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 |||||||||
| 탈레스 · 아낙시만드로스 · 아낙시메네스 · 헤라클레이토스 | |||||||||
| 피타고라스 · 필롤라오스 | |||||||||
| 엘레아학파 | 크세노파네스 · 파르메니데스 · 제논 · 멜리소스 | ||||||||
| 다원론자 |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 데모크리토스 | ||||||||
| 아테네 철학 | |||||||||
| 소피스트 | 프로타고라스 · 고르기아스 · 히피아스 · 프로디코스 · 트라시마코스 · 칼리클레스 · 안티폰 | ||||||||
|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
| 헬레니즘-로마 제국 철학 | |||||||||
|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 |||||||||
| 스토아학파 | 제논 · 세네카 · 에픽테토스 ·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 ||||||||
| 에피쿠로스 · 루크레티우스 | |||||||||
| 회의주의 | 피론 · 아이네시데모스 · 엠피리쿠스 | ||||||||
| 플로티누스 · 포르피리오스 · 프로클로스 | |||||||||
| 기타 학파 | 아카데미아학파 · 키레네학파 · 메가라학파 | }}}}}}}}} | |||||||
| 포르피리오스 Πορφύριος | Porphyry | |
| | |
| 이명 | 티레의 포르피리오스 Porphyry of Tyre |
| 출생 | 234년경 |
| 로마 제국 티레 | |
| 사망 | 305년경 |
| 로마 제국 로마 | |
| 직업 | 철학자 |
| 학파 | 신플라톤주의 |
1. 개요
오늘날의 레바논 티레에 해당하는 로마 제국 티로스 출신 신플라톤주의 사상가이다. 그렇지만 독창적인 사상가라기 보다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의 시조이자 자신의 스승이었던 플로티노스의 가르침을 엮은 책 《엔네아데스》을 편집한 것으로 유명하다. 기독교 비판, 음악학, 호메로스 비평, 채식주의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을 남겼는데, 그의 책은 특히 압바스 왕조 시기 아랍어로 번역되어 알 파라비의 철학과 음악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포르피리오스 사후,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테오도시우스 시대가 되면서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주 종교가 되는데, 기독교 신학자들이 고대 가장 영향력이 컸던 반기독교 학자였던 포르피리오스의 저작들을 논박하는 기록을 남기면서 중세 시대 그의 책이 실전되지 않고 수도원 등지에서 필사될 수 있었다.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채식주의자였으며 종교적인 이유보다는 동물이 불쌍해서 먹지 말자는 주의였다. 즉 오늘날의 채식주의자들의 선조격 되는 사람이라 하겠다.
그가 저술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 대한 입문서는 중세시대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리스토텔레스 저서인 범주론, 명제론,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후서에 대한 익명의 주석서와 함께 한 권으로 편집되어 17세기까지도 논리학에 대한 기본서이자 가장 중요한 서적으로서 이용되었다.
2. 저술
- 『신탁에서 유래한 철학』
- 『기독교에 대한 반론』
- 『님프의 동굴에 대하여』
- 『육식 기피에 관하여』 등의 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