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1:38:28

장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장자(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諸子百家
주요 제자백가 사상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4E4FF 0%, #F8F8FF 20%, #F8F8FF 80%, #E4E4FF); color: #0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8F8FF> 유가 공자 자하 맹자 순자
묵가 묵자
도가 노자 장자 양주 열자
법가 이회 오기 신불해 상앙 한비자 이사
명가 혜시 공손룡 등석
농가 허행
병가 사마양저 손무 손빈 울료
불명 고자 후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중국의 SNS 시나 웨이보에서 발표한 중국인들이 선정한 '가장 위대한 중국인' 명단이다.
TOP 10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공자 시황제 노자 채륜 한무제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오쩌둥 맹자 수문제 주자 덩샤오핑
11~25위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사마천 한고제 장자 당태종 장중경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사 송태조 주문공 굴원 동중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홍무제 석도안 염민 장건 상앙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000><colcolor=#fff> 장자
莊子 | Zhuangzi
파일:장주.jpg
본명 장주
莊周
별칭 남화노선, 남화진인[1]
봉호 미묘원통진군(㣲妙元通真君)[2]
출생 기원전 369년?
송나라[3]
사망 기원전 286년 (향년 82~83세)
사망지 불명
직업 철학자
종교 도교
1. 개요2. 설명3. 장자의 사상4. 여담5. 서적 장자(莊子)
5.1. 역사5.2. 개요5.3. 대표적인 일화
5.3.1. 곤(鯤)과 붕(鵬)5.3.2. 상대적인 기준에 대하기5.3.3. 무용지용(無用之用)에 대하기5.3.4. 조삼모사5.3.5. 호접지몽5.3.6. 공자노자의 대화5.3.7. 죽음과 자연
5.4. 관련 고사성어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본명은 장주(莊周)이고, 자는 자휴(子休)이다. 전국시대 송(宋)나라 몽(蒙)출신으로, 제자백가 중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 맹자와 동시대에 살았다고 전해진다. 한때 칠원리(漆園吏)라는 말단 관직에 있었으나 평생을 가난하게 살았다.

2. 설명

노자와 사상이 비슷하나, 노자는 '공을 이루면 뒤로 물러나야 위험이 없다', '백성들에게 (무엇을) 하려고 하지마라'는 정치술에 가까운 반면, 장자는 정치를 떠나 세속을 초탈한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물론 장자에도 정치술이 있긴 있다. 하지만 장자 사상의 핵심은 '어떤 것을 이래 볼 수도 있고 저래 볼 수도 있으니, 사소한 것에 집착하지 말고 자연을 따라 너그러운 마음으로 살자'는 것이지, 노자처럼 '통치자는 일을 많이 만들지 말고 욕심을 줄여야 된다'는 식의 정치적 조언은 아닌 것이다.[4]

『장자』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삶은 '맞다 or 아니다' 중 하나로 정해지지 않으며, 두 개의 상반된 가치는 마치 하나로 이어진 도르래와 같아서, 둘을 나누어서 단정하지 말고 큰 하나로 보아 상황에 맞게 조절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에 작은 생각에 머물러서 옳고 그름을 하나하나 세세하게 따지지 말고, 하늘을 뒤덮는 대붕처럼 크게 생각해서 너그럽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세상을 이렇게 바라보면, 추한 사람도 인기가 많을 수 있으며, 장애를 가진 사람도 보통 사람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 장자의 생각이다.[5]

3. 장자의 사상

장자의 사상을 최대한 쉽게 요약하자면 '관점주의(perspectivism)'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의견은 결국 각자의 관점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이른바 보편타당한 객관적 기준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모장이나 여희같은 미녀를 두고 남자들은 모두 아름답다고 하지만, 물고기는 그녀들을 보자마자 물속 깊이 들어가 숨는다"는 장자의 말처럼, 우리의 판단은 모두 각자의 처지에 따른 것이므로 자신의 견해를 절대화할 수는 없다. 오리발이 짧은지, 학의 목이 긴지, 그 기준은 어디까지나 서로 다른 사물 간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 관점'에만 집착하지 말고 '상대의 관점', 심지어 '사물의 관점'에서도 사건을 살펴보자는 것이 장자의 주장이다.

장자 제2편에 나오는 '엷은 그림자'와 '본 그림자'의 대화[6]는 사물의 상호 의존성과 상호 연관성을 묘사하는데, 궁극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모든 존재의 바탕이자 움직임의 근원은 도(道)일 수밖에 없음을 나타낸다. 결국 선악, 미추, 고저, 장단 같은 것들은 독립한 절대 개념이 아니라 빙글빙글 돌며 서로 의존하는 상관 개념이라는 것이다. 조삼모사의 일화도 사건의 본질이 하나임을 깨치지 못한 원숭이들이 사물의 양면을 파악하지 못하고 당장의 입장에 따라 자신의 관점을 바꾸는 어리석은 모습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호접지몽의 이야기도, 물아일체의 신성함이나 인생무상 같은 것의 호소를 추구했다기보다, 장자가 나비의 꿈을 꾸는지 나비가 장자의 꿈을 꾸는지 알 수 없듯이 가상과 실재의 구분은 모호하다는 것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렇다면 장자가 말하는 도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것을 체득할 수 있는 것일까? 일단 장자는 "도라 말할 수 있을 것은 도가 아니다"고 말한 노자의 노선을 따른다. 한마디로 절대 진리는 말이나 문자로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한쪽만을 절대시하는 독선에 빠지지 않고 양쪽을 전체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시시비비를 따지는 분별지(分別知)를 초월해야 하며, 좌망(坐忘: 앉아서 잊는다)과 심재(心齋: 마음을 가다듬다)의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나를 잃어버린 상태(吾喪我)에서 자연의 순리에 따라 자유롭게 노닐다 보면 그것이 곧 양생이 되고, 처세의 도가 된다는 것이다.[7] [8]

당대 사상가들이 대부분 성인(聖人)의 권위를 빌리거나 지배 계층에게 조언하는 식으로 자신의 사상을 풀어나간 데 비해, 장자는 특이하게도 동물, 자연물, 또는 이름없는 민중(백정, 수영하는 사람, 수레 만드는 사람 등)이나 하급 관료와의 대화 등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물론 장자의 일화에는 공자나 양주 같은 이들과 대화하며 이들보다 더 큰 통찰력을 보여주며 대화했다는 기록도 있으나, 그마저도 권위있는 자들의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것에 가깝다.

유명한 고사론 호접지몽, 조삼모사[9]가 있다. 그 외에도 대붕이나, 포정해우[10], 혜시[11]와의 대담 등이 대표적인 일화이다.

4. 여담

  • 삼국지연의에서는 남화노선이라는 이름으로 장각에게 나타나 태평요술도를 던져주었다.
  • 서시를 안 좋게 보았다. 이도 장자 철학과 연관되는데 자세한 것은 서시 문서 참고.
  • 맹자(기원전 372? ~ 기원전 289?)와 생몰연대가 비슷하다고 추정된다.

5. 서적 장자(莊子)

장주(莊周)와 그의 사상을 계승한 제자들과 장자의 후학들의 사상을 기록한 책.

5.1. 역사

지금은 상당 부분이 소실된 상태다. 한서 예문지에 따르면 내편 7편, 외편 28편, 잡편 14편, 해설 3편 총 5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며, 사기에 따르면 10여만 글자로 되어 있다고 한다. 지금 유통되고 있는 판본은 4세기에 곽상(郭象)[12]이 일관성이나 글의 질을 기준으로 내편 7장 외편 15장 잡편 11장, 총 33장으로 추린 것이다. 보통 내편의 7장은[13] 많은 부분이 장자 본인의 저작으로 여겨지고 있고, 외편과 잡편은 후대의 인물들이 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4]

5.2. 개요

기존의 틀에 박힌 이분법적인 사고로 이 책을 읽으면 이 책에 적힌 활자가 이해가 안 될수 있다.[15] 심지어 같은 장자 안에서도 읽다 보면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서술마저 보인다. 그러나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는 방식으로 장자를 독해한다면, 겉으로 보기에는 비논리인 장자의 책이 일정한 논리구조를 바탕으로 저술되었음을 알게 된다. 문학적인 가치 역시 큰 편.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도 이분법 사고의 해체를 논한 장자를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6] 이런 요소는 이 책에 대한 비평학적인 부분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가령 이분법적인 사고 하에서는 장자가 도가의 형이상학적 부분을 촉진했다는 점과 도가의 현실주의에 집중했다는 점이 서로 충돌하여 모순을 빚는 듯 하나 장자를 올바르게 독해한다면 이러한 이분법은 이 책을 독해하는 데 있어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징으로는 간결한 단어와 문구로 주로 사상을 해설했던 노자의 도덕경과는 달리, 풍부한 우화와 각종 비유로 자신의 사상을 설명했기 때문에 한자 자체가 생소한 것이 많고 또한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분량에서도 노자 도덕경의 20배가 넘는다. 보면 장자가 하는 말에 혜시가 트집을 잡거나 말꼬리를 잡다가 관광당하는 패턴이 많은데, 장자가 "그 친구 머리는 좋은데 재능을 낭비한다."라며 확인사살을 하기도 한다. 물론 혜시와 장자는 사이가 나쁘지 않은 절친이었고, 혜자가 죽었을 때 장자가 허무감을 느낀 것에 관련한 에피소드도 있다. 참고로 혜시 역시 명가 사상의 주요 인물로, 당대 논리학의 거두였다. 동아시아권에서는 보기 드문 연역론자. 현재 혜시의 저서는 남아있지 않은데, 장자 외에도 한비자, 순자, 여씨춘추, 전국책에서도 혜시의 사상을 조금 엿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전국시대를 포함해 이전 시대의 역사적, 인문학적 거물들을 탈이분법적 사고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진 인물로 각색하여 예화에 출현시켜 흥미를 유발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공자안회의 대담. 하지만 사실 장자에 나오는 공자는 썩 대우가 좋지는 않다. 많은 일화가 공자가 이러이러하는데 다른 사람이 이러이러하니 공자의 사상이 잘못됐다는 식의 이야기. 뭐 유명인을 등장시켜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주 있는 일이긴 하지만. 그래도 의외로 장자가 공자를 높게 평가하는 일화도 있는데, 우언편에 혜시가 공자는 아직도 지식 때문에 마음고생 하고 있냐고 묻자 장자는 공자가 이미 그런 경지를 넘어섰으며 자신은 도저히 공자에 미칠 수 없다고 하기도 했다.

5.3. 대표적인 일화[17]

5.3.1. 곤(鯤)과 붕(鵬)

북쪽 깊은 바다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한다. 곤의 크기는 몇천 리가 되는지 알 수 없다. 그것이 변해서 새가 되면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하는데, 붕의 등도 몇천 리가 되는지 알 수 없어서, 떨치고 날아 오르면 그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도 같다. 이 새는 바다의 흐름에 따라 장차 남쪽 심해로 넘어가니, 남쪽의 깊은 바다란 천지(天池)를 말한다.
《장자》 소요유 [18]
장자 소요유편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시작부터 굉장히 난해하고 은유적인 내용이라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한데, 대개 다음과 같은 해석이 있다.
  • 북쪽 바다를 인간세, 곤을 각종 세속적인 이분법 등에 찌들었지만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인간 군상, 붕을 그 무한한 잠재력을 발현하여 초월한 자로 보아서 인간 찬가적인 내용으로 해석한다.
  • 이 뒤에 나오는 작은 생물인 '새와 매미'와 대비시켜, 새와 매미는 큰 뜻을 보지 못하는 우매한 인간 군상, 곤과 붕은 본질적으로 하나이며 만물의 변화에 통달한, 장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지인(至人), 성인(聖人), 신인(神人)과 같은 달인을 표현하는 것이다.
  •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스케일의 거대한 생물인 곤과 붕을 등장시키고, 그리고 이 바로 뒤에 인간 기준으로도 작은 생물인 새와 매미를 대비적으로 등장시킴으로서 단순히 '인간의 크고 작다라는 기준은 상대적인 판단이다'라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얘기하려고 하는 것이다.

5.3.2. 상대적인 기준에 대하기

천하에서 가을 짐승의 털 끝보다 더 큰 것이 없다고 여길 수도 있고, 태산을 작다고 여길 수도 있다. 어려서 요절한 아이보다 더 오래 살 수 없다고 여길 수도 있고, 팽조[19]를 일찍 죽었다고 여길 수도 있다. 하늘과 땅은 우리와 더불어 존재하고 있고, 만물은 우리와 더불어 하나가 되어 있다. 이미 하나가 되어 있으니 또한 이론(異論)이 있을 수 있겠는가? 이미 하나로 되어 있다고 말하면서 또 이론이 없을 수가 있겠는가? 하나라는 것과 이론은 두 가지가 되며, 그 두 가지와 하나는 또 세 가지가 된다. 이렇게 미루어 본다면 계산을 잘 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계산해 낼 수 없을 것이니, 하물며 보통 사람들이야 어찌하겠는가? 그처럼 없는 것으로부터 있는 것으로 나아가는 데도 세가지가 되었으니, 하물며 있는 것으로부터 있는 것으로 나아가는 데는 어찌 되겠는가? 나아감이 없이 인시(因是)를 근거로 해야 할 것이다.
《장자》 [20]
'일반적인' 관점에선 가을에 가늘어지는 짐승의 털은 매우 작고, 태산은 매우 크며, 요절한 아이는 일찍 죽었고, 팽조는 매우 오래 살았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보면 이는 어디까지나 틀에 박힌 사고방식으로, 보는 입장에 따라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관점과는 정반대의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작은 벌레의 입장에선 짐승의 터럭도 크게 느껴질 것이요, 우주에 나가서 지구를 내려본다면 태산은 매우 작을 것이며, 하루살이가 보면 요절한 아이도 장수한 것이고, 지질학의 관점에서 보면 한낱 인간이 아무리 오래 산다고 한들 그 시간은 찰나와 같을 것이다. 즉 모든 기준은 상대적임을 받아들여야 함을 말하고 있다.
모장과 여희[21]는 사람들이 미인이라 하지만 물고기는 그녀들을 보면 물 속 깊이 들어가고, 새는 그녀들을 보면 높이 날아가며, 고라니는 그녀들을 보면 후다닥 달아난다. 이 네 가지 중 누가 천하의 바른 빛깔을 알고 있는 것인가?
《장자》 [22]
이 역시도 아름답다는 것은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5.3.3. 무용지용(無用之用)에 대하기

혜시가 장자에게 말하였다.
"내가 있는 곳에 큰 나무가 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개똥나무라 부르오. 그 큰 줄기에는 혹이 많이 붙어 있어서 먹줄을 칠 수도 없고, 그 작은 가지들은 뒤틀려 있어서 자를 댈 수도 없소. 길가에 서 있지만 목수들도 거들떠 보지도 않소. 지금 당신의 말도 크기만 했지 쓸 곳은 없으니 모든 사람들이 상대도 안 할 것이오."
장자가 말하였다.
"...(중략) 지금 당신은 큰 나무를 가지고 그것이 쓸 데가 없다고 근심하고 있소. 어찌 아무것도 없는 고장이나 광막한 들에 그것을 심어놓고 하는 일 없이 그 곁을 왔다갔다하거나 그 아래 어슬렁거리다가 낮잠을 자지 않소? 그 나무는 도끼에 일찍 찍히지 않을 것이고, 아무도 그것을 해치지 않을 것이오. 쓸 데가 없다고 하여 어찌 마음의 괴로움이 된단 말이오?"
《장자》 [23]
쓸 데가 없다는 무용(無用)이야말로 관점을 좀 달리 생각하면 크게 쓰일 수 있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장자의 생각은 다음의 일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소(支離疏)라는 사람은 턱이 배꼽 아래 감추어지고, 어깨가 머리보다 높으며, 머리꼬리가 하늘로 치솟아 있고, 오장육부는 윗쪽에 붙어 있고, 두 다리가 옆구리에 와 있었다. 그러나 바느질을 하여 입에 풀칠을 하기에 충분하였으며, 키질을 하여 쌀을 불려 열 식구를 먹이기에 충분하였다.
위에서 군인들을 징집하더라도 지리는 팔을 휘저으며 그곳을 노닐 수 있었다. 큰 부역이 있다 하더라도 지리는 언제나 병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일에 끌려가지 않았다. 위에서 불구자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줄 때에는 세 종의 곡식과 열 다발의 땔감을 받았다. 그 신체가 불완전한 사람도 자신을 충분히 보양할 수 있고, 그가 타고난 목숨대로 다 살 수 있는 것이다.
《장자》 [24]
온 몸이 뒤틀릴 정도로 심한 곱추를 보면 보통 사람들은 '저런 놈이 사람 구실이나 하고 살까' 하고 혀를 끌끌 차거나, 아니면 동정 내지는 연민의 정을 느끼기 마련인데 장자는 여기서 지리소라는 사람을 예로 들면서 몸이 심한 불구여서야말로 부역에 끌려가지 않고, 정부에서 구휼(救恤)을 할 때 이득을 보는 등 언뜻 보면 쓸모 없어 보이는 존재가 됨으로써 쓸모없는 것도 관점을 바꾸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장자에는 특히 이런 류의 우화가 많이 등장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장자의 이런 일화들을 '남들 눈 밖에 나는 짓 하지 말고 튀지 않게 살아야 장생한다'는 식의 처세론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장자라는 책 자체가 워낙 해석의 방향성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완전히 틀린 해석이라고 볼 수는 없다.

5.3.4. 조삼모사

신명을 하나로 하려고 노력하면서도 그 동일함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아침에 3개(朝三)'라고 말한다. 무엇을 '아침에 3개'라고 하는가? 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저공)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주겠다(조삼모사, 朝三暮四)"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화를 냈다. "그러면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하였다. 명분이나 실리에 있어서 손해본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화내는 반응을 보인 것은 역시 이로 인해서이다.
그래서 성인은 옳고 그름을 하늘의 균형(天鈞)에서 멈춤으로써 조화롭게 하니, 이를 일컬어 '양쪽으로 움직임[25](兩行)'이라 한다.
《장자》 [26]
이 일화는 사실 '똑같이 7개의 도토리를 주는데 그것도 모르고 아침에 많이 주니 눈 앞의 득만 보고 좋다고 하는 원숭이의 어리석음'을 말하고자 하는 얘기일수도 있으나 다르게도 해석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조삼모사 문서 참고.

5.3.5. 호접지몽

예전에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펄럭이며 날아다니는 나비가 진실로 기뻐 제 뜻에 맞았더라! (그래서 자기가) 장자임을 알지 못했다.
(그런데) 갑작스레 깨고 보니, 곧 놀랍게도 장자였다.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자가 된 것인가, 알지 못하겠구나. 장자와 나비는 틀림없이 구분이 있는 것인데.
이를 일컬어 '물物이 되었다'고 한다.
《장자》 [27]
이 일화는 단순히 인생무상, 일장춘몽 등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나, 다르게도 해석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호접지몽 문서 참고.

5.3.6. 공자노자의 대화

공자가 서쪽 주나라 왕실 서고에 책을 넣어 두려 하였다. 자로가 그에 관해 상의하며 말하였다. "제가 듣건대 주나라의 서고를 관리하던 관리 중에 노담(老聃)[28]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지금은 그만두고 돌아가 집에 살고 있다 합니다. 선생님께서 책을 넣어 두시려면 가서 부탁해 보시지요."

공자가 말했다. "좋겠군." 그리고 가서 노담을 만났으나 부탁을 들어 주지 않았다. 이에 공자는 십이경(十二經)[29]을 펼쳐 놓고서 (그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노담은 그 설명 중에 말하였다. "너무 산만합니다. 그 요점만을 들려 주십시오." 공자가 말하였다. "요점은 어짊[仁]과 의로움[義]입니다."

노담이 말하였다. "어짊과 의로움은 사람의 본성입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군자는 어짊이 아니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의로움이 아니면 살아가지 못합니다. 어짊과 의로움은 진실로 사람의 본성입니다. 또 무엇이 있겠습니까?"

노담이 말하였다. "무엇을 어짊과 의로움이라 하는 것입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마음 속으로 만물이 편안함을 느끼고 다 함께 사랑함[兼愛]에 사사로움이 없는 것, 이것이 어짊과 의로움의 뜻입니다."

노담이 말하였다. "아아! 뒤에 하신 말씀은 위태롭습니다. 다 함께 사랑한다는 것은 단지 둘러대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사사로움이 없다는 것이 바로 사사로움인 것입니다. 선생은 온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그 인의를) 기르고자 하십니까? 하늘과 땅은 원래부터 법도가 있고, 해와 달은 원래부터 환한 빛이 있으며, 별과 별자리는 원래부터 배열된 자리가 있습니다. 새와 짐승들은 원래부터 무리가 있고, 나무는 원래부터 서서 자라남이 있습니다. 선생도 덕을 내버려두고 도(道)를 따라 뒤쫓으시기를 행하셨다면 이미 이루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어짊과 의로움을 높히 들고 나오는 것이 어찌 이토록 의기양양하여 북을 치면서 잃어버린 자식을 찾듯이 하십니까? 아아! 선생은 사람의 본성을 어지럽히고 있습니다."
《장자》 [30]
유가도가 사상의 근본적인 차이를 알 수 있는 우화이다. 유가 사상에서는 인(仁)과 의(義)를 대전제, 수학을 예로 들면 공리와 같은 것으로 두고 논리를 전개시키는 반면, 이는 도가적인 입장에서 보면 또 하나의 인위(人爲)에 지나지 않고, 인의와 같은 것은 오히려 사람의 본성을 기만하는 개념인 것을 지적하고 있다. 다만, 겸애(兼愛)는 묵자의 이론인데 유교를 공격하는데 쓰이다니, 장자도 헷갈린 듯 보인다.

이 일화에서 소개되는 공자와 노자가 만나서 대화를 나눈 일이 사기의 공자세가, 노장신한열전 등에서도 확인이 되므로, 적어도 공자와 노자가 만났다는 것 자체는 실제 있었던 일로 보이기도 한다. 물론 우화적인 내용이 많은 장자의 특성상 대화 내용도 이와 같았을 거라는 보장은 없지만 말이다. 대화를 나눴다는 사실에 적당히 살을 붙여서 만들어낸 것일 수도 있다. 다만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사기에 따르면 이 때 공자와 노자가 서로에 대한 평가를 남겼는데, 공자는 노자를 "용과 같이 변화무쌍하여 깊이를 알 수 없는 사람"이라는 식으로 칭송하고, 반대로 노자는 공자를 "뼈같이 썩어 문드러진 궤변으로 무장한, 겉만 그럴싸한 인간"이라는 식으로 공자의 면전에서 비난했다고 한다. 사기를 지은 사마천은 유가라서, 공자의 겸손함을 치켜세우면서 노자의 오만함을 비판했던 것.

5.3.7. 죽음과 자연

남해의 제왕을 숙이라 하고, 북해의 제왕을 흘이라 하고, 중앙의 제왕을 혼돈이라 한다. 숙과 흘이 어느 때, 혼돈의 땅에서 만나게 되었다. 혼돈이 이들을 매우 잘 대접하니 숙과 흘은 혼돈의 은덕을 갚을 방법을 의논하여 말하였다.
"사람들은 모두 7개의 구멍을 가지고 보고, 듣고, 먹고, 숨쉬고 있는데 혼돈만은 이것을 가지고 있지 않소. 그에게도 구멍을 뚫어 봅시다."
그리고는 혼돈의 몸에 하루에 한 구멍씩 뚫어 나갔는데, 7일만에 혼돈은 죽고 말았다.
《장자》 [31]
혼돈의 몸에 구멍이 없었던 것을 보고 불편해할 거 같아서 통념에 따라 인위(人爲)를 가해 구멍을 내 주었더니 더 편히 살기는커녕 죽어 버렸다는 얘기. 사람을 억지로 어떠한 기준에 맞추지 말고 난 그대로 살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혹은 혼돈을 사람이 아닌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기 전 상태', 즉 자연 그 자체로 보아서 자연에 인위를 가하는 순간 자연은 스러져 버린다는 은유적인 내용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장자의 처가 죽자 혜시가 조상(弔喪)하러 갔다. 장자는 그 때 두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면서 노래하고 있었다. 그를 본 혜시가 말하였다.
"부인과 함께 살아왔고, 자식을 길렀으며, 함께 늙지 않았는가. 그런 부인이 죽었는데 곡을 안 하는 것은 물론,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까지 부르고 있으니 너무 심하지 않은가?"
장자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네. 그가 처음 죽었을 때에야 나라고 어찌 슬픈 느낌이 없었겠는가. 그러나 그가 태어나기 이전을 살펴보니 본시는 삶이 없었던 것이고, 삶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시 형체조차도 없었던 것이었으며, 형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시 기운조차고 없었던 것이었네. 흐리멍텅한 사이에 섞여 있었으나 그것이 변화하여 기운이 있게 되었고, 기운이 변화하여 형체가 있게 되었고, 형체가 변화하여 삶이 있게 되었던 것이네. 지금은 그가 또 변화하여 죽어간 것일세. 이것은 봄, 가을과 겨울, 여름의 사철이 운행하는 것과 같은 변화였던 것이네. 그 사람은 하늘과 땅이란 거대한 방 속에서 편안히 잠들고 있는 것일세. 그런데도 내가 엉엉 하며 그의 죽음을 따라서 곡을 한다면 스스로 운명에 통달하지 못한 일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에 곡을 그쳤던 것이네."
《장자》 [32]
장자의 자연관, 인생관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우화이다. 당연히 장자가 자기 처가 죽었다고 기뻐했던 것은 아니고, 삶과 죽음이 본시 자연의 일부분이자 순환의 일부분이니 누군가가 우리 곁을 떠나간다 한들 슬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장자의 죽음이 가까워지자, 제자들은 그를 성대히 장사지내려 하였다. 그 때 장자가 말하였다.
"나는 하늘과 땅을 관과 겉관으로 삼고, 해와 달을 한 쌍의 구슬 장식으로 삼고, 별자리를 진주와 옥 장식으로 삼고, 만물을 부장품으로 삼으려고 하니, 나의 장구는 이미 다 갖추어진 것이 아닌가? 여기에 무엇을 더 보태겠느냐?"
제자들이 말하였다.
"저희들은 까마귀나 솔개가 선생님을 먹어버릴까 두렵습니다."
장자가 말하였다.
"땅 위에 놓아 두면 까마귀와 솔개가 먹을 것이고, 땅 아래에 묻으면 개미들이 먹을 것이다. 이쪽 놈이 먹는다고 그것을 빼앗아 딴 놈들에게 주는 셈이다. 어찌 그리 편협하게 생각하느냐?"
《장자》 [33]
장자의 대미를 장식하는 우화.[34] 위 장자의 처의 죽음과 더불어 장자의 자연관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구절이다. 장자는 이렇게 자기 자신이 자연의 일부분이고, 자연과 함께 살고 죽어간다는 사실을 인정하면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막연한 공포마저도 초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5.4. 관련 고사성어

6. 둘러보기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1] 둘 다 도교에서 부르는 호칭. 저서는 남화경으로도 부른다.[2] 송나라 추봉.[3]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혹은 허난성.[4] 사실 춘추전국시대 무렵 형성되어 이후 중국 철학의 모태가 된 제자백가의 사상들은 대부분 <주나라 중심의 종법제적 질서가 무너진 이 혼란스러운 세상을 어떻게 극복하여 평화로운 시대를 만들 것인가> 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현실지향적인 관점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예 실용학문의 영역에 가까운 병가(군사전략)나 종횡가(정치외교전략), 명가(언변술) 등은 말할것도 없고, 법가/유가나 농가/묵가등도 통치이념으로써, 또는 대안적-반권력적 입장에서의 정치 사상이라는 현실적인 영역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은 도가 역시 마찬가지로, 다른 제자백가의 사상들보다 조금 추상적인 성격이 두드러져보이는 경우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현실적인 사회의 문제를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사회에 대한 관심이 노자에서는 <도가적 사상에 기반한 정치를 제안>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장자에서는 <현실 사회에서 이 책을 읽는 네가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옳은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 어쨌건 중요한 것은, 현재까지 전해져오는 도가에 대한 이미지의 상당부분은 정치 이념으로써 자리잡기를 포기하고 종교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도교로 변화한 뒤에 형성된 것이기에 이 이미지에 따라 노자나 장자를 해석하면 오류를 범하기 쉽다는 것.[5] 이상이 《장자》의 <내편>을 매우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각각 소요유, 제물론, 양생주, 인간세, 덕충부, 대종사, 응제왕에 해당한다.[6] 여기서 '엷은 그림자'는 '본 그림자'를 보고 "물체가 움직이는 데 따라 그대로 가닥 서고 앉았다가 일어서니 도대체 왜 그렇게 줏대가 없느냐"고 따진다[7] 이전 나무위키에서는 장자의 글들을 '현실주의'라고 해석했는데, 그 조차도 장자를 어느 한쪽 프레임으로 갇혀서 해석하는 우를 범한 것이다. 오히려 제자백가 사상가들 중에서는 한비자법가 사상가들이 현실주의적인 색채가 강하고, 냉정히 말하자면 장자의 철학은 현실주의도 초월주의도 아니며, 그 모든 이원론을 초월할 것을 독자에게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로 따지면 이러한 이원적 사고방식은 쓸데없는 아집과 편견, 국지주의, 민족주의, 특정한 정당색, 지역색 등을 아우른다고 할 수 있겠다.[8] 노자와 장자의 사상은 도가에서 핵심적인 요소를 이루는데, 이들의 이름 앞글자들을 따서 '노장사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 때문에 사람들이 노자를 도가 창시자로 보고 그 다음 서열을 장자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장자가 노자에게 영향을 받은 점도 분명 있지만 그래도 장자에게는 노자와 다른 독창적인 요소도 많다. 심지어 주류 설은 아니지만, 중화민국의 역사학자인 치엔무(錢穆, 전목) 등은 아예 노자를 제쳐놓고 장자를 도가의 시조로 보기도 한다. 유가 사상에서 2인자 취급받는 맹자공자의 후계를 자처하며 사상의 계승 및 발전에 힘썼다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이색적이다.[9] 열자에도 수록되어 있으나 장자에도 수록되어 있다.[10] 일본에서 "식칼"을 부르는 표현이 되었을 정도로 능숙한 백정[11] 혹은 혜자라고도 한다. 혜자, 장자와 관련된 대표적인 일화로는 지어락(知魚樂)이 있는데, 장자가 "저 호수 안에 사는 물고기는 즐겁겠군."이라고 말했는데 혜시가 "자네는 저 물고기가 아닌데 어찌 저 물고기가 즐거운지 아닌지를 안단 말인가?"라고 대꾸하자 장자 역시 "자네는 내가 아닌데 어찌 내가 저 물고기가 즐거운지 아닌지를 아는지 모르는지를 안단 말인가?"라고 대답했다.[12] 근데 그 곽상의 기록이란 것도 세설신어에 의하면 상수가 장자 주석을 달다가 미완성한 상태로 죽고, 두 아들이 어려 아무것도 못하고 있을 때 몰래 빼돌린 후, 미완성 부분만 추가하고, 마제편만 조금 수정한 채 출판한 것이라고 한다.[13] 유명한 소요유, 제물론 등이 내편에 있다.[14] 다만 글의 구조나 전개상의 이유로 내편 역시 소요유나 제물론 등을 제외한 일부는 장자 본인의 저작이 아니란 이야기도 나온다. 애초에 하나 알아둘 점은, 장자 내편의 한문 문법 역시 전국시대가 아닌 한대의 문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즉, 지금 전해져오는 내편 역시 편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는 있다. 2장 제물론의 경우, 중간에 삽입 구절이 있다는 견해도 학자들 간에서 제기되곤 한다.[15] 예를 들면 갓나서 죽은 아기보다 오래 산 사람은 없으니 팽조(760살이 넘게 살았다는 전설 상의 신선)도 일찍 요절한 사람 등과 같은 문장.[16] 다만 하이데거는 이러한 해체주의를 통해 실존주의보다는 존재론에 가까운 연구를 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의 담론은 장자보다는 노자의 그것에 더 가깝게 되었다.[17] 아래의 번역과 해설은 김학주 번역본을 많이 참고했음을 일러둔다. 장자라는 책은 워낙 우화적이고 은유적인 내용이 많아서 번역자에 따라, 혹은 읽는 독자에 따라서 해석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는 책이므로 아래의 해설은 참고 정도로 받아들이고, 관심이 있다면 각종 역자의 역본 혹은 집해서 등을 구해서 직접 공부해보는 것을 추천한다.[18] 北冥有魚,其名為鯤。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化而為鳥,其名為鵬。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怒而飛,其翼若垂天之雲。是鳥也,海運則將徙於南冥。南冥者,天池也。[19] 장수한 것으로 유명했던 옛 사람의 이름. 요순시대에 태어나 주나라 시대까지 자그마치 800년 이상을 살았다고 한다.[20] 天下莫大於秋豪之末,而大山為小;莫壽乎殤子,而彭祖為夭。天地與我並生,而萬物與我為一。既已為一矣,且得有言乎?既已謂之一矣,且得無言乎?一與言為二,二與一為三。自此以往,巧歷不能得,而況其凡乎!故自無適有,以至於三,而況自有適有乎!無適焉,因是已。[21] 둘 다 춘추시대의 미녀의 이름이다.[22] 毛嬙、麗姬,人之所美也,魚見之深入,鳥見之高飛,麋鹿見之決驟。四者孰知天下之正色哉?[23] 惠子謂莊子曰:「吾有大樹,人謂之樗。其大本擁腫而不中繩墨,其小枝卷曲而不中規矩,立之塗,匠者不顧。今子之言,大而無用,眾所同去也。」莊子曰:「...(중략) 今子有大樹,患其無用,何不樹之於無何有之鄉,廣莫之野,彷徨乎無為其側,逍遙乎寢臥其下?不夭斤斧,物無害者,無所可用,安所困苦哉!」[24] 支離疏者,頤隱於臍,肩高於頂,會撮指天,五管在上,兩髀為脅。挫鍼治繲,足以餬口;鼓筴播精,足以食十人。上徵武士,則支離攘臂而遊於其間;上有大役,則支離以有常疾不受功;上與病者粟,則受三鐘與十束薪。夫支離其形者,猶足以養其身,終其天年。[25] 鈞이 도르래라는 뜻이 있는데 여기서 양행(兩行)이란 도르래의 양쪽을 움직여서 균형을 맞춰간다는 뜻.[26] 勞神明為一,而不知其同也,謂之朝三。何謂朝三?曰狙公賦芧,曰:「朝三而莫四。」眾狙皆怒。曰:「然則朝四而莫三。」眾狙皆悅。名實未虧,而喜怒為用,亦因是也。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鈞,是之謂兩行。[27] 昔者莊周夢為胡蝶,栩栩然胡蝶也,自喻適志與!不知周也。俄然覺,則蘧蘧然周也。不知周之夢為胡蝶與,胡蝶之夢為周與?周與胡蝶,則必有分矣。此之謂物化。[28] 노자의 본명. 다만 실제 노자의 본명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이견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노자 참고.[29] 유교의 중요 12개 경전. 현대에는 흔히 맹자를 더해 십삼경이라고 불린다. 그런데 십이경이 확립된 때는 당나라 시대이므로, 아마 번역 과정에서 바뀐 명칭을 반영해 십이경으로 바꾸었을 가능성이 있다.[30] 孔子西藏書於周室,子路謀曰:「由聞周之徵藏史有老聃者,免而歸居。夫子欲藏書,則試往因焉。」孔子曰:「善。」往見老聃,而老聃不許,於是繙十二經以說。老聃中其說,曰:「大謾,願聞其要。」孔子曰:「要在仁義。」老聃曰:「請問:仁義,人之性邪?」孔子曰:「然。君子不仁則不成,不義則不生。仁義,真人之性也,又將奚為矣?」老聃曰:「請問何謂仁義?」孔子曰:「中心物愷,兼愛無私,此仁義之情也。」老聃曰:「意!幾乎後言!夫兼愛,不亦迂乎!無私焉,乃私也。夫子若欲使天下無失其牧乎?則天地固有常矣,日月固有明矣,星辰固有列矣,禽獸固有群矣,樹木固有立矣。夫子亦放德而行,循道而趨,已至矣,又何偈偈乎揭仁義,若擊鼓而求亡子焉?意!夫子亂人之性也!」[31] 南海之帝為儵,北海之帝為忽,中央之帝為渾沌。儵與忽時相與遇於渾沌之地,渾沌待之甚善。儵與忽謀報渾沌之德,曰:「人皆有七竅,以視聽食息,此獨無有,嘗試鑿之。」日鑿一竅,七日而渾沌死。[32] 莊子妻死,惠子弔之,莊子則方箕踞鼓盆而歌。惠子曰:「與人居長子,老身死,不哭亦足矣,又鼓盆而歌,不亦甚乎!」莊子曰:「不然。是其始死也,我獨何能無概然!察其始而本無生,非徒無生也,而本無形,非徒無形也,而本無氣。雜乎芒芴之間,變而有氣,氣變而有形,形變而有生,今又變而之死,是相與為春秋冬夏四時行也。人且偃然寢於巨室,而我噭噭然隨而哭之,自以為不通乎命,故止也。」[33] 莊子將死,弟子欲厚葬之。莊子曰:「吾以天地為棺槨,以日月為連璧,星辰為珠璣,萬物為齎送。吾葬具豈不備邪?何以加此!」弟子曰:「吾恐烏鳶之食夫子也。」莊子曰:「在上為烏鳶食,在下為螻蟻食,奪彼與此,何其偏也!」[34] 사실 이 뒤로 천하(天下)편이 있긴 하지만, 이 편은 앞의 장자 편들과 다르게 당대의 각종 제자백가 사상가들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비판하는 형식의 장이어서 우화적인 내용과는 거리가 멀고 장자 전체를 놓고 봤을 때 통일성도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