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괴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오르테가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어빙 크리스톨 Irving Kristol | |
본명 | 어빙 윌리엄 크리스톨 Irving William Kristol |
출생 | 1920년 1월 22일 |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 |
사망 | 2009년 9월 18일 (향년 89세) |
미국 버지니아 폴스처치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NNNcm, NNkg, 혈액형 |
가족 | 거트루드 힘멜파브[1] (아내) 빌 크리스톨 (아들) |
학력 |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 (학사) |
소속 | 학자, 언론인 |
서명 |
[clearfix]
1. 개요
Utopian political doctrines are to be deplored, and not only because of their unattainability; in practice they will have worse effects than those more conservative and cautious
유토피아적인 정치 담론들은 개탄받아야 하며, 그게 단지 실현 불가능하기 때문많은 아니다. 그것들은 실제로 보수적이고 신중한 것들보다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어빙 크리스톨 (1943년 에세이) #
미국의 우파 지식인이다.유토피아적인 정치 담론들은 개탄받아야 하며, 그게 단지 실현 불가능하기 때문많은 아니다. 그것들은 실제로 보수적이고 신중한 것들보다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어빙 크리스톨 (1943년 에세이) #
2. 상세
관련 문서: 신보수주의어빙 크리스톨은 "신보수주의의 대부" (the godfather of neoconservatism) 라고 불린다. 그러나 원래 그는 좌파 운동권이였다. 1940년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을 졸업한 이후 트로츠키주의자로서, 사회주의 청년단체에서 활동했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상을 온건화하여 냉전자유주의자가 되었다. 1947년부터 52년까지 자유주의 언론인 코멘터리(Commentary)에 글을 기고했으며[2], CIA의 지원을 받아 서베를린에서 설립된 반소 선전기관인 문화적 자유를 위한 회의(Congress for cultural freedom)에 소속되었다. 1965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라 불리는 일련의 좌파적 복지정책과 당시 청년층에게서 유행하던 반문화, 반체제 운동을 비판하기 위해 퍼블릭 인터레스트(The Public Interest)라는 이름의 잡지를 창간했다. 이 잡지는 70년대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신보수주의 언론이 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는 다른 보수자유주의 성향의 논객들과 함께 주류 미국 자유주의가 급진주의로 변질되는 것을 우려했고[3], 자유주의적 매파였던 크리스톨은 민주당이 반공적이고 강경한 외교정책을 펼 것을 주문했다. 1972년 신보수주의 운동에 호의를 보낸 '미국 기업 연구소'라는 싱크탱크에 위촉되었고, 이 시기에 경제적 자유주의, 외교적 매파, 문화적 자유주의, 보편복지에 대한 제한적인 지지, 급진주의적 히피운동에 대한 반대 등 신보수주의 사상을 집대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선을 지지하던 민주당 내 일부 당원들은 1973년 사회주의자인 마이클 해링턴에 의해 "신보수주의"라고 지칭되었다. 이 명칭은 그를 비롯한 민주당 내 찬전파 자유주의자들을 경멸할 목적으로 만든 멸칭이었지만 역설적으로 크리스톨이 이 명칭을 마음에 들어하면서 그렇게 신보수주의라는 이름이 정착된다. 1979년에는 에스콰이어 잡지 표지에 '신보수주의라는 이름의 새로운 정치 운동의 대부'라 지칭되기에 이른다.
3. 사상
68운동 당대 신좌파 영향으로 유행하던 사회주의와 급진적인 문화운동 등에 반대했다. 또한 자유주의자들의 대공산권 외교적 유화책에도 반대했다. 그렇다고 문화적으로 강경한 보수주의자는 아니었지만, 현대 신보수주의자의 철학적 뿌리가 되었다.그는 이상론적인 사상들을 부정적으로 보았고, 자유민주주의와 부르주아적 자본주의(bourgeois capitalism)가 현실에서 그나마 가장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