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 내용을 담은 책인 "철학서"에 대한 내용은 철학서 문서
참고하십시오.1. 개요
철학과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 철학적 입장이나 개념 등을 정리해놓는데 주력한다.철학에 처음 흥미가 생겨 알아보고 싶은 경우 철학/입문 문서 참조.
다른 학문 분야가 그렇듯이 위키위키의 특성상 아래 문서들을 학문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레포트에 나무위키 페이지를 출처로 쓰는 것은 전혀 현명한 생각이 되지 못한다. 해당 문서에서 출처를 표기한 경우, 그 출처를 따라 그 인용이 맞는지 직접 원문을 확인한 후 해당 원문을 인용하는 것이야말로 좋은 쓰임새일 것이다.
또한 철학과 사회(특히 종교) 관련 정보들에 대해서는 이미 극단적일 정도로 편향적이고 무지한 내용이었다는 지적도 자주 있었으며, 리그베다 위키 붕괴 당시 키보드 워리어가 여론몰이 등을 통해 써놓은 잘못된 내용이 여전히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또한 유의할 것.
좀더 공신력있는 정보를 위해선 철학사 페이지에 적힌 고전적인 철학사 연구서를 참조하는 것도 좋고, 또한 영어에 문제가 없다면 권위를 널리 인정 받는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을 참조하는 것도 좋다.
2. 메타철학
3. 형이상학
3.1. 일반 형이상학
3.2. 특수 형이상학
4. 인식론
4.1. 철학 방법론
5. 논리학
논리학 관련 정보 참조6. 가치론
6.1. 윤리학
- 공리주의
- 규범윤리학 - 메타윤리학
- 도덕
- 선 - 악
- 아타락시아 - 아파테이아
- 양심
- 이기주의 - 이타주의
- 자유
- 평등
- 쾌락주의(헤도니즘)
- 연구윤리
- 의료윤리학
- 인권
- 동물권
- 낙태
- 사형
- 페미니즘
- 트롤리 딜레마
- 도덕 추론
- 덕 윤리학
- 비동일성 문제
- 프랭크퍼트 사례
6.2. 미학
6.3. 정치철학
7. 과학철학
- 과학사
- 과학적 방법
- 과학적 실재론
- 과학적 회의주의
- 과학 공동체
- 반과학
- 반증주의
- 방법론적 자연주의
- 변경지대의 과학
- 병적과학
- 연구방법론
- 유사과학
- 재현성
- 패러다임
- 헴펠의 까마귀
- 환원주의
- 복잡계
- 내 차고 안의 용
- 인류 원리
- 양자역학의 해석
- 사고실험
- 법칙
- 인종
- SECI 모델
8. 심리철학
9. 언어철학
10. 수학철학
11. 철학사/서양
11.1. 고대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현대 철학 | 20세기 이후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 |||||||||
밀레투스 학파 |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헤라클레이토스 | ||||||||
피타고라스 학파 | 피타고라스, 필롤라오스 | ||||||||
엘레아 학파 | 크세노파네스, 파르메니데스, 제논(엘레아), 멜리소스 | ||||||||
다원론자 | 엠페도클레스, 아낙사고라스, 데모크리토스 | ||||||||
아테네 철학 | |||||||||
소피스트 |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프로디코스, 트라시마코스, 칼리클레스, 프로디코스, 안티폰 |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
헬레니즘-로마 제국철학 | |||||||||
키니코스 학파 | 안티스테네스, 디오게네스 | ||||||||
스토아 학파 | 제논(키티온), 세네카, 에픽테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 ||||||||
키레네 학파 | 아리스티포스 | ||||||||
에피쿠로스학파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 ||||||||
메가라 학파 | 에우클레이데스 | ||||||||
회의주의 | 피론, 티몬,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아이네시데모스, 아그리파 | ||||||||
아카데미아 학파 | 아르케실리오스, 카르네아데스 | ||||||||
신플라톤주의 | 플로티누스, 히파티아, 프로클로스, 포르피리오스,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 | }}}}}}}}} |
11.2. 중세
11.3. 근대
서양 철학사 근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8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현대 철학 | 20세기 이후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16-18세기 | |||||||||
르네상스 시기 | 에라스뮈스, 토머스 모어, 마키아벨리, 몽테뉴, 조르다노 브루노 | ||||||||
합리주의 | ,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 ||||||||
경험주의 | 프랜시스 베이컨, 홉스,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 | ||||||||
계몽주의 | 몽테스키외, 볼테르, 라 메트리, 디드로, 루소 | ||||||||
19세기 | |||||||||
이마누엘 칸트 / 신칸트주의 | |||||||||
피히테,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슐라이어마허 | |||||||||
헤겔 | |||||||||
공리주의 | 벤담, 스튜어트 밀 | ||||||||
실증주의 | 오귀스트 콩트, 에른스트 마흐 / 사회학: 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 ||||||||
사회주의 | 프루동, 바쿠닌, 크로포트킨, 슈티르너 (아나키즘) | ||||||||
· 엥겔스 (마르크스주의) | |||||||||
키르케고르, 쇼펜하우어, 딜타이, 베르그송 | |||||||||
프리드리히 니체 | |||||||||
20세기 이후 철학 |
- 합리주의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
- 모나드
- 물자체
-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
- 경험주의
- 계몽주의
- 백과전서파
- 자연으로 돌아가라
- 자유사상
- 휴머니즘 (인본주의)
- 신칸트주의
- 마르크스주의
- 위버멘쉬
- 영겁 회귀
- 인간말종
- 힘에의 의지
11.4. 현대
12. 철학사/동양
12.1. 동아시아 철학
12.1.1. 제자백가
12.1.2. 유가철학
12.1.3. 도가철학
12.1.4. 불교철학
12.1.5. 중국근현대철학
12.1.6. 한국철학
12.1.7. 일본철학
12.2. 인도 철학
12.2.1. 아스티카
12.2.2. 나스티카
12.3. 이슬람 철학
- 칼람 (kalam)
- 팔사파 (falsafa)
-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파
- 조명학파 (Illuminationism)
- 초월론적 신지학 (Transcendent theosophy)
13. 철학과
해당 항목 참조14. 철학자
해당 항목 참조15. 철학서
해당 항목 참조16. 철학상
17. 기타
[1] 신유가라는 표현도 혼용된다. 대한민국에서 성리학(송명이학)도 신유학이라고 부르므로 혼동에 주의. 영미권에선 둘을 구분해서 부르는데, 성리학은 'Neo' Confucianism으로 현대신유학은 'New' Confucianism으로 부른다.[2] 대만에선 신유가를 두고 당대신유가(當代新儒家),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이는 송명이학과의 연속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심성유학을 중시한다.[3] 중국 대륙에선 현대신유가(現代新儒家), modern new confucianism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정치유학을 중시한다. 이는 중국내에서 공산주의가 통치이념으로서 갖는 한계를 유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캉유웨이를 중시하여 신캉유웨이주의자(康黨)라 불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