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조선의 대외 전쟁·분쟁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820000><colcolor=#ddd>전쟁·정벌 | 교전세력 |
| 고조선-연 전쟁 기원전 3세기 | 연나라 | |
| 고조선의 패수 영토회복 기원전 3세기 | 진나라 | |
| 위만의 정변 기원전 194년 | 위만군 | |
| 준왕의 마한 정복 기원전 194년 | 마한 | |
| 진번⋅임둔 정벌 기원전 2세기 | 진번국, 임둔국 | |
| 옥저 정벌 기원전 2세기 | 옥저 | |
| 1차 왕검성 전투 기원전 109년 | 한나라 | |
| 2차 왕검성 전투 기원전 109년 ~ 기원전 108년 | 한나라 | }}}}}}}}} |
| <colbgcolor=#c0c0ff><colcolor=#522142,#522142> 고조선-연 전쟁 古朝鮮燕戰爭 | ||
| 시기 | 기원전 3세기?[1][2] | |
| 장소 | 요동 일대 | |
| 원인 | 고조선과 연의 관계 악화 | |
| 교전국 | 고조선 | 연 |
| 지휘관 | 조선왕 3세 | 연소왕 진개 |
| 병력 | 병력 규모 불명 | 병력 규모 불명 |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 결과 | 연의 대승 | |
| 영향 | 고조선의 세력 약화, 고조선의 청천강 세력으로 남하 | |
1. 개요
기원전 4세기 후반 ~ 기원전 3세기 초반 경 전국칠웅 중 하나인 연나라(燕)가 당시 인접 국가였던 고조선을 공격한 전쟁으로, 기록된 한국사상 최초의 국가 간의 전쟁이다.2. 전쟁
그 이전에도 고조선과 연나라는 전통적인 라이벌 적성국가로 밀고 당기는 관계를 수백년간 이어나갔다. 하지만 연나라가 악의를 등용해서 제나라를 멸망직전에까지 밀어붙이자, 자신감이 붙은 소양왕은 고조선을 공격하기로 했었고, 기원전 281년 경에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고조선과 전쟁을 개시하였으며, 연나라는 대승하고, 고조선은 대패하여 연나라가 2,000리의 영토를 확보할수있었다고 나온다, 사기에 의하면 기원전 281년에는 이미 연이 요동을 장악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그리고 기원전 281년이 아니라 그 이전에 발발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대략 기원전 300~282년 사이에 발발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만 진개의 활약 시기를 기원전 300년에서 282년 사이의 시기로 추정하는 이유는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데, 이러한 정황 증거들이 있기 때문이다.- 형가의 진시황 암살시도로 알려진 형가의 동료, 진무양(秦舞陽)은 진개의 손자라고 한다. 그리고 진무양은 이때 형가가 진시황 암살을 위하여 고용한 장사였다고 하는데, 나이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노인은 아니었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 사기 흉노열전에서는 조무령왕이 조나라 북부에 군을 설치하고 요새를 쌓은 이후, 진개가 흉노들을 격퇴했다고 적으며, 진개 이후에 조나라의 명장 이목이 흉노를 또 다시 무찔렀다고 한다. 그런데 이목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목의 활동시기는 아무리 빨라도 272년 전후로 추측된다. 조무령왕은 기원전 300년 즈음에 요새를 쌓았으며, 이목이 흉노를 격퇴한 시기는 조나라의 기록[4]과 그의 사망년도가 기원전 229년임을 생각하면[5] 기원전 272년~265년 즈음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진개의 활동시기는 기원전 300년에서 270년 사이로 추측되는데, 이는 연나라의 전성기이자 연나라 최고의 군주로 꼽히는 연소양왕의 제위시기와 일치하므로, 연나라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시기도 적절하다. 그 이유는 연나라는 연소왕의 즉위 전까지는 자지가 활개를 치는 등 매우 혼란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소왕의 아들인 연혜왕은 명장인 악의를 쫓아내는 삽질에 집권하자마자 제나라와 전쟁을 벌였고 한, 위, 초 3개국 연합군의 공격을 받는 등 연혜왕 집권기엔 연나라 입장에서도 흉노에 신경쓸 시기가 아니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정황증거만 있을 뿐, 분서갱유로 인해 연나라의 사서가 타 국가들의 사서와 같이 소실되어 구체적인 기록이 남지 않아서 전쟁의 시기와 경과 등은 알 수 없다.
전쟁 이전의 고조선은 칭왕을 단행할 정도로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서 패권을 차지하던 강성한 국가였지만, 전쟁에서의 대패로 인해 본래의 근거지인 랴오닝성 일대를 통째로 잃고 한반도 북서부만을 건지는 소국으로 전락하여 언제 멸망당해도 이상할것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 하지만 오래 지나지 않아 연 소양왕이 사망하고, 연 혜왕이 악의를 해임하고, 기겁을 등용하다가 제나라 일대를 전부 잃는 실책을 저지렀고, 고조선은 이러한 기회를 활용해서 국가를 안정화시키는데 성공하였고, 연나라가 진나라에게 멸망당하는 순간에도 진나라에게 조공을 보내면서 국체를 보전하기까지 했다.
3. 관련 설
고조선의 강역 및 중심지에 대한 학설을 다룰 때 많이 등장하는 사건이다. 이 전쟁으로 고조선은 본래 근거지인 랴오닝성을 잃어버리면서 고조선의 영역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전쟁의 결과로 고조선이 만번한을 경계로 연나라와 접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만번한이 어딘지에 대해서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동설을 주장하는 쪽의 일부에선 이 연나라의 공격으로 고조선의 중심지가 랴오닝에서 청천강 - 대동강 유역으로 이동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학설을 기반으로 고조선의 후기 수도인 왕검성의 위치가 평양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연왕 희가 랴오둥을 넘어서 압록강까지 도주하려다 실패했다는 기록을 두고, 이 즈음 연나라와 고조선의 국경이 압록강 자체, 혹은 그 부근이었다는 해석도 있다.또 다른 일부 연구는 고조선-연 전쟁 종결 후 고조선과 연의 경계 지역을 랴오둥 반도를 가로지르는 천산 산맥으로 보았었다.[6] 그러나 2022년까지 연구 결과로는 압록강과 바로 인접한 곳에서 연나라 군부대 유적이 두 곳이나 발굴된 데다가, 천산산맥 이동 일대도 군현 지배를 통한 직접 통치를 관철시키지 못했다 뿐이지 주요 교통로와 요지는 연나라가 장악한 것이 드러나면서 적어도 청천강까지는 연나라가 간접지배했을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후 초한쟁패기때 압록강 이남지역을 고조선이 다시 차지하고, 전한은 거리가 멀어 지키기 어렵다는 이유로 다시 서쪽으로 물러나 고조선은 패수[7]까지 진출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대해서도 설이 많다. 한편 노태돈 교수는 연나라가 만번한까지 진출한 후 점진적으로 청천강까지 장악했을 것이라 보기도 했다.
4. 기타
사실 연과 고조선은 최후까지도 관련이 있다. 최후의 이성 연왕[8] 노관이 한나라의 유방에 대적하다 패해 달아날 때 연나라에 살던 위만도 고조선으로 망명했는데, 이후 고조선 변방을 지키다 1년 뒤 준왕을 쫓아내 왕위를 찬탈하고 위만조선을 세우게 된다. 때문에 위만의 출신과 위만조선의 정체성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 이는 해당 문서들을 참고할 것.본 전쟁의 발발년도를 기원전 281년으로 보는 견해를 수용하면 2020년 기준으로 고조선-연 전쟁은 2300주년을 맞는다. 허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원전 281년은 이미 전쟁이 종결된 이후이다. 따라서 위의 견해는 애초에 성립할 수 없다. 기원전 280년까지 늦추어 보는 연구도 있으나 연혜왕 즉위 이후의 연나라의 상황을 본다면 흉노에 신경 쓸 상황이 아니었으니 지지받지는 않는 설이다.
5. 같이 보기
[1] 워낙 옛날의 전쟁이라서 위키백과에서는 기원전 4세기에 발발했다고 되어 있는 등 상세한 발생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2] 보통 적어도 기원전 281년 이전에 일어났다고 본다.[3] 사실 사마천이 사기를 집필할 당시 분서갱유와 초한쟁패로 많은 사료가 소실되어 자료수집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사기의 기록에서 1년, 2년 차이나는 것 정도나 각 나라측의 기록에 따라 내용이 바뀌는 것은 흔한 일이다.[4] 조나라의 기록에 마지막으로 흉노가 등장한 것은 사기 조세가 조혜문왕 편에서 기원전 272년, 흉노의 부족 중 하나였던 동호의 변경 불모지를 개간했다는 내용이 전부다. 그 이후로는 흉노가 등장하지 않아 이 시기를 전후하여 이목이 흉노와 전쟁을 벌였다는 추측이 가능하다.[5] 이목은 심지어 자연사도 아니고, 당시 전쟁에서 싸우던 장수였으나 모함을 받아 죽었다.[6] 연하도 문화가 천산 일대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7] 대체로 혼하나 압록강으로 본다.[8] 즉, 본 문서의 연나라는 이후 진나라한테 망했고, 초한쟁패기 시절 다시 나타난 봉국으로써의 연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