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2:57:47

뉴욕 포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연관 이념 고보수주의 · 내셔널리즘(기독교 · 미국) · 신보수주의(레이건주의) · 입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온정적 보수주의(기독교 민주주의*) · 우익대중주의(대안 우파 · 트럼프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고자유지상주의 · 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연관 개념 가족 가치 · 건국의 아버지들 · 고립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자유시장) · 공화주의 · 기독교 우파 · 무기소지권 · 미국 예외주의 · 보수주의 민주당 · 보호무역주의 · 불개입주의 · 시장 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힘에 의한 평화
역사 공화당 혁명 · 남부전략 · 도금 시대 · 레이건 시대(레이거노믹스) · 록펠러 공화당 · 매카시즘 · 버번 민주당 · 보수연합 · 솔리드 사우스 · 티 파티
정당 공화당 · 국민공화당 · 근왕파* · 금주당 · 무지당 · 미국 연대당** · 연방당 · 헌법당 · 휘그당
인물 정치인 J. D. 밴스 · 그레그 애벗 · 넬슨 록펠러 · 니키 헤일리 · 도널드 트럼프 · 딕 체니 · 랜드 폴 · 로널드 레이건 · 로버트 A. 태프트 · 론 디샌티스 · 론 폴 · 리처드 닉슨 · 미치 매코널 · 밋 롬니 · 배리 골드워터 · 밥 돌 · 비벡 라마스와미 · 새뮤얼 알리토 · 세라 페일린 · 스트롬 서먼드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더 해밀턴 · 제럴드 포드 · 조지 H. W. 부시 · 조지 W. 부시 · 조지 케넌 · 조지프 매카시 · 존 매케인 · 존 애덤스 · 캘빈 쿨리지 · 하비 맨스필드 · 헨리 키신저
학자 · 법조인 러셀 커크 · 밀턴 프리드먼 · 어빙 크리스톨 · 윌리엄 F. 버클리 · 클래런스 토머스 · 프랜시스 후쿠야마
활동가 데니스 프레이거 · 루퍼트 머독 · 박연미 · 벤 샤피로 · 스티브 포브스 · 일론 머스크 · 팻 뷰캐넌
단체 공화당코커스(공화당 관리 그룹 · 공화당 메인 스트리트 파트너십 · 공화당 연구위원회 · 리버티 코커스 · 수정헌법 제2조 코커스 · 의회헌법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프리덤 코커스) · 보수정치행동회의 · 존 버치 협회 · 전미총기협회 · 헤리티지 재단 · 미국 우선 정책 연구소
언론 프레거 유 · FOX NEWS · 내셔널 리뷰 · 뉴스맥스 · 뉴욕 포스트 · 워싱턴 타임즈 · 월스트리트 저널 · 포브스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식민지 시대~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 대영제국에 충성하던 친영 왕당파 세력. 현대 미국 보수주의에는 없다고 봐도 무관하다.
** 중도우파적 사회관(온건 사회보수주의) 한정. 고전적 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 요소까지 포함된 일반적인 미국의 보수주의 그 자체라기 보다는 미국의 사회보수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뉴욕 포스트 로고.svg

1. 개요2. 성향3. 논란
3.1. 지하철 떠밀기 사건 자극적 보도3.2. 설날 휴일화 요구 조롱3.3. 바이든 관련 특종3.4. 트럼프 암살미수범 오보3.5. 유나이티드헬스케어 CEO 총격 피살 사건
4. 매체5. 기타


홈페이지

1. 개요

미국 뉴욕시를 기반으로 하는 타블로이드 신문.

1801년에 알렉산더 해밀턴이 세웠다. 사실 설립 이후에는 매우 오랫동안 정론지였지만, 오너와 포맷들이 계속 바뀌다가, 1970년대에 언론 재벌이자 20세기 폭스 영화사 소유주인 루퍼트 머독이 인수한 이후에는 보수 우파 성향의 완벽한 타블로이드 황색언론으로 자리잡았다. 21세기에는 한 마디로 '찌라시'의 대명사로 불리운다.

2. 성향

뉴욕 사람들은 「그래도 뉴욕 포스트가 영국의 더 선보다는 낫지」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찌라시들이 다 똑같은 수준. 똑같이 뉴욕시에서 발간되는 데일리 뉴스와 철천지 원수 사이이며, 데일리 뉴스가 약간 더 많이 나간다. 데일리 뉴스는 뉴욕 포스트와는 달리 정치적으로는 중도 성향이고[1] 찌라시색이 그나마 조금이나마 덜 하다.

황색언론답게 모든 것에 어그로를 끄는 칼럼을 자주 쓰는데 그 수준이 레딧 댓글보다 못한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 무시 당하거나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게 특징이다. 가끔 주목 좀 받아보겠다고 인종 차별이나 인신모욕 수준으로 칼럼을 썼다가 전방위 비난을 받는 경우가 가끔 있다. 모두까기를 하는 성향이지만 정작 자신들은 비난 받기 싫은지 칼럼 기사에는 댓글을 막아놨다.

3. 논란

3.1. 지하철 떠밀기 사건 자극적 보도

2012년 12월 3일 49가역에서 한인을 대상으로 일어난 지하철 떠밀기 사건 때 여기 출신 프리랜서 기자가 치이기 일보 직전의 사진을 찍어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그런데 뉴욕 포스트는 한술 더 떠서 그 사진을 1면에 걸어놨다! 역시 여기도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지만 찌라시답게 사과는 하지 않았다.

3.2. 설날 휴일화 요구 조롱

2014년에는 설날 공립학교 휴교일 지정 요구에 대해 "LUNAR-TICS"[2]라고 1면에 크게 써놨다가 미국 아시안 커뮤니티 전체에게 또다시 큰 지탄을 받았다. #

3.3. 바이든 관련 특종

2020년 10월 14일,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의 아들인 헌터 바이든의 것으로 추정되는 노트북을 확보했다는 보도와 함께 그 노트북에서 소위 '우크라이나 스캔들'로 알려진 사건의 증거가 될만한 이메일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3.4. 트럼프 암살미수범 오보

2024년 7월 벌어진 도널드 트럼프 유세장 피습 사건의 범인 신상을 알아냈다며 다른 언론사들이 보도를 내기도 전에 "중국인 혹은 아시아계 남성"이라고 선수를 쳤다. 그런데 불과 몇 시간 뒤 "백인 남성"이라며 기사를 수정했다. # # 그 짧은 시간 사이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발언 등은 인터넷을 이미 뒤덮은 뒤였다.

3.5. 유나이티드헬스케어 CEO 총격 피살 사건

NBC와 마찬가지로 유나이티드헬스케어 CEO 총격 피살 사건의 범인인 루이지 맨지오니가 암살 게임인 Among Us을 플레이 했다며 범행 동기에 게임이 영향을 주었다는 식으로 엮는 듯한 기사를 내 놓았는데 이에 포브스는 언론들이 살인이나 총기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게임을 엮으려 시도하는 행태들을 비판하는 기사를 내 놓았고. 이에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로 또 게임 탓을 하냐며 비웃는 분위기다.

4. 매체

  • 심슨 가족: 후술하듯이 뉴욕 타임즈와 뉴욕 포스트의 이름이 헷갈리는 것을 이용한 개그를 친 적이 있다. 심슨은 자신을 틀어주는 FOX 채널과 그 소유주인 루퍼트 머독을 까는 개그를 많이 내보내는데 이것도 그것의 연장선. 15시즌 21화에서 바트가 어쩌다보니 성조기에 대고 엉덩이를 까게 되었는데 그 사진을 입수한 스프링필드 신문사 편집장이 말하길,
    "자네가 이 이야기를 엄청나게 과장해서, 이게 뉴욕 포스트를 뉴욕 타임지처럼 보이게 하라고. 아니면 뉴욕 타임지를 뉴욕 포스트처럼 보이게 하든가. 어떤게 더 나은 신문인지 까먹었어."("I want you to overhype this story so much it makes the New York Post look like the New York Times. Or the New York Times look like the New York Post. I forget which one the good one is.")

5. 기타

  • 역시 마찬가지로 이름이 비슷한 더 뉴요커 지와 헷갈리지 말 것. 이 '더 뉴요커' 지는 대중문화 평론 및 시사 평론으로 이름이 높은 품격 있는 잡지이다. 기고되는 글의 수준이 높고, 문화계 방면으로도 상당히 영향력이 커서 뉴욕에 거주하는 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이 주로 구독한다. 정치적 성향 또한 리버럴인지라, 여러모로 뉴욕 포스트와는 정 반대에 위치한 매체이다.
  • 루퍼트 머독이 왜 도심의 고급 백화점이 광고를 내주지 않느냐고 불평하자 그 백화점의 회장이 "당신네 신문 독자들이 우리 백화점의 좀도둑들이다"라고 대꾸했다는 도시전설이 있다. 근거는 없지만 뉴욕에서는 상당히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는 이야기.


[1] 그런데 이 중도 성향이라는게 정치적 이념이라기 보다는 철새 성향에 가깝다. 데일리 뉴스는 대선마다 매번 공화당과 민주당 후보를 번갈아가며 지지한다.[2] 미치광이, 정신병자라는 뜻이다.[3] 아이러니하게 워싱턴 타임즈는 뉴욕 포스트만큼 막장은 결코 아니지만 워싱턴 포스트보다는 현저히 격이 떨어지는 신문이다. 1982년에 설립된 WT에서는 1988년에 소속 기자들이 언론 윤리가 무시되는 것에 항의하여 단체로 그만두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이 때 그만둔 기자 중 한명인 Gene Grabowski는 워싱턴 타임즈에 대해 "인쇄매체계의 폭스 뉴스"라고 표현했다. 폭스 뉴스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항목 참고. 워싱턴 타임즈문선명 계열이다.[4] 뉴욕 타임즈와 뉴욕 포스트의 차이는 맨 인 블랙을 보면 잘 나오는데, 여기서는 설정상 오히려 타블로이드 지들에는 외계인 관련해 믿을만한 소식들이 실리고 정론지는 똥볼만 차는걸로 나온다. (어디까지나 외계인 소식 관해서) 그러면서 케이가 "뭐 뉴욕 타임즈 사보던지. 걔들도 가끔 운 따를 때가 있으니까"라고 한다. 결말에 찌라시 신문들에 실린 진실들이 나오는데 이 중 첫 타자가 바로 뉴욕 포스트. 즉, 타임즈는 정론지의 대명사, 포스트는 찌라시의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으니 이름만 비슷하지 아예 극과 극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