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5 04:17:10

장당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고조선 평양성아사달장당경왕검성
부여 예성 → 부여성
고구려 졸본성국내성장안성
백제 위례성(한성)웅진성사비성
신라 금성(서라벌)
가야 금관국(금관가야)반파국(대가야)
발해
태봉 송악성철원성
후백제 무진주전주성(완산주)
고려 철원성개경강도개경
경성부
대한민국
/ 북한
서울특별시
/ 평양시
}}}}}}}}}

명칭 장당경(藏唐京)
이칭,별칭 당장경(唐藏京),장장평(庄庄坪)
시대 고조선
유형 도읍지
위치 황해도 신천군(信川郡)(?)
중국 선양시(?)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장당경(藏唐京)은 고조선의 도읍지로 알려진 곳이다. '당장경'(唐藏京)이라고도 한다.

2. 역사

삼국유사》 <기이>(紀異) -고조선조-에서는 《고기》(古記)를 인용해
단군이 요임금 즉위 50년이 된 해인 경인년에 평양성을 도읍으로 정하고 조선이라 일컬었다. 그후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로 옮겨서 1,500년을 다스리다가, 주무왕(周武王)이 즉위하고 기자(箕子)를 조선후에 봉하자 도읍을 다시 이곳으로 옮겼다.
고 했다.[1] 《삼국유사》에는 '장당경'이라고 했으나 《고려사》, 《세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는 '당장경'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의 기록대로라면 고조선의 도읍지는 평양성→아사달→장당경 순으로 옮겨졌으므로 장당경은 세 번째 도읍지가 된다.

그 위치에 대해 《세종실록지리지》나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서는 《고려사》의 '장장평'이 단군이 도읍했던 '당장경'의 잘못 전해진 지명이라 하여 문화현[2]의 동쪽에 있다고 했으며, 중국의 대릉하 유역이나 유주[3] 일대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고고학계의 통설을 보면 고조선의 초기 발원지는 요서의 차오양시 일대고(십이대영자 문화), 이곳에서 발원한 집단이 점차적으로 요동 반도 일대로 세력을 확대하며 영역을 넓히고, 그 중 정주민적 성격이 강한 집단은 중심지를 선양 일대로 옮기고(정가와자 문화) 발원지인 요서는 유목민적 성격이 강한 집단(남동구 유형)이 차지했지만 요동과 요서는 서로 관계를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원전 3세기경 연나라의 침공으로 갑자기 이 문화들은 평양 일대로 옮겨가는데, 이것은 사서에 기록된 고조선-연 전쟁에 대한 언급과 매우 일치한다. 고조선의 원래 수도였을 선양 일대는 연나라의 요동군 후성현(候城縣)으로 지정된다. 후가 일반적인 군주의 칭호였으니 후성현이라는 이름만으로도 선양 일대가 고조선의 수도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기록된 고조선의 도읍 이름 중 어떤 것이 원래 후성현의 이름일지는 짐작할만한 근거가 없다.
[1] 기자조선이 실재했다고 가정할 경우, 기존에는 기자가 오면서 단군조선이 끝나는 것으로 이해됐지만, 이 기사를 보면 기자가 온 후에도 단군이 따로 도읍을 옮겨간 것이 되므로 기자와 단군이 양립했을 수도 있다.[2]황해도 신천군. 구 문화현에 속했던 산천면 대덕리에 장당경의 후보지로 꼽히는 '장재이벌터'라는 유적이 있다.[3] 허베이성 북부 및 랴오닝성 서부 일대를 가리키던 고대 중국의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