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4 16:37:08

대니얼 디포


영문학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세 (7~15세기) · 서사시 <colbgcolor=#FFF,#1C1D1F>파일:영국 국기.svg 초기 영문학: 캐드먼 · 키네울프 · 윌리엄 랭글런드 · 라야먼 · 베오울프의 저자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이야기 문학: 제프리 초서(캔터베리 이야기) · 토머스 맬로리(아서왕 이야기)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 기독교 신비주의 철학: 리처드 롤 · 노리치의 줄리안
초기 근대 (16~18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 에드먼드 스펜서 · 토머스 와이엇 · 리처드 러브레이스 · 필립 시드니 · 월터 롤리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 형이상학파: 앤드류 마블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벤 존슨 · 존 밀턴(실낙원) / 파일:미국 국기.svg 청교도 문학: 앤 브래드스트리트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 존 드라이든 · 알렉산더 포프 / 파일:영국 국기.svg 계몽주의: 새뮤얼 존슨 / 파일:미국 국기.svg 계몽주의: 필리스 휘틀리 / 파일:영국 국기.svg 전 낭만주의: 로버트 번스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4대 비극과 5대 희극) · 토머스 모어(유토피아) · 니콜라스 유돌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벤 존슨 / 파일:영국 국기.svg 청교도 문학: 존 버니언(천로역정)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 조너선 스위프트(걸리버 여행기)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적 계몽주의: 새뮤얼 리처드슨(파멜라) / 파일:영국 국기.svg 계몽주의: 대니얼 디포(로빈슨 크루소) · 헨리 필딩 · 올리버 골드스미스 / 파일:영국 국기.svg 전 낭만주의: 로렌스 스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 설교문: 존 윈스롭(기독교 자선의 모범) / 파일:영국 국기.svg 문학 비평: 존 드라이든(연극에 대하여, 짧은 수필) / 파일:영국 국기.svg 종교 비판: 대니얼 디포(반대자들과 함께 하는 가장 빠른 길) / 파일:영국 국기.svg 정치 비판: 조너선 스위프트(겸손한 제안) / 파일:미국 국기.svg 정치 비판: 토머스 페인(상식) /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후기 근대 (19~20세기 초)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윌리엄 워즈워스 · 윌리엄 블레이크 · 퍼시 비시 셸리 · 조지 고든 바이런 · 존 키츠 / 파일:미국 국기.svg 초월주의: 랠프 월도 에머슨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월트 휘트먼 / 파일:영국 국기.svg 심리 리얼리즘: 로버트 브라우닝 / 파일:영국 국기.svg 종교 리얼리즘: 크리스티나 로세티 / 파일:영국 국기.svg 리얼리즘적 자연주의: 토머스 하디 / 파일:미국 국기.svg 전 모더니즘: 에밀리 디킨슨 / 파일:영국 국기.svg 상징주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 앨저넌 찰스 스윈번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적 리얼리즘: 제인 오스틴(오만과 편견) /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 조지 고든 바이런(맨프레드) / 파일:영국 국기.svg 초기 리얼리즘 찰스 디킨스(올리버 트위스트) · 조지 엘리엇(미들마치) / 파일:영국 국기.svg 고딕 낭만주의: 샬럿 브론테(제인 에어) / 파일:미국 국기.svg 낭만주의: 워싱턴 어빙(립 반 윙클) ·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 허먼 멜빌(모비 딕) · 너새니얼 호손(주홍 글자) / 파일:미국 국기.svg 고딕 낭만주의: 에드가 앨런 포(검은 고양이) / 파일:영국 국기.svg 고딕 문학: 메리 셸리(프랑켄슈타인)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지킬 박사와 하이드) · 브램 스토커(드라큘라) / 파일:미국 국기.svg 중기 리얼리즘: 마크 트웨인(톰 소여의 모험) · 헨리 제임스(나사의 회전) / 파일:영국 국기.svg 리얼리즘적 자연주의: 토머스 하디(테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탐미주의: 오스카 와일드(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파일:영국 국기.svg 제국주의 문학: 러디어드 키플링(정글북) / 파일:영국 국기.svg 중기 리얼리즘: 조지 버나드 쇼(피그말리온) · 존 골즈워디 / 파일:영국 국기.svg 장르 문학: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 허버트 조지 웰스(우주전쟁)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 시학: 퍼시 비시 셸리(시의 옹호) / 파일:영국 국기.svg 자서전: 토머스 드 퀸시(영국인 아편 중독자) · 파일:미국 국기.svg 철학: 랠프 월도 에머슨(자기신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시민 불복종) / 파일:영국 국기.svg 서양사학: 토머스 칼라일(영웅숭배론) /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프레드릭 더글라스(프레드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 파일:미국 국기.svg 문예창작: 에드가 앨런 포(구성의 철학)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경제학 비판: 존 러스킨(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파일:영국 국기.svg 문화학: 매튜 아널드(문화와 무정부주의) / 파일:미국 국기.svg 철학 및 사회 비판: 마크 트웨인(인간이란 무엇인가?그리고 몇몇 다른 에세이들)
현대 (20~21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모더니즘: T. S. 엘리엇 / 파일:미국 국기.svg 모더니즘: 에즈라 파운드 · 월리스 스티븐스 · E. E. 커밍스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실비아 플라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모더니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제임스 조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전통주의적 모더니즘: 로버트 프로스트 / 파일:영국 국기.svg 신낭만주의: 딜런 토마스 / 파일:영국 국기.svg 허무주의: 필립 라킨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현대시: 셰이머스 히니
·소설 파일:미국 국기.svg 후기 리얼리즘: 펄 벅(대지) · 아서 밀러(세일즈맨의 죽음) · 리처드 라이트 · 싱클레어 루이스 · 어니스트 헤밍웨이(노인과 바다) · 존 스타인벡(분노의 포도) · 테네시 윌리엄스(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하퍼 리(앵무새 죽이기)
파일:미국 국기.svg 자연주의: 시어도어 드라이저 · 잭 런던(강철군화)
파일:영국 국기.svg 풍자적 상징주의: G. K. 체스터튼(브라운 신부) · 윌리엄 골딩(파리 대왕)
파일:미국 국기.svg 풍자적 상징주의: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호밀밭의 파수꾼)
파일:영국 국기.svg 모더니즘: 버지니아 울프(올랜도) · D. H. 로렌스(채털리 부인의 연인)
파일:미국 국기.svg 모더니즘: 윌리엄 포크너(음향과 분노) ·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모더니즘: 제임스 조이스(율리시스)
파일:미국 국기.svg 표현주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롤리타) · 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
파일:캐나다 국기.svg 낭만주의: 루시 모드 몽고메리(빨강머리 앤)
파일:영국 국기.svg 디스토피아: 조지 오웰(동물농장) · 조지 오웰(1984) ·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파일:영국 국기.svg 판타지: C. 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 · J. R. R. 톨킨(반지의 제왕) · 조지 R.R. 마틴(얼음과 불의 노래) · J. K. 롤링(해리 포터)
파일:미국 국기.svg 고딕 호러: 셜리 잭슨(힐 하우스의 유령)
파일:미국 국기.svg SF: 프랭크 허버트() · 아서 C. 클라크(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어슐러 K. 르 귄(헤인 연대기)
파일:미국 국기.svg 장르 문학: 스티븐 킹(샤이닝)
파일:미국 국기.svg 포스트모더니즘: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끝없는 익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헬렌 켈러(내 삶의 이야기) / 파일:영국 국기.svg 기독교 변증학: G. K. 체스터튼(영원한 사람) / 파일:영국 국기.svg 페미니즘: 버지니아 울프(자기만의 방) / 파일:미국 국기.svg 감정 탐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오후의 죽음) / 파일:영국 국기.svg 정치 비판: 조지 오웰(코끼리를 쏘다) / 파일:미국 국기.svg 사회 비평: 존 스타인벡(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colbgcolor=#6b6b6b> 관련 문서: 영문학 |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 계몽주의 |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고딕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 }}}}}}}}}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대니얼 디포
Daniel Defoe
파일:대니얼 디포.jpg
본명 대니얼 포
Daniel Foe
출생 1660년 9월 13일
잉글랜드 왕국 런던
사망 1731년 4월 24일 (향년 70세)
잉글랜드 왕국 런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소설가, 언론인
종교 장로교
가족 제임스 포 (아버지)
앨리스 마쉬 (어머니)
배우자 메리 터플리
1. 개요2. 생애3. 작품

1. 개요

잉글랜드의 소설가, 언론인. <로빈슨 크루소>를 쓴 걸로 유명하다.

2. 생애

23세에 린넨 도매상으로 일한 것을 시작으로 한동안 정육업, 담배, 목재, 포도주 등의 운송 및 수출입 교역업에 투자하며 사업가로서의 인생을 살았으나 31세에 파산하여 감옥에 잠시 투옥되었다. 이후 벽돌과 타일 제조업, 노예 무역업 등에 종사했으며, 이때 새로 즉위한 윌리엄 3세와 안면을 트게 되었다.

1697년 최초의 주요 저술 『사업론』을 펴내면서 자신에게 글 쓰는 재주가 있다는 것을 인정받은 디포는 이후 언론인으로 변신하여 윌리엄 3세를 옹호하는데 앞장서게 된다. 윌리엄 3세가 외국에서 태어났다는 사실 때문에 영국 국민들로부터 신임을 얻지 못하자 디포는 운문집 『진정한 순종 영국인』을 발표하여 이를 정면에서 풍자하면서 윌리엄 3세를 변호하기도 했다.

1702년, 윌리엄 3세가 사망하고 앤 여왕이 즉위하자 디포는 비국교도인 자신이 종교적인 탄압을 받을 것을 우려하여 먼저 선수를 쳐서 비국교도를 박멸하자는 주장을 담은 『비국교도 처리의 지름길』(1702)을 펴냈다. 그러나 이 책에서 고위 성직자를 모독했다는 죄로 도리어 디포는 감옥에 다시 투옥되었다.

이처럼 언론인으로서의 디포는 정권이 바뀔 때 마다 항상 정권에 대해 우호적인 글을 쓰며 정권에 아첨하는 언론인으로 유명했다.

감옥에서 나온 이후 디포는 감옥에서 동료 죄수들과 대화를 나눈 경험을 바탕으로 격일간지 <리뷰>를 창간하여 1709년 잡지가 폐간되기 전까지 잡지의 주필로서 활동했다. 특히, 디포는 잡지의 지면을 통해 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주식시장에 관한 기사와 사설을 빈번하게 작성하였다.

이후 1719년, 60세의 나이에 소설 로빈슨 크루소를 발간하였고 소설이 대히트를 거두자 디포는 작가로 전업하여 1731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했을 때 까지 인기있는 작가로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작가로서의 성공과는 별개로 디포의 말년은 비참했다. 왜냐하면 젊은 시절부터 상업과 자본에 대해 관심을 가지던 디포가 남해거품사건에 연루되어 전재산을 날리고 파산했기 때문이다. 말년에 소설 집필에만 몰두한 것도 당장 돈이 필요해서였다.

3. 작품

  • 로빈슨 크루소
  • 선장 싱글턴의 모험
  • 세계 신항해
  • 흑사병 연도의 일지
  • 자크 대령
  • 행운의 여인 록새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