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래퍼에 대한 내용은 뱃사공(래퍼) 문서 참고하십시오.
사공[1] |
1. 개요
배를 부리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으로, 줄여서 사공(沙工)이라고도 한다.한자로는 선부(船夫), 선인(船人), 초공(梢工)이라고 한다. 때때로 안강망 어선의 선장을 사공이라고 하며, 뗏목를 엮어 운항하는 사람을 '뗏사공'이라고 한다.
2. 역사
큰 배를 여러 명의 사공이 부릴 때 가장 우두머리가 되는 사공을 '도사공'이라고 하였으며, 관에서 설치한 나루의 사공은 '진부(津夫)'라고 하였다. 진부의 수는 나루의 크기에 따라 달랐으며, 이들에게 지급한 전결(田結) 또한 달랐다.[2] 진부들이 배를 부리다 배가 뒤집혀서 사람이 빠졌을 때 반드시 구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곤장 100대를 맞았다.배의 종류에는 관에서 부리는 배인 '관선'과 일반 개인이 부리는 '사선'이 있었으며, 배삯은 시기와 이용자에 따라 달랐다. 또한 낮보다는 밤에 이용할 때 몇 배나 더 많은 값을 받았으며, 배삯은 보통 무명을 사용했다.
민간에서는 마을 공동으로 배를 마련하고 사공을 두었는데, 사공은 나루터 근처에 마을 사람들이 마련해 준 '사공막'이라는 집에서 살며 봄과 가을에 마을 사람들이 추렴해 준 곡식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마을에서 온 사람들이 강을 건널 때는 따로 배삯을 내지 않았다.
사공의 신분은 천민으로,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산업화 이전까지 남아 있던 직종이었다. 서울 주변에도 1960~70년대까지 남아 있었지만, 나루터가 다리로 대체되면서 사라져 간 직종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각종 지자체에서 관광용으로 운행하는 재래식 나룻배에서 노를 젓는 사공 이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뱃사공은 있었는데, 멀리 지중해의 오스만 제국에서도 뱃사공들이 활동했다. 오스만 제국을 여행하면서 이들을 직접 만나본 프랑스인 여행객은 오스만 뱃사공들이 하루 종일 힘들게 일하면서 먹는 음식이 고작 익히지 않은 생오이 뿐이라고 기록했다.
3. 기타
매체에 등장할땐 크게 두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적이 추격해 오는 상황에서 주인공들을 구조하고 사례를 표하려 하면 "그깟걸 원했으면 진작에 너희를 팔아먹었지." 라고 대답하며 사절하는 은인 부류. 아니면 반대로 손님들을 물에 빠뜨려 죽이고 재산을 강탈하는 사악한 부류가 있다.그리스 신화에는 저승에 흐르는 강인 아케론에서 배를 부리는 카론이라는 뱃사공이 등장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이 있다. 리더 없이 여러 사람이 자기주장만 내세우면 일이 제대로 흘러가지 못함을 비유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고전소설 《수호전》에서는 장횡, 장왕 등이 뱃사공이면서 승객에게 수적질을 해 재물을 빼앗는다.
강이 그다지 크지 않고 다리를 놓기에는 인적이 너무 드문 곳에는 줄배를 두어 뱃사공 없이 오갈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과거 신화나 이야기들을 쭉 살펴보면 엄청나게 많이 등장하는 직종 중 하나가 이 뱃사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