>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마이클 하디 보이스 | 실비아 카트라이트 | 아난드 사티아난드 | 제리 마테파레 | |
<rowcolor=#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패치 레디 | 신디 키로 | |||
<rowcolor=#fff> 역대 국왕 · 역대 총리 | }}}}}}}}} |
FRS[1] 뉴질랜드 제2대 지사 로버트 피츠로이 Robert FitzRoy | |
| |
<colbgcolor=#00309D> 본명 | <colbgcolor=#ffffff,#1f2023>로버트 피츠로이(Robert FitzRoy) |
출생 | 1805년 7월 5일 |
잉글랜드 서포크 앰프턴 | |
사망 | 1865년 4월 30일 (향년 59세) |
잉글랜드 런던 | |
재임기간 | 제2대 뉴질랜드 지사 |
1843년 12월 26일 ~ 1845년 11월 18일 |
1. 개요
영국의 해군 군인이자 지리학자, 대기과학자, 지질학자다.찰스 다윈이 탑승한 비글호의 함장으로 유명하며, 비글호 탐험 후에 제2대 뉴질랜드 지사(뉴질랜드 총독의 전신)을 지냈다.
열조부가 찰스 2세이다.
2. 생애
로버트 피츠로이는 1805년 영국 서포크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조부는 영국의 제11대 총리였던 오거스터스 피츠로이(Augustus FitzRoy)였다.1818년 12살의 피츠로이는 포츠머스 왕립 해군 학교에 입학하였고, 이듬해에는 영국 해군에 입대하였다. 그후 1820년 남아프리카로 건너가 장교후보생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1824년 시험을 만점으로 통과하고 소위로 임관하였다.
1828년에는 남미 사령관 오트웨이(Otway) 장군의 참모가 되었으며, 당시 티에라델푸에고의 측량 작업을 진행하던 비글호의 함장 프링글 스톡스(Pringle Stokes)가 우울증을 앓다가 자살하면서, 피츠로이가 후임 함장을 맡게 되었다.
이후 1831년 비글호를 이끌고 두 번째 항해에 나서면서 피츠로이는 자신 또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전임 함장처럼 자살을 할까 우려하였고, 이에 그는 항해를 함께 하며 사교적인 관계를 맺을 인물을 찾았는데, 그렇게 발견한 인물이 바로 찰스 다윈이었다. 5년의 항해 동안 피츠로이와 다윈은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어느 순간 피츠로이의 심한 성미로 인해 격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2]
1836년 비글호의 두 번째 항해가 끝난 후 영국으로 귀환한 피츠로이는 오랫동안 약혼하였던 젊은 여성과 결혼을 하였고, 1837년 왕립지리학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하였으며, 1841년에는 던햄에서 지역 의원으로 당선되는 등 승승장구하였다. 여기에 더해 1842년 뉴질랜드의 초대 지사이었던 윌리엄 홉슨(William Hobson)이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어 뉴질랜드에서의 생활을 시작하였다.
1850년경 로버트 피츠로이
하지만 뉴질랜드 지사로 부임하면서 경미한 군사력과 자금의 부족, 그리고 마오리족과의 갈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1845년 지사직에서 은퇴한 뒤 1848년 영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그는 건강이 악화되어 1850년 현역에서 물러난 뒤 1851년 왕립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854년 현재 영국 기상청의 전신인 상무부 기상 국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863년 자신의 기상학 사무소에 어려움이 생겼고, 재정적인 문제와 건강 악화로 우울증을 앓다가 결국 1865년 면도날로 목을 그어 자살하고 말았다. 사후 그의 시신은 런던 남부의 올 세인트 교회 앞 묘지에 안장되었다.
후일 다윈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피츠로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묘사하였다.
의무에 충실하고 실패에 관대하고, 용감하고, 의지가 강하고, 불굴의 정신력을 가지고 있고 그의 지휘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열성적인 친구였다 ... 큰 단점으로는 욱하는 성질이 있었지만 그의 성격의 일부는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사람 중 가장 훌륭했다.
3. 여담
칠레와 아르헨티나 국경에 위치한 피츠로이 산은 로버트 피츠로이의 이름에서 명명된 산으로, 현재 칠레와 아르헨티나 양국의 영토분쟁 지역으로 남아있다.일본에서 나온 학습 애니 미미의 컴퓨터 여행(ミームいろいろ夢の旅(원제목은 미무와 여러 가지 꿈의 여행)/1983. 우리나라에선 1986년에 KBS-1에서 방영했다.)에서 진화론과 다윈에 대하여 다룬 에피소드에서 다윈이 진화론에 대한 의견을 말하자 피츠로이 함장이 노발대발하며 "창조설을 부정하다니! 그 무슨 소린가!" 화내는 장면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