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22:59:02

토머스 페인

파일:E8379242-641F-4E16-9EC4-4DDE7A61F63B.png 스미스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년 미국 연방정부가 운영하는 국립 교육 재단 스미스소니언 재단의 잡지,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이 “미국사 가장 중요한 100인의 인물”을 선정했다. 미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뽑았기 때문에 미국인이 아닌 사람들도 많고 부정적인 인물들도 있다.
<colbgcolor=#000047><colcolor=#ffc224> 개척자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헨리 허드슨 · 아메리고 베스푸치 · 존 스미스 · 조반니 다 베라차노 · 존 뮤어 · 메리웨더 루이스 · 사카자위아 · 키트 카슨 · 존 웨슬리 파월 · 닐 암스트롱
혁명가 & 저항가들 마틴 루터 킹 · 로버트 E. 리 · 토머스 페인 · 존 브라운 · 프레드릭 더글러스 · 수전 B. 앤서니 · W. E. B. 듀보이스 · 테쿰세 · 타탕카 이요탕카 ·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 말콤 엑스
대통령들 조지 워싱턴 · 토머스 제퍼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우드로 윌슨 · 에이브러햄 링컨 · 제임스 매디슨 · 앤드루 잭슨 · 시어도어 루스벨트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로널드 레이건 · 조지 W. 부시 도널드 트럼프
첫 여성들 포카혼타스 · 엘리너 루스벨트 · 힐러리 클린턴 · 마사 워싱턴 · 오프라 윈프리 · 헬렌 켈러 · 소저너 트루스 · 제인 애덤스 · 이디스 워튼 · 베티 데이비스 · 세라 페일린
범법자들 베네딕트 아놀드 · 제시 제임스 · 존 윌크스 부스 · 알 카포네 · 빌리 더 키드 · 윌리엄 M. 트위드 · 찰스 맨슨 · 와일드 빌 히콕 · 리 하비 오즈월드 · 러키 루치아노 · 존 딜린저
예술가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앤디 워홀 ·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 제임스 맥닐 휘슬러 · 잭슨 폴록 · 존 제임스 오듀본 · 조지아 오키프 · 토머스 에이킨스 · 토머스 내스트 ·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 앤설 애덤스
종교인들 조셉 스미스 · 윌리엄 펜 · 브리검 영 · 로저 윌리엄스 · 앤 허치슨 · 조너선 에드워즈 · 라파예트 로널드 허버드 · 엘런 화이트 · 코튼 매더 · 매리 베이커 에디 · 빌리 그레이엄
팝 아이콘들 마크 트웨인 · 엘비스 프레슬리 · 마돈나 · 밥 딜런 · 마이클 잭슨 · 찰리 채플린 · 지미 헨드릭스 · 마릴린 먼로 · 프랭크 시나트라 · 루이 암스트롱 · 메리 픽포드
제국 건설자들 앤드루 카네기 · 헨리 포드 · 존 D. 록펠러 · J. P. 모건 · 월트 디즈니 · 토머스 에디슨 ·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 · 하워드 휴즈 · 빌 게이츠 ·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 스티브 잡스
운동선수들 베이브 루스 · 무하마드 알리 · 재키 로빈슨 · 제임스 네이스미스 · 아놀드 슈워제네거 · 타이 콥 · 마이클 조던 · 헐크 호건 · 짐 도프 · 세크리테리엇 · 빌리 진 킹
출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rowcolor=#ffe> 1위 2위 3위 4위 5위
윈스턴 처칠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다이애나 스펜서 찰스 다윈 윌리엄 셰익스피어
<rowcolor=#ffe>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이작 뉴턴 엘리자베스 1세 존 레논 호레이쇼 넬슨 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rowcolor=#ff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어니스트 섀클턴 제임스 쿡 로버트 베이든 파월 알프레드 대왕 아서 웰즐리
<rowcolor=#ff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거릿 대처 마이클 크로포드 빅토리아 여왕 폴 매카트니 알렉산더 플레밍
<rowcolor=#ff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앨런 튜링 마이클 패러데이 오와인 글린두르 엘리자베스 2세 스티븐 호킹
<rowcolor=#ff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윌리엄 틴들 에멀린 팽크허스트 윌리엄 윌버포스 데이비드 보위 가이 포크스
<rowcolor=#ffe>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레오나르드 체셔 에릭 모어캠브 데이비드 베컴 토머스 페인 부디카
<rowcolor=#ffe>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토머스 모어 윌리엄 블레이크 존 해리슨 헨리 8세
<rowcolor=#ffe>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찰스 디킨스 프랭크 휘틀 존 필 존 로지 베어드 어나이린 베번
<rowcolor=#ffe>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보이 조지 더글러스 베이더 윌리엄 월레스 프랜시스 드레이크 존 웨슬리
<rowcolor=#ffe>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아서 왕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로버트 스콧 이넉 파월
<rowcolor=#ffe>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클리프 리처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프레디 머큐리 줄리 앤드류스 에드워드 엘가
<rowcolor=#ffe>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조지 해리슨 데이비드 애튼버러 제임스 코널리 조지 스티븐슨
<rowcolor=#ffe>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찰리 채플린 토니 블레어 윌리엄 캑스턴 바비 무어 제인 오스틴
<rowcolor=#ffe>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윌리엄 부스 헨리 5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로버트 1세 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rowcolor=#ffe>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무명용사 로비 윌리엄스 에드워드 제너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찰스 배비지
<rowcolor=#ffe>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제프리 초서 리처드 3세 J. K. 롤링 제임스 와트 리처드 브랜슨
<rowcolor=#ffe>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보노 (아일랜드인) 존 라이든 버나드 로 몽고메리 도날드 캠벨 헨리 2세
<rowcolor=#ffe>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J. R. R. 톨킨 월터 롤리 에드워드 1세 반스 월리스
<rowcolor=#ffe>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리처드 버튼 토니 벤 데이비드 리빙스턴 팀 버너스리 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0><colcolor=#fff> 토머스 페인
Thomas Paine
파일:590px-Thomas_Paine.jpg
본명 토마스 페인
Thomas Paine
출생 1737년 2월 9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데포드
사망 1809년 6월 8일 (향년 72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직업 철학자, 작가
관심분야 정치, 윤리학, 종교
배우자 메리 램버트 (1759년 ~ 1759년, 사별)[1]
엘리자베스 올리브 (1771년 ~ 1774년, 사별)
사상 자유주의 (급진주의), 공화주의
세속주의인본주의
종교 이신론
서명 파일:Thomas_Paine_Signature.svg

1. 개요2. 생애와 유산

[clearfix]

1. 개요

영국 출신의 미국자유주의, 급진주의 사상가로, 미국 독립 전쟁에 참여하였다.

2. 생애와 유산

그는 미국 독립의 도화선이 된 인물이다. 1773년 보스턴 차 사건을 비롯해 영국의 식민통치에 불만이 많은 아메리카 식민지인들은, 그래도 당시까지만 해도 혁명(독립)보단 "대표 없이 관세 없다"로 대표되듯 영국 지배하의 개혁을 지지하는 여론이 좀 더 강했는데, 1776년 페인이 미국이 독립해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미국이 독립해야 하는 사상, 이념, 도덕적 정당성을 저술한 《상식(Common Sense)》을 발간하고 이게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미국 인민들의 독립 여론을 조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는 "어떻게 인간의 한 종류가 나머지 인간들 위에 높이 자리잡고 앉아 마치 새로운 종족인 듯 특별한 대우를 받는게 당연시되는 것이 이 세상에 나타나게 됐는지... 왕이 다스리는 국가는 악마가 우상숭배를 증진시키기 위해 내세운 발명품들 가운데 가장 성공적이었다. 한 사람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 위대하게 높이는 행위는 자연의 평등권이라는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없다.", "지난 수 세기 동안 영국은 군주에게 잘못이 없다는 거짓말을 했다. 정부가 국민을 억압할 때는 왕의 가까운 고문들이 비난받았다. 그동안 왕은 비난으로부터 벗어난 정당함의 대명사로 여겨졌다.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왕은 폭력으로 지배해왔다.", "지금까지 왕관들을 썼던 모든 악당들보다는 정직한 보통 사람 한 명이 사회에 더 가치가 있다." 등의 표현을 써가며 군주제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이렇게 1776년 미국에서 50쪽 분량의 팸플릿 형태로 발표된 토마스 페인의 '상식'은 그가 영국인임에도 불구하고 미국독립운동 방향을 영국 군주제의 통치권 아래에서 왕에게 무엇을 바라는 방향이 아니라 영국과 완전 결별하고, 독립된 헌법을 만들어 별도의 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 1787년 프랑스로 건너가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고 이후 프랑스 의원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양대혁명인 미국 독립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모두 영향을 끼친 국제적인 혁명가인 셈. 1791년에는 프랑스 혁명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1790년 에드먼드 버크의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고찰》을 비난하며 이를 반박하는 《인간의 권리》 줄여서 인권이라는 책을 발간하였고 1792년에는 인권 2부도 발간한다.

페인은 ‘인권 1부’에서 자연권과 시민권을 구분하고 있는데, 자연권은 국민의 주권, 개인적 자유권, 선거권, 언론의 자유, 혁명권이고, 시민권은 자연권에 근거한 것으로서 자유, 평등, 안전, 재산, 사회적 보호, 압제에 대한 항거를 그 내용으로 한다. 페인의 '인권 2부'에서는 대중교육, 빈민구제, 노인연금, 실업구제, 누진적 소득세 징수, 재산권의 사회적 책임, 빈민층 보호 등 오늘날의 사회적 입법에 해당하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허나 페인은 인권 2부 출판 후 당시 영국정부에 의해 판금 조치를 받게 되고, 본인도 반란죄를 뒤집어쓰게 된다. 이후 1802년 미국으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데 이미 그가 1793년 감옥에서 이신론에 빠져있었던 것이 문제가 되어서 당시 종교 분위기가 강화되던 미국 교단에서는 독립의 아버지 대신 적대적인 무신론자 취급을 받게 된다.[2] 결국 1809년 뉴욕에서 사망하는데 당시 뉴욕 시티즌이 그에게 '그는 약간의 선행과 많은 해악을 끼치면서 오래 살았다'라는 패드립성 부고 기사를 싣고, 그의 장례식도 찾는 사람이 별로 없어 쓸쓸했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그의 조국인 영국 그리고 그의 책이 영향력을 행사했던 미국에서의 평가는 점차 바뀌게 되었고, 지금은 그를 영국의 볼테르로 칭송하고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도 인정되어 미국 뉴욕대학 캠퍼스에 그의 반신상까지 세워지게 되었다. 상식의 저자스럽게 당시에는 상식이 아니었던 것을 상식으로 만들어나가는 데 성공한 셈이다. <내가 읽은 책> 토마스 페인의 ‘상식’과 ‘인권’, [인물 아메리카] 미국 독립운동에 불을 지핀 사상가, 토마스 페인.

미국 독립의 주역 중에서 이질적인 부분으로, 옛 식민지 출신이 아니라 영국 본토 출신이란 점이 있다.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선언 직전인 1774년에야 미국으로 왔다.

[1] 출산 도중 사망. 임신하고 있었던 아이도 같이 세상을 떠났다.[2] 사실 페인 외에도 이른바 건국의 아버지들 중 상당수가 당시 계몽주의 영향을 받은 이신론, 무신론에 빠졌다는 해석은 지금도 많지만, 특히 이 부분이 두드러져서 당대 목사들에게 어그로를 끈 인물 2명이 바로 토머스 페인과 토머스 제퍼슨이었다. 이 둘은 당시 이름도 토머스로 같다 보니 '양 톰(두 톰)'이라고 싸잡아 까이기도 했는데, 그래도 대통령까지 되며 정치적으로 성공해 안티들이 함부로 건들진 못한 제퍼슨과 달리, 사인이었던 페인은 온갖 가짜뉴스와 음모론의 피해자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