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보드게임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궤변|궤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보드게임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신라#궤변|궤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논리학 Logic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ab5b5> 형식 논리 | 명제 논리(진릿값 · 논리 연산 · 삼단논법(정언삼단논법) · 순환 논법) · 공리 · 진리치 · 술어 논리 · 논증(논증의 재구성) · 모순 · 역설 · 논리적 오류(논리적 오류/형식적 오류) · 변증법 | |
<colcolor=#000,#fff><keepall> 비표준 논리 | 직관 논리 · 양상논리 · 초일관 논리 · 다치논리(퍼지논리) · 선형논리 · 비단조 논리 | ||
<keepall> 메타 논리 | 집합론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 | ||
비형식 논리 | 딜레마(흑백논리) | ||
<keepall> 비형식적 오류 | 귀납적 오류 · 심리적 오류 · 언어적 오류 · 자료적 오류 · 양비론 · 진영논리 · 편견 및 고정관념 · 궤변 · 거짓 등가성 | ||
분야 | 수학철학 · 수리논리학 |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수리논리학 둘러보기 |
1. 개요
궤변(詭辯) [궤ː변] 「명사」
『철학』 상대편을 이론으로 이기기 위하여 상대편의 사고(思考)를 혼란시키거나 감정을 격앙시켜 거짓을 참인 것처럼 꾸며 대는 논법.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궤변(詭辯, sophistry)이란 얼핏 들으면 옳은 것 같지만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둘러대어 논리를 합리화시키려는 허위의 변론을 말한다.『철학』 상대편을 이론으로 이기기 위하여 상대편의 사고(思考)를 혼란시키거나 감정을 격앙시켜 거짓을 참인 것처럼 꾸며 대는 논법.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상대방을 속여 참을 거짓으로, 혹은 거짓을 참으로 잘못 생각하게 하거나, 거짓인 줄 알면서도 상대방이 쉽게 반론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사상적 혼란, 감정이나 자존심 등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궤변은 처음부터 토론을 통해 어떤 진리를 밝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말다툼에서 이기기 위한 목적의 술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궤변은 반드시 역지사지가 없는 이중잣대가 들어가며, 궤변을 한 상대가 같은 내용의 궤변을 받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고 할 수 있다.
2. 어원
궤변을 잘 하는 사람을 '궤변론자(詭辯論者)' 혹은 '궤변가'라고 하는데 이는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에 걸쳐 출세를 위해 필요한 변론술 및 처세술과 사전식 지식을 가르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 그리스 전역을 돌아다닌 지식인 '소피스트'들을 뜻한다.궤변의 원어인 'sophistik'가 바로 이 '소피스트(궤변학파)'에서 나온 말이며, 궤변학파는 본디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오늘날의 궤변을 뜻하지는 않았다. 그러던 것이 후세에 이르러 목적을 위해 '논리적인 규범을 무시하고 아무렇게나 둘러댄다'는 뜻으로 변했는데, 이는 아테네 정치의 쇠퇴기에 소피스트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대두되면서 어휘에 대한 이미지마저 변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다른 소피스트들과 척을 지게 된 것이 후대 사상가들에게 회자된 것도 한 몫을 했다. 동양에서는 명가(名家)의 학자 공손룡(公孫龍)의 '견백론(堅白論)'이나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 등이 궤변의 좋은 예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백마비마론은 아래 예시에 적혀 있다.
3. 궤변이 발생하는 이유
본인의 자존심이나 프로파간다를 전파하기 위해서거나 논쟁, 언쟁에 있어 본인이 틀렸음에도 이기고 싶은 심리 때문에 궤변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즉, 정신승리의 한 갈래로 볼 수 있다.보통 궤변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 세 문단에서 설명할 것이다.
3.1. 심리학적 관점
3.2. 사회학적 관점
3.3. 언어철학적 관점
4. 구분법
궤변은 언뜻보면 타당해 보이지만 키워드를 하나씩 펼쳐 보면 헛소리인 경우가 많다.이에 대한 구분법은 다음과 같다.
4.1.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궤변의 대표적인 수법이다. 발생한 특정 사건들만을 서술 했으나 그 사건이 가져다 주는 결과나 의미, 즉 맥락은 고의적으로 묵인한 채 기계적 중립식의 서술문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4.2. 전건 긍정, 후건 부정문
5. 맞춤법 오해
괴변1(怪變)「명사」 예상하지 못한 괴상한 재난이나 사고.
괴변2(壞變)「명사」 무너져 모양이 바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괴변과 같은 의미가 아니며, 바꿔 쓸 수도 없다.[1]괴변2(壞變)「명사」 무너져 모양이 바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많은 사람들이 오기하는 단어로, '괴물', '괴상', '기괴' 등에 사용되는 '괴이할 괴(怪)'자를 써서 '괴이한 변론' 인 것으로 착각되는 경우가 있다. 이중모음 음운 가운데서도 '궤' 자가 사용되는 단어가 드물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로 추정된다. 그러나 '괴변'에 '괴이한 변론' 같은 의미는 존재하지 않으며, 표준어에서 괴변은 오직 '변할 변(變)' 자를 받아 '예상하지 못한 괴상한 재난이나 사고', '무너져 모양이 바뀜' 의 의미만 있다. 따라서 '궤변'을 '괴변'이라고 쓰는 것은 오류이다.
괘변(卦變) 「명사」 괘가 변하는 것을 보고 점치는 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그 외에도 괘변이 있는데, 이는 뜻이 '궤변과 괴변'과는 거리가 멀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단어의 오용
궤변이라는 것은 '상대편을 이론으로 이기기 위하여 상대편의 사고를 혼란시키거나 감정을 격앙시켜 거짓을 참인 것처럼 꾸며 대는 논법'이다. 어디까지나 거짓을 참인 것으로 꾸민 것이기 때문에 참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 대화상황에서 궤변이 아닌 것도 궤변이라고 하는 '궤변 몰이'도 자주 일어난다. 어떠한 주장이든 자신의 생각이나 가치관과 맞지 않으면 그 주장을 단순히 궤변이라고 퉁치는 것이다. 정말로 궤변이었을 때도 있으나 아닐 경우에는 궤변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궤변이 되기도 한다. 어떤 주장에 대해 궤변 몰이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진짜 궤변이 참인 주장인 것 처럼 되기 쉽다.[1] 비슷한 느낌인 궤멸과 괴멸은 서로 유의어라 바꿔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