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8 14:24:03

에릭 푀겔린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웨스트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괴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오그던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이니스 · 매클루언 · · 플루서 · 비릴리오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보수주의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윤리학 규범윤리학: 앤스콤 ·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인식론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법철학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 소머스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역사철학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에릭 푀겔린
Eric Voegelin
파일:Eric_Voegelin.jpg
출생명 에리히 헤르만 빌헬름 푀겔린
Erich Hermann Wilhelm Vögelin
출생 1901년 1월 3일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쾰른
사망 1985년 1월 19일 (향년 84세)
미국 캘리포니아 스탬퍼드
국적
[[독일 제국|]][[틀:국기|]][[틀:국기|]] →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
신체 NNNcm, NNkg, 혈액형
가족 이름 (관계)
학력 초등학교 (졸업·중퇴)
중학교 (졸업·중퇴)
고등학교 (졸업·중퇴)
대학교 단과대학 (학과1·학과2[복수전공] / 재학·학사·중퇴)
종교 개신교 (루터교회)
직업 철학자
소속 소속
서명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생애3. 활동4.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철학자.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미국으로 귀화하였다.

2. 생애

1901년 독일의 쾰른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빈으로 이주하여 거기서 성장했다. 빈 대학교를 졸업했는데, 학창시절 지도교수가 오스트리아 헌법의 초안자이자 법학자인 한스 켈젠과 보수혁명론자인 오트마르 스판이었다고 한다. 이후 대학에서 사회학을 가르쳤다.

그러다 1938년 안슐루스가 일어나자 그는 게슈타포의 체포 대상이 되었고, 체포를 피해 간신히 오스트리아를 탈출. 미국으로 이주한다. 거기서 여러 대학의 강사직을 전전하다 1942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후 1958년 정치학 교수 자리를 제안한 독일 뮌헨의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제안을 받아들여 독일로 이주했으나 1969년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후버 연구소에 펠로우로 참가했다.

3. 활동

푀겔린은 평생 동안 20세기에 발생한 여러 국가적 폭력들, 예를 들면 나치나 볼셰비키의 공산주의와 같은 전체주의 이념들에 의한 억압과 폭력이 왜 발생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그는 이러한 전체주의 이념이 기독교와 같은 종교에 대한 유토피아적 해석과 맞닿아 있으며, 이러한 이데올로기들은 좌우를 막론하고 종교적 구조와 매우 흡사한 '정치적 종교'로서의 성질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푀겔린 본인은 자신을 보수주의자로 규정하길 거부했으나, 그의 학문은 생전부터 주로 보수주의자들 사이에서 주목받았고 현재도 보수주의 정치철학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조류의 일환으로, 푀겔린은 '질서'가 역사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또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질서와 역사>라는 5권짜리 책으로 출간했다. 고대 근동과 그리스의 정치에서부터 시작해 사회적, 국가적 질서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또 변화해 왔는지를 탐구했으며, 고대부터 근대까지 이어지는 '질서'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했다.

이러한 탐구의 결과 푀겔린은 '초월성'이 질서의 확립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초월적인 경험이나 일들은 인간 이성으로 완전히 정의, 설명할 수는 없으나 일종의 '상징'을 통해 인간의 경험에 전달되며, 이러한 초월적 질서의 경험, 그리고 이것을 해석한 것이 '교리'가 됨으로서 정치적 질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푀겔린은 또한 지식과 진리의 문제를 통해 질서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는 우리가 얻는 지식이 어떻게 존재론적인 의미를 가지는지, 즉 어떻게 그 지식을 '경험'할 수 있고 그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모든 철학은 어떠한 종류던 간의 신성하거나 초월적인 경험에 의해서 시작되며, 그러한 초월적 경험이 '선하다'고 인식함으로서 우리 인간이 이 세계를 인식 가능하고 또한 분석 가능하다고 여기게 된다고 보았다. 이렇게 우리가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는 '신뢰'야말로 우리가 탐구하는 진리의 본질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신뢰의 바탕에서, 우리가 세계를 인식함으로서 얻는 지식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이중 '질서'라는 환영[2]은 'luminosity'에 속한다. 이는 지식 중에서도 명료하며 투명한 지식을 의미한다. 기나긴 역사 속에서 질서의 상징을 찾아왔던 푀겔린으로서는 '질서'야 말로 우리가 가진 지식들 중에서도 가장 명백하며 명료한 지식이었고, 이 질서가 무너져 교리가 단순한 유토피아로 전락해 버릴때 전체주의의 폭력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러한 면에서 보자면 푀겔린은 보수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또, 푀겔린은 이러한 '환영'들이 정통성(orthodoxy)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우리가 얻는 지식이 지금까지 전해내려온 전통과 교리들 속에서 확인되고 얻어진다는 뜻으로, 이 역시 보수주의자로서의 일면을 드러내는 점이라 할 수 있다.

4. 여담



[복수전공] [2] 모든 지식이 초월적 경험을 통해 해석함으로서 얻게 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