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9:55:52

이강백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파일:이강백_작가.jpg

1. 개요2. 작품 및 저서3. 수상4. 기타

1. 개요

李康白

대한민국극작가. 1947년 12월 1일,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태어났다([age(1947-12-01)]세).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및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강사 및 객원교수를 차례로 지냈고, 2003년부터 서울예술대학교(당시 서울예술대학) 극작과 교수로 재직하여 오다가 2013년, 정년퇴직하였다.

우화와 비유가 많이 들어간 비현실주의적인 내용의 희곡을 많이 출품해 알레고리의 작가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2. 작품 및 저서

대표작으로는 <>, <북어대가리>, <쥬라기의 사람들>,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듯이>, <다섯>, <보석과 여인>, <파수꾼>, <결혼>, <영월행 일기>, <들판에서>, <느낌, 극락 같은> 등의 희곡이 있다. 현재까지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저서는 <이강백 희곡전집>, <황색여관> 외.

2017 수능 국어 영역에서 <느낌, 극락 같은>이 나왔다.

3. 수상

  •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
  • 동아연극상
  • 대한민국문학상
  • 서울연극제희곡상
  •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 대산문학상
  • 옥관문화훈장 - 참조. 역대 수훈자 중에 동명이인(중요민속문화재 제5호)이 있어 붙임.

4. 기타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았다. 발작 증세로 사경을 헤매 그의 어머니가 전주 일대의 용하다는 의원, 병원을 쫓아다녔는데[1], 끝내 차도가 없자 영험하다는 무당을 찾아 "사지 중 어딘가 쓰지 못하게 될 팔자"라는 참언을 들었다고 한다. 본인의 회고로는 당시 어머니의 대답이 "죽지는 않는다는 거네요?"였다고... 때문에 한쪽 다리에 장애가 있다.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이자 시인 김혜순과는 부부관계다. 부부가 양쪽에서 한국 문학계의 획을 그은 셈. 정년퇴임 이전까지는 부부가 함께 서울예대 교수직에 있었고, 심지어 서울예대는 문예창작과와 극작과가 같은 건물, 같은 층에 교수실 및 강의실을 가지고 있다. 강의 때나 사석에서 종종 "나 정도 되니까 그런 퀸카를 꼬신 거다."라고 팔불출인지 자랑인지 모를 농담을 곧잘 하기도.

중앙대 대학원 재직 시절, 유난히 질문 많고 영민한 학생이 있어 기억해두었는데, 나중에 신춘문예에 당선된 극작가 장성희였다고. 서울예술대학에서는 아예 같은 과 교수로 있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 및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와 국어 교과서에 작품이 실리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현 국어 영역의 전신인 언어 영역 시절부터 희곡이 출제되면 자주 보는 이름으로, 높은 인지도를 가진 작가이다.[2]


[1] 그의 유년기는 소아마비 백신이 보급되기는커녕 개발되기도 전이다. 조너스 소크 박사가 소아마비 백신을 처음 개발하고 미국에 막 배포되기 시작한 게 1955년이었다.[2] 이미 평전이 발간될 정도로 한국현대희곡사에 큰 업적을 남긴 작가다. 작가 생전에 평전이 나오는 경우는 대단히 드문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