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17:42:46

토머스 핀천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초기 희랍 문학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희랍 희곡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헬레니즘 문학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로마 문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중세 문학 영국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이탈리아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독일/게르만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기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영국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프랑스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스페인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고전주의 이탈리아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영국 새뮤얼 존슨 · 조너선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알렉산더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기타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영국 낭만주의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미국 낭만주의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프랑스 낭만주의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기타 낭만주의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사실주의 발자크 · 스탕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마크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자연주의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상징주의/유미주의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근대극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근현대 문학 모더니즘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표현주의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사회주의 리얼리즘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신시(新詩)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실존주의/부조리극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포스트모더니즘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사변소설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마술적 사실주의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기타 근현대 문학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
<colbgcolor=#000><colcolor=#fff> 토머스 핀천
Thomas Pynchon
파일:1769px-Thomas_Pynchon,_high_school_yearbook_editor,_1953.jpg
본명 토머스 러글스 핀천 주니어
Thomas Ruggles Pynchon Jr.
출생 1937년 5월 8일 ([age(1937-05-08)]세)
미국 뉴욕주 나소카운티 글렌코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소설가
학력 코넬 대학교 (영문학 [1] / 학사)
활동 1959년 – 현재
배우자 멜라니 잭슨 (1990년 - 현재)
서명
파일:Thomas_Pynchon_signature.svg


1. 개요2. 저서
2.1. 국내 번역2.2. 미번역
3. 기타4. 그 외

1. 개요

미국의 대표적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다. 필립 로스, 코맥 매카시, 돈 드릴로와 함께 미국 현대 문학계의 4대 거성으로 평가받는다. 은둔 작가로도 유명하다. 파트리크 쥐스킨트 못지 않게 대외적인 인터뷰나 공식 석상에 오르기를 꺼린다고 한다.

음모론미스터리, 추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비트는 만화경 같은 플롯, 대중 문화에 대한 박식한 인용과 패러디, 기술문명에 대한 고찰, 역사와 문명에 대한 시선, 장광설과 기괴한 캐릭터로 유명하다.

2. 저서

2.1. 국내 번역

  • V. (1963) - 토머스 핀천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이다. 민음사는 본작을 [V를 찾아서]라는 제목으로, 학원사는 원제와 똑같이 발간했지만 오랫동안 절판이었다. 그러다가 2020년 6월 30일 민음사에서 원제로 재출간했다. 그 외에도 브이 포 벤데타의 V가 이 작품을 읽으며 구절을 읊조리는 장면이 나온다.
  • 제49호 품목의 경매 The Crying of Lot 49 (1965) - 1960년대 미국 대학생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된다. 핀천의 작품 가운데서는 그나마 이해하기 쉬운 편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상당히 난해한 편이며, 의혹만 잔뜩 제기해 놓고 아무것도 드러나지 않은 열린 결말로 끝나기 때문에 처음 읽을 때는 뭔가에 단단히 골탕먹은(...)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 중력의 무지개 Gravity's Rainbow (1973) - 토머스 핀천의 대표작이자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1974년 심사위원의 만장일치로 퓰리처상에 거론되었으나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선정되지는 못했다.[2] 현재는 절판돼서 예스24의 미리보기로 그 어려움을 가늠할 수밖에 없다. 국내에는 원체 인지도가 없다 보니 700부만 간행했다고 한다. 전문 번역인이 아닌 카이스트 수학과 출신의 엔지니어가 번역했다.
  • 느리게 배우는 사람 Slow Learner (1984)
  • 블리딩 엣지 Bleeding Edge(2013) - 오역이 심하다는 평이 있다.

2.2. 미번역

  • Mason & Dixon (1997)
  • Against the Day (2006)
  • Shadow Ticket (2025) - 12년만의 신작으로 2025년 10월 출간 예정. 대공황 시대를 배경으로 사라진 재벌가 상속녀를 추적하는 사립탐정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한다.

3. 기타

개요에 언급했다시피, 은둔 작가의 대명사인 J. D. 샐린저파트리크 쥐스킨트에 필적할 정도로 철저하게 은둔하는 작가이다. 샐린저는 그래도 근황 사진을, 쥐스킨트는 정확하지는 않아도 컬러로 된 사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토머스 핀천은 구글 이미지에 뜨는 사진이라고는 모두 흑백뿐이다. 간혹 있는 컬러 사진은 인위적으로 색을 입힌 예상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의외로 매체에 나온 적이 있는데, 그 프로가 심슨 가족이다. 시즌 15 10화, 시즌 16 2화에 물음표로 표시된 봉투를 쓴 채 목소리로나마 찬조 출연했다. 원래 각본에는 핀천이 호머 심슨을 fat ass라고 놀리는 장면이 있었는데, 핀천이 제작진에게 호머가 자신의 롤모델이라고 설득해서 해당 대사는 삭제했다고 한다. #

제작진이 인히어런트 바이스에도 찬조 출연했다고는 하나, 감독 본인은 이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목소리 출연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없는지, 인히어런트 바이스 오디오북 나레이션도 맡기도 했다.

결혼을 상당히 늦게 했다. (1990년대 초에 결혼했다.) 아들 (잭슨 핀천)도 있는데 나이차가 50살을 훌쩍 넘을 정도. 아들에 대한 애정이 상당한지, 심슨네 가족들에 출연하게 된 계기도 아들이 엄청난 심슨 팬이라서 하게 되었다고 한다.

2018년 내셔널 인콰이러 지에서 도촬로 촬영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4. 그 외

핀천 코리아
위키피디아 - 토머스 핀천


[1] 본래 2학년 까진 물리공학을 전공하다 해군 제대 후 영문학으로 전공을 바꿨다고한다.[2] 그럴만한게 예를 들면 이런 씬(주의)이 있었다.