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3 20:06:30

언어철학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셸러 · 레비나스 · 앙리
하이데거
실존주의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야스퍼스 · 마르셀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서구 마르크스주의: 루카치 · 블로흐 · 그람시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기타 공산주의: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라클라우 · 무페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21세기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엘륄 · 라투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매클루언
정치철학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랜드 · 아롱 · 크리스톨 · 스트라우스 · 푀겔린 · 커크
윤리학 슈바이처 ·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레건 · 싱어 · 블랙번
인식론 게티어
법철학 드워킨
종교철학 부버 · 슈타인 · 니부어 · 지라르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나딩스 · 길리건 · 해러웨이 · 오킨 · 프레이저
생태주의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북친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1. 개요2. 역사3. 고전적 문제들
3.1. 의미란 무엇인가
3.1.1. 더 읽어볼만한 글
3.2. 말은 어떻게 세계와 관계를 맺는가
3.2.1. 더 읽어볼만한 글
3.3. 언어의 의미에 대한 체계적 이론?
3.3.1. 더 읽어볼만한 글
3.4. 일상적인 대화에서 말은 어떤 뜻으로 쓰이는가?
3.4.1. 더 읽어볼만한 글
4. 교과서5. 기타6. 참고 문서

[clearfix]

1. 개요

/ Philosophy of Language

언어에 관련된 여러 문제를 다루는 철학의 분과 학문. 경험과학으로서 언어를 탐구하는 언어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연구가 겹친다.

언어철학(Philosophy of Language)이 아니라 '언어의 철학(Philosophy of Linguistics)'이라는 분야가 있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인 언어 그 자체가 아닌, 언어학의 방법론이나 주제에 관련된 철학적 문제를 다루는 분야이며, 일반적으로 과학철학의 하위 분과로 간주된다. 당연히 이 문서에서 다루는 언어철학과 별개의 분과이니 혼동하지 말자.

2. 역사

언어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오래전부터 세계 곳곳에서 발생했다. 베다를 엄격히 해석할 필요성이 있었던 인도에서는 기원전 시기부터 언어에 관한 철학적 사유가 깊이 발달하여 이후 힌두교의 6대 철학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한자문화권에서도 제자백가명가는 초보적인 언어철학을 시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유럽 문화권에서도 언어(로고스)에 관한 철학적 사유는 파르메니데스의 작업까지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언어에 관한 철학적 논쟁이 본격화된 것은 소피스트소크라테스가 등장한 이후였으며, 이는 소크라테스의 후예인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를 통해 더욱 발전되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이름과 이름이 가리키는 것의 관계를 따지는 플라톤의 『크라튈로스(Κρατύλος)』가 있다. 이후 스토아 학파는 그런 언어적 탐구를 더욱 발전시켜 전통적인 문법에 관한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둔스 스코투스오컴의 윌리엄중세의 여러 스콜라 철학자들 또한 언어철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근대 이후에도 니체하이데거 등의 철학 체계에서 언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소쉬르구조주의 언어학은 20세기 프랑스 철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언어철학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논리학, 언어학과 본격적인 협업을 이룬 것은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등으로부터 출발한 분석철학 전통이었으며, 이는 21세기 현재 언어철학의 지형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고전적 문제들

현대의 언어철학에서 다루는 내용은 그 자체로 늘어날 뿐 아니라, 언어학의 발달에도 발맞추어 점점 확장되고 있다. 그렇지만 언어철학에서 비교적 전통적으로 다뤄온 여러 문제들(즉 학부 수준에서도 접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로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을 들 수 있다.

3.1. 의미란 무엇인가

말은 의미를 가진다고 여겨지며, 특히 문장명제를 그 의미로 갖는다고 여겨진다. 예컨대 한국어 문장 '사과는 과일이다'와 영어 문장 'An apple is a fruit'은 의미가 같다. 그런데 이때 의미 혹은 명제라는 게 무엇인가? 물리학적으로 의미라는 게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가? 의미는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 같은 것인가? 의미는 에서 발생하는 특정 전기 신호에 지나지 않는가? 아니면 또 다른 무엇인가? 그리고 문장 전체의 의미와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의 의미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의미가 문장의 진리조건(Truth Condition), 즉 그 문장이 이 될 필요충분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무언가라는 점은 많은 철학자들이 동의하는 사안이다(예. 문장 '사과는 과일이다'는 사과가 과일일 경우 오직 그 경우에만 참이다). 하지만 여러 언어 현상을 볼 때 '의미'라는 개념을 진리조건과 똑같은 것으로 보는 입장은 많은 난점을 낳는 문제가 발생한다.

언어철학은 '의미'의 본성을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형이상학과 밀접히 연관되며, 동시에 '의미'는 우리가 마음으로 '뜻하는 바'와 깊은 연관을 맺는 것으로 보이기에 심리철학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3.1.1. 더 읽어볼만한 글

3.2. 말은 어떻게 세계와 관계를 맺는가

언어는 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 같다. 예컨대 한국어 구사자는 '사과'라는 말로 사과를 가리키며, '둘'이라는 말로 인 2를 가리키는 것 같다. 하지만 이런 '가리킴'이라는 게 어떻게 성립하는가? 게다가 '유니콘' 같은 단어는 가리키는 게 없는 것 같은데 그러면 이때 '유니콘'은 세계와 아무런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인가? 이런 걸 설명하기 위해서 반드시 '의미'라는 수수께끼 같은 것에 반드시 의존해야하는가?

이런 지칭(Reference) 현상을 설명 혹은 기술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현대까지도 계속 이어지는 대표적인 철학적 문제 중 하나다. 특히 이 가운데서도 많은 논의거리를 낳고는 하는 어휘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이름 혹은 고유명사: 예. '김영희', 'David Lewis', '대한민국'
  • 한정기술구(Definite Description): 예. '현재 프랑스의 왕', 'the tallest mountain in the world', '미국의 45대 대통령'
  • 자연종 명사(Natural Kind Term): 예. '사과', '호랑이', 'gold', '물'

3.2.1. 더 읽어볼만한 글

3.3. 언어의 의미에 대한 체계적 이론?

언어에서 어떤 표현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드는 게 가능한가? 단순히 주먹구구로 문장의 의미를 설명하는 게 아니라, 논리체계가 그러하듯 공리적으로 언어 표현들의 의미를 도출시키는 이론을 고안할 수 있는가? 만약 그러한 이론을 고안할 수 있다면 그러한 이론은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하는가? 20세기 전반까지 많은 언어철학자들은 자연 언어가 논리학에서 쓰는 인공어와 달리 결함이 많으므로 이런 이론을 고안하는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20세기 중반 리처드 몬태규(Richard Montague)는 당대까지의 언어철학, 논리학, 집합 이론 등을 바탕으로 많은 영어 표현들에 대한 체계적 이론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영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같은 다양한 자연 언어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론을 제시하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현대까지 여전히 종종 논의되고는 하는 대표적인 언어 표현들은 다음과 같다:
  • 양상(Modal) 표현: 예. '할 수 있다', 'impossible', '반드시 -하다', '필연적으로'
  • 명제 태도 표현: 예. '-라고 믿는다', 'desire that', 'think that', '-를 희망한다'
  • 지표사(Indexical): 예. '나', '너', 'this', that', '여기', '지금'

언어학 가운데서도 의미론과 매우 많은 부분에서 연구 영역이 겹치는 분야.

3.3.1. 더 읽어볼만한 글

3.4. 일상적인 대화에서 말은 어떤 뜻으로 쓰이는가?

말은 문자적 의미로만 쓰이지 않는다. "저기 소금통 좀 집어줄 수 있니?"라고 누군가 물었을 때 "응, 소금통 집어줄 수 있어."라고 대답하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상할 것이다. 즉 언어는 그 표현들의 문자적 의미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한 쓰임새를 지닌다. 이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한게 언어철학자 존 오스틴으로, 그는 자신의 언어행위론에서 언어사용을 기존의 분석철학처럼 진리를 가리는데 사용하는 진위적 사용과 의미전달을 위해 사용하는 수행적 사용으로 나누었는데, 수행적 사용이 더 우위에 있고 진위적 사용도 수행적 사용의 부분집합이라고 주장했다.[2][3]

폴 그라이스(Paul Grice)는 20세기 중반 언어의 이러한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화용론(pragmatics)이라는 분야를 제창했으며, 이는 현재 언어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여전히 문자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의사소통 등에 관련된 여러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당연히도 언어학 가운데서 화용론과 많은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3.4.1. 더 읽어볼만한 글

4. 교과서

5. 기타

  • 대한민국 대학들의 여러 철학과에서는 학부 과정부터 '언어철학'이라는 이름으로 해당 내용을 가르치는 전공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6. 참고 문서


[1] 농담 섞어서 가볍게 읽기에 좋아 보인다.[2] 무언가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말도 결국 말을 듣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3] 박병철, 『쉽게 읽는 언어철학』 (서광사, 2009), p. 188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