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칠정(七情)은 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을 말한다. 불교와 유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한자도 동일하고 일곱 가지 감정의 종류가 대부분 유사하지만 한두 가지는 다르다.2. 유교의 칠정
유교에서의 칠정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예기의 예운(禮運)과 중용(中庸)에 기재되어 있다. 유교에서는 칠정을 언급할 때 사단(四端)을 붙여서 사단칠정이라 한다. 사단은 맹자의 공손추편(公孫丑篇)에 등장하는 용어로서 칠정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조선에서 사단칠정논쟁으로 이기론을 설명할 때 가져다 썼고, 이 논쟁이 단순한 논쟁이 아니라 당쟁을 촉발하여 매우 유명해졌다.- 희(喜) - 기쁨
- 노(怒) - 노여움, 분노
- 애(哀) - 슬픔
- 구(懼) - 두려움
- 애(愛) - 사랑
- 오(惡) - 미움
- 욕(欲) - 욕망
가끔 오(惡)를 증(憎)으로 바꾸거나 애(哀)를 우(憂)로 바꾸어서 희노우구애증욕이라고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근거가 없는 말이고, 불교 쪽에서 자주 이런 표현을 하지만 불교는 오히려 희노애락애오욕으로 명확히 굳어져 있는데다 우, 증 등의 단어는 유교 쪽에서 자주 쓰는 것이라 오히려 유교의 영향을 받은 용어라는 설이 대중적이다.
3. 불교의 칠정
불교의 칠정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명확하게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으며, 불경에도 명기된 적이 없으나 서적에 기재된 최초의 언급은 불조역대통재이다. 불교에서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앞에 오욕(五慾)을 붙여서 오욕칠정이라 한다.- 희(喜) - 기쁨
- 노(怒) - 분노
- 애(哀) - 슬픔
- 낙(樂) - 즐거움 - 희(喜)가 정신적인 것을 의미한다면 낙(樂)은 육체적인 것을 의미한다.
- 애(愛) - 사랑
- 오(惡) - 미움
- 욕(欲) - 욕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