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2 02:54:48

채식주의자(소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채소 위주의 식생활에 대한 내용은 채식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채식주의자 인물에 대한 내용은 채식주의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bookthumb.phinf.naver.net/03309417.jpg
채식주의자
The Vegetarian
<colbgcolor=#dddddd,#212121> 쪽수 247
저자 한강
출판사 창비
ISBN 9788936433598
최초 발행 2007.10.30

1. 개요2. 주제3. 줄거리4. 수상

[clearfix]

1. 개요

2007년 출간된 한강의 연작소설[1]로, 작가에게 맨부커상을 안겨준 작이다. 수상 공표문 번역

한국에선 몽고반점[2]에 호평을 내리는 것에 반해 채식주의자가 선택된 것에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영역본 소설이 통합되어 나와 연작의 첫번째인 채식주의자를 그 타이틀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연작 3부작(The Vegetarian)이 통합돼서 183쪽으로 247쪽의 원서보다 쪽수가 적어졌다. 그런데 이 버전의 경우 시점과 문체가 다른 3부작을 합쳐놓다 보니 줄거리가 진행되는 도중 갑자기 문체가 바뀌어 다른 소설로 넘어가는 듯 하다거나 내용이 끊기는 느낌이 든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영어 번역에 대해서 현지인들의 감수성에 맞춰 적절히 의역을 했고, 번역이 아니라 원래부터 영어로 쓰인 듯 문장이 자연스럽다는 평이 많다. 이러한 점이 맨부커상 수상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말도 나올 정도. 하지만 면밀히 비교해보면 의역으로 허용할 만한 범위를 넘어선 오역들이 꽤 있다. 원문에서 성별이 딱히 명시되지 않은 의사와 간호사를 각각 she와 he로 옮긴다든지.
특히 문장의 주어를 혼동해 완전히 엉뚱한 내용으로 바꿔버리기도 했는데,[3] 번역자가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다. 참고[4]

서평 사이트 Goodreads(굿리즈)에서 독자들이 매긴 별점은 3.5점으로 낮은편[5]이지만 8800개가 넘는 서평이 올라와있다. 굿리즈 페이지


2010년에 영화화된 적이 있으나 평은 좋지 않다.

박근혜 정부 시절 이 책이 사상검증을 받은 적이 있다는 소리가 있다.# 허나 정작 사상검증으로 불이익을 받은 책은 5.18을 다룬 한강의 다른 작품 '소년이 온다'라고.

2. 주제

허무와 결핍을 소재로 한 탐미적인 분위기가 인상적인 작품이다. 가족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가부장의 폭력에 대한 비판이 두드러진다. 사회적 제약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한계까지 넘어 식물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주인공과 사회의 충돌을 그리고 있다.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작 소설' 이라는 틀이 말해주듯, 세 편의 이야기가 하나의 캔버스 위에서 그려진다. 고기를 거부하기 시작한 여자의 이야기 '채식주의자', 그 여자가 가진 몽고반점에 강렬한 끌림을 느끼는 남자의 이야기 '몽고반점', 그리고 이카루스처럼 초월하려다 인간으로서 파멸하는 두 사람을 지켜보는 한 여자의 이야기 '나무 불꽃' 으로 구성돼 있다.[6]

세 이야기의 핵심 인물은 '영혜' 이다. 영혜는 과거의 기억과 꿈을 통해 자신이 '목구멍에 생명들이 걸려 남아있어 답답한' 존재임을 자각하게 되고, 육식에 대한 혐오로 시작해 생명에 대한 폭력 자체를 거부하게 되며, 마지막엔 다른 생명을 죽여야 살아갈 수 있는 동물로서의 자신을 초월하려 발악한다.[7]
  • 채식주의자
내가 믿는 건 내 가슴뿐이야. 난 내 젖가슴이 좋아. 젖가슴으론 아무 것도 죽일 수 없으니까. 손도, 발도, 이빨과 세치 혀도, 시선마저도, 무엇이든 죽이고 해칠 수 있는 무기잖아. 하지만 가슴은 아니야. 이 둥근 가슴이 있는 한 난 괜찮아. 아직 괜찮은 거야.
왜 죽으면 안 돼?
나 이제 동물이 아니야 언니.
겉보기엔 평범하다못해 무미건조하지만, 고집이 세고 다른 이를 해치지 않으려는 성격인 '영혜' 는 마찬가지로 무미건조한 남자의 아내이다. 하지만 어느 날 영혜는 피가 뚝뚝 흐르는 생육을 먹는 끔찍한 꿈을 꾸게 되고, 고기를 아주 멀리하게 된다. 집에 있는 고기란 고기는 다 치우고, 남편에게는 "몸에서 고기 냄새가 난다" 며 잠자리를 거부하기도 한다.

영혜는 어릴 적 자신을 문 개가 아버지[8]의 오토바이에 묶여 끌려다니다 거품을 물며 죽어가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어릴 적 영혜는 그 개로 만든 고기를 아무렇지 않게 먹었었다.

영혜의 꿈은 점점 '고기를 먹는 것' 에서 떠나, 누군가가 누군가를 때려서 살해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고기를 거부하는 영혜는 사회적인 압박을 받으며 점점 눈에 띄는 행동을 싫어하는 남편의 심기를 건드리고, 보다못한 남편이 그녀의 가족들을 불러 그녀에게 고기를 먹이려 하다 그녀가 자해를 하게 만들고 만다. 이 사건으로 가족은 풍비박산 나고 영혜는 병원에 들어가게 된다. 병원에서는 어머니[9]가 달여준 한약[10]이나 고기마저 발악적으로 거부하고, 벤치에서 가슴을 드러낸 채 앉아있다가 새를 잡아다 그 피를 핥아먹는 등 남편으로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 결국 남편은 영혜를 버리고 만다.[11]

  • 몽고반점
주인공은 미디어 아트를 통해 자신의 이상을 추구하려는 예술가이다.[12] 집에서는 늘 힘 없는 모습이지만 자신의 카메라로 영상을 찍을 때만큼은 타인은 물론 본인도 이해 못하는 열정을 발휘한다. 그는 아내가 자신의 동생(영혜)을 씻기다 그녀에게서 몽고반점을 봤다는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없는 흥분에 빠진다.

거부할 수 없는 열망에 빠진 그는, 도덕적인 금기를 깨고 영혜를 불러 그녀의 누드에 꽃을 그려 촬영하고 싶다는 부탁을 한다. 영혜는 그의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게 이를 수락한다. 그도 그럴게 영혜는 내심 식물적 삶을 갈망하고 있었다. 주인공은 영혜의 몸에 꽃을 수놓고, 어린 시절이 지나면 사라질 게 당연한 몽고반점을 강조한 바디 페인팅을 그리며 성욕을 초월한 예술적 열망에 사로잡힌다.

그는 자신의 예술을 완성시키기 위해 동업자인 남성 'J' 를 불러 모델 일을 부탁하고, 그의 몸에도 꽃을 그려 영혜와 함께 찍도록 한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영혜와 하나가 되는 모습을 촬영하겠다' 는 그의 지나친 요구에 질색한 J는, 수치심에 받쳐 촬영 중 스튜디오를 떠난다. 가뜩이나 '그 자리에 내가 있어야 했다' 는 생각을 하던 주인공은, 결국 동업자에게 부탁해 자신의 몸에도 꽃을 그린 뒤 영혜와 몸을 겹치게 된다.

열정으로 가득했던 하루를 보낸 주인공은 어느새 잠에 들었고, 깨어보니 처제의 언니인 아내가 있었다. 아내는 자신이 촬영한 영상을 이미 다 본 상황. 남편을 이해할 수도, 이해하고 싶지도 않은 아내는 남편에게 혐오감을 갖는다.

그 이후에 영혜의 언니는 정신병자가 있다고 신고했다고 말하며 남편을 경멸하는 말들을 퍼붓는다. 그 와중에 영혜는 창밖을 향해 사타구니를 활짝 벌린다.
  • 나무 불꽃
영혜의 언니는 남편과 결별한 상황.

영혜가 비 내리는 숲의 한 가운데서 며칠이고 가만히 서 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녀의 언니는 영혜를 찾아간다. 영혜는 정신병동에 입원하게 되었는데 언니는 다른 환자들의 몰골을 보며 영혜를 보기 위해 지나간다. 영혜 역시 비쩍 마른 몰골로 물구나무 서기를 한 채 언니의 부름에는 미동도 하지 않는다.

이러다간 정말 죽는다고 영혜를 말리며 호소하는 언니를 두고 그녀는 발악에 가까운 반발을 한다. 영혜는 이제 고기를 거부함은 물론이고 채식마저 거부하며 햇빛만 있으면 살아갈 수 있다며 확신하고 있었다. 자신을 나무로서 여기면서 그 어떤 음식물의 섭취도 거부한다.

주간지 대학내일에서 줄거리를 요약했다. <채식주의자 3분만에 읽기>

4. 수상

  • 2005년 제29회 이상문학상 〈몽고반점〉
  • 2016년 맨부커상(Man Booker Prize) 인터내셔널 부문
    출간된 이후부터 맨부커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판매량은 3만 부에 그쳤으나, 수상 후 단 3일만에 32만 부를 돌파하고 한강의 다른 대표작 《소년이 온다》, 《흰》, 《희랍어 시간》도 동시에 베스트 셀러에 랭크되었다(2016년 5월 22일 기준).


[1] 이야기는 이어지나, 편 마다 화자의 시점이 바뀌는 소설.[2] 이상문학상 수상작.[3] 예를 들어 '마치 아내가 유령을 보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는 내용을 '아내가 유령처럼 보였다'고 번역하거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허둥댔다'는 내용을 '다른 사람이었으면 허둥댔을 것이다'라고 번역했다.[4] 그나마 한강 작가 왈, 이후 작품인 '흰'에서는 스미스의 한국어가 많이 나아졌다고 한다. 사실 이건 스미스만의 문제가 아니라, 영어권 번역자들 사이에서는 영어를 쓰는 독자들(정확히는 영미권 독자들)에게 책을 술술 읽히게 하려고 원작자와 별다른 상의 없이 파격적으로 의역을 해버리거나, 이해하기 힘든 이국적인 요소들을 쳐내버리는 경향이 강한 탓도 있다. 이는 자국민 작가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돼서, '플롯은 재미있는데 잘 안 팔릴 것 같은 문체다' 싶으면 편집자의 재량 하에 가차없이 윤문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한국에서도 그렇지만, 워낙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문화가 발달한 영국, 미국, 호주 등에서는 윤문에 더욱 거침이 없는 편이다. 물론 트와일라잇처럼 큰 윤문이나 첨삭 없이 원작자가 쓴 버전 그대로 덜컥 시장에 내놓는 경우도 있지만.[5] 이 사이트에서 어지간한 명작이나 수작소리듣는 작품들은 4점대가 넘는다.[6] 저 인물들은 모두 가족이다(...). '채식주의자' 의 주인공 영혜와 '나무 불꽃' 의 주인공은 자매이며, '몽고반점' 의 주인공은 '나무 불꽃' 주인공의 남편(즉, 영혜의 형부)이다.[7] 영혜의 평범성이 강요된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8]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이며, 가정에서까지 똥군기를 강요하는 가부장적 인물로 묘사된다. 소설에서는 개를 잡아 먹거나 술국을 좋아하는 아버지의 육식 선호를 마치 아버지의 폭력성과 결부시키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서술이 곳곳에 등장한다. 군필자가 많고 군사화의 잔재가 사회 곳곳에 아직 많이 남아있는 한국에서는 이러한 묘사에 거부감을 표한 독자들이 많다.[9] 즉, 남편의 장모. 그는 장모의 행동에서 딸을 향한 끔찍한 모성애와 동정을 느낀다.[10] 흑염소.[11] 남편이 영혜와 이혼했다는 사실은 몽고반점에서 언급이 된다.[12] 채식주의자의 서술자와는 다른 사람이다. 영혜의 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