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19:57:26

공무도하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가수 이상은의 6집 앨범}}}에 대한 내용은 [[공무도하가(음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무도하가(음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무도하가(음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가수 이상은의 6집 앨범: }}}[[공무도하가(음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무도하가(음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무도하가(음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BCE 23c~CE 10c)
<colbgcolor=#eeeeee,#222222> · 가요 [[고조선|
고조선
]] 저자 미상(공무도하가)
[[신라|
신라
]] 월명사(제망매가), 충담사(찬기파랑가), 처용(처용가), 최치원(추야우중), 득오(모죽지랑가)
[[고구려|
고구려
]] 유리명왕(황조가), 을지문덕(여수장우중문시)
[[백제|
백제
]] 저자 미상(정읍사), 무왕(서동요)
[[가야|
가야
]] 저자 미상(구지가)
설화 · 소설 [[신라|
신라
]] 설총(화왕계)
산문 [[신라|
신라
]] 원효(금강삼매경론), 혜초(왕오천축국전), 최치원(토황소격문)
중세
(CE 10c~14c)
· 가요 [[고려|
고려
]] 저자 미상(청산별곡 · 가시리 · 동동 · 쌍화점), 정서(정과정), 이규보(동명왕편), 우탁(탄로가), 이방원(하여가), 정몽주(단심가)
설화 · 소설 [[고려|
고려
]] 이규보(국선생전), 임춘(국순전), 저자 미상(조신 설화), 김부식(온달 설화), 일연(단군 신화 · 주몽 신화 · 만파식적)
산문 [[고려|
고려
]] 김부식(삼국사기), 일연(삼국유사), 이승휴(제왕운기), 이규보(동국이상국집), 이인로(파한집), 최자(보한집), 이제현(역옹패설)
근세
(CE 14c~19c)
· 시조 [[조선|
조선 전기
]] 정인지(용비어천가), 정철(관동별곡 · 사미인곡), 황진이(동짓달 기나긴 밤을), 성삼문(이 몸이 죽어 가서), 정극인(상춘곡), 허난설헌(규원가)
[[조선|
조선 후기
]] 윤선도(어부사시사 · 오우가), 박인로(누항사), 김천택(청구영언), 김수장(해동가요), 정학유(농가월령가), 저자 미상(사설시조)
소설 [[조선|
조선 전기
]] 김시습(금오신화)
[[조선|
조선 후기
]] 허균(홍길동전), 김만중(구운몽 · 사씨남정기), 박지원(허생전 · 양반전 · 호질), 조성기(창선감의록), 저자 미상(운영전 · 박씨전 · 임진록), 저자 미상(춘향전 · 심청전 · 흥부전 · 토끼전)
산문 [[조선|
조선 전기
]] 이황(성학십도), 이이(성학집요), 서거정(동문선), 김구(화전별곡), 유효통(향약집성방)
[[조선|
조선 후기
]] 박지원(열하일기), 류성룡(징비록), 이순신(난중일기), 정약용(목민심서 · 경세유표), 이중환(택리지), 박제가(북학의), 혜경궁 홍씨(한중록), 의유당(의유당관북유람일기)
근대
(CE 19~20c)
[[대한제국|
대한제국
]]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 한용운(님의 침묵)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김소월(진달래꽃 · 초혼), 윤동주(서시 · 별 헤는 밤), 이상(오감도), 정지용(향수 · 유리창), 백석(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이육사(광야 · 청포도),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소설 [[대한제국|
대한제국
]] 이인직(혈의 누 · 은세계), 안국선(금수회의록)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이광수(무정), 김동인(감자 · 배따라기), 현진건(운수 좋은 날 · 빈처), 염상섭(삼대 · 만세전), 채만식(태평천하 · 레디메이드 인생), 김유정(동백꽃 · 봄·봄), 이상(날개), 박태원(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천변풍경), 계용묵(백치 아다다)
산문 · 수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신채호(조선상고사), 김구(백범일지), 이태준(무서록)
현대
(CE 20c~21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정주(국화 옆에서), 김수영( · ), 박목월(나그네), 신동엽(껍데기는 가라), 기형도(입 속의 검은 잎), 천상병(귀천), 황지우(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소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순원(소나기 · 카인의 후예), 최인훈(광장), 박경리(토지 · 김약국의 딸들), 조정래(태백산맥),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청준(당신들의 천국), 김승옥(무진기행), 박완서(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평역 삼국지), 황석영(장길산 · 삼포 가는 길 · 황석영 삼국지), 복거일(비명을 찾아서), 김영하(살인자의 기억법), 한강(채식주의자 · 소년이 온다)
산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오영(방망이 깎던 노인), 피천득(인연), 법정(무소유)
만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원복(먼나라 이웃나라)
각 지역 문학사 둘러보기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영문학중문학일본문학
관련 문서: 한국 문학 | 향가 |고려가요 | 시조 |가사|고전소설|판소리|신소설|참여문학|순수문학|민중문학|장르문학|웹소설 }}}}}}}}}

파일:단군표준영정.png
고조선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20000>역사역사 전반 ( 단군조선 · 기자조선 · 위만조선 ) · 위만의 정변 · 삼조선
상징홍익인간 · 국호
국방고조선군 · 고조선-연 전쟁 · 진번 임둔 정벌 · 옥저 정벌 · 왕검성 전투 · 준왕의 마한 정복
지리위치와 강역 · 아사달 · 장당경 · 왕검성
왕사왕사 전반 · 역대 군주 ( 단군왕검 · 조선후 · 조선왕 ) · 역대 왕자
사회사회 · 8조법
문화문화 · 단군 신화 · 공무도하가 · 무천 · 의복 문화
유적십이대영자 · 정가와자 · 누상무덤 · 강상무덤 · 용산리 순장무덤
외교대외관계 · 부여 · · 진국 · 제나라 · 전한
기타계승 · 대중매체 }}}}}}}}}

1. 개요2. 핵심 정리3. 기록4. 분석5. 대중 매체에서6. 관련 문서

1. 개요

[ruby(公無渡河, ruby=공 무 도 하)] 임아 그 을 건너지 마오
[ruby(公竟渡河, ruby=공 경 도 하)] 임은 끝내 물을 건너시네
[ruby(墮河而死, ruby=타 하 이 사)]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ruby(當奈公何, ruby=당 내 공 하)] 가신 임을 어찌할꼬
/ 고조선 시대에 창작되어 기록상 현존하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로, 공후인()이라고도 한다.

2. 핵심 정리

갈래 고대 가요, 한역 시가, 서정시
성격 개인적, 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형식 4언 4구체
제재 물을 건너는 임
주제 임을 여읜 슬픔
구성 : 물을 건너지 말라는 만류
: 물을 건너는 임
: 물에 빠져 임이 죽음
: 임을 잃은 슬픔과 체념
의의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품임.
문헌상으로는 가장 오래 된 서정 시가인 데다가 유일하게 전해지는 고조선의 시라 국문학적 가치가 매우 높음.
슬픔, 체념, 안타까움, 원형적 심상을 지닌 소재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노래함.

3. 기록

공후인은 중국 후한채옹(蔡邕, 133~192)이 엮은 《금조(琴操)》에 처음으로 등장하며, 진(晉)나라의 최표(崔豹)가 지은 《고금주(古今注)》와 조선 후기 한치윤의 《해동역사》[1],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에도 수록되어 있다. 어느 문헌이든 모두 목격자가 나루터에 지내는 사람이다.
箜篌引者, 朝鮮津卒霍里子高所作也. 子高晨刺船以濯, 有一征夫被髮提壺, 涉河而渡. 其妻追止之, 不及, 墮河而死. 乃呼天噓唏, 鼓箜篌而歌曰: "公無渡河. 公竟渡河. 公墮河而死, 當奈公何." 曲終, 自投河而死. 子高聞而悲之, 乃援琴而鼓之作箜篌引. 以象其聲, 所爲公無渡河曲也.[2]

'공후인'은 조선의 진졸(津卒)[3] 곽리자고(藿里子高)가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에 나룻배를 젓고 있을 때, 한 나그네[4]가 머리를 풀어헤치고 술병을 든 채 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 아내가 뒤쫓으며 막으려 했으나 미치지 못했고, (그는)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아내는) 하늘을 향해 울부짖으며 공후를 타면서 노래 부르길, "임아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끝내 물을 건너시네, 임이 물에 빠져 죽었나니, 임은 무엇을 어찌하려고 하시었소."[5]라고 하고는, 노래가 끝나자 스스로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자고가 그걸 듣고 슬퍼하며, 금(琴)에 매달려서는 공후인을 지어 연주하였으니, 그 노래를 표현하여 공무도하곡(公無渡河曲)이 된 것이다.
채옹, 《금조》 中
《箜篌引》,朝鮮津卒霍里子高妻麗玉所作也。子高晨起,刺船而棹。有一白首狂夫,被髮提壺,亂流而渡。其妻隨呼止之,不及,遂墮河水死。於是援箜篌而鼓之,作《公無渡河》之歌。聲甚淒愴,曲終,自投河而死。霍里子高還,以其聲語妻麗玉,玉傷之,乃引箜篌而寫其聲,聞者莫不墮淚飲泣焉。麗玉以其聲傳鄰女麗容,名曰《箜篌引》焉。[6]

공후인은 조선의 진졸(津卒) 곽리자고(藿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나룻배를 젓는데, 흰 머리에 미친듯한 한 사내(백수광부)가 머리를 풀어헤치고 술병을 든 채, 물살을 헤치며 (강을) 건넜다. 그의 아내가 좇으며 멈춰라고 부르짖었으나, 미치지 못하고 (사내는) 결국 강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아내는 공후(箜篌)를 가져와 타며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었다. 노래가 매우 처량하였으니, (아내는) 노래가 끝나자 스스로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 노래를 이야기해주니, 여옥이 애석해하며 이에 공후를 당겨 그 노래를 재현했는데, 듣는 이들 중에 눈물을 흘리고 눈물을 삼키지 않는 이가 없었다. 여옥은 그 노래를 이웃 여인 여용(麗容)에게 전하였으니, 이름을 '공후인'이라 하였다.
최표, 《고금주》 中
이야기는 고조선 시대에 강가 마을 나루터에서 뱃사람(진졸)으로 일하는 곽리자고란 이름의 한 남성이 새벽부터 뱃일을 하기 위해 밖으로 나서는 것으로 시작된다.

여느 날처럼 일을 나가던 곽리자고는 배를 몰려던 중, 한 백발의 광인을 보고 깜짝 놀랐다. 광인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술병을 든 채로 강물 속으로 들어가는 게 아닌가. 그러나 놀랄 새도 없이 광인의 아내가 남편을 말리는 모습을 본 곽리자고, 하지만 미친 남자는 아내의 말을 들은 척도 않고 도리어 더욱 깊이 물 속에 들어가 결국 익사하고 말았다.

이를 본 아내는 한참 울다가 공후를 가지고 연주하며 "임아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끝내 물을 건너시네, 임이 물에 빠져 죽었나니, 임은 무엇을 어찌하려고 하시었소. (公無渡河. 公竟渡河. 公墮河而死, 當奈公何.)"라고 노래를 불렀고, 노래를 마친 후 남편의 뒤를 따라 물에 뛰어들어 자살하였다.

이 모든 사건을 본 곽리자고는 남자를 구하지 못한 죄책감과 이 안타까운 사연을 보게 된 후의 착잡함에 휩싸여 무거운 마음으로 집으로 가서 자신의 아내 여옥에게 모든 사연을 전해주었고, 여옥은 이에 안타까워하며 공후를 꺼내 연주하며 남편이 전해들은 노래를 불렀는데 얼마나 안타까운 노래인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이 노래에 울지 않는 이가 없었다 한다. 이후, 여옥은 이웃에 사는 여용이란 여성에게 이 노래를 가르쳐주었고 노래가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4. 분석

〈공후인〉의 저자와 연대에 관한 이와 같은 전승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시의 내용이 매우 단순한 편이라 아마도 매우 오래된 민요를 시로 옮겼을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한국 역사상 기록으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시이자 고조선의 유일한 시라 한국 문학에서 가치가 높지만, 일각에서는 고조선의 시라고 하기엔 너무 중국 문학 같다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 곽리자고, 여옥 등 배경 설화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한국 삼국시대고유어 계통 인명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중국 시가 아니겠냐는 의견도 있다. 열하일기, 해동역사 등에서 한사군낙랑군 조선현을 장소로 기재하거나, 곽리자고가 조선인임을 밝히는 등 한국의 시가임을 계속 명시하고 있지만, 열하일기와 해동역사는 고금주에 비해 성립연대가 너무 늦기 때문에 독립적인 근거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국 측 기록인 채옹과 최표의 원문에서 곽리자고가 '조선' 진졸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본 작품이 처음 문증되는 《금조》의 편찬 시기는 한사군의 성립으로부터 불과 200여 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신빙성이 높다.[7] 또한 이름이 언뜻 한문식으로 보일 수는 있겠지만 한국사에도 과거 특이한 복성이 다수 존재했으며, 발음을 단순 음차하거나 뜻을 번역하여 쓴 이름일 가능성도 있다. 특히 곽리자고의 성씨인 '곽리(藿里)'는 만력제 시기의 《만성통보(萬姓統譜)》에서 고구려계 성씨로 소개되므로, 비록 후대의 기록이긴 하나 고조선과의 연관성을 어느 정도 추정해 볼 수 있다. 때문에 크게 논쟁거리로 삼아지진 않고, 중국 민요와 연관된 것이 아닌가 하는 연구는 있다.

백수광부와 그의 아내, 그리고 배경 설화의 서사에 대한 해석은 매우 분분한데, 보통 을 건너는 백수광부는 고조선의 제사장인 무부로 해석한다. 신내림을 받고 황홀경 속에서 신성성을 보여주기 위해 무당작두를 타듯 물에 들어갔으나 결국 빠져 죽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 백수광부가 들고 있는 동이를 술동이로 해석, 황홀경에 들어가기 위해 을 마셨다는 주장까지 있다.

정병욱은 백수광부를 디오니소스와 같은 주신(酒神)으로 보고 그의 아내를 님프와 같은 음악으로 보아 신화적인 시가로 보기도 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중·고등학생용 자습서와 참고서가 이 해설을 실었다. 그러나 시와 배경 설화의 내용이 워낙 단편적이라 이와 같은 해석들은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다. 다만 역설적으로 단편적이라 상상의 여지가 있어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었고, 위의 해석 외에도 여러 해석들이 분분하다.

한편 이 노래를 중국의 노래로 보는 논문[8]도 나온 바 있다. 이 논문은 중국의 여러 자전들을 살펴보고, 광부가 미치광이가 아닌 '남편'일 가능성을 찾아냈다. 따라서 '백수광부'는 머리가 하얀 미치광이가 아니라 나이가 지긋한 남편이 된다.[9] 또한 '호(壺)'는 술병이 아니라 강을 헤엄쳐 건너는 포(匏)와 같은 종류의 부환(浮環), 즉 요즘의 부력구나 구명조끼 같은 도구일 것이라 추정했는데[10], 이를 통해 기존의 신내림을 위해 술에 취한 것이라는 등의 신화적 문맥의 해석을 지양하고 이 작품이 민중들이 현실적 고난을 헤쳐 나가는 속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노래였을 것으로 파악하였다.[11] 특히 이 논문은 자전에 나타난 '호(壺)'의 주석을 통해 예로부터 남편이 호(壺)를 가지고 강을 건널 때 공무도하의 노래를 불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조선진의 위치는 낙랑군의 치소인 조선현, 즉 평양 부근일 것이며 백수광부가 건너는 강은 대동강일 것으로 추정된다. 곽리자고가 조선인인지, 한족인지는 알 길이 없으나, 여옥이 이웃 여용에게 이 노래를 가르친 것으로 보아 여옥과 여용은 현지인인 조선인으로 봐야 할 것이다.

즉, 〈공무도하가〉를 한국의 고대 가요로 보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현대인 관점의 중국적인 색채가 꼭 중국의 것이라고 볼 수는 없듯이 말이다. 오히려 중국 쪽에 이런 노래가 전해지고 기록된 것은 한국의 노래가 그만큼 널리 전파되어 있었던 증거라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 고대의 한류, K-POP

이 작품은 이후 중국 시가나 설화에 등장하는 불의의 익사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파생작도 많았는데, 여기서 광부에 해당하는 인물은 고래(), 바다뱀(蛟龍), 악어(黿鼉) 등의 수중 생물에게 끌려가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원문의 은 '해야 하다', 는 '어떻게 대처하리'라는 뜻을 지닌다.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만나 '~을 어찌하리'로 체념하는 식의 마무리는 신라 후기의 처용가에도 등장할 정도로 한국 고전문학에서 유서 깊은 운문 형식이다. 제2구의 '竟'(경)이 '終'(종)으로, 제3구의 '墮河'(타하)가 '公墮'(공타)나 '公淹'(공엄)으로, 제4구의 '當'(당)이 '將'(장)으로 기록된 이본도 있다.

5. 대중 매체에서

  • 당나라 대의 유명 시인이백도 이 작품을 배경으로 〈공무도하(公無渡河)〉라는 시를 읊은 바 있다.
  • 똑같이 당나라 대의 시인 이하도 이 작품을 가지고 시를 지었다. 제목도 그대로 따와 공후인(箜篌引)이라 지었다.
  • 고조선을 다루는 웹툰 본초비담 2부 마지막 화는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화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활용한 결말을 내었다. 백수광부가 고조선의 제사장인 무부인 점, 머리가 흰 이유를 알비노로 연결, 광증 역시 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12] 게다가 BGM으로 소리꾼 정하린의 공무도하가를 감상할 수 있었으나... 작가가 사고를 쳐서... 자세한 사정은 본초비담, 정철 문서 참조.
  • 가수 이상은의 6집 이름이자 그 타이틀곡 또한 공무도하가다. '담다디' 등 밝고 명랑한 이미지이던 이상은이 본격적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을 만들어가기 시작한 음반.
  • 김훈은 〈공무도하〉라는 제목소설을 쓴 바 있다. 현대를 배경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자들'의 이야기들을 특유의 담담한 필치로 서술하고 있다.
  • 특이하게도 중국 드라마 대군사 사마의에서 공무도하가가 나왔다. 순욱과 양수가 서로 읊기도 했고 조비가 심경을 내비치며 읊으며, 백령균이 사마의에게 금을 타는 장면에도 나온다. 대군사 사마의가 한시들이 자주 나오는 드라마이고 후힌 시대이자 작품의 배경 상 세상을 뜬 지 얼마 되지 않은 채옹이 저술한 《금조》에 공무도하가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상한 장면은 아니다. 실제로 작품 내에서 채옹의 이 언급되기도 하고, 그의 글이나 글씨가 높게 평가받는 장면도 나온다.
  • 프로게이머 어윤수의 팬이 공무도어가.txt를 지었다. 리자고가 연 대회의 결승전에 윤수광부가 진출하려고 하자, 조성호(프로게이머)가 어윤수를 쫓아가며 말리려고 한다. 그러나 윤수광부는 성호의 말을 듣지 않았고, 성호는 공무도어(公無渡魚)를 지어 부르고 윤수 따라 결승에 몸을 던졌다.

6. 관련 문서


[1] 한치윤의 해동역사에 나온 이야기는 최표 고금주의 원문을 그대로 베껴 쓴 것이다.[2] 공후인자, 조선진졸곽리자고소작야. 자고신자선이탁, 유일정부피발제호, 섭하이도. 기처추지지, 불급, 타하이사. 내호천허희, 고공후이가왈: "공무도하. 공경도하. 공타하이사, 당내공하." 곡종, 자투하이사. 자고문이비지, 내원금이고지작공후인. 이상기성, 소위공무도하곡야.[3] 진졸(津卒)은 나루터를 담당하는 군졸을 가리킨다. 보통 '뱃사공'이라고 의역한다.[4] 정부(征夫)는 '나그네' 혹은 '원정을 간 군인'이라는 뜻이다.[5] 여기서 當은 '~하려고 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따라서 當奈公何은 '공(임)은 무엇을 어찌하려고 하였나?'라고 번역된다.[6] 《공후인》,조선진졸곽리자고처여옥소작야。자고신기,자선이도。유일백수광부,피발제호,난류이도。기처수호지지,불급,수타하수사。어시원공후이고지,작《공무도하》지가。성심처창,곡종,자투하이사。곽리자고환,이기성어처여옥,옥상지,내인공후이사기성,문자막부타루음읍언。여옥이기성전인녀여용,명왈《공후인》언。[7] 《고금주》의 경우에도 비록 집필 시기가 서진 시대라 고조선과 거리가 있다고는 하나, 중국의 시였다면 굳이 조선인의 작품임을 밝혀 작성할 이유가 없다.[8] 김영수의 논문(한국시가학회, 한국시가연구). 다만 이러한 주장은 같은 학회에서도 더 최근에 고조선의 노래로 보는 논문이 나오는 등 합의된 정설은 아니다.[9] 백수광부가 단순히 미치광이가 아닌 남편이라는 해석은 꽤 예전부터 존재했으며 교육과정에도 그렇게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다.[10] 장자의 저서 중 소요유편 4장에서 혜시의 표주박 이야기가 나온다. 장자의 친구인 혜시가 어쩌다 위나라 왕이 내려준 표주박 씨를 얻어서 그걸 심었더니 5섬(약 900리터)이나 되는 엄청나게 큰 표주박이 자랐는데, 너무나도 큰 나머지 그릇으로 쓰기에는 오히려 부적당해서 결국 제대로 쓰지도 못하고 죄다 내버렸다고 푸념하자, 장자가 굳이 기존 표주박처럼 그릇으로 쓰려 하지 말고 부표 같은 다른 쓰임새를 찾으면 되지 않았겠냐며 타박하는 내용이다. 저 5섬짜리 표주박이 실존했을지에 대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춘추전국시대 당시부터 표주박 등을 이용한 부유구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11] 즉, 가난한 늙은이가 바로 옆에 있는 뱃사공을 부를 돈도 없어 항아리를 타고 강을 건너려다 안타깝게 익사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런 상황이었다면 뱃사공이 착잡해한 이유도 설명이 된다.[12] 광증의 경우 본인의 병 때문에 온 것이라기보단 강에 도달했을 때 마주한 상황(고조선군 대다수의 전멸)이 하도 감당 안 되는 비참한 상황인 데다, 그가 거기에 큰 자책감을 느꼈기에(직업이 고조선군의 책사에 친척 포지션이었는데, 연나라군이 그의 정체를 알아차리고 맹공을 감행해서 고조선군 대다수의 전멸이라는 상황까지 간 것) 정신이 견디지 못하고 멘탈붕괴를 해서 강에 뛰어들어가는 것이 광증처럼 표현된 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