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1 20:00:19

틀:한국문학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BCE 23c~CE 10c)
<colbgcolor=#eeeeee,#222222> · 가요 [[고조선|
고조선
]] 저자 미상(공무도하가)
[[신라|
신라
]] 월명사(제망매가), 충담사(찬기파랑가), 처용(처용가), 최치원(추야우중), 득오(모죽지랑가)
[[고구려|
고구려
]] 유리명왕(황조가), 을지문덕(여수장우중문시)
[[백제|
백제
]] 저자 미상(정읍사), 무왕(서동요)
[[가야|
가야
]] 저자 미상(구지가)
설화 · 소설 [[신라|
신라
]] 설총(화왕계)
산문 [[신라|
신라
]] 원효(금강삼매경론), 혜초(왕오천축국전), 최치원(토황소격문)
중세
(CE 10c~14c)
· 가요 [[고려|
고려
]] 저자 미상(청산별곡 · 가시리 · 동동 · 쌍화점), 정서(정과정), 이규보(동명왕편), 우탁(탄로가), 이방원(하여가), 정몽주(단심가)
설화 · 소설 [[고려|
고려
]] 이규보(국선생전), 임춘(국순전), 저자 미상(조신의 꿈), 김부식(온달 설화), 일연(단군 신화 · 주몽 신화 · 만파식적)
산문 [[고려|
고려
]] 김부식(삼국사기), 일연(삼국유사), 이승휴(제왕운기), 이규보(동국이상국집), 이인로(파한집), 최자(보한집), 이제현(역옹패설)
근세
(CE 14c~19c)
· 시조 [[조선|
조선 전기
]] 정인지(용비어천가), 정극인(상춘곡), 성삼문(이 몸이 죽어 가서), 황진이(동짓달 기나긴 밤을), 정철(관동별곡 · 사미인곡), 허난설헌(규원가)
[[조선|
조선 후기
]] 박인로(누항사), 윤선도(어부사시사 · 오우가), 김천택(청구영언), 김수장(해동가요), 정학유(농가월령가), 저자 미상(사설시조)
소설 [[조선|
조선 전기
]] 김시습(금오신화)
[[조선|
조선 후기
]] 허균(홍길동전), 김만중(구운몽 · 사씨남정기), 조성기(창선감의록), 박지원(허생전 · 양반전 · 호질), 저자 미상(임경업전), 저자 미상(최고운전), 저자 미상(운영전), 저자 미상(박씨전), 저자 미상(임진록), 저자 미상(춘향전), 저자 미상(심청전), 저자 미상(흥부전), 저자 미상(토끼전)
산문 [[조선|
조선 전기
]] 유효통(향약집성방), 서거정(동문선), 김구(화전별곡), 이황(성학십도), 이이(성학집요)
[[조선|
조선 후기
]] 류성룡(징비록), 이순신(난중일기), 이중환(택리지), 박지원(열하일기), 혜경궁 홍씨(한중록), 박제가(북학의), 정약용(목민심서 · 경세유표 · 흠흠신서), 의유당(의유당관북유람일기)
근대
(CE 19~20c)
[[대한제국|
대한제국
]]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한용운(님의 침묵), 김소월(진달래꽃 · 초혼), 윤동주(서시 · 별 헤는 밤), 이상(오감도), 정지용(향수 · 유리창), 백석(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이육사(광야 · 청포도),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소설 · [[대한제국|
대한제국
]] 이인직(혈의 누 · 은세계), 안국선(금수회의록)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홍명희(임꺽정), 이광수(무정), 김동인(감자 · 배따라기), 현진건(운수 좋은 날 · B사감과 러브레터), 염상섭(삼대 · 만세전), 채만식(태평천하 · 레디메이드 인생 · 탁류), 김유정(동백꽃 · 봄·봄), 이상(날개), 박태원(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천변풍경), 계용묵(백치 아다다)
산문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신채호(조선상고사), 김구(백범일지), 이태준(무서록)
현대
(CE 20c~21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정주(국화 옆에서), 김수영( · ), 박목월(나그네), 신동엽(껍데기는 가라), 고은(만인보), 신경림(농무 · 목계 장터), 김지하(타는 목마름으로 · 오적 · 무화과), 박노해(노동의 새벽), 기형도(입 속의 검은 잎), 천상병(귀천), 황지우(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소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순원(소나기 · 카인의 후예), 최인훈(광장), 박경리(토지 · 김약국의 딸들), 조정래(태백산맥),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청준(당신들의 천국), 김승옥(무진기행), 박완서(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평역 삼국지), 황석영(장길산 · 삼포 가는 길 · 황석영 삼국지), 복거일(비명을 찾아서), 양귀자(원미동 사람들), 신경숙(엄마를 부탁해), 은희경(새의 선물), 윤대녕(은어낚시통신), 공지영(고등어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김영하(살인자의 기억법), 한강(채식주의자 · 소년이 온다), 조남주(82년생 김지영), 산경(재벌집 막내아들), 싱숑(전지적 독자 시점)
파일:북한 국기.svg 김일성(꽃파는 처녀), 홍석중(황진이), 백남룡(벗)
산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오영(방망이 깎던 노인), 피천득(인연), 법정(무소유)
만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우영(고우영 삼국지), 이원복(먼나라 이웃나라), 허영만(식객 · 타짜), 김수정(아기공룡 둘리), 이진주(달려라 하니), 이현세(공포의 외인구단), 윤태호(미생 · 이끼), 강풀(순정만화 · 26년), 주호민(신과함께), 조석(마음의 소리)
각 지역 문학사 둘러보기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영문학중문학일본문학
관련 문서: 한국 문학 | 향가 |고려가요 | 시조 |가사|고전소설|판소리|신소설|참여문학|순수문학|민중문학|장르문학|웹소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